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지하수 질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장기(1993-2015) 모니터링 자료의 평가

        김호림(Ho-Rim Kim),오준섭(Junseop Oh),도현권(Hyun-Kwon Do),이경진(Kyung-Jin Lee),현익현(Ik-Hyun Hyun),오상실(Sang-Sil Oh),감상규(Sang-Kyu Kam),윤성택(Seong-Taek 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1

        1993년부터 2015년까지 관측된 제주도 지하수 장기모니터링 관측정(N = 4,835)에서 수집된 지하수 수질자료(N = 21,568)를 기반으로 질산성질소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의 중앙값은 2.5 mg/L로서 다른 국가나 대륙의 조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용도, 행정구역 및 고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산간 지역에 비해 저지대 해안가에 위치한 농업 및 주거지역에서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Mann-Kendall 및 Sen’s slope 분석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농도의 추세 분석 결과, 하류 저지 대에 비해 중산간지역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제주도 내 토지 피복의 시계열 변화 특성과 결부 지어 보면, 중산간지역의 오염 증가 추세는 농업지역의 확장 등 인위적 활동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기지정된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지하수 관리 측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관리를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한다.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y an analysis of time series groundwater quality data (N = 21,568) that were collected from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umber of wells = 4,835) for up to 20 years between 1993 and 2015. The median concentration of NO 3 -N is 2.5 mg/L,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from regional surveys in other countries.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wells tend to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different water usage (of the well),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ic elevations: nitrate level is higher in low-lying agricultural and residential areas than those in high mountainous areas. The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analysis show that nitrate concentration in mid-mountainous areas tends to increase, possibly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areas toward highland. On the other h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pecially Designated Ground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show the temporally decreasing trend, which implies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management actions in Jeju. Proper measures for sustainable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SCIEKCI등재

        Phosphodiesterase inhibitor improves renal tubulointerstitial Hypoxia of the Diabetic rat Kidney

        ( Hui Kyoung Sun ),( Yun Mi Lee ),( Kum Hyun Han ),( Han Seong Kim ),( Seon Ho Ahn ),( Sang Youb Han ) 대한내과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27 No.2

        Background/Aims: Renal hypoxia i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nephropathy. Pentoxifyllin (PTX), a nonselective phosphodiesterase inhibitor, is used to attenuate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To determine whether PTX can improve renal hypoxia, we investigated its effect in the streptozocin (STZ)-induced diabetic kidney. Methods: PTX (40 mg/kg, PO) was administered to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8 weeks. To determine tissue hypoxia, we examined hypoxic inducible factor-1α (HIF-1α), heme oxygenase-1 (HO-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glucose transporter-1 (GLUT-1) level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PTX on HIF-1α in renal tubule cells. Results: PTX reduced the increased protein creatinine ratio in diabetic rats at 8 weeks. HIF-1α, VEGF, and GLUT-1 mRNA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expression of HO-1 also tended to increase in diabetic rats. PTX significantly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HIF-1α and VEGF at 4 and 8 weeks, and decreased HO-1 and GLUT-1 at 4 weeks. The expression of HIF-1α prote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4 and 8 weeks in tubules in the diabetic rat kidney. PTX tended to decrease HIF-1α protein expression at 8 weeks. To examine whether PTX had a direct effect on renal tubules, normal rat kidney cells were stimulated with CoCl2 (100 μM), which enhanced HIF-1α mRNA and protein levels under low glucose conditions (5.5 mM). Their expressions were similar even after high glucose (30 mM) treatment. PTX had no effect on HIF-1α expression. Conclusions: PTX attenuates tubular hypoxia in the diabetic kidney.

      • 머리염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윤형식,황성호,이현륭,김수호,박연석,권낙현,정호진,김동훈,노현주,홍성호,박병찬,이관,정해관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일상생활에서 모발염색은 흔히 접할 수 있는 미용의 한 종류로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염색을 위항 사용하는 약제는 표백제와 발색제 등 각종 화학약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로 인한 건강장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저자들은 염색이 인체의 모발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색과 관련된 주관적 증상과 모발의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 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염색 유 ·무 및 염색 후에 경험한 증상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고,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피부 반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염색 전후의 모발 탄성도를 측정하였고 모발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 현미경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염색 전에 비하여 염색 후 안구혼탁, 안구건조, 시력저하, 발진 및 접촉성 피부염, 모발손상, 모근손상 등의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한다고 호소하였다(p<0.05). 모발손상과 모근손상은 헤어드라이어 사용 빈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피부반응검사에서 가려움증이 가장 많은 증상이었으며 이는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염색 전후의 모발장력은 염색 전 134.5±10.37g, 염색 128.0±30.69g, 염색 이틀 후 112.5±19.69g으로 나타났다. 염색 전후의 모발의 전자현미경 케라틴 층이 현저히 감소하고 모발이 가늘어지는 차이를 보였다. 염색은 모발손상, 모발 케라틴 손상 및 모근 손상, 발진 및 접촉성 피부반응, 안구혼탁, 안구건조, 시력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염색약으로 인한 손상에 대한 주의와 예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방대책으로 염색 전 피부테스트를 통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급적 염색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염색약에 발암물질이 포함되어있다는 보고도 있어 염색 제조사의 철저한 실험과 염색 물질의 선별이 염색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Hair coloring has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cosmetic activities to younger generations during last decad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health effect of widespread use of chemical dy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hair coloring dye on hair and other system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80 persons in Ky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We have done open patch skin test on 46 medical students. We also conduct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examine the hair strength and structure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process. Injury of hair and hair bulb, contact dermatitis, turbid eyes, xerophthalmia, and poor visual acuity were the main symptoms complained after hair coloring (p<0.05). Injury of hair and hair bulb were increased by frequency of hair-dryer use(p<0.05). In open patch test, pruritus was complanined by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Mean strength of hairs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was as follows; 134.5 (SD 10.37)g before hair coloring, 128.0 (SD 30.69)g immediately after hair coloring, and 112.5 (SD 19.69)g after two day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hair surface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showed decreased keratin layer and thinning of the hair. Hair coloring induces injury to hair, its keratin layer, and hair bulb as well as contact dermatitis, turbid eyes, xerophthalmia, and poor visual acuity. Therefore, we think that precaution is needed in use of hair coloring dye. To prevent complications induced by hair coloring dye, it is necessary, especially to those with allergy or skin disorders, to perform skin test before action and avoid hair coloring whenever possible. Longterm health effects of hairdye should be studied and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try to minimize complications induced by hair coloring dye.

      • 기포탑반응기에서 연속공정을 이용한 BaTiO_(3)분말의 제조

        현성호,김정환,허윤행 대한위생학회 1996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11 No.1

        The synthesis of high purity and ultra-fine BaTiO_(3) by precipitation with gaseous NH_(3) as precipitator was investigated to find an alternative process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recent wet methods. A synthesis process for BaTiO_(3) powder using NH_(3) gas as a precipitator in a bubble column reactor was experimentally successful in develop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piezoelectric ceramic BaTiO_(3) powder. And a 2.33ml/sec is approprite for the feed flow rate, BaTiO_(3) powder produced under above the condition is spherical type, its particle size was about 0.2㎛.

      • 가족여행 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부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윤현주,양광호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가족을 소비단위의 하나로 생각할 때, 가족 내에서 소비의 주체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과 가정을 의사 결정자로 생각할 때 주요 결정권자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은 서비스 마케터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여행에 있어서 가족구조의 형태에 따라 부부의 영향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인구통계학적변수와 관광 행동분석에 따른 가족여행시장은 20∼30대의 고졸 및 대졸자로서 소득이 200∼300만원수준이며 초등학교자녀가 있는 가정이 가족여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형태의 가족에서는 여행 의사결정항목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난 가족구성원은 대체로 부부공동결정의 역할구조를 나타냈다. 가족여행시 의사결정을 할 때 가족구조에 따라서 부부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구조에 따른 여행제안자의 차이는 가족구조 1, 2는 부부 공동결정이 두드러졌다. 이는 가족을 상대로 여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젊은 가족에게는 남편과 부인 모두에게 거의 같은 비중은 두어야 할 것이다. 정보수집에 있어서 부부의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부부가 공동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여행시기결정에서는 부인의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부인이 취업을 하지 않은 가정에서는 부부공동결정 중에서도 남편 결정이, 부인이 취업한 가정에서는 부부공동결정에서도 부인에 의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취업한 부인을 상대로 한 여행상품을 제공할 수 마케팅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통수단결정에서는 가장의 교육수준에 따라서 의사결정에 차이가 있었다. 즉, 가장의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인 경우는 교통수단결정에 있어서 남편이 결정을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졸이상인 경우는 교통수단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부부가 공동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여행행위는 단편적인 아닌 연속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과정을 보면, 최초 단계는 여행욕구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그 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정보를 탐색하게 된다. 세 번째 단계에 이르면 세부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부부를 중심으로 한 공동결정 비율이 높다. 그리고 네 번째 단계에서는 실질적인 관광행동에 참여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여행경험에 대한 평가를 내리게 된다. 여행상품구매 행위는 일반적으로 고관여상품의 구매와 같이 의사결정 과정이 복잡하고 개입되는 중요변수가 많다. 그러한 결과로 본 논문에서는 가족의사결정과정과 부부의 영향력 관한 여행의사결정을 연구·검토하여 관광의 세분시장에 대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과 관광시설 및 서비스 공급에 유용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가족여행에 대한 관광마케팅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관광시장세분화와 목표시장 선정을 중심으로 관광마케팅을 수립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시장세분화는 하나의 시장을 구매자의 특성에 따라 몇 개의 집단으로 분리하는 것으로서, 구분된 집단에 대한 적합한 마케팅믹스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핵심을 하며, 목표시장선정이란 소비자이나 산업시장 등에서 주요한 핵심지역을 시장세분화에 의해서 선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여행행동분석 등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두 변수에 의한 시장세분화로서 가족여행자에 대한 관광마케팅전략을 시사하고자 한다. 이렇게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여행행동분석변수에 의사결정자의 특성에 맞추어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진 뒤 목표시장의 설정은 가족여행이라는 상품에 가장 밀접하고 가까운 시장을 선택해야 하며 또 가장 효율성이 높은 시장을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가족여행의 의사결정이 대부분 부부공동하의 의사결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이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관광마케팅전략이 요구된다.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철근 콘크리트 전단벽과 강재 보 전단접합부의 내진거동

        이원호,윤현도,강대언,송한범,태경훈,박완신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구조계)

        Ductile coupled flexural wall is the primary seismic load resisting system of buildings. In these systems, connections are generally headed stud bolt connection. The purpose of experimental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behavior of these connection under cyclic loading. A comprehensive experimental test involving 4 specimens has been performed and this program i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value of moment and edge distance. Through experimental test, the seismic behavior of typical headed stud bolt connections was established.

      • 器內培養에 의한 Denphalae의 大量增殖

        강호종,박상현,채윤석 진주산업대학교 1992 論文集 Vol.31 No.-

        Denphalae(Dendrobium phalaenopsis)의 대량증식에 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재료의 소독은 sodium Hypochlorite에 먼저 씻은 후 Ethylalcohol 70%에 l0초, Ca(CIO)_2 5%에 5분, 껍질 제거후 1% Ca(ClO)_2에 10분, 그후 미세조정후 치상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2. MS기본배지에 Sucrose 3%, NAA O.5, BA O.5ppm, 사과즙액 10%, 감자즙액 10%, 참가한 pH 5.4의 액체진탕에서 가장 증식이 양호하였고 진탕속도는 30~40rpm/min이 좋았다. 3. 배양환경의 적용범위는 대체로 넓었으며 온도는 24~28℃, 일장은 8~l6시간, 조도는 1,000∼3,000Lux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온도는 26℃土1℃, 일장은 l6시간, 조도는 l,500Lux로 조정하여 배양한 결과는 배우 양호 하였다. Effects of Sterilization on the Shoot-tip and medium, Temperature, Vibration and Photolength on the growth of Denphalae were studied using tissue cultural method 1. It is evident that the treatment of 1% calsium hypoclorne for 10 minutes after taking off the outer covers, 5% Ca(C10)_2 for 5 minuter and 70% ethyl alcohol for l0 seconds on the shoot-tip is an useful technique in sterilizaton. 2. The medium with the addition of 3% sucrose, 0.5ppm NAA, 0.5ppm BA, l0% apple juice, and 10% potato extract in pH 5.4 under the vibration speed of 30 to 40 rpm for 1 minuter showed a good effect on the growth of Denphalae. 3. The optimum range of the growth temperature, day lenth and photoperiod for Denphalae found to be 24 to 28℃, 8 to 16 hours and l,000 lux respectively. The enviromental condition of temperatue, day length and photoperiod for mass production of Denphalae showed 26^± 1℃ 16 hours and 1,500 lux respectivery.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