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발 위장관 미만 대 B세포 림프종의 임상상과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의 적용

        구자은 ( Ja Eun Koo ),고옥배 ( Ock Bae Ko ),이단비 ( Danbi Lee ),김은희 ( Eun Hee Kim ),정용필 ( Young Pill Chong ),김신 ( Shin Kim ),류민희 ( Min Hee Ryu ),강윤구 ( Yoon Koo Kang ),허주령 ( Jooryung Huh ),서철원 ( Cheolwon Suh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1

        목적: 한국에서 원발 림프절외 림프종의 빈도는 서양권에 비하여 높다고 알려져 있다. 원발 위장관 림프종은 림프절외 림프종의 가장 흔한 형태이지만,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원발 위장관 DLBCL로 진단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분석하다. 결과: 남성이 40명이였고, 중앙 연령은 53세(15-75세)였다. 위 림프종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소장, 회-맹장부위, 대장, 직장을 침범한 환자의 수는 각각 21, 1, 10, 2명이었으며 다발성으로 위장관을 침범한 환자는 4명이었다. 제 IIE병기가 3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 IE 병기 24명, 제 IIIE병기 9명, 제 IVE병기 8명의 순이었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이었으며 5년 전체생존률은 61.4%, 5년 무사건생존률은 59.3%였다. B 증상 유무, 활동도, LDH 값, 병변의 위치는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7명의 환자가 1차 치료로 수술을 받았는데, 1차 치료로 단독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과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장 림프종에서는 수술한 환자들이 수술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하여 EFS이 우수하였다(p=0.030). 연령(p=0.038), 성별(p=0.017), 병기(p=0.048), 림프절외 침범병소의 수(p=0.002)가 EFS에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IPI에 따른 3년 무사건생존률은 저위험군/저-중위험군/중-고위험군/고위험군에서 각각 78.4%/ 63.7%/ 30.0%/ 0%였다(p=0.002). 다변량 분석에서 IPI만 이 EFS에 대한 독립적 예후인자였다(p=0.002). 결론: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예후인자를 연구한 결과 IPI가 독립적이고 가 장 강력한 예후인자였다. Background: Primary gastrointestinal lymph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extranodal lympho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primary gastrointestin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at a single healthcare facility in Korea. Methods: Between May 1998 and December 2003, 76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patients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Results: Male patients accounted for 40 cases. The median age was 53 years. A total of 38 patients had primary gastric DLBCL. With a median follow-up of 25 months, the five 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61.4% and the five year event free survival (EFS) rate was 59.3%. B symptoms, performance status, LDH levels and involved sites did not affect survival. Twenty-seven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surgical resection did not demonstrate a difference in survival whe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ery. However, for intestinal lymphoma, primary surgical rese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S (p=0.030). Age (p=0.038), sex (p=0.017), stage (p=0.048), and the number of extranodal sites (p=0.002)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EFS. The three year EFS rate for each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risk group was as follows: 78.4% for low risk, 63.7% for low-intermediate risk, 30.0% for high-intermediate risk and 0% for high risk (p=0.002). Cox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PI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EFS (p=0.002). Conclusions: Here we report on the unique pattern of clinical features of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from a single healthcare center in Korea. The IPI system had prognostic value for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Korean J Med 72:11-19, 2007)

      • KCI등재후보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성적에 관한 후향적 분석

        김수산(Sussan Kim),안승도(Seung Do Ahn),장혜숙(Hyesook Chang),김경주(Kyoung Ju Kim),이상욱(Sang-Wook Lee),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허주령(Jooryung Huh),서철원(Cheol Won Suh),김성배(Sung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 재발 양상, 생존률 및 치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3명이었다. 연령은 3세에서 73세까지 분포하였으며 중앙값은 44세였다. 원발 부위는 결막이 9명, 안검이 12명, 안와가 10명이었다. 병리학적 소견은 MALT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림프종이 28명, diffuse large B-cell 림프종이 1명, anaplastic large cell 림프종이 1명이었으며 lymphoblastic 림프종이 1명이었다. Ann Arbor staging에 따른 병기 분포를 살펴보면 1기가 31명으로 전부를 차지하였으며 각각 비장, 신장, 골수와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 병변이 있었던 환자 4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전체 환자 중, 양측 안와 침범이 있는 환자는 6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결막과 안검 부위는 6∼16 M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전방 1문 치료로 30 Gy/10 fractions을 조사하였고, 안와 부위는 4 MV, 6 MV의 광자선을 이용하여 쐐기를 이용한 전사방 2문 치료로 20∼28회에 걸쳐 총 40∼50.4 Gy를 조사하였다. 특히 결막과 안검 부위는 수정체를 보호하기 위한 납차폐물이 사용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12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53개월이었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7%이었으며, 2명이 질병과 무관하게 폐렴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사망하여 질병관련(cause-specific) 5년 생존율은 96.0%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80.0%, 5년 국소제어율은 90.5%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 모두가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완전관해를 보여 완전관해율은 100%였다. 이 중 국소 재발은 방사선치료 후 16개월과 18개월에 2명의 환자에서 보였고 구제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다. 2명이 조사영역 밖에서 재발하였고 lymphoblastic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18개월에 골수에서 재발하여 사망하였고 MALT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41개월에 폐에 재발하여 구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였다. 12명의 환자가 방사선치료 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며 부분관해가 11명에서 나타났고 1명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당시 시력이 있었던 29명 중 5명에서 방사선유발 백내장이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였다. 결 론 :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대부분이 MALT 림프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매우 좋은 치료 반응과 국소 제어율을 보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국소 재발한 경우에도 방사선치료가 구제치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보이지 않는 안전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treatment outcomes, patterns of failure, and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of primary lymphoma patients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for 31 patients with primary orbital lymphoma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February 1991 and April 2001. There were 18 males and 13 females with ages ranging from 3 to 73 years (median, 44 years). The involved sites were 9 conjunctivae, 12 eyelids and 10 other orbits. The histological types were 28 MALT lymphomas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1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1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nd 1 lymphoblastic lymphoma. The Ann Arbor stages were all IE (100%). Ann Arbor stage Ⅲ or Ⅳ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ilateral orbital involvement occurred in 6 cases. Radiation therapy was given with one anterior port of high energy electrons (6∼16 MeV) for the lesions located at the anterior structures like the conjunctivae or eyelids. Lesions with a posterior extension or other orbital lesions were treated with 4 or 6 MeV photons with appropriately arranged portals. In particular, lens blocks composed of lead alloy were used in conjunctival or eyelid lesions. Twelve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3 months. Results : The 5-year overall, cause-specific, and disease-free survival was 91%, 96%, and 80%, respectively. The complete response rate 6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was 100%.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2 patients at 16 and 18 month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reatment. They were salvaged with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Two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A MALT lymphoma patient with a lung relapse was successfully salvaged with radiotherapy, but the other lymphoblastic lymphoma patient with bone marrow relapse expired. There were no severe complications but 5 patients developed radiation-induced cataracts and 2 patients developed dry eye. Conclusion : Most primary orbital lymphomas consisted of MALT lymphomas. Radiation therapy was a successful treatment modality for orbital lymphoma without any severe complications. In cases of local relapses, radiation therapy is also a very successful salvage treatment modalit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임신성 융모성 질환과 정상 태반 조직에서의 p53 단백의 과발현

        남주현,김용만,김종혁,목정은,허주령,황성욱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8 No.3

        Mutations in the tumor suppressor p53 gene are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genetic lesions in human cancers. It seems that wild type p53 does significant role on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normal cells. Mutations and allelic loss of the p53 gene are thought to be a cause of tumor development and to be correlated with the prognostic factors in various human cancers such as breast, ovary and lung cancer. Mutant p53 proteins have a prolonged half-life and can b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case of GTD(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although the mutation of p53 gene mutation was revealed to be very rare, the overexpression of p53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as been reported in wide range of discrepancy and its role or prognostic significance in GTD is uncertain.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fine the status of p53 overexpression in GTD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p53 overexpress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GT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53 overexpression was detected in none of normal placental tissue, in 58.3%(14/24) of hydatidiform mole, in 75%(6/8) of invasive mole, in 75%(3/4) of choriocarcinoma, and in 100%(1/1) of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53 overexpression between normal placenta and GTD.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 of the p53 overexpression between benign group(H-mole) of GTD and malignant one(invasive mole, choriocarcinoma, and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2. In H-mole, low-risk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p53 overexpression than high-risk group did. In malignant group,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p53 overexpression between early(FIGO stage I) and late(II-IV) stage-diseases, but the prevalence of p53 overexpression of low-risk group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igh-risk group although we failed to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e high prevalence of p53 overexpression in GTD suggests that p53 may have a certain role in the pathogenesis of GTD or at least represent generalized DNA demage or genotic instability of GTD. And the hither prevalence of p53 overexpression in low-risk group suggests that accumulation of wild-type p53 may be related with favorable prognosis in GTD.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의 예후인자로서 정량적 병리 지표의 의의

        김봉희,남주현,김종혁,목정은,나준희,고창원,허주령,김용만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8 No.3

        상피성 난소암에서 예후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변수에 관한 많은 보고가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객관성과 재현성이 낮아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여 왔다.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mitotic activity index(MAI), volume percent index(VPE), mean nuclear area(MNA)가 병리학적 특성을 졍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우수한 지표로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은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1989년 6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종양 축소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최소한 환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정량적 병리 지표가 예후인자로서의 의미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종양 조직은 4㎛ 두계로 파라핀 포매괴에서 자른 후 진단과 정량적인 검사를 위하여 H/E 염색을 시행하고 가장 분화가 나쁘면서 상피세포와 세포분열이 가장 많은 양상을 보이는 부위를 찾은 다음, 분명하게 확인이 가능한 세포분열이 있는 경우의 총 수를 MAI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조직 중 상피세포 체적의 백분율을 VPE로 하였으며 nuclear morphometry는 비디오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는데 MNA를 측정하기 위한 최종 확대 비율은 3000배이었다. 이러한 정량적 병리지표와 연령, FIGO 병기, 복수의 양, 잔류 종양의 크기, 조직학적 아형, 종양의 분화도, 수술 후 2차 항암화학요법의 혈청 CA 125치 등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각 인자별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정량적 병리 지표 세 가지 중 VPE가 조직학적 아형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MAI 및 MNA는 종양의 분화도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생존율 분석에서는 FIGO 병기, 복수의 양, 수술 후 잔여량의 크기, 조직학적 아형, 수술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혈청 CA 125치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정량적 병리 지표는 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피성 난소암에서 정량적 병리 지표는 종양의 아형 또는 분화도와 관계가 있으나 환자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피부와 주요 장기 침범이 의심되는 Kikuchi 질환 1예

        정세라,박소연,이현주,김유미,이미숙,허주령,우준희,류지소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4

        Kikuchi 질환은 임상적으로 흔히 경부 종괴와 발열을 주소로 하며 젊은 여자에서 잘 발생하는 양성 경과를 보이는 질환으로 일부에서 전신 반응을 동반하기는 하지만 매우 양호한 전신 상태를 보인다. 림프절 조직 생검에서는 특징적인 괴사성 림프절염을 보이는데 피막은 잘 유지되어 있고 부피질내에 괴사 부위를 보이며 괴사 부위에는 세포핵 붕괴 잔해를 탐식하고 있는 조직구 침윤이 특징적이다. 25-30%에서 피부를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경우는 소수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피부를 제외한 림프절 외 부위의 침범은 드물다. 저자들은 1개월간 지속된 소모성 양태의 고열과 쇠약 상태를 초래할 정도로 심한 전신 반응 그리고 transaminase 증가, 췌장효소 증가, 알부민뇨 등 주요 장기 손상을 보인 환자에서 피부와 림프절 조직 검사를 통해 확진하였던 Kikuchi 질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ikuchi's disease(KD) is usually a benign, self-limiting clinicopathologic disorder that occurs most often among young adult women between 15 and 35 years. It is characterized clinically by cervical lymphadenopathies, fever, self-limiting course over a few weeks to months and pathologically by necrotizing lymphadenitis with karyorrhectic debris in the paracortical zone of lymph nodes. Occasionally, it is accompanied by systemic symptoms, but patients are in good condition. Skin involvement in KD is frequent, but other extranodal sites are rarely involved. We report a case of KD with debilitating prolonged high fever, chill, watery diarrhea, skin rashes and remarkable laboratory abnormalities suggesting major organ involvement with generalized lymphadenopathies in a 37-year-old mal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KD suggesting major organ involvement and with skin rashes that is pathologically confirmed in Korea.

      • SCIESCOPUSKCI등재

        Brenner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김미경,김봉희,김대진,남주현,김용만,김종혁,목정은,나준희,허주령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9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s of twelve patients with Brenner tumor of the ovary diagnosed and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University of Ulsan, Asan Medical Center for nine yea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mptoms, signs, stage, tumor grade, mode of therapy and results of follow-up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ith Brenner tumor constituted 0.54% of all epithelial ovarian tumor e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age of patents ranged from 47 to 79 years (mean ±S.D.; 60.1 ±11.9) and the mean parity was 3.3. Eleven cases except one, who had FIGO stage Ia disease, had benign tumors. The tumor size ranged from 0.5 to 12 cm (mean ±S.D.; 4.8 ±3.8 cm). Uterine adenomyosis was the most frequently associated disease (58.3%) and all tumors were unilateral.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or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and no further postoperative adjuvant treatments were done even in tatient with malignant tumor, who is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