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atient Satisfaction, Vaginal Bleeding, Sexual Function following Laparoscopic Supracervical Hysterectomy

        진건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4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postoperative patient satisfaction, vaginal bleeding, and sexual functionin women after laparoscopic supracervical hysterectomy (LSH).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a questionnaire mailed to 131 women who underwent LSH between 2008 and 2011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Gynecology, D University Hospital in Chungnam province. Indication for LSH was uterine myoma. The questionnairecontained questions on overall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of vaginal bleeding,and sexual satisfaction following surger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13 and 109 (83.2%) patientsreturned the questionnaire. Results: Most women reported being very satisfied (90.8%) or satisfied (7.3%), but 2women (1.8%) were not satisfied with LSH. Four patients (3.4%) reported experiencing vaginal bleeding but withno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Of sexually active women, 82 patients (90.1%) reported improvements in sexualfunction, 8 patients (8.8%) reported "no change", and one patient (1.1%) reported a deterioration Conclusion: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SH is associated with a high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no negative influenceon quality of life from vaginal bleeding, and improvement in sexual function to a minimum 2 years after the procedure

      • 골반경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진건,고경심,박충학 단국대학교 1998 論文集 Vol.33 No.-

        In endoscopic gynecology, laparoscopy was developed first as a diagnostic tool and later as an efficacious surgical technique. Operative laparoscopy(pelviscopy) makes minimal incision, minimal postoperative adhesion, low morbidity rate, and early recovering brings short hospitalization with acceptable complication rate.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review the spectrum of pelviscop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cope of pelviscopic surgery on gynecologic disease, and to analyze clinical evaluation and to identify advantages or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78 cases of pelviscopic operation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4 to Jun 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patient was 31.2 years, age ranged from 16 to 62 year and the great incidence occurred in 21 to 25 years groups. 2. The mean number of parity was 1.3 and majority of patients were multipara. 3. The most common clinical indication was tubal pregnancy 33 cases(42.3%), followed by ovarian tumor 31 cases(39.7%), myoma uteri 4 cases(5.1%), pelvic adhesions 4 case(5.1%), ovarian bleeding 3 cases(3.8%), CIS of the cervix 2 cases(2.6%), and ectopic IUD 1 case(1.3%). 4. The types of operation in pelviscopic surgery were salpingectomy 29 cases(37.2%), oophorectomy 19 cases(24.4%), adnexectomy 11 cases(14.1%), L.A.V.H. 6 CASES(7.7%), ovarian coagulation 3 cases(3.8%) adhesiolysis 4 cases(5.1%), ectopic IUD removal 1 case(1.3%). 5. Complications of pelviscopic surgery were 5 cases(6.4%) : infection at the puncture site 3 cases, hematoma t puncture site 1 case, arm paresis 1 case. 6.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4.59 days.

      • KCI등재

        부인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관한 연구

        진건,박충학,고경심,윤형근,서흥식,박혜영,오현양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1994년 5월부터 1997년 7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부인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급성 합병증은 총 72명 중 20명(27.7%)(Upper GI toxi city; 1, Lower GI toxicity; 13, GU toxicity; 6)에서 발생했 는데 합병증 발생 빈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방사선 총조사량이 45 Gy 미만인 경우(14.3%) 보다 방사선 총조사량이 45 Gy 이상인 경우(29.2%)에서 합병 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2. 외부 방사선치료만 받은 경우(25.0%) 보다 외부 방 사선치료와 강내 근거리요법을 병행해서 치료 받은 경 우(28.8%)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3. 60세 미만인 경우(25.6%) 보다 60세 이상인 경우 (31.0%)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4. 내과적 병력이 없는 경우(27.4%) 보다 내과적 병력이 있는 경우(30.0%)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Table 8). 만성 합병증은 총 66명 중 18명(27.2%)(Lower GI toxi city; 11, GU toxicity; 7)에서 발생했는데 합병증 발생 빈 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방사선 총 조사량이 45 Gy 미만인 경우(14.2%) 보 다 방사선 총 조사량이 45 Gy 이상인 경우(28.8%)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2. 외부 방사선치료만을 받은 경우(22.2%) 보다 외부 방사선치료와 강내 근거리요법을 병행해서 받은 경우 (29.2%)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3. 60세 미만인 경우(30.8%) 보다 60세 이상인 경우 (22.2%)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낮았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4. 내과적 병력이 없는 경우(25.4%) 보다 내과적 병력 이 있는 경우(42.9%)에서 합병증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Table 9). 이상의 결과로 부인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급성 합병증과 만성 합병증이 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방사선 총조사량이 많은 환자군, 외부 방사선치료와 강내 근거리요법을 병행해서 치료받은 환자군, 내과 적 병력이 있는 환자군에서 더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병증 이 grade 2 이하의 경증 합병증이었고 grade 3 이상의 중 증 합병증은 2명(2.8%)(Acute GI toxicity; 2)에서 발생 했다. 정확한 만성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추적 관찰 기간이 길어야 하므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 가 있어야 할 것이다. 급성과 만성 합병증 모두에서 하부 위장관계 합병증이 가장 많았으므로 향후 하부 위장관계 합병증을 줄이는데 노력해야 하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omplications following pelvic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in 72 patients treated with pelvic radiation therapy for cervical (N=66) and endometrial (N=6) cancer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994 to July 1997. Results; The complications of pelvic irradiation were as follows; 1. Acute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occured in 14 of 72 patients (19.4%) (mild diarrhea; 5, hematochezia; 4, mild nausea and vomiting; 1, moderate diarrhea; 2, severe diarrhea; 2). 2. Acute genitourinary complications occured in 6 of 72 patients (6.3%) (cystitis; 6). 3. Chronic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occured in 11 of 66 patients (16.7%) (mild diarrhea; 5, hematochezia; 4, mild small bowel obstruction; 1, moderate diarrhea; 1). 4. Chronic genitourinary complications occured in 7 of 66 patients (10.6%) (cystitis; 6, gross hematuria; 1). 5. The incidences of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s after pelvic irradiation in gynecologic malignancies were higher in the following groups; 1) The group with total dose of external radiation over 45Gy. 2) The group with external beam radiation and brachytherapy modality. 3) The group of patients with medical problem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complications are common after pelvic radiation therapy. Pelvic radiation therapy should be used judiciously for the purpose of reducing complications, particularly in the patients with higher dose radiation therapy and pre-existing medical problems.

      • Krukenberg종양 3예

        진건,박충학 단국대학교 2000 論文集 Vol.35 No.-

        Krukenberg tumor is comparatively rate in metastatic ovarian tumor and is almost metastasized from gastrointestinal tract. We have experienced three cases of Krukenberg tumor of the ovary and report this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임산부 체형특성과 만삭아 출생체중과의 관계

        진건,박충학,고경심,박혜영,하진완,신광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합병증이 없는 만삭아를 분만한 임산부들의 신체적 특성과 만삭아의 출생체중 및 경량아 및 적정체중아 분만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산전관리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 년 11 월부터 1996 년 12 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 중 합병증이 없는 만삭분만아를 출산한 임산부 307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만삭 경량아는 15 예가 있었으며 적정체중아는 241 예가 있었다. 만삭 경량아 출산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산모 연령, 출산력, 교육연한과 산모의 신장을 보정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보정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산모의 체형이 저체중군인 경우 정상체중군보다 임신전 산모 체중, 분만시 산모 체중 및 총 체중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경량아 출산이 더 많았다. 산모의 체질량지수가 19.8 kg/㎡ 미만일 때 경량아 출산의 상대위험도는 6.2 배였으며, 임신전 산모체중이 50 kg 미만일 때, 상대위험도는 9.9 배였다. 출산시 산모체중이 60 kg 미만일 경우 경량아 출산의 상대위험도는 25.0 배였으며, 임신 중 체중증가가 12.5 kg 미만일 경우 상대위험도는 5.5 배로 증가하였다. 산모의 신장이 155 cm 미만일 때, 교육기간이 12 년 미만일 때, 경산부일 때, 직업이 있을 때, 신생아 성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 전체중의 임산부와 임신 중 불충분한 체중증가를 보이는 경우 태아체중의 적절한 증가에 제한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산전진찰시 적절한 태아의 체중 증가를 도모하기 위하여 산모의 체형을 고려해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Our aim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maternal body characteristics and fullterm infant birthweight without complications. Methods: We used data collected from 307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fullterm singleton infants without complications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995 to December 1996. Fifteen cases of SGA infants were identified and other infants were analysed as control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controlling maternal age, parity, years of education and maternal height. Adjusted odds ratios[A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underweight mothers, the pre-pregnancy body weight, body weight at delivery, total body weight gain and delivery of SGA infants were greater than that in the normal weight mothers.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delivery of SGA infants were 6.2 in the women of BMI less than 19.8 kg/㎡, 9.9 of pre-pregnancy body weight less than 50 kg, 25.0 of body weight at delivery less than 60 kg, and 5.5 of gestational weight gain less than 12.5 kg. The risk of delivering SGA infants was not increased in the women of height over than 155 cm, of education less than 12 years, of multiparity and with occupation. Conclusion: Women of underweight and inadequat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may be associated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We should focus to check maternal body characteristics to ensure the adequate infant birthweight for prenatal care.

      • KCI등재

        고밀도 스킵 연결을 통한 재귀 잔차 구조를 이용한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 기법

        진건,정제창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 방송공학회논문지 Vol.24 No.4

        최근,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 복원 기법(super-resolution)에서 컨볼루션 신경망 모델은 매우 성공적이다. 잔여 학습 기법은 컨볼루션 신경망 훈련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저해상도 입력 이미지에서 고해상도 목표 이미지로 비선형 매핑 학습을 위해 고밀도 스킵 연결(dense skip-connection)을 통한 재귀 잔차 구조를 이용한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 복원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 복원 기법은 고밀도 스킵 연결 방식을 통해 재귀 잔차 학습 방법을 채택해서 깊은 신경망에서 학습이 어려운 문제를 완화하고 더 쉽게 최적화하기 위해 신경망 안에 불필요한 레이어를 제거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매우 깊은 신경망의 사라지는 변화도(vanishing gradient) 문제를 완화할 뿐만 아니고 낮은 복잡성으로 뛰어난 성능을 얻음으로써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 복원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듬이 기존의 알고리듬 보다 결과가 더 우수함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