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촌지역 중심지 공공공간에 대한 주민 인식도 연구 - 지역커뮤니티 단위의 중심가로와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박성진,염대봉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심지의 장소성 중심 활성화로서 공공공간으로 볼 수 있는 중심가로와 공공공간들을 대상으로 전라남도 농촌생활권 중의 하나인, 화순군의 12개 면소재지 중 정주체계계층 분석을 통한 계층별 3개 사례를 추출하여 공공공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이다. 그결과 조사대상지의 면소재지들의 공공공간의 환경은 첫째, 중심가로의 밀집도로 인해 공공공간이 이면도로 또는 외곽부에 공급되고, 공공공간의 전면구성은 차량의 접근 및 통행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심가로변 건축물의 전면공간 역시 차도 확보로 인해 보행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버스정류장은 중심가로 외곽부 설치로 접근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보행과 연계한 소규모 공원 및 편의시설들의 부재, 보행로 상의 무분별한 차량진입구 설치로 인한 보행의 연속성 및 환경 악화의 문제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지역민들의 농촌중심지에서 필수적 활동만이 가능한 환경으로 구성되었고, 선택적, 사회적 활동을 수용하기에는 힘든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농촌중심지의 공공공간 구성은 지역민들의 선택적, 사회적 활동이 가능한 보행중심의 공간들로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 positive study to examine problems of public space and seek their solutions with three cases of 12 myeon locations in Hwasun-gun, one of rural circles in Jeollanam-do based on center streets and public spaces through settlement system analysis. Consequently, public space environment of myeon locations at the sites of research showed that firstly, public space was arranged at the backside road or outer area due to the concentration of center streets and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the center street was based on vehicle access and passage. Secondly,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center street didn't ensure proper space for walking due to the street space and a bus station lacked the accessibility because it was installed at the outskirts of center street.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small parks and convenience facilities connected to walking and environmental worsen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indiscreet access road on the pedestrians road. As a result, environment to accommodate compulsory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at the center of rural areas was build and it seemed to be difficult to accommodate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change into pedestrian-centered space for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is needed.

      • KCI등재

        인구감소시대 농촌 중심지 내 사회적 활동과 공간의 이용실태에 따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농촌지역 면소재지를 중심으로 -

        박성진,염대봉,강인호 한국농촌건축학회 2017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3

        본 연구는 농촌 중심지 정비가 커뮤니티 특성에 맞게 실행되어 왔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시작으로 커뮤니티를 고려한 농촌 중심지 정비의 방향성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전라남도 지역행복생활권 농촌 생활권 지자체들 중 고령화 지수가 높은 4개의 지자체의 37개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중심기능의 정도와 인구규모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과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은 첫째, 교통여건의 개선으로 중심지수가 낮아진 쇠퇴 유형은 복지센터(문화센터), 둘째, 중심지수는 높으나 상위중심지 접근성이 낮고, 이농현상에 의한 지속적 쇠퇴를 보이는 유형은 주민자치센터와 장터, 셋째, 중심지수와 상위중심지로의 접근성이 낮은 유형은 농협, 넷째, 중심지수와 상위중심지 접근성이 낮고, 인구가 적은 쇠퇴 유형은 노인회 분회가 주된 지역내 사회활동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중심의 공공공간 확충 및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커뮤니티 인식에 대해서는 중심지수가 높은 유형들은 유대감과 이웃관계, 중심지수가 낮은 유형들은 협력, 공동의식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adjustment of rural areas, considering the community. Therefore, it classified the types of 37 Myeon units from 4 communities with higher aging index among rural communities in Jeonnam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ntral functions and population and examined the residents' awareness of community space. As a result, The space used as a social activity for each type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ype of decline in the decline of the central index, which reduces transportation conditions, is welfare center (culture center). Second, the central index is high, but there is a low degree of access to the center of the middle and low levels of the population, and the local autonomous center and marketplace, respectively. Third, the low level of access to the central index and the higher center is Nonghyup. Fourth, the decline type with low center index and low accessibility to superior center and low population was the elderly community. Additionally, the types with higher center index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cluded solidarity and neighbor relationship, and those with lower center index were influenced by cooperation and community awareness for community activation.

      • 질내강으로 탈출한 악성 혼합 Muller 종양의 자기공명영상

        박성진,이혜경,김대호,박재성,홍현숙,조준희,차장규,백상현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is a rare uterine malignancy and prolapse of MMMT into the vagina is an extremely rare condition. In this case, MR findings showed a well circumscribed mass in vaginal canal with stalk arising from uterine wall. The mass showed heterogeneous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and heterogeneous enhancement in mass and stalk on enhanced T1-weighted image.

      • KCI등재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의 여정, 그리고 대안적 세계화 –이해와 공존을 향한 오디세이아–

        박성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4 No.-

        Far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 formal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France, Catholic missionaries were only Europeans living in the peninsula. They introduced the Korean culture in the 19th century European societies. The missionaries inherited the Jesuits’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inculturation from the 16th century; but facing with culture shock toward the Korean society, they within the mutual contradictory perspectives couldn’t overcome Orientalism that dominated the 19th century. However, as a formal diplomatic pavilion between Korea and France was set in 1886, the French perspective on Korea came to face a new phase. This was the end of the Korean missionary center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Korean studies without religious purposes. After Korea’s downfall into the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studies in France, despite the dedicated efforts of several researchers, fell into the downturn until the 1990s. The analysis of the French academic works via <DB Project> shows that Korean studies in France for the 20th century have been significantly underdeveloped compared with Chinese Studies, and even with Japanese Studies. The academic and governmental provisions are urgently required for it. While Korean recherches on Japanese Studies in French academia are few, those on Chinese Studies are comparatively many. In particular, th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he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18th century including Voltaire who were friendly to Confucianism was the most common in Korean academia. Nonetheless I, as some Korean researchers have claimed, am skeptical about whether Confucianism had profoundly influenced on the 18th-century European society, and presents basis in this paper. What surprised me the most in performing this study was the fact that the Korean academia’s attention toward the French East Asian studies has been fixed in the 19th century for Korea and in the 18th-century Enlightenment era for China. If such bias in the Korean academia was intended due to its ethnocentric perspective, the situation is seriously problematic. Although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set a binary oppositional relationship, both are substantially the sam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make us be unable to see the objective reality as it is. A concave mirror or a convex mirror has us unable to see ourselves properly. What we need now is only an even mirror which can reflect us as we are. 정식외교가 수립되기 훨씬 이전부터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들은 유럽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한반도에 거주하면서 한국문화를 유럽사회에 지속적으로 알렸다. 이들은 16세기부터 이어져 온 예수회의 지적 전통인 ‘본지화(本地化)’ 정신을 계승하였으나, 19세기를 지배했던 오리엔탈리즘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양립 불가능한 가치관의 충돌 속에서 한국사회를 상호 모순적 시각 속에서 바라봐야만 했다. 그러나 1886년에 한국과 프랑스 간에 정식으로 국교를 맺으면서 한국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이로써 선교사중심의 한국학이 끝나고종교적 목적을 배제한 학술적 한국학이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이후, 한국학은 몇몇 연구자들의 헌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까지 침체기를 맞게 된다. <영어, 불어, 독어권동아시아학 주요 성과 DB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된 프랑스어권 DB를 분석한 결과, 20세기 동안 한국학은 중국학은 물론 일본학에 비해서도 상당히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학계와 정부의 대책마련이시급하다. 프랑스학계의 일본학 연구는 국내 학계에서 거의 전무하지만 중국학의 경우, 비교적 많이 소개된 편이다. 특히 18세기 유교에 우호적이었던 볼테르를 비롯한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유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국내학계에서 가장 많았다. 하지만 필자는 국내 일부 연구자들이 주장하듯이, 유교가 18세기 유럽사회에 지대한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으로 본문에서 그 근거를 밝혔다. 현재 프랑스어로 발간되는 동아시아학 관련 학술지는 모두 13종으로 파악되었는데,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서 무상으로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인문·사회과학연구 성과물들을 무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프랑스의 기초학문에 대한 국가의 보호정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프랑스의 지식무상보급정책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여파로 ‘지식의 비용’이 급격히증가하고 언어의 다양성이 죽어가는 오늘날의 학술생태계를 개선하려는 ‘대안적 세계화’라는 성격이 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하면서 필자가 가장 놀랐던 점은 국내 학계가 프랑스어권의 동아시아학 연구를 바라보는 시선이 한국은 19세기, 중국은 18세기 계몽주의시대로 거의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국내 학계의 편향성이 혹시 자민족 중심적 사고에서 의도된 것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은 이항대립적 관계를 형성하지만 결국 객관적 실체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같다.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로는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것이다. 현재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우리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비출 수 있는 판판한 거울뿐이다.

      • KCI우수등재

        스테레오 비전 기술을 이용한 원격 해빈표고 산정

        박성진,김광열,강태순,허의주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4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7 No.1

        Video camera systems for monitoring existing coastal erosion have been undergoing erosion monitoring, focusing on two-dimensional area changes based on mono cameras.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a new observation method called 'Stereo Vision' was examined to supplement the calculation of the beach elevation to this coastline monitoring method. A stereo camera system was deployed on the coast of Bangameori, Daebudo, Ansan-si, Gyeonggi-do, to acquire and verify field data, and GNSS surveying was performed at 21 points. Stereo imag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Camera Calibration, Feature Matching, Rectification, and Stereo Matching. Since general stereo image analysis only provides information on distance, elevation estim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elevation using stereo images. The error between the beach elevation calculation value using a stereo camera and the GNSS survey value had an RMSE of 0.042 m and a maximum error of 0.09 m, satisfying the limits of elevation error in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KCI등재

        뗀석기 제작의 돌감으로서 석영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박성진 백산학회 2016 白山學報 Vol.- No.106

        Among archaeologists, quartz is generally reconsidered the quartz vein which is classed a mono-mineral rock in the petrographic classification. The quartz vein is frequently used worldwide since Paleolithic archaic until the recent prehistory. The morphology and cortex of Quartz reflect the source of raw material. The form of quartz is divided into cobble and rubble, the first has the smooth neocortex and the last has irregular cortex. The cortex of the state plays quite important role in lithic production. The site 'Punggokri' is an example which shows the gestures according different quartz two types. In the case of vein quartz, the cleavage surface is preferred as the striking platform, but in the case of quartz cobble, the neocortex is favored as the striking surface. As a raw material, quartz is considered a second choice since the cleavage surface often introduce the fracture of flake. But if you read well the orientation of quartz cleavage surfaces, the accident of knapping can reduce. What is very interesting is that the technical obstacle is inversely profited as an advantage technique site 'Punggokri. The quartz cleavage surface is exploited deliberately to produce large flakes at the site. We need the character of quartz as the raw material are studied more minutely to capture well the behavior of prehistoric man. 일반적으로 고고학계에서 말하는 석영은 암석학적 분류체계에 따르면 맥석영을 뜻한다. 매우 이른 구석기시대부터 선사시대 말기까지 맥석영은 흔하게 이용되었던 돌감이었다. 석영의 형태와 자연면의 상태는 돌감 산지의 특성을 반영한다. 석영은 자갈과 모난돌의 형태를 갖는데, 전자는 매끈한 자갈면(neocortex)을 갖고 후자는 불규칙한 자연면을 갖는다. 돌감의 자연면은 석기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 조사된 풍곡리 유적은 모난돌 형태의 석영의 경우 돌결면을 때림면으로 사용하고 자갈돌 형태의 석영의 경우 자갈면을 때림면으로 선호하고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석영의 이용전략을 잘 보여준다. 돌감으로서 석영은 석기 제작과정에서 자주 의도치 않게 깨지기 때문에 흔히 ‘마지못해 쓰는 돌감’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석기 제작자가 돌결면이 발달한 주요 방향을 잘 읽을 수 있다면 이처럼 석기가 의도치 않게 깨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풍곡리 유적에서 주목되는 현상은 돌결면을 의도적으로 활용하여 크고 얇은 격지를 생산해냄으로써, 석기 제작의 기술적 장애물을 오히려 기술적 장점으로 역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선사시대 사람들의 행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돌감으로서 석영의 특성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