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용된 신체개념과 디지털 매체 예술 경험에 관한 연구

        정세라 예술과미디어학회 2022 예술과 미디어 Vol.21 No.2

        Digital media art is evolving beyond the physical screen to the concept of a new interface such as a virtual screen. Digital images are converted into images that are essential elements of selective or total perception of various senses in our physical function. Information can be perceived by the body. The information thus interpreted becomes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such an image is in the circulation that is perceived as information embodied by the body. Bergson associated perception with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body. Bergson's conception of the body has been requested for conceptual reconsideration by scholars such as Deleuze and Hansen. This study takes Bergson's theory of percep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common thought, but presents the discussion of Gilles Deleuze and Mark Hansen, who presented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perception as the body's ability to interpret image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body that is transformed into modified body concept. From this, this study examines what specific function the body has in the perceptual action of interpreting the image of digital media art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e body and how it is synthesized with the affects. 디지털 매체 예술은 물리적 스크린을 벗어나서 가상적 스크린과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우리의 신체적 기능 안에서 여러 감각들의 선택적 혹은 총체적인 지각을 필수요소로하는 이미지로 전환된다. 정보는 신체에 의해 지각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석된 정보는 곧 이미지의 정보가 되고 그러한 이미지는 신체에 의해 체화된 정보로서 지각되는 순환 속에 있다. 베르그손은 지각을 신체의 구체적 활동과 연관 지었다. 베르그손의 신체에 대한 개념은 들뢰즈, 핸슨 같은 논자들에 의해 개념적인 재고려가 요청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베르그손의 지각이론을 공통적인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으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질 들뢰즈와 마크 핸슨의 논의를 이미지를 해석하는 신체의 역량으로서 정념(affection)과 지각(perception)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정되지 않는 신체개념으로서 변용되는 신체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신체가 갖는 함의들을 통해 디지털 매체 예술의 이미지를 해석하는 지각적 행위 안에서 신체가 어떤 구체적인 기능을 가지며 그것이 정념적인 작용과 어떻게 합성되는지 살펴본다.

      • 포단드를 사용한 전위차법 금속 이온 센서

        정세라,박성배 인제대학교 1996 仁濟論叢 Vol.12 No.1

        비고리 polyether들인 O-S podand들을 Ag+- 선택성 막 전극을 만드는데 막의 활성 요소로 사용하였다. 포단드에 기초를 둔 이 전극들은 Cd2+, Cu2+, Pb2+를 포함한 다른 중금속 이온들에 비해 Ag+에 대한 뛰어난 선택성을 보인다. 또한, 알카리와 알카리 토금속에 대해서도 선택성이 좋음이 관찰 되어 졌다. 이런 센서 체계(sensor systems)들의 반응 기울기(rerponse slopes), pH 효과 및 반응 시간(response time)을 정적 모드(static mode)를 통해 연구했다. Ag+- 선택성은 호스트-게스트(host-guests) 결합후 호스트 분자의 지방족 말단기들(aromatic end groups) 사이의 π-π 쌓임 상호작용(π-π stacking interaction)뿐만 아니라 호스트 분자들과 게스트 이온들 사이의 "soft-soft"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 되어 진다. O-S type podands were used as membrane active components to prepare Ag+-selective membrane electrodes. The podand-based electrodes exhibited considerable selectivity toward Ag+ over other heavy metal ions including Cd2+ Cu2+, and Pb2+. Also, good selectivity over alkali and alkali earth metal ions were observed. Response slopes, pH effects, and response time were studied in static mode. The Ag+-selectivity was explained by "soft-soft" interaction between the guest ion and the host molecules as well as the π-π stacking interaction between aromatic end groups of the host molecules after the host-guest binding.

      •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치료 효과

        정세라,서동진,박현주,박영환,송희곤,이한주,정영화,이영상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Background/Aims: Although several clinical trials have suggested that lamivudine treatment can be very effective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HBV-associated cirrhosis, its role and clinical efficacy are still uncertain because of the study des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mivudine in consecu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decompensated HBV-associated cirrhosis (Child-Pugh score ≥8) were enrolled consecutively and treated with lamivudine 100 mg or 150 mg daily for 2-51 months (median: 16 months). They were all positive for HBV DNA and 21 were positive for serum HBeAg. Eight were Child-Pugh class B and 16 were class C. Clinical improvement was defined as a decrease of Child-Pugh score of at least 2 points. Results: At 6th month after lamivudine, all the patients cleared serum HBV DNA. The cumulative rates for HBeAg loss were 28.6% at 6th and 46.6% at 12th month. The cumulative viral breakthrough rates at 12th and 24th month were 20.0% and 37.5%. Fourteen patients (60.8%) showed clinical improvement, while 8 (34.8%) showed no change and 1 got worse, at 6th month after lamivudine. Most clinical improvement developed within the initial 6 months. The cumulative mortality rates were 20.8% at 1 year and 37.5% at 2 year.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lamivudine can result in clinical improvement in about 60% of patients with HBV-related decompensated cirrhosis. Because most improvement occurrs within 6 months after starting lamivudine,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cases which do not show clinical improvement despite 6-month lamivudine treatment.(Korean J Hepatol 2002;8:418-427) 목적: 최근 라미부딘이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간이식을 병용하였거나 6개월 이상 치료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라미부딘 치료를 받은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순차적으로 포함,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미부딘 치료에 동의한 HBV DNA 양성인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24예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21예는 HBeAg 양성이었으며, 투여기간은 2-51개월(중간값 16개월) 이었다. 8예는 Child- Pugh 등급 B였고, 16예는 등급 C였다. 라미부딘 투여 후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감소한 경우를 임상적 호전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라미부딘 투여 6개월 시점에는 100%의 환자에서 HBV DNA의 음전을 보였고, 누적 HBeAg 소실률은 치료 6개월 시점에 28.6%, 1년 시점에 46.7%였다. 관찰 기간 중 누적 breakthrough 발생률은 1년 20%, 2년 시점에 37.5%였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6개월 시점에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호전된 경우는 60.9%였고,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34.8%, 악화된 경우가 4.3%였으며, 마지막 방문시에 호전된 경우는 56.5%였다. 호전된 환자들은 2예를 제외하고는 치료 6개월 내에 호전을 보였다. 누적 사망률은 1년 20.8%, 2년 시점에 37.5%였다. 결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약 60%에서 라미부딘 투여로 간기능이 호전되었다. 대부분의 호전은 투여 6개월 이내에 나타나므로 라미부딘 투여 6개월 내에 임상적 호전을 보이지 않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간이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색인단어: B형 간염 바이러스, 간경변증, 라미부딘

      • 한국에서 제 1형 자가면역성 간염의 진단에 있어 International Autoimmune Hepatitis Group 점수 체계의 적정성

        정세라,이한주,박영환,이상수,송희곤,표승일,송병철,정영화,이영상,서동진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1

        Background/Aims: There are no pathognomonic features of autoimmune hepatitis (AIH). Its diagnosis requires the exclusion of various other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indirectly the International Autoimmune Hepatitis Group (IAHG) scoring system in diagnosing AIH.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Type 1 AIH and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n=34), chronic hepatitis C (n=25), or toxic hepatitis (n=13) were evaluated according to 9 categories of pretreatment minimum required parameters proposed by IAHG. Aggregate scores of AIH to those of non-AIH groups, which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extracting the proportions of etiologic factors, were also compared and evaluated. Results: While aggregate scores of non-AIH groups, before extracting the proportions of etiologic factors, were 5.2±1.8, 5.6±1.1, and 7.4±1.2 in that order, those of AIH groups were 12.8±1.7.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AIH groups (p<0.01). All patients in AIH groups and only 1 patient in a non-AIH group showed aggregate scores of more than 10. Aggregate scores after extracting the proportions of etiologic factors were more than 4 in all, except 2, patients. These should have been consistent with 10 if there were no etiologic factors in non-AIH groups. Conclusion: The IAHG scoring system might have a relatively excessive importance to the scores of categories excluding distinct etiologies from AIH. It might be difficult to differentiate AIH from chronic liver diseases of indistinct cause based on the IAHG scoring system.(Korean J Hepatol 2002;8:35-43) 배경/목적: 자가면역성 간염은 확진 검사법이 없으며 여러 다른 비슷한 질환을 제외함으로써 진단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면역성 간염을 진단함에 있어서 현재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International Autoimmune Hepatitis Group (IAHG) scoring system의 적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자가면역성 간염 환자 26명과 여자이면서 만성 B형 간염인 34명, 만성 C형 간염인 25명, 독성 간염인 13 명을 대상으로 하여 IAHG가 제안한 치료 전 진단의 최소 필요 지표인 9개 변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원인 인자를 포함시키기 전과 후의 집합 점수를 산출하여 자가면역성 간염군과 다른 세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원인 인자를 제외하기 전의 집합 점수는 만성 B형 간염군 5.2±1.8, 만성 C형 간염군 5.6±1.1, 독성 간염군은 7.4±1.2인 반면에, 자가면역성 간염군의 집합 점수는 12.8±1.7으로 자가 면역성 간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자가면역성 간염군의 경우는 전 예가 10점 이상이었으나 다른 세 군에서는 독성 간염 그룹의 1예를 제외하고는 10점 이상인 경우가 없었다. 그러나 원인 인자에 대한 점수를 배제한 집합 점수는 독성 간염군 2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4점 이상(원인 미상의 간염에서 최적확 기준인 10점에 해당하는 점수)이었다. 결론: 자가면역성 간염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IAHG가 제안한 치료 전 최소 필요 지표는 명확한 원인 인자를 제거하기 위한 변수들에 과도한 비중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IAHG 점수 평가법으로 자가면역성 간염과 원인이 불명확한 non-B, non-C 만성 간염을 구별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간염/자가면역성 감염, 진단, 점수 평가법

      • 피부와 주요 장기 침범이 의심되는 Kikuchi 질환 1예

        정세라,박소연,이현주,김유미,이미숙,허주령,우준희,류지소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4

        Kikuchi 질환은 임상적으로 흔히 경부 종괴와 발열을 주소로 하며 젊은 여자에서 잘 발생하는 양성 경과를 보이는 질환으로 일부에서 전신 반응을 동반하기는 하지만 매우 양호한 전신 상태를 보인다. 림프절 조직 생검에서는 특징적인 괴사성 림프절염을 보이는데 피막은 잘 유지되어 있고 부피질내에 괴사 부위를 보이며 괴사 부위에는 세포핵 붕괴 잔해를 탐식하고 있는 조직구 침윤이 특징적이다. 25-30%에서 피부를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경우는 소수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피부를 제외한 림프절 외 부위의 침범은 드물다. 저자들은 1개월간 지속된 소모성 양태의 고열과 쇠약 상태를 초래할 정도로 심한 전신 반응 그리고 transaminase 증가, 췌장효소 증가, 알부민뇨 등 주요 장기 손상을 보인 환자에서 피부와 림프절 조직 검사를 통해 확진하였던 Kikuchi 질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ikuchi's disease(KD) is usually a benign, self-limiting clinicopathologic disorder that occurs most often among young adult women between 15 and 35 years. It is characterized clinically by cervical lymphadenopathies, fever, self-limiting course over a few weeks to months and pathologically by necrotizing lymphadenitis with karyorrhectic debris in the paracortical zone of lymph nodes. Occasionally, it is accompanied by systemic symptoms, but patients are in good condition. Skin involvement in KD is frequent, but other extranodal sites are rarely involved. We report a case of KD with debilitating prolonged high fever, chill, watery diarrhea, skin rashes and remarkable laboratory abnormalities suggesting major organ involvement with generalized lymphadenopathies in a 37-year-old mal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KD suggesting major organ involvement and with skin rashes that is pathologically confirmed in Korea.

      •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치료 효과

        정세라,서동진,박현주,박영환,송희곤,이한주,정영화,이영상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최근 라미부딘이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간이식을 병용하였거나 6개월 이상 치료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라미부딘 치료를 받은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순차적으로 포함,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미부딘 치료에 동의한 HBV DNA 양성인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24예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21예는 HBeAg 양성이었으며, 투여기간은 2-51개월(중간값 16개월) 이었다. 8예는 Child- Pugh 등급 B였고, 16예는 등급 C였다. 라미부딘 투여 후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감소한 경우를 임상적 호전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라미부딘 투여 6개월 시점에는 100%의 환자에서 HBV DNA의 음전을 보였고, 누적 HBeAg 소실률은 치료 6개월 시점에 28.6%, 1년 시점에 46.7%였다. 관 찰 기간 중 누적 breakthrough 발생률은 1년 20%, 2년 시점에 37.5%였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6개월 시점에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호전된 경우 는 60.9%였고,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34.8%, 악화 된 경우가 4.3%였으며, 마지막 방문 시에 호전된 경우는 56.5%였다. 호전된 환자들은 2예를 제외하고 는 치료 6개월 내에 호전을 보였다. 누적 사망률은 1년 20.8%, 2년 시점에 37.5%였다. 결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약 60%에서 라미부딘 투여로 간기능이 호전되었다. 대부분의 호전은 투여 6개월 이내에 나타나므로 라미부딘 투여 6개월 내에 임상적 호전을 보이지 않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간이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Although several clinical trials have suggested that lamivudine treatment can be very effective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HBV-associated cirrhosis, its role and clinical efficacy are still uncertain because of the study des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mivudine in consecu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decompensated HBV-associated cirrhosis (Child-Pugh score ≥8) were enrolled consecutively and treated with lamivudine 100 mg or 150 mg daily for 2-51 months (median: 16 months). They were all positive for HBV DNA and 21 were positive for serum HBeAg. Eight were Child-Pugh class B and 16 were class C. Clinical improvement was defined as a decrease of Child-Pugh score of at least 2 points. Results: At 6th month after lamivudine, all the patients cleared serum HBV DNA. The cumulative rates for HBeAg loss were 28.6% at 6th and 46.6% at 12th month. The cumulative viral breakthrough rates at 12th and 24th month were 20.0% and 37.5%. Fourteen patients (60.8%) showed clinical improvement, while 8 (34.8%) showed no change and 1 got worse, at 6th month after lamivudine. Most clinical improvement developed within the initial 6 months. The cumulative mortality rates were 20.8% at 1 year and 37.5% at 2 year.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lamivudine can result in clinical improvement in about 60% of patients with HBV-related decompensated cirrhosis. Because most improvement occurrs within 6 months after starting lamivudine,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cases which do not show clinical improvement despite 6-month lamivudine treatment.(Korean J Hepatol 2002;8:418-427)

      • SCOPUSKCI등재
      • 이온감지물질의 포획방법에 의한 염소이온 센서용 막 제조 및 특성 조사

        정세라,박성배 인제대학교 1995 仁濟論叢 Vol.11 No.2

        유기-무기 혼성 솔젤(sol-gel) 기질이 음이온 감지물질(ionophore)의 하나인 tridodecylmethyl ammonium chloride(TDMAC)의 포획물질로 사용되어졌다. 솔젤 선구물질은 1,4-butanediol과 3-isocyanatopropyltriethoxysilane과의 반응에 의해 만들어졌다. TDMAC와 함께 혼합된 솔 상태의 선구 물질은 TDMAC-함유의 막을 형성하면서 일정온도에서 천천히 굳어진다. 그리고 그 젤 형태의 막은 필립스(Phillips) 전극 몸체의 상단에 올려진다. TDMAC:솔젤 선구물질의 최적 비율(무게비 0.1 : 3)을 가진 이온 선택성 막은 매우 안정한 바탕선 전위를 보인다. 염소이온에 대한 반응 기울기는 실온에서 0.1 mM - 0.5 M사이에서 55 mV/decade정도로 관찰되었다. 게다가, 살리실레이트 (salicylate)와 다른 친유성 음이온에 비하여 염소이온에 대한 선택성이 개선되었다. 즉, 대부분의 해리성 전하 운반체 (dissociated charged carrier)를 사용한 전위차 막 감지기에서 관찰되는 호프마이스터(Hofmeister) 선택성 양식에서 벗어난다. pH 5.5인 0.01 M MES 완충용액에서 분리용액방법(separate solution method)로 측정된 선택계수 값들은 logcl,sal = 0.7, logcl,citrate= -1.6, logcl,acetate = -0.6이다. 특히 살리실레이트에 비하여 염소이온에 대한 개선된 선택성은 친유성 음이온의 간성을 통제할 필요없이 혈청시료에서 염소이온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gel matrix was used as host for tridodecylmethyl ammonium chloride(TDMAC). The sol-gel precurso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3-isocyanatopropyltri-ethoxysilane with 1,4-butanediol. Being mixed wish TDMAC, the sol-state precursor was slowly gellated to give a TDMAC-containing membrane. Then the gel membranes were mounted on top of Phillips electrode bodies. The performance of the sol-gel electrode sensors were compared to those of TDMAC-based PVC. Membranes with an optimum ratio of TDMAC:sol-gel precursor (0.1 : 3 by weight), showed very stable baseline potential. When compared to He conventional ones, response slope toward chloride was much improved (upto 55mV/decade in between 10-4-5x10-1 M Cl- at room temperature). Moreover, selectivity toward chloride over salicylate and other lipophilic anions were improved, deviating from the Hofmeister selectivity pattern which is observed in most dissociated charged carrier-based potentiometric membrane sensors. The selectivity coefficients measured by the separate solution method in 0.01 M MES buffer, pH 5.5, were logcl,sal = 0.7, logcl,citrate = -1.6, and logcl,acetate = -0.6.

      • KCI등재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정세라 ( Se Ra Jung ),원종임 ( Bhsc Jong Jm W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4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cognitive and exercise tasks) on the balance and gait perform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Eightee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were divided equally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Subjects in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performing the same tasks, for 45 minutes per day,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also performed additional cognitive task.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Berg Balance Scale, the Timed Up and Go Test, the 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nd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p<.05). The cognitive task error rates in the final week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first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al-task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ati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balance, gait, and cognitive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