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병원에서 정주용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 평가

        김신우,박효정,오원섭,김연숙,장현하,정숙인,정두련,이혁,염준섭,기현균,손준성,백경란,우건조,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 병원에서의 정주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3년 9월 25일부터 8개의 대학병원에서 정주 ciprofloxacin을 받았던 290명의 연속적으로 모집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약제사용 평가(DUE)를 전향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DUE 기준은 미국병원약사회의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맡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1) 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항목, 2) 사용 시 준수되거나 시행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항목, 3) 부작용에 대한 항목, 4) 치료 효과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나이는 54세였다. 33예(26.9%)에서만 약제 사용의 적정성 측면에서 기준을 만족하였고 91예(73.1%)에서는 사용이 적절하지 않았다.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의 흔한 원인은 수술 전후의 예방약 사용, 비뇨기계 처치 전의 예방적 사용, 열성 질환에 대한 경험적 사용 등의 순이었다. 사용 시 준수사항 의 측면에서는 사용 전 배양검사(73.8%)와 사용 중 배양검사(68.6%)가 낮은 수행 정도를 보였으나 그 외는 비교적 높은 적정성(82.4-100%)을 보여주었다. 정주 ciprofloxacin사용의 합병증은 드물었다. 치료 효과의 면에서 치료반응은 93.3%였다. 결론 : 약제 사용의 정당성 기준에 따른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은 연구에 포함된 대학병원에서 매우 흔하였다(73.1%). 그러므로 적절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교육과 제도적 장치가 매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intravenous (IV) ciprofloxacin usage i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drug usage in 29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ho received IV ciprofloxacin in eight teaching hospital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5, 2003 to November 15, 2003. Drug use evaluation (DU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odified standard by the Americ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y with regard to the justification of drug use, critical and process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outcome measures. Results :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4 years. The use of IV ciprofloxacin was appropriate only in 33 cases (26.9%). Common reasons for inappropriate use of IV ciprofloxacin include perioperative uses or prophylactic injection before urologic procedures, and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episodes. Most of the "critical indications" and "process indications" showed high rate of appropriateness (82.4-100%). However, the rate of taking culture and sensitivity test before (73.8%) and during ciprofloxacin use (68.6%) were low. Complications with ciprofloxacin use were rare. In 93.3% of cases, ciprofloxacin treatment was clinically effective. Conclusion : Use of intravenous ciprofloxacin is frequently inappropriate in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antibiotic control system is critical in improving the appropriateness of antimicrobial use.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인산염계 내화물의 기계적 물성 및 내부식성에 대한 핵형성제 첨가효과

        이덕용,이재춘,최광훈,김병균,신경숙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5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4 No.-

        The effect of nucleants was studied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corrosion resistance of phosphate refractories used for high temperature inorganic binder It was found that a mixture of TiO₂ and ZrO₂ nucleants yielded not only the best corresion resistant but the highest strength phosphate refractory. However, the effects of nucleants on the mechanical property of the refractories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is study because each sample showed different porosity which was also presumed to affect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refractory.

      • 다제 내성 폐렴 구균에 대한 CFC-222 의 시험관내 항균력 및 살균 속도

        이혁,김종성,진정화,양지원,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목적 : 새로이 개발된 quinolone 제제인 CFC-222와 함께 기존의 항균제들의 MIC를 비교하여 CFC-222가 항균제 내성 폐렴 구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인지를 검증하고 아울러 in vitro time kill assay를 시행하여 CFC-222의 살균 속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내 및 아시아 지역 국가에서 분리 확인된 폐렴 구균 균주 200주를 대상으로 하여 cefotaxime, CFC-222, 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ciprofloxacin, 그리고 meropenem에 대한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MIC를 결정하였다. In vitro time kill assay는 총 8균주(2 penicillin-susceptible, 2 intermediate, 4 resistant)를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대상이 되는 항균제는 CFC-222, sparfloxacin, penicillin G로 하였다. 결과 : 폐렴 구균 균주 200주에 대한 한천 희석법을 이용한 MIC 결과는 페니실린 MIC가 증가함에 따라 cefotaxime과 meropenem의 MIC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Quinolone제제 중에서는, CFC-222와 sparfloxacin의 MIC_(90)이 페니실린 내성과 관계없이 0.5㎍/mL 이하로 가장 낮았다. time kill assay 결과 CFC-222는 MIC의 4배 농도에서 페니실린 고도내성 4균주 전체에 대해 8시간째 살균 효과를 보였다. 반면 sparfloxacin과 penicillin은 MIC의 4배 농도에서 12시간째 살균효과를 보였다. 결론 : CFC-222와 sparfloxacin이 가장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 효과를 보였다. In vitro time kill assay 결과 CFC-222가 sparfloxacin에 비해 페니실린 고도 내성 균주에 대해 더 빠른 살균속도를 보였다. Background : CFC-222 is a new fluoroquinolone which possesses a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being especially potent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s well as gram negative bacteria. To evaluate the in vitro activity and the bactericidal killing rate of CFC-222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agar dilution test and lime-kill study was performed. Method : 200 clinical isolates were tested by agar dilution method to determine MICs of penicillin, cefotaxime, meropenern,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m, sparfloxacin, and CFC-222. Time-kill studies were performed with 8 pneumococcal isolates (2 peni-cillin-susceptible, 2 intermediate, and 4 resistant) to compare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penicillin, sparfloxacin, and CFC-222. Results : MICs of cefotaxime and meropenem showed increasing tendency as penicillin MIC is increased. Of the quinolones tested, CFC-222 and sparfloxacin had the lowest MIC (MIC90 = 0.5 ㎎/mL), regardless of the penicillin-susceptibility of the strains. CFC-222 yielded 99.9 % killing of all penicillin-resistant strains after 8 h at 4 MIC, while penicillin and sparfloxacin were bactericidal after 12 h at 4 MIC. Conclusion : By MIC and time-kill combined, CFC-222 and sparfloxacin were the most potent agents according to the MICs, whereas CFC-222 was more rapidly bactericidal than sparfloxacin against penicillin-resistant isolates.

      • 조직학적 진단된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2예

        김연숙,정숙인,기현균,김춘관,김신우,한정호,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CNPA는 기존의 폐질환 및 폐절제술로 인해 국소방어기전에 저하가 있거나 비특이적 전신면역상태저하를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공동성 폐질환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CNPA의 보고가 없는 상태이고, 저자들은 최근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CNPA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저자들이 경험한 CNPA 환자들은 만성알코올 중독 및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기저질환과 폐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었다. Aspergillus가 폐실질을 침윤하고 있는 조직소견과 조직배양에서 Aspergillus가 검출되어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amphotericin B의 정주요법 및 경구 itraconazole 투여와 폐절제술 등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아직 많은 임상의들에게는 낯선 질환인 CNPA의 치료성적은 환자의 동반질환 및 CNPA 자체의 중증도, 진단과 치료 시작의 지연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공동성 폐병변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서 CNPA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CNPA) is a chronic cavitary form of pulmonary aspergillosis. Dozens of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ystemic immunologic dysfunction or altered local defense mechanism from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 Review of literatures revealed that no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NPA proven by lung biopsy. A 53-year-old alcoholic male in poor nutritional state was admitted with generalized weakness and weight loss. Chest CT revealed a cavitary nodule surrounded with ground-glass attenuation. CT-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was done. The biopsy specimen demonstrated dichotomously branching septated hyphae consistent with those of Aspergillus sp. Another case was a 39-year-old man with bronchiectasis who was admitted with persistent hemoptysis. He had a past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A parahilar lesion with intracavitary soft tissue mass was incidentally detected in high-resolution GT. Left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due to uncontrolled hemoptysis and CNPA was histologically diagnosed. Both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venous amphotericin B followed by oral itraconazole. Even though CNPA is unfamiliar to most clinicians, it should be included in differential diagnoses of chronic progressive cavitary pulmonary les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immunologic dysfunction.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방선균증의 임상상

        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김신우,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3

        배경 : 방선균증은 혐기성의 그람양성 간균에 의한 만성 화농성 감염으로, 경안면부, 흉부, 복부, 골반부 등을 주로 침범한다. 최근 구강 위생의 향상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선균증의 빈도의 감소와 함께 그 임상양상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의 방선균증의 임상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선균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토대로 감염병소와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방선균증 환자는 모두 12명으로 경안면부 1례, 흉부 3례, 복부 3례, 골반부 5례였다. 임상양상은 주로 종괴의 형태로 나타나 진단을 내리기까지 종양과의 감별에 어려웠으며 진단은 모두 조직검사나 흡인액에서 유황과립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모두 호전소견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도 방선균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임상양상이 다양하여 가장 많이 오진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방선균증은 조직검사나 균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를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 진단에 관심을 가지면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ctinomycosis is an indolent, slowly progressive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Actinomyces. a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anaerobic or microaerophilic rod. Actinomycosis affects nearly every organ and body site. The disease is classically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anatomic sites involved: cervicofacial, thoracic, abdominal, and pelvic. It has been considered as a rare disease, and only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s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nomycosis in Korea.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tinomycosis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ctinomycosis was diagnosed in 12 patients: 1 patient had cervicofacial lesion, 3 thoracic, 3 abdominal, and 5 pelvic.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 : 2 and the mean age was 47.2 years. Sulfur granule was observed in the pathologic specimens from all cases, but organism did not grow at all. It wa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actinomycosis from tumorous conditions without pathologic diagnosis. All patients were clinically improved with antibiotics or surgical procedures. Conclusion: Actinomycosis is not a rare disease nowadays and ha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t can be diagnos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r culture and cured by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management.

      •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Lariam^�)내약성에 관한 연구

        기현균,김연숙,정숙인,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Mefliquine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말라리아의 화학적 예방약이지만 경련, 정신병 증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인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의 내약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여행의학 클리닉에 내원한 총 180명의 열대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여행 1주전부터 귀국 후 4주까지 mefloquine을 주 1회 복용하였다. 이들에게 여행자 수첩을 배부하고 약제 복용 후 발생한 증상을 기록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여행자들에 대한 전향적 관찰 및 병록지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귀국 후 3개월째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mefloquine복용 당시의 부작용과 동반증상 여부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성적 : 총 180명의 여행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중 166명에 대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166/180, 92.2%). 연구대상 중 남자가 104명(104/166, 62.7%), 여자가 62명이었고(62/166, 37.3%) 평균연령은 36.4세였다(36.4±15.2). Mefloquine은 평균 6주간 투여하였다. 평가에 포함된 여행자 166명 중 4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으며(2.4%) 부작용 발현건수는 6건이었다(3.6%). 나타난 부작용은 현기증이 2건(1.2%), 비정상적인 꿈, 수면장애, 기분저하, 발열이 각각 1건씩 발생하였다. 이중 증상과 약제와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는 1명에서만 나타났으며(0.6%)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명의 여행자는 모두 mefloquine을 처음 복용할 당시에 일시적인 증상이 있었으나 부작용과의 인과관계는 확실하지 않았고 증상은 곧 소실되었다. 연구대상 환자 중 말라리아가 발병한 증례는 없어 100%의 예방효과를 보였다. 결론 : 총 166명의 연구대상 중에서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불량한 경우는 1예 였으며(0.6%), 심각한 신경학적, 정신과적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여행객들의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efloquine is the most commonly used chemoprophylactic agent against malaria. Many kinds of adverse reactions of mefloquine including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may be different among the races. Since data on Korean people are not availabl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in Korean travelers prospectively. Methods : We gave a notebook to each visitor to Travel Medicine Clinic of the Samsung Medical Center, who had a plan to take a trip to the endemic area of malaria by Plasmodium falciparum. The study duration was from June 1997 to April 1999. They took mefloquine weekly from I week before the trip to 4 weeks after the trip. They wrote any adverse reactions on the notebooks by themselves. We surveyed the travelers by clinical observation,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 at 3 months after the trip. Results : One hundred eighty travel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166 of them were evaluable (166/180. 92.2%). One hundren four travelers were male (104/166, 62.7%). The mean age of travelers were 36.4 years (36.4±15.2 years). The median duration of chemoprophylaxis were 6 weeks. Four of the enrolled travelers had adverse reactions (4/166, 2.4%) and six episodes of adverse reactions were occurred (6/166, 3.6%) : dizziness (2 cases), bizzare dream (1 case), sleep disturbance (1 case), mood change (1 case), and febrile sense (1 case). Only one traveler with persistent dizziness stopped mefloquine, and then dizziness was relieved. The other symptoms were transient, which were relieved despite continuation of mefloquine. No case of malaria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 Only one episode of adverse reaction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mefloquine (0.6%). No case of severe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was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mefloquine tolerance in Korean travelers is excellent.

      • KCI등재후보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 사용 실태 및 Klebsiella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 관계

        정숙인,박경화,권기태,고관수,오원섭,정두련,백경란,염준섭,장현하,김신우,손준성,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Background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cribing pattern of β-lactam antibio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us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ata on annual patient-days and annual consumption (defined daily dose (DDD) per 100 patient-days) of β-lactam antibiotics from 2003 to 2005 in 5 tertiary hospit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 pneumoniae, broth microdilution test and double disk synergy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SI performance standa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consumption and resistance. Results : The prescri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in 5 tertiary hospitals markedly varied. In two hospitals, increase in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was more than 30% during recent 3 years. The higher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igher rate of antibiotic-resistant K. pneumonia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Conclusion : Continuous surveillance of antibiotic use is needed to encourage appropriate prescribing of antibiotics and to reduce antibiotic resistance. 목적 :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발현 및 급속한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병원은 항생제 내성의 중심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을 조사하고, 각 병원별 항생제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국내 5개 3차 병원에서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연도별 재원연인원수와 각 β-lactam계 항생제의 총사용량을 수집하여 DDD (defined daily dose) per 100 patient-days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2005년 6월부터 8월까지 각 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수집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고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여부는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였다.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5개 병원 중 3개 병원에서는 연도별 β-lactam계 항생제 사용량이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나, 2개 병원에서는 2003년에 비해 2005년에 항생제 사용량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 중 제제별 비율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3세대 cephaosporin의 사용이 가장 많았고 2세대 ceaphlosporin,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 1세대 cephalosporin 순이었다. 경구용 β-1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r=0.900, P<0.037)과 2세대 cephalosporin의 사용량(r=0.900, P<0.037)은 각각 K. pneumoniae의 ESBL 생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Ceftazidime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ceftazidime 내성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반면 imipenem의 사용량은 piperacillin/tazobactam 내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결론 : 최근 3개년간 항생제 사용량은 병원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부 병원에서는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생제 사용을 줄임으로써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병원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