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2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윤리의식과 행복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96명이며, 연구도구는 양경혜(2012)의 교직윤리의식 척도와 김하니(2012)의 보육교사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평균차이 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윤리의식은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경력이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한편 기혼인 교사가 미혼인 교사보다 행복감이 더 높았으며 20대 보육교사보다 30대 이상의 보육교사가 더 높은 행복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 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윤리의식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윤리의식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윤리의식과 행복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윤리의식과 행복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96명이며, 연구도구는 양경혜(2012)의 교직윤리의식 척도와 김하니(2012)의 보육교사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평균차이 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윤리의식은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경력이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한편 기혼인 교사가 미혼인 교사보다 행복감이 더 높았으며 20대 보육교사보다 30대 이상의 보육교사가 더 높은 행복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 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윤리의식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윤리의식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his or her happiness.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reconsider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enhance their happiness based on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296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hild-car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following two instruments: The Teaching Ethics Scale issued by the Korean Edu-care Association(2010) and later modified by Yang Gyung Hye(2011), and The Scale of the Child-care Teacher"s Happiness(Kim, 2012).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between each variables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showed no differences in demographic data, and the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his study established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It implies that higher ethics among child-care teachers increases their happines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revise education programs and justify a plan to create a systematic in-service program with the goal of increasing infants’ and children"s happiness in proportion with the child-care teachers’ higher happiness supported by an in-service program within the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his or her happiness.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reconsider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enhance their happiness based on this research.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his or her happiness.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reconsider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enhance their happiness based on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296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hild-car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following two instruments: The Teaching Ethics Scale issued by the Korean Edu-care Association(2010) and later modified by Yang Gyung Hye(2011), and The Scale of the Child-care Teacher"s Happiness(Kim, 2012).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between each variables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showed no differences in demographic data, and the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his study established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ethics and their happiness. It implies that higher ethics among child-care teachers increases their happines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revise education programs and justify a plan to create a systematic in-service program with the goal of increasing infants’ and children"s happiness in proportion with the child-care teachers’ higher happiness supported by an in-service program within the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표준 직업분류"

      2 하병철, "한국인의 직업윤리" 사회문화연구소 1995

      3 이훈구,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6 (6): 45-60, 1997

      4 허한올, "학생의 성격유형 및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행복감과의 관계" 경상대학교 2009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6 박수진,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계발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95-415, 2012

      8 김혜리,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9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0 조경옥,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1 배문주,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조경옥,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김화선,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4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43-276, 2009

      15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73-394, 2012

      16 고경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69-94, 2014

      17 이선미, "유아교사문화가 교사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박은주,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73-195, 2010

      19 김은옥, "유아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백은영,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서 살펴본 보육공공성" 9 (9): 195-215, 2012

      21 이미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이성아,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통계청, "어린이집 보육교직원현황"

      24 최진원, "아동의 심리적 복지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5 송지혜,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26 이현주,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정서노동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김현주,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정서노동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8 이종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행복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9 이채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49-70, 2009

      30 김하니,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1 양경혜,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역할수행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김지민,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22 (22): 47-62, 2009

      33 조필수, "보육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 :서울시 양천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34 목혜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직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5 김인자, "긍정심리학" 물푸레 2014

      36 권석만,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37 유경애, "교직윤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윤리교육학회 31 (31): 283-303, 2013

      38 홍은숙, "교직관에 따른 전문직 교원윤리의 성격 재음미"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187-212, 2011

      39 이돈희, "교육개혁과 교사" 19 (19): 1981

      40 변주현, "교원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1 최영옥,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42 Katz, L. G., "Professionalis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Teachers College Press 79-81, 1988

      43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44 NAEYC., "Code of Ethical Conduct" 45 (45): 25-29, 1989

      45 Robert, J. S., "Building an ethical school" Falmer Pres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