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 B형간질환 환자에서 클레부틴의 치료효과

        서정일,이창화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Clevudine is potent antivirial agent with sustained antiviral activity. We assessed biochemical and serological responses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received clevudine 30mg more than 6 month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a total 23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hepatits B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treatment duration was 12.5 months (range 6~32). HBV DNA levels were below the lower limit of detection (2,000 copies/ml) by bDNA assay. Virologic breakthrough was defined as a >1 log_(10) copies/ml increase in serum HBV DNA from nadir. A total of 23 patients were diagnosed as chronic hepatitis B, 18 men (78%) and 5 women (22%), mean age 39 years (range 19~67). Baseline mean serum ALT level was 150 lU/ml and mean HBV DNA was 5.4 log_(10) copies/ml. ALT normalization rate was 82% (19/23), the cumulative ALT normalization rates at 3, 6, 9 and 12 months were 78%, 82%, 90% and 95%, respectively. Of 13 HBeAg(+) patients, HBeAg loss was 2 cases (15%) and HBeAg seroconversion was 3 cases (23%). Patients who became HBV DNA undetectable was 19 cases (82%) and the cumulative undectable HBV DNA was 86%, 91%, 93% and 95% at 3, 6, 9 and 12 months respectively. 2 cases (8.7%) with virological breakthrough during treatment were observed. There was no serious adverse events related to clevudine treatment. Clevudine treatment was well tolerated and showed high potent antiviral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long term efficacy and viral resistance. 클레부딘은 지속적으로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약물이다. 이 연구는 6개월 이상 클레부딘을 투여받은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바이러스 및 생화학적 반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만성 B형 간염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투여기간은 12.5개월 (6개월-20개월)이었다. HBV DNA는 bDNA법으로 2,000 copies/ml이상을 검출한계로 정하였다. 바이러스 돌파현상은 HBV DNA기준치보다 1 log_(10) copies/ml 이상 상승할 때로 정의하였다. 대상 환자 23명가운데 남자가 18명 (78%), 여자가 5명(22%)으로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분포는 19세에서 67세로 평균연령이 39세이었다. 치료전 평균 ALT치는 150IU/m1, HBVDNA는 5.41og_(10) copies/ml이었다. 치료후 ALT치가 정상으로 회복된 경우는 19예 (82%)이었고 ALT의 누적 정상화율은 3개월 후 78% 6개월 후 82%, 9개월 후 90을 12개월 후 95%였다. HBeAg 양성 13명 가운데 HBeAg의 소실은 2예(15%)에서 볼 수 있었고, 혈청전환은 3예(23%)이었다. 클레부딘 투여 후 23명 중 19명 (82%)에서 혈청 HBV DNA가 음성화 되었으며 누적 음전율은 3개월 후 86%, 6개월 후 91%, 9개월 후 93%, 12개월 후 95%이었다. 치료도중 내성 이 발현된 경우는 2예 (8.7%)이었고 클레부딘 치료도중 위중한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클레부딘은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바이러스반응과 생화학적 반응이 우수하고 안전한 약제이나 장기치료에 관한 성적과 치료도중 내성발현에 관한 대책이 필요하리라 본다.

      • 약물대사에서 PXR과 CAR 핵수용체의 역할

        서정일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2

        외부로부터 유입된 약물은 간에서 대사되어 소변 또는 담도로 배설된다. 약물대사는 phase Ⅰ, Ⅱ 및 Ⅲ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phase Ⅰ, Ⅱ는 여러 가지 간 내 효소에 의해 약물의 화학적 구조가 변화되고, 배설되기 용이한 친수성 물질로 변경되는 과정이다. phaseⅢ는 세포막 수송단백질을 통해 대사된 약물을 간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와 수송단밸질 발현이 PXR과 CAR이라는 핵수용체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짐으로써 약물대사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핵수용체의 구조, 분류, 신호전달과정 및 목표유전자 등 핵수용체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PXR과 CAR을 중심으로 약물대사와 담즙정체 등으로 인한 간질환에서 핵수용체의 역할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The liver is concerned with drug metabolism and excretion which are described as phase I, phase II. or phase III reaction. It was recently estabilished that the nuclear pregnane X receptor (PXR) and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are key regulator of drug disposition. Therfore. in this review, the concepts for nuclear receptor and the role of PXR and CAR in drug metabolism are summarized.

      • 대장에 기원한 원발성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

        이재욱,이호현,김동훈,양창헌,김성철,이창우,오민구,김대인,서정일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7 東國醫學 Vol.4 No.-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anant fibrous histiocytoma)은 1960년대 초반에 연부 조직종양의 한 종류로 기술되어 소개되었으며 그 기원은 분명치는 않으나 조직구 및 섬유모세포에서 기원한다는 설이 우세하며 흔히 차륜형으로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호발부위는 약 70%의 증례에서 사지에서 발생한다. 절제수술후에도 국소재발이 흔하고 원격전이도 많아 예후는 매우 나쁜 편이다.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노인에서 가장 흔한 연부조직 육종이며, 주로 사지에 발생하고 종격동, 심장, 폐, 췌장, 신장, 고환등 전신장기에서 발생보고 되고 있으나 복강내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예는 극히 드물며 최근까지 전세계적으로 십수 예(직장, 위, 간, 항문, 복벽, 대망등)만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점차 커지는 무압통성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66세 여자환자에서, 수술후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대장에서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대장에서 발생한 예로는 국내 최초로(우리가 확인할 수 있었던 한)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was introduced inthe early 1960s to describe a group of soft tissue tumors, presumably derived from histiocytes, which was often characterized by a storiform growth pattern. It is a pleomorphic sarcoma, occured principally as a mass on an extremity or in the retroperitoneum of adults. The rates of local recurrence and of the distant metastasis are very high. Maliganant fibrous histiocytoma was found in any orgen of the body, such as mediastinum, heart, lung, pancreas, kidney, and spermatic cord etc. It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sarcoma of late adult life, but MFH occured in the intraabdominal organs are very rare, so only several cases(in the rectum, stomach, liver, anus, abdominal wall, greater omentum, etc) were reported until recently. We report the first case in Korea to our knowledge, of primary maliganant histiocytoma of the large bowel,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neoplasm occured inthe colon of 66-year-old female who complained enlarging nontender mass in abdomen. That was pathologically confirmed by resection.

      • C형 바이러스 간염 치료의 최신경향

        서정일,김강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지금까지 C형 바이러스 간염의 표준치료는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 이지만 최근 환자의 상태와 치료중 반응에 따라 치료용량과 치료기간을 조절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맞춤치료 쪽으로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리바비린 대체약물인 Taribavirin과 특정단백저해제와 같은 새로운 경구치료제가 개발되어 조만간 시판될 예정 이어서 C형 간염 치료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The standard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C has been pegylated interferon in combination with ribavirine. Recently the idea of tailored therapy based on the patient's status and treatment responses is emerging. Moreover, taribavirin, an alternative drug for ribavirin and specifically targeted antiviral therapy for HCV (STAT-C) are under development. Therefore, the therapeutic effects for hepatitic C will improve in near future.

      • 기관지 유암종 2례

        이관호,한승세,이동협,김성숙,이현우,이정철,최교원,정진홍,서정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3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0 No.2

        전형 중심성 기관지 유암종과 비전형 기관지유암종을 기관지내시경하 생검 및 전산화 단층촬영하 생검으로 확진했으며 근치적 치료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치험 2례를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Bronchial carcinoid tumor was a low grade malignant and it was regarded as predictable clinical course and good survivality after surgical resection. But despite of its low grade malignant potentiality, bronchial carcinoid tumor was clearly capable of metastasizing and causing death. We present 2 cases of bronchial carcinoid tumors. One of them was typical carcinoid tumor in 44 year-old female and another was atypical carcinoid tumor in 53 year-old male patient. Currative therapeutic procedure was performed by lobectomy and wedge re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