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

        Adul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the Republic of Korea: Risk medical conditions and mortality stratified by age group

        Kim, Jong Hun,Baik, Seung Hee,Chun, Byung Chul,Song, Joon Young,Bae, In-Gyu,Kim, Hyo Youl,Kim, Dong-Min,Choi, Young Hwa,Choi, Won Suk,Jo, Yu Mi,Kwon, Hyun Hee,Jeong, Hye Won,Kim, Yeon-Sook,Kim, Jeong Elsevier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Vol.74 No.-

        <P><B>Abstract</B></P> <P><B>Objectives</B></P> <P>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adult patient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PD) stratified by age group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of 23-valent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 for those aged ≥65 year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P> <P><B>Methods</B></P> <P>Clinical data and pneumococcal isolates from adult patients with IPD (≥18 years of age)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20 hospitals through the nationwide surveillance program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5.</P> <P><B>Results</B></P> <P>A total of 319 patients with IPD were enrolled. Median age was 69 years.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was 34.2%: 17.1% in those aged 18–49 years, 23.7% in those aged 50–64 years, 33.0% in those aged 65–74 years, and 51.0% in those aged ≥75 years (<I>p<</I> 0.001). In particular, early death within 7days of hospitalization accounted for 60.6% (66/109). While old age (≥65 years), higher Pitt bacteremia score (≥4), and bacteremic pneumonia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PD mortality in all age groups, an additional mortality risk factor of immunocompromised status was identified for patients aged 50–64 years. PPSV23 serotypes accounted for 64.4% (122/189) of the pneumococcal isolates serotyped.</P> <P><B>Conclusions</B></P> <P>This study suggests that vaccine-type IPD continues to place a substantial burden on older adults in the ROK, necessitating an effective vaccination strategy for those at higher risk.</P> <P><B>Highlights</B></P> <P> <UL> <LI> National immunization of the elderly with the 23-valent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 was implemented in Korea in 2013. </LI> <LI>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was 34.2% for adul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PD) and 51.0% for patients ≥75 years of age. </LI> <LI> Mortality risks were older age, higher bacteremia score, and immunocompromised status. </LI> <LI> An effective vaccination strategy for those at higher risk of IPD is needed. </LI> </UL> </P>

      • KCI등재

        절제된 정상위벽의 자기공명영상기법에 관한 연구:조직소견과의 비교

        서보경,설혜영,이남준,차인호,정규병,김정혁,박철민,이지영,Seo, Bo-Gyeong,Seol, Hye-Yeong,Lee, Nam-Jun,Cha, In-Ho,Jeong, Gyu-Byeong,Kim, Jeong-Hyeok,Park, Cheol-Min,Lee, Ji-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5

        목적:급속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절제된 정상위벽을 관찰하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 연구하여,위벽의 관찰을 위한 최적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25명 환자의 모두 41개 절제된 정상위조직을 수술후 수지(polyethylene)통에 넣고,생리식염수로 채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 T2강조TSE와 True-FISP 등 4가지 기법으로 위조직의 영상을 얻었다.자기공명영상에서는 위벽의 층수와 각층의 신호강도를 관찰하였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하였다.자기공명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한 후 위벽 각층의 명확성과 각층간의 구분,및 전체 영상의 질에 대하여 비교하였다.4가지 기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은 3,가장 나쁜 방법은 0으로 하여 등급을 판정하였다. 결과:자기공명영상에서 위벽의 층수는 T1강조FLASH에서 2층이 41예 중 6예(14.6%),3층 31예(75.6%),및 4층 4예(9.8%)였고,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 6예(14.6%)와 3층 35예(85.4%),T2강조TSE에서 3층 24예(58.5%),4층 11예(26.8%),및 5층 6예(14.6%)였으며,True-FISP에서 1층 2예(4.9%),2층 8예(19.5%),3층 23예(56.0%),4층은 4예(9.8%), 및 5층 4예(9.8%)이었다.위벽의 신호강도는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으로 보인 예는 위내강으로부터 고-중등도,3층인 경우는 고-저-고/중등도,4층인 예는 고-저-고-중등도신호강도였다.T2강조TSE에서는 3층으로 보인 예는 등도/고-저-중등도,4 층인 경우는 중등도-저-고-중등도/저,5층인 예는 저-고-저-고-저신호강도였다.자기공명 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하였을 때 위벽이 3층으로 보인 경우 이것은 “점막층-점막하층-근층 ”에 해당하였다.관찰한 3가지 면 모두에서 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T2강조TSE 기법이 True-FISP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01).점막층의 명확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기법은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이었고(p<0.05),점막하층의 명확성과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은 T2강조TSE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T1강조FLASH와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자기공명영상은 위벽의 각 층을 구별할 수 있는 우수한 검사로 조직소견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전체 영상의 질,점막하층의 명확성 및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이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한다. Purpose: To evaluate normal human gastric wall layers in vitro using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to correlate the result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echnique for evaluation of the gastr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normal resected gastric specimens obtained from 25 patients were dissected and placed in a polyethylene tube filled with normal saline. MR imaging with four MR sequences, T1-weighted FLASH*(T1FLASH), fat-saturated T1-weighted FLASH, T2-weighted TSE*(T2TSE), and True-FISP, was performed. The number of gastric wall layers and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were determined, and after correlating MR image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the conspicuity of each layer*(mucosa, submucosa, and muscle), the distinction between each layer, and overall image quality were assessed. results: The gastric wall was shown by TIFLASH to have two (n=6, 14-6%), three (n=31, 75.6%) and four layers (n=4, 9.8%); by fat-saturated TIFLASH to have two (n=6, 14.6%) and three (n=35, 85.4%) ; by T2TSE to have three (n=24, 58.5%), four (n=11, 26.8%), and five (n=6, 14.6%); and by True-FISP to have one (n=2, 4.9%), two (n=8, 19.5%), three (n=23, 56%), four (n=4, 9.8%), and five (n=4, 9.8%) .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as high-intermediate from the lumen in two-layer cases, high-low-high/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and high-low-high-intermediate in four-layer cases.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2TSE was intermediate/high-low-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intermediatelow-high-intermediate/low in four-layer cases, and low-high-low-high-low in five-layer cases. Three-layered gastric wall corresponded mostly to mucosa, submucosa, and muscle from the inner to outer layers, respectively. T1FLASH, fat-saturated T1FLASH, and T2TSE were superior to True-FISP in evaluating the gastric wall.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ere the best sequences for demonstrating mucosa (p<0.05), and T2TSE was the best for submucos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and muscle (p<0.05). Both T1FLASH and T2TSE provided the best overall image quality (p<0.05). Conclusion: In-vitro MR imaging is an excellent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layers of normal gastric wall. T2TSE is the sequence which best demonstrates the conspicuity of submucosa, the distinction between submucosa and muscle, and overall image quality.

      • SCOPUSKCI등재

        Uncoupling Protein 3의 골격근 세포내 과발현이 OLETF 백서 및 배양된 골격근 세포에서 포도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정희,박혜선,고정민,김하영,강호경,이인규,박중열,홍성관,이재담,이기업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6

        연구배경:Uncoupling protein(UCP)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위치하는 단백질로 세포내의 과다한 에너지를 열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최근 동물의 갈색지방조직에만 존재하는 UCP와 유사성을 가진 아형들(UCP2,3)이 사람에게도 존재함이 알려져 큰 관심을 끌도 있는데 이중 UCP3는 그 발현이 골격근세포와 갈색지방조직에만 국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UCP3가 체내 인슐린 감수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조직인 골격근에 국한되어 발현되는 점에 착안하여 UCP3를 골격근세포에 과발현시켰을 때 포도당 대사에 어떠한 영향이 나타나는 지를 조사하였다. 방법:25주령의 8마리의 OLETF 백서를 대상으로 하여 4마리는 골격근에 adenovirus 2mL(1×10¹²pfu/mL)를 주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고 4마리는 골격근에 재조합법으로 제작된 adenovirus­UCP3 2mL(1×10¹²pfu/mL)를 주사하였다(UCP3 과발현군). UCP3를 투여한 백서에서 먹이섭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그 전날 대조군이 먹은 야의 먹이만큼 투여하였다. 골격근에 adenovirus를 주사한 10일 후에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를 시행하였다. Adenovirus­UCP를 C2C12 골격근 세포에 transfection시켜 UCP3를 C2C12 골격근 세포에 transfection시켜 UPS3­C2C12를 만들고 C2C12 골격근 세포와 UPS3­C2C12 골격근 세포에서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을 측정하였다. 결과:UCP3 과발현 OLETF에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였다. C2C12세포에서 기저상태 포도당 수송은 1.28±0.17μmol/L/min였고 100nM 인슐린으로 2시간 처리한 후 2.67±0.20 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 세포에서는 기저상태 포도당 수송이 3.98±0.13μmol/L/min로 증가되었고 인슐린 처리 후 5.74±0.44μmol/L/min로 증가하였다. 인슐린을 처리한 UCP3­C2C12 세포에 P13K 억제제인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포도당 수송활성이 3.81±0.20μmol/L/min로 감소하였다. 기저상태 당원합성은 C2C12 세포에서 0.25±0.01μmol/L/min였고 인슐린 처리 후 0.45±0.01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 세포에서는 기저상태 당원합성이 0.62±0.01μmol/L/min였고 인슐린 처리 후 1.26±454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세포에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당원합성율이 0.80±0.04μmol/L/min로 감소하였다. 결론:UCP3 과발현이 OLETF 백서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켰고 골격근세포에서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을 증가시켰다.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이 감소함으로 보아 이 과정이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인 P13K에 일부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UC P3 is a mitochondrial membrane protein expressed selectively in the skeletal muscle and brown adipose tissue. Since the skeletal muscle is the main organ determining insulin sensitivity in the body, it was hypothesized that UCP3 over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cells would improve glucose metabolism. Methods : An adenovirus-UCP3 was produced by a recombinant DNA method. OLETF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Four rats were injected with the adenovirus-UCP3 (UCP3 group) and others were injected with the adenovirus(control group) in the skeletal muscle. The UCP3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ame quantity of food as that consumed by the control group on the previous day. Insulin sensitivity was evaluated by the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method. In a separate experiment,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 evaluated in C2C212 cells transfected with ether an adenovirus or the adenovirus-UCP3. Results : The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body weight decreased in the UCP3 group. The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re higher in the UCP3-C2C12 skeletal muscle cells at the basal state. After insulin treatment,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re also higher in the UCP3-C2C12 cells but the increments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wortmannin, a PI3K inhibitor. Conclusion : Insulin sensitivity was higher in the UCP3-overexpressed OLETF rats in the in vivo study. UCP3 transfection also increased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in the cultured skeletal muscle cells by a PI3K dependent mechanism(J Kor Diabetes Asso 25 :460~468, 2001).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개선방안

        정혜인 ( Jeong Hye-in ),서효정 ( Seo Hyo-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를 담당한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상의 경험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총 8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과 전사의 과정을 거쳐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으로 인해 학생의 참여, 학생의 역량, 학교 구성원 간의 소통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의 장점과 더불어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학생 지도의 부담, 교사의 인식 및 전문성 부족의 아쉬움, 학교·환경·제도적인 측면에서 기본적인 자유학기제 운영 틀 부족 등의 자유학기제 운영 시 느끼는 어려움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다 성공적인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해서 학교와 교사 측면의 자유학기제 운영 제고 방안 마련 및 교육부·교육청·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유학기제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시사점을 자유학기제 운영 시 수업개선을 위한 논의 및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논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pecia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enhancement plans when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eight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free semesters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ll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rough the recording and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e capacity of students, and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were improv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such as teachers’ burden when teaching students with diverse needs, the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ism, and the lack of the fundamental framework with regard to schools, environment, and systems. Lastly, in order to operate the free semester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improvement plans for the schools and teachers an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made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presented in two aspects: a discussion for class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a discussion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 KCI등재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오인혜 ( In Hye Oh ),정은희 ( Eun Hee 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각장애 가족 유형에 따른 자녀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 3명, 청각장애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 1명, 건청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 3명으로 총 7명의 자녀를 대상으로 질문지와 심층면접을 통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릴적 주양육자는 자녀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청 자녀의 경우 음성언어 습득을 위하여 친인척들에 의해 양육 되었으며, 이들은 부모의 청각장애와 관련하여 따돌림 등 부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가족과의 의사소통 시, 의사소통 방법은 주로 부모에 의해 결정되었다.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와 청각장애 자녀는 수화를, 건청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는 구화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법의 차이는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작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생활에 대한 경험으로, 건청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가 일반학급에 진학한 경우 특수교육적 지원이 없어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학령기 이후의 진로에 대해서는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는 대부분 자신의 부모와 관련된 직업을 선호하고 있었고, 청각장애 자녀의 경우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도전하고 싶어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 가족의 자녀 양육과 교육, 가족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children by hearing impaired family types and find ways to support their need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7 adolescent children; three of them are hearing children living with deaf-deaf parents(DD-H), one deaf child living with deaf-deaf parents (DD-D), and the other three deaf children living with hearing-hearing parents(HH-D). The researcher conducted half-structured tests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ve hearing impairment. In the case of hearing children, they were raised by their relatives apart from their deaf-deaf parents for their spoken language acquisition. They had been teased or shunned by their friends because they used sign language. Second,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y, the way of communication was decided by their parents. DD-H and DD-D used sign language, HH-D oral method. The differences of the way of communication could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 when it comes to the experiences in school, HH-D who went to an ordinary school had difficulties in studying without any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When exploring careers and choose a career path in adolescence, DD-H had preference for a job related to his/her parents. In contrast, hearing impaired children preferred challenging w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 hearing children and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a difference in the ways they use their out-of-school time. DD-H studies at private institutes after school, whereas hearing impaired children stay at home or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religion activities.

      • SCOPUSKCI등재

        급냉응고법에 의한 In-Situ 복합재료로서의 Al-10wt%Ti-4wt%Fe 합금 (II)

        김혜성,정재필,권숙인,금동화,Kim, Hye-Seong,Jeong, Jae-Pil,Gwon, Suk-In,Geum, Dong-Hwa 한국재료학회 1998 한국재료학회지 Vol.8 No.12

        본 연구에서는 Al-10wt%Ti-4wt%Fe 복합재료를 in-situ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 및 2 원계 Al-10wt%Ti 복합재료의 낮은 기계적 성질(탄성계수, 상온 고온강도, 내마모특성 등)을 PM SiC/2124 복합재료 수준 흑은 그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Al-10wt%Ti-4wt%Fe 합금은 불연속 SiC 강화상으로 보강된 Al-기지 복합재료($SiC{w}$/2124)와 유사한 미세구조를 보여주었으며,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 내마모성질 등의 기계적 특성이 2원계 Al-10%Ti 합금각 비교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위의 결과는 초정 $Al_3Ti$상 외에도 Fe 원소의 첨가를 통한 추가적인 $Al_{x}Fe$의 분산강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ossibilities of producing Al-10%Ti-4%Fe composites through in-situ processing and thus achieving mechanical property improvements over binary Al-10%Ti to a level or higher exhibited by PM SiC/A12124 composit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of in-situ processed Al-10%Ti-4%Fe composites was similar to that of Al matrix composites reinforced with discontinuous SiC particulates(SiC/A12124) and significant enhancements in elastic modulus, tensil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were observed as compared to Al-10%Ti alloy.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in-situ formed Al. Fe by third element addition, leading to additional dispersion strengthening effect over $Al_3Ti$ phase reinforcement in Al-Ti system.

      • KCI등재

        치위생학과 학생에게 바라는 역량에 대한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기관 실무자의 의견: 심층면접

        김소망 ( So Mang Kim ),김지엽 ( Ji Yeop Kim ),박은비 ( Eun Bi Park ),최정음 ( Jeong Eum Choi ),최혜인 ( Hye In Choi ),박고은 ( Go Eun Park ),김남희 ( Nam Hee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4 치위생과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기관 현장실무자 12명을 대상으로 실습학생에게 바라는 역량과 실습체계에 대해 심층 면접한 결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현장실무자들이 치위생학을 전공하는 학생에게 바라는 역량을 종합해보면, 현장실무 수행과정에서 ‘의욕적 태도와 활발함., ‘우수한 발표능력과 결과물. 그리고 ‘창의력과 리더십., ‘영어 등의 외국어 능력.을 발휘할 때 좋은 역량을 갖춘 학생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현장실무에 대한 준비.와 ‘직업에 대한 헌신과 소명.이 부족해 보일 경우는 그 학생의 역량을 낮게 평가하게 된다는 의견으로 수렴되었다. 더 나은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체계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와 현장이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프로젝트., ‘현장실무를 위한 기관 간의 원활한 행정교류.와 ‘학생들이 수행하길 원하는 구체적인 활동사항 리스트.를 구축하고, ‘실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과정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이 연구를 통해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 현장실무자들이 학생들의 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기대하는 바도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밖 현장교육을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은 학생에게는 진로모색을 구체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현장실무자에게는 학생의 역량을 미리 엿보는 계기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이 현장실무자에게 향후 치과위생사 인력선발 과정에 긍정적이고 수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ake the field manager`s opinion about the dental hygiene student`s competency. Study design was cross sectional contents analysis with the in-depth interviews. Twelv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in half an hour interview. They were signed there`s own autograph on the informed consents. The content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student`s competency required for the field practice and the system of the field practice. The first part consisted of the attitude of the field`s practice, how well has accomplished the job, and demanded requirements for the better performance. And the other part was made up of duration of practi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institution and other opin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have positive conception about student`s competency. They mentioned that many students have ``enthusiastic behavior and attitude in task performance`` and ``progressive attitude and mind in duty``. While ``lack of interest in practice and sociality``, ``the arrogant demeanor in the fields``, and ``passive behavior and attitud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avoided for excellent competency. It is required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write daily practice record and clarify their reasons to choose the institution for better performance.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concrete evaluation items and students and field managers should have mutual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