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 정치사 연구현황과 제언

        윤종문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ll publish the special edition reaching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00 issue in March, 2020. It took 28 years until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00 go out in the world. It was the result of participating many Korea Historian. Young and rising scholars will make a plan to check the past research position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writer took charge of checking the contemporary Korea political paper including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99. The Various political topics, such as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Nation building, The Speci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n Anti-national activity, Jeju 4.3 Incident, Yosun Incident wa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99. The review task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s history shall be work the future of this association. This writer was a few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writer contend that Korea contemporary majors shall often writer Book Review of the major’s book. The second, our association need to joint Research. The last, This writer was suggest to published cultural historical books and to open culture class. These work will contribute sympathiz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general public. 2022년 3월 ≪한국근현대사연구≫ 100집이 나온다. 이는 28년이라는 시간과 수많은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이 여기에 참여하여 만든 결과물이다. 소장, 신진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지난날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연구현황을 점검해 보기로 했다. 필자는 ≪한국근현대사학회≫에 수록된 현대 한국 정치 논문 현황을맡았다. ≪한국근현대사학회≫에는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건국준비위원회, 제주4·3사건, 반민특위, 여순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 등 다양한 주제를가지고 여러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지난날 한국근현대사학회 역사를 점검한다는 것은 학회의 미래를 위한 것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몇 가지를 제안했다. 첫 번째 제안은 현대사 전공자들의활발한 서평활동이었다. 두 번째로 연구자들이 모여 공동의 주제로 연구하고그것을 논문으로 생산해 내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것은 젊은 현대사연구자들이 앞장서 교양총서를 발간하고 교양강좌를 개설하여 일반인들과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가자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근대 정치·외교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최보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ographical meanings of relevant researches by organizing the research performances in the field of politics/diplomac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each theme. In most of those research performances, the researches got intensified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Japan plundered Korea, and they thoroughly organized various aspects of people who performed this through new data and perspective. Nevertheless, the limitations of the journal could be mentioned together with the prospect as follows. Even though the researcher is not sure if it is proper to mention the limitations, the researcher aims to briefly mention them as they could be actually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journal and researches on 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Korea Citation Index homepage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influence index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0.74, which is not very high. As this external index could b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it should not be simply ignored. There should be additional efforts to overcome such low influence and low awareness. Of course, in order to discover and foster rising researchers,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been operating the ‘Excellent Theses Award’ System since 2008. The journal’s role is to help more excellent researchers stand in the center of research by discovering, rewarding, and encouraging them. Carefully suggesting the future prospect based on such limitation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seek for and discover the agenda suitable for the present time, rather than passively publishing the journal by simply depending on individual researchers’ submission. Second, the basis of researches on history is to discover, criticize, and utilize historical records.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journal, most of the researches are performed by individual researchers, which is working as a limitation that cannot expand the scale or period of researches. The economical and stable system needs to be equipped for pure researches on history. Therefore,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ould ne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vitalizing group researches by actively attracting small-scale research units and also investing a certain amount of support fund.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사연구≫에 게재된 정치·외교 분야의 연구성과를 주제별로 묶어 정리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사학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대체로 이들 연구성과는 일본의 한국 침탈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배경의 성격으로 연구가 심화되었으며 이를 수행한 인물군상의 다양한 면면을새로운 자료와 관점을 통해 잘 정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학회지가갖고 있는 한계를 전망과 아울러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실 필자가 한계를언급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학회지와 근대사 연구의 발전에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간략하게 언급해 두고자 한다.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누리집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영향력지수는 0.74로 높은 편은 아니다. 이러한 외부 지표는 곧 ≪한국근현대사연구≫에 대한 객관적 평가일 수 있기 때문에 쉽사리 간과해서는 안될 것 같다. 낮은 영향력과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노력이필요해 보인다. 물론 신진연구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해 한국근현대사학회는 2008년부터 ‘우수논문상 시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많은 우수 연구자를 발굴해 포상하고이들을 격려해 연구의 중심에 서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학회의 역할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한 한계를 바탕으로 향후 전망을 조심스럽게 제언하자면, 첫째 개별 연구자의 투고에 의지하는 수동적 학술지 발행이 아닌 시대에 맞는 어젠다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발굴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역사 연구의 기본은 사료의 발굴과 비판 및 활용에 있다. 학회가 가지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연구의 대부분이개별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는 측면이 많다. 이는 연구의 규모나 기간을 확대시키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한다. 순수한 역사 연구를 위한 경제적 안정적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소규모 연구단위를 적극 유치하고 일정한 지원금을 투여해 집단연구를 활성화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있다.

      • KCI등재

        한말 민족운동 연구성과와 과제

        이성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reviewed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researcher analyzed 55 papers and the topics were on Wijeongcheoksa Movement, Righteous Army Movement,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atriotic Struggle, Jajeongsunkuk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Only 6.84 % of 55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re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and 26 of 55 papers were o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8 papers studi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one or two papers were published for 10 years. It is due to researchers who got their doctorate during 1980~90. They have dominated the academic circle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National Movement. This is why the publication rate of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went down after 2010. The Association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ed to consistently effort to nurture new scholars and seek for solutions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한국근현대사학회 학술지 ≪한국근현대사연구≫(1~99집)에 수록된 한말 민족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55편이며 한말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 의병전쟁, 계몽운동, 의열투쟁, 자정순국, 국외독립운동과 관련된 연구이다. 의병연구는 가장 많은 26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의열순국투쟁(14편)·계몽운동(8편)·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5편)·국외독립운동(2편) 순이다. 한말 민족운동 논문은 전체 수록논문의 6.84% 정도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연구주제는 의병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1980~90년대 박사학위를 받은연구자들이 학계를 주도하면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축적되면서 신진연구자들이 한말 민족운동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지않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이후 한말 민족운동 관련 논문의 게재율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도 이러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신진연구자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하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1919~1922년 황기환의 유럽에서의 한국독립운동

        윤선자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8 N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Europe was organized mainly by the Paris Commission formed for the Paris Peace Conference held after the WWI. Hwang Gi-hwan moved to the US in his teens and joined the US army during WWI. After the war, he joined the Korean Representative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upon request by Kim Gyu-sik. However after 2 months, the chairman and the vice chairman died and he became the effective leader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After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e Korean Representative was reorganized and incorporated into the Paris Commission and Hwang Gi-hwan asked the Paris Commission for more staff but was rejected because they claim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he was considered inappropriate by the Commission. Along with Paris, promotional activities were made also in England; however the finance was reduced and the staff were not recruited. Despite lack of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Hwang Gi-hwan did his best in promoting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he could not understand or speak French, he got help from a few Europeans to publish promotional materials for Europeans; he made complaints to the European newspapers that published false reports regarding Korea and interviewed regarding the horrible situation in Korea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Koreans who did not understand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he published Our Work in Europe. Also he negotiated with French and British government to help Korean workers and students in Europe and helped Korean students study in Europe. For 2 years, Hwang Gi-hwan was the effective director of the Paris Commission and the London office and he went to the US when Lee Seung-man asked him to join when Lee was preparing for the Washington conference. The fact that Hwang Gi-hwan went to the US suggests that the US Commission did not take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seriously. The US Commission accepted the President Lee’s decision and the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were compromised for propaganda in the States. After the Washington Conference, Hwang Gi-hwan made diplomatic and promotional effort both in the US and England for about a year before his death. It was short but passionat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Hwang Gi-hwan did for the Paris Commission in Europe. 유럽에서 한국독립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개최된 파리강화회의를 위해조직된 파리위원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0대 후반에 미국으로 건너가 제1차세계대전에 미군 지원병으로 참전하였던 황기환은 전쟁이 끝난 후 김규식의 요청을받고 파리강화회의 한국대표부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참여한지 두 달여 만에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유고로 한국대표부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되었다. 파리강화회의가 끝난 후 한국대표부는 파리위원부로 개편 설립되었고, 황기환은 파리위원부에서 함께 일할 사람을 요청하였지만 재정곤란, 부적합한 인물이라는 이유 등으로거절당하였다. 파리와 더불어 영국에서도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재정은 축소되었고 인원도 보충되지 않았다. 인적·물적 궁핍 속에서도 황기환은 한국독립을 위한 홍보활동에 최선을 다하였다. 프랑스어를 하지 못하였지만, 몇몇 유럽인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유럽인 대상 홍보물을 발행하고, 한국 관련 誤報를 수록한 유럽신문들에 항의하고, 한국의 참상과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인터뷰를 하였다. 유럽에서의 홍보활동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국인들을 위해 구주의 우리 사업도 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럽에 온 한국인 노동자들과 유학생을 돕기 위해 프랑스·영국 정부와 교섭하였고, 학생들의 구미행과 유럽에서의 수학을 도왔다. 2년여 동안 파리위원부와 런던사무소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황기환은 워싱톤회의를 준비하고있던 이승만의 부름을 받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의 미국행은 구미위원부에서 對유럽홍보활동을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구미위원부는 대통령 이승만의 결정을 받아들였고, 유럽홍보활동은 미국에서의 선전활동을 위해 희생되었다. 워싱톤회의 후 황기환은 약 1년 동안 미국과 영국을 오가며외교홍보활동을 계속하다 사망하였다. 짧지만 유럽에서 전개되었던 파리위원부의홍보활동은 황기환의 열렬한 한국독립운동이었다.

      • KCI등재

        미주·유럽 및 일본지역 연구성과와 과제

        김도형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paper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papers related to the Americas, Europe, and Japan published in the 100th issue of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the 100th issue of this Journal. Twenty papers related to the Americas and Europe were included,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and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n the Americas and Europe. In particular, eight papers on the figur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ho worked in the Americas and Europe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 the Americas and Europe. In addition, 11 papers must have been included in the Japanese region to academically grow the field of Korean community and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n Japan. Among them, the papers on the two Japanese, Kaneko Fumiko and Huse Tatsuji, are very meaningful in that they say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s not just a struggle of Koreans, but a freedom and peace movement in which conscientious people from the colonial country participate. In addition, several papers on anarchism in the Japan were published because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 took up as much weight as the nationalist and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s. There is no doubt that more than 30 papers related to the Americas, Europe, and Japan were included until the 100th issue of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as published, contributing to academic development. Although several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there are not a few task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se region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Americas, no more in-dept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mmigration. An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mericas is that the United States has been an important provider of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mericas was moving in considerable propor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orea in China. If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actively carried 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mericas was also active, and on the contrary, if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stagnan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tended to shrink. As suc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merica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the Americas needs to be studied as an extens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Next, in the case of the Japan, since the main topics of the Korean community were labors, labor conditions, labor organizations, and labor movements are b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Korean labor movement in Japan, given that Korean labors were the main topic of the Japanese labor movement since the 1930s. And since one of the pillars of the Korean community along with Korean labors in Japan is Korean students, groups of Korean students, student organizations, and independence movements should be the main research topics. 이 논문은 한국근현대사학회의 학술지 ≪한국근현대사연구≫ 100호 발행을기념하여, 지금까지 ≪한국근현대사연구≫에 실린 미주·유럽 및 일본지역과 관련된 논문에 대해 분석·검토한 것이다. 미주와 유럽지역과 관련하여 20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미주·유럽지역의 한인역사와 독립운동사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미주·유럽에서 활동하였던 독립운동 인물에 관한 8편의 논문은 미주· 유럽의 한인역사 및 독립운동사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는 데에 공헌하였다. 또한 일본지역에서는 11편의 논문 수록되어 재일 한인사 및 독립운동사 분야를학문적으로 성장시켰음에 틀림이 없다. 그 가운데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와후세 다츠지(布施辰治) 두 일본인에 대한 논문은, 한국독립운동은 한국인만의투쟁이 아닌 식민본국의 양심적인 인사들도 동참하는 자유·평화운동이라는 것을 말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일본지역의 아니키즘 관련 논문이 여러 편 게재된 것은, 일본지역 아나키즘계열 독립운동이 민족주의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에 못지않게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근현대사연구≫ 100호가 발행되기까지 미주·유럽 및 일본지역에 관련된 논문이 30편 이상 수록되어 학문 발전에 기여한 것은 틀림이 없다. 여러편의 연구논문이 게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과 관련하여 앞으로 연구되어야만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미주지역의 경우 이민사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미주지역 독립운동에서 가장 중요한점은, 미주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독립운동자금의 중요 제공지였다는 점이다. 한편, 미주지역 독립운동은 중국 관내지방의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과 상당히비례하여 움직이고 있었다. 임시정부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 미주지역 독립운동도 역시 활기를 띠었고, 반대로 임시정부의 활동이 침체되면 미주의 독립운동도 위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만큼 임시정부와 미주지역 독립운동은 서로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미주지역 독립운동사는 임시정부의연장선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일본지역의 경우, 재일 한인사회의 주축은 노동자들이었기 때문에, 노동실태, 노동자 단체, 노동운동 등이 가장 중요한 주제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1930년대 이후 일본 노동운동의 주축을 이룬 것은 한인 노동자들이었다는 점에서 재일 한인 노동운동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층적으로 진행될 필요가있다. 그리고 일본지역에서 노동자와 함께 재일 한인사회의 한 축은 유학생들이기 때문에, 재일 한인 유학생들의 단체, 학생조직과 독립운동 등이 주요 연구주제가 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유일한의 미주 독립운동과 고려경제회

        차현지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6 No.-

        유일한(柳一韓)의 고려경제회 활동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그의 다른 독립운동 활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조명을 받어왔다.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유일한은 전시(戰時) 한국인 군사력 활용 필요와 해방후 한국의 발전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면서 미국에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조성하고자 했다. 이로써 미국의 대한국정책이 한국에 유리하게 이끌어 전후 한국 재건설이 한국의 발전에 유익하도록 언론 홍보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그가 소속되었던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전후계획연구부 활동만으로는이를 추진하기에 제한적이라 판단했고, 이에 따라 조직한 비영리 단체가 고려경제회다. 고려경제회는 ≪고려경제회보≫라는 기관지를 발간하는 것을 주 활동으로 삼았다. 고려경제회는 유일한이 전후계획연구부에서 한인 독립운동가들만으로 한국을 홍보하는 언론 전략을 시도했던 한계점을 보완하며 ≪고려경제회보≫ 필자들의 다수를 한국에 관한 지식을 보유한 미국인 전문가들로 구성하였다. 필자들은 유일한의 독립운동을 지지하며, 한국인이 아닌 미국인이 바라본한국의 장점과 발전 가능성이라는 객관성·전문성을 내세워 미국 정부 관련 부처 및 민관공서를 설득하고자 시도했다. 즉 고려경제회는 아시아·태평양전쟁기 한국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한 부정적인 결론 도출이 일반적이던 미국 정부의 경향에 대응해, 한국인뿐 아니라 미국인 전문가들도 유일한의 지지 세력으로서 한국을 대변하며 언론활동을 추진한 데에서 그 가치가 있다. 또 유일한의 한국 선전 및 홍보 언론 전략이라는 점에서 독자적인 입지를 보유하였다. Compared to other representative indepedence movements, Ilhan New’s activity as a chairman of the Korea Economic Society has received less attention than it deserves. In order to create positive public opinion about Korea in the U.S Ilhan New insisted on the necessity to utilize Korean military power during the Pacific War and on Korean’s capability of building and running their nation post-war. It played a positive role in encouraging the U.S. policy toward Korea to be more beneficial to Korea. However, Ilhan New judged that working through Planning and Research Board and the United Korean Committee in America Mission, to which he belonged, to be limited. Therefore, he created the Korea Economic Society as a non-profit organization. The Korea Economic Society’s main activity was to publish it’s own journal called Korea Economic Digest. It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Ilhan New’s previous press strategy that used only Korean activists and KED’s writers consisted of many American experts on Korea. These writers supported Ilhan New’s independence movement and attempted to persuade the U.S. government-related ministries and public-private agencies by citing Korea’s strengths and potential values as seen by non-Koreans. In other words, the Korea Economic Society could be considered a valuable association in that sense that defended and promoted Korea through journalism in response to the U.S. government’s tendency to draw negative conclusions through public researches on Korea during the Pacific War period. In addition, it was unique because it was a private association that reflected New Ilhan’s special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y which was to promote Korea through the journalism.

      • KCI등재

        현대 사회·경제사 연구성과와 과제

        박광명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achievements achieved by Journal of K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 Geun-yeon)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The achievements to be analyzed are about 60 papers related to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containing up to volume 99 by Han Geun-yeo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relative ratio of research papers or criteria by period, subject, and contributor, the location of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studies contained in Han Geun-yeon was confirmed, and the tendency of the study was analyzed. Of the 209 modern history papers included in Han Geun-yeon, 61 are related to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The subject period of the thesis reflects the research trend of the academic world, and 68.3% of the thesis is contained in the first republic period from the US military period. Overall,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from the 2010s to the time and target. It is noteworthy that the writing of the thesis in the field of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included in Han Geun-yeon is centered on the class of 1980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researchers major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increased extensively since democratization in the class of 1980s, and another reason is that after the mid-2000s, when Han Geun-yeon was systematized and growing.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at the research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s still insufficient. Finally, points to be presented at the academic level were presented to promot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iming and subject of the study. Second, active activities on how to introduce and utilize data related to modern history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emerging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odern history and expand the area of research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link academic activities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and academic depart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easy posting conditions along with strict screening standards. 이 글은 한국 현대 사회·경제사 분야에서 ≪한국근현대사연구≫(이하 ≪한근연≫)가 이룩한 연구성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성과들은 ≪한근연≫ 99집까지 수록된 60여 편의 현대 사회·경제사 관련 논문들이다. 연구논문들의 상대적 비율이나 시기별·주제별·투고자별 기준을 통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한근연≫에 수록된 현대 사회·경제사 연구의 위치에 대해확인하고,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한근연≫에는 수록된 209편의 현대사 논문 중에, 현대 사회·경제사 관련논고는 61편이 수록되어 있다. 논고들의 주제 시기는 학계의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미군정기부터 1공화국기에 68.3% 의 논고가 수록되어 있다. 전반적으로2010년대를 기점으로 시기와 대상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확장되었다. 주목할만한 점은 ≪한근연≫에 수록된 현대 사회·경제사 분야 논고의 필진은 80년대 학번이 중심이 되고 있다. 80년대 민주화 이후 대대적으로 근현대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한근연≫이 체계화되고 성장하는 시점인2000년대 중반 이후에, 80년대 학번의 왕성한 활동이 이어졌다는 점이 또 다른이유가 될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학문 후속세대들의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점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사 분야 연구의 증진을 위해 학회 차원에서 제시되어야할 점들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시기와 주제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대사 관련 자료 소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현대사 분야에 대한 신진 연구자의 발굴과 연구 활동 영역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타 학회 및 학문 분과와의 학술활동 연계가 필요하다. 다섯째, 엄격한심사 기준과 함께 손쉬운 투고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관내지역 독립운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황선익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e mainland of China was the place wher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evelop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field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refore, it became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tudy of the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stud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esearch rela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publish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ublication of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as not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study expanded to activity space and personality research. Research on the Overseas Korean society, which was the realistic base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conducted extensively. Through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arly history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including the first settlement in the Primorsky region, Shanghai’s early society, Inner Mongolia and Mongolia. These studies have expanded to Shanghai-Beijing-Guangzhou-Tenjin. Efforts to reveal the reality of China, which was marked by revolution and war, and the realit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eveloped there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studie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aspects of human exchanges to reveal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Korea-China solidarity, and to investigate the inner side of the Korea-China solidarity that continued amid cooperation and tension. Understanding a group of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which has progressed over 30 years, should be preceded for further research succession. 중국 관내지역은 일제강점기 내내 독립운동이 전개된 곳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무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이를 반영하듯 ≪한국근현대사연구≫에 실린 중국 관내지역 독립운동 관련 연구는 110편에이를 만큼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외 독립운동 연구에서 단연 중요하게 다뤄진 것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구였다. 근현대사연구 발간 초기부터 발표된 임시정부 관련 연구는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자체에 그치지 않고, 그 터전이 되었던 공간, 그리고 주역이 된 인물 연구로 확장되어 갔다. 특히 1999년에 발간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80주년 기념논문집 은 학회의 연구 역량을 방증하는 연구성과였다. 한국 독립운동의 현실적 거점이었던 한인사회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한국근현대사연구≫를 통해 연해주 지역 최초 정착지, 上海의 초기 사회, 내몽고 및 몽골지역에 이르기는 해외 한인사회의 초기 역사를 규명하려는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또한 독립운동의 현실 입지로써 중국 관내의 시공간을 탐색하려는 연구가 上海-北京-廣州-天津 등으로 확장되었다. 혁명과 전쟁으로 점철된 중국의 현실과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실상을밝히려는 노력은 다양한 연구논문으로 발표되었다. 한중연대의 다면성을 밝히기 위한 인적 교류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협력과 긴장 속에서 이어진한중연대의 내면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도 이뤄졌다. 30여 년간 진전된 중국관내 독립운동 연구의 일단을 파악하는 것은 보다 심화된 연구 진전을 위해서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내 한국학 현황과 독립운동사 연구의 활성화 방안

        이장규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5 No.-

        Korean Studies research in France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ue to Korea's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cultural influence. Currently, in-dept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cross all fields, expanding the scope to Korean studies as a whole, not just Korean language education. Unfortunately, however,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far from the interest of institutions, researchers, and students. In this situation, the emergence of the Korean-French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 Association (Libertas), founded in 2017, is encouraging. Members held several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through active activities such as excavation of a large number of materials and posthumous writings of independence activists. Although the framework for research and disse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France has been established, it is still in a basic state due to realistic limitations. Financial and academic support, as well as th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many researchers in Korea, are needed to 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프랑스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의 경제 성장 및 문화적인 영향력 증가로인해 양적이나 질적으로 괄목한 성장을 이루었다. 현재는 단순한 한국어 교육이아닌 한국학 전반으로 범위를 확장하며 각 분야 전반에 걸쳐 심도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독립운동사 연구 분야는 기관 및 연구자들 그리고 학생들의 관심으로부터 멀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7년 창립된한불독립운동사연구회(리베르타스)의 출현은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들은 한국독립운동사 관련 여러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다수의 자료 발굴및 독립운동가 추서 등의 활발한 활동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프랑스 내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와 확산을 위한 틀은 갖추었으나 현실적인 한계로 여전히 기초적인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독립운동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재정및 학술적 지원 그리고 한국 내 여러 연구자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선거제도와 의원 구성 변화

        이재호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임시의정원은 1919년 4월 중국 상해에서 설립되었다. 임시의정원은 각 지방 인민을 대표하는 의원들로 구성된 대의기구이자 입법기관이다. 임시의정원은 설립 당시에는 조직과 체제를 갖추지 못하다가, 1919년 4월 말 열린 제3회 회의 때 「임시의정원법」을 제정하면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운영되었다. 1919년 9월 통합 임시정부가 출범하면서 정부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임시의정원도 「임시의정원법」을 개정하여 선출 인원을 늘렸다. 각도와 해외 교민을 대표하여 51명을 선출하던 것을 57명으로 증원한 것이다. 이로써 상해에서는 의원들로 구성된 임시의정원의 결의에 따라 임시정부를 운영했다. 독립운동시기 임시의정원의 구성과 운영은 한국 의회 정치의 시작이었다. 1930년대 들어 임시의정원은 정당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1930년 민족주의 인사들이 창당한 한국독립당 당원들이 각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고, 이들로 임시의정원을 구성한 것이다. 한국독립당은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를 유지 옹호하는 기초세력이었다. 1935년 좌익진영의 민족혁명당 창당과, 여기에 참여하지 않은 인사들이결성한 한국국민당 창당으로 임시의정원의 구성과 운영 주체가 바뀌었다. 1935년부터 1940년까지 한국국민당이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운영해 갔다. 1940년 임시의정원은 임시정부와 함께 중경에 정착하면서 다시 한번 커다란변화를 겪었다. 민족혁명당을 비롯한 좌익진영 인사들이 임시의정원에 참여하여통일의회를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임시정부는 선거 규정을 새롭게 마련하고임시의정원의 문호를 개방했다. 1942년 좌익진영 인사들이 임시의정원에 참여하면서 다당제로 바뀌었고, 여당과 야당도 생겨났다. ‘대행선거구’ 문제로 여야가 한차례논전을 벌이기도 했지만, 1944년에는 다섯 번째로 헌법을 개정하여 좌익진영 인사들이 임시정부 운영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중경시기 임시의정원이 통일의회를운영하고 좌우 연합정부를 구성한 경험은 민주공화제를 진전시켜 나가는 밑거름이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s a representative body and legislative body composed of lawmakers representing the citizens of each regio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not equipped with an organization and system at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in April 1919, but wa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law whe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ct was enacted at the 3rd meeting. As the size of the government expanded with the launch of the integrated provisional government in September 1919,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lso revised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ct to increase the number of elected members. The number of people elected from 51 on behalf of each province and overseas Koreans was increased to 57. In the 1930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run mainly by political parties. In 1930, members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founded by nationalists, were elected regional representatives and formed a Korean provisional Congress.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changed in 1935 when the left-wing National Revolution Party was founded an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it formed the Korean National Party. From 1935 to 1940, the Korean National Party formed and operated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n the 1940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settled down in Chongqing, and left-wing figures participated to form the United Council. With the participation of left-wing figures i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parliament have changed to a multi-party system, and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have also emerged. In 1944, left-wing figures wer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lthoug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once argued over the "proxy electoral district."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of the Chongqing period Republic of Korea running the United Counciland forming the left and right governments was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progress of the democratic re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