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노동법(勞動法)과 노동자(勞動者)의 권리보장(權利保障)에 관한 연구(硏究) -1980~1990년대 프랑스 노동시장정책(勞動市場政策)을 중심(中心)으로-

        하영수 ( Young Su Ha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5 No.2

        Labor laws and labor rights guaranteed to all people the right to life, the pursuit of happiness, to ensure that human dignity is a legal area. Labor law to guarantee workers` rights and the signing of labor contracts. off, all that information about the decision and the free labor market, workers and users, rather than leaving the freedom of contract by the employment security and employment legislation. minimum standards for working conditions. equality Set of principles in the employment of labor relations and collective. determining working conditions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the employment of workers. working conditions to ensure they are seeking. The purpose of the two labor laws and labor rights that guarantee access to basic labor law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can be said to be common. In this study, labor rights and labor law in France will be as specific as possible, what is guaranteed and if the study subjects. There are two basic approaches, depending on the following: First, workers` rights guaranteed by legislation, and second, the collective labor rights guaranteed by Labor governments in order analysis of the system, will be reviewed

      • KCI등재

        『법화경』의 갈애(tṛṣṇā) 용례에 대한 고찰

        하영수(Ha, Young Su)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초기불전에서 tṛṣṇā(渴愛)는 대표적인 번뇌로 언급된다. 갈애는 심리적인 집착으로 인해 괴로움을 초래하므로 괴로움의 원인으로 설명될 뿐 아니라, 사성제에서는 集諦(duḥkkha-samudaya)로 규정되어 윤회적 생존(bhava, 有)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또한 십이연기에서는 無明(avidyā)과 더불어 윤회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초기불전에서 갈애는 전적으로 부정되고 끊어야 할 번뇌로 인식된다. 한편 이러한 갈애의 용례를 법화경에서 검토해 보면 갈애 용례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용법의 변화는 두 가지로 정리할수 있다. 첫째, 초기불교의 이래의 용례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법화경에 사성제와 십이연기가 설해지고 있다는 것으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이때의 갈애는 명백하게 부정되어야 할 번뇌이다. 둘째, 갈애를 긍정하는 용례가 확인된다. 여래수량품 에서 중생이 붓다를 향해 일으키는 갈애는 적극 장려된다. 또한 신해품 에서는 ‘붓다(=아버지)의 갈애’라는 주목할 만한 표현이 확인된다. 이로부터 법화경에 갈애에 대해 부정과 긍정이라는 두 가지 용법이 있음을 인정된다. 동일한 경전 내에서 갈애라는 단일한 개념에 대해 부정과 긍정이라는 두 가지 입장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갈애라는 대표적인 번뇌가 견불과 정법의 청문이라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은 곧 법화경에서 번뇌와 보리가 다르지않음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tṛṣṇā 이외에 열망을 나타내는 용어가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가 사용된것은 의도적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붓다의 갈애라는 표현은 중생에 대한 붓다의 자비를 비유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붓다의 상주교화라는 본경의 메시지를 드러냄에 있어서 갈애가 심리적 계기가 됨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였다. In Early Buddhist Sutras, the Craving(tṛṣṇā, 渴愛) is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ve defilement. The Craving causes suffering owing to the psychological obsession and for this reason it is explained as a reason for the suffering. Besides, in the Four Noble Truths, the Craving is regarded as the truth of the source of suffering(duḥkkha-samudaya) that originates samsaric existence. Also i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12緣起), the Ignorance(avidyā) and the Craving are defined as a direct cause of Samsara. Therefore in Early Buddhist Sutras, the Craving is being denied and also recognized as an defilement which needs to be extinguished. Meanwhile, the usage of the Craving changes from one of Mahayana Buddhist Sutras, the Lotus Sutra. The change in the usage of the Craving could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the usage of the Craving seems to be accepting that of the Early Buddhist understanding. The evidence could be found in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12 Nidanas appear in the Lotus Sutra. The Craving mentioned in here is an obviously denied defilement. Second, the usage of the Craving is being affirmed in the Lotus Sūtra. In the Chapter on Duration of Life of the Tathāgata, people raise their Cravings toward the Buddha and then they could meet and listen the rightful-teaching (saddharma) from the Buddha in the Nirvana state. Also in the Chapter on the Disposition,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ppears within a noticeable expression ‘The Craving of the Buddha(father).’ From here I could recognize both negative and positive usages of the Craving in the Lotus Sutra. In the identical Sutra, the Craving which is a singular concept has taken up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This could be explained likewi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aving and results of seeing the Buddha and listening of the Buddha teaching, represents that the Defilement(煩惱) and the Buddhahood(菩提) have no difference in the Lotus Sutra. Even though there exists various terms designating a craving and a desire, however tṛṣṇā is used in the Lotus Sutra with a purpose. Also the expression ‘The Craving of the Buddha’, metaphorically represents the mercy of the Buddha towards people. At the same time I assume that the Craving is expressed with a psychological motivation to reveal the message of the Lotus Sutra, the eternal existence of the Buddha and its teaching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정책과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하영수 ( Young Su Ha ) 대한정치학회 2010 大韓政治學會報 Vol.17 No.1

        급증하는 국내·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과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한 현실이다. 특히, 국내의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문민정부 이전까지(97년前) 총 633명이 국내에 거주하였으며, 김대중 정부기간(1997∼2004) 동안 3,620명, 노무현 정부기간(2004∼2008년) 동안 10,648명이 국내에 입국하여 전체 1만5천여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삶을 영위해 나가고 있다. 또한 북한을 이탈하여 제3국에 머물고 있는 탈북자들이 적게는 3만 명에서 많게는 1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북한인권정보센터 2008:2). 이러한 수치에서도 나타났듯이 점점 더 많은 북한이탈주민들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탈주민의 급격한 증가는 정부의 재정부담 증가, 정착 지원제도의 고비용 저효율, 남한 내 다른 저소득층과의 형평성 논란, 지역주민과의 갈등, 자립에 대한 의식변화 미흡, 가족구성원의 역할과 지위 변화에 따른 가족 내 갈등증대, 아동·청소년의 학습부진과 그로 인한 학교 내 갈등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위해서는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정부의 정책 및 제도의 기반을 조성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을 해야 하는 당위성은 현실의 문제일 뿐 만 아니라 미래의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안정적 정착 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지속적인 지원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To seek policy and support plan about North Korean Refugees that increase rapidly is urgent. Especially, North Korean Refugees number(97 years ago) total 633 people inhabited in domestic to Kim Young-Sam government relocation, and 10,648 people enter a country in domestic Kim Dae-jung government period(1997∼2004) while 3,620 people, Roh Moo-hyun government period(2004∼2008)interval and whole 15,000 North Korean Refugees are living. In sudden increase of North Korean Refugees governmental financial burden augmentation, high cost inefficiency of fixing volunteer system, South Korea equability problems with other low-income conflict with local resident, consciousness change insufficiency about independence, family member`s role and family by position change discord enlargement, child. Is revealing a lot of problems such as discord in teenagers` studying slump and school by it. Therefore, must make up government`s policy and base of system from social integration viewpoint for North Korean Refugees stable society fixing and develop. Necessity that North Korean Refugees should settle stably within South Korea society know nothing but it is actual problem because can minimise confusion that can happen in future unity process.

      • KCI등재

        지역사회 주민의 자원봉사정책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하영수(Ha, Young-Su),김한양(Kim, Han-Ya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자원봉사의 기본방향을 토대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자원봉사참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지역주민들의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신뢰성, 타당성, 적응성, 실효성에 대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여 자원봉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신뢰성분석에서 개인특성변수인 연령, 전체자원봉사기간, 정책대상자와 정책담당자에 대한 신뢰, 문제해결의 신뢰 변수가 자원봉사정책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타당성분석에서는 개인특성변수인 학력, 자원봉사시간(월), 전체자원봉사기간 변수와 개선가능성 변수가 자원봉사정책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적응성분석에서는 개인특성변수인 성별, 전체자원봉사기간, 업무의 접근성에 따라 담당자와 대상자들이 느끼는 정책의 적응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효성분석에서는 개인 특성변수인 학력, 전체자원봉사기간, 정책의 효과, 직접적인 효과 변수가 자원봉사정책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지자체의 자원봉사정책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자들의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지자체는 자원봉사를 통한 지역문화의 창출이라는 대전제에 대하여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의 부족한 물적?인적자원을 상호보완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교류협력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따라서 지자체의 자원봉사 전담부서 및 독립된 기관(자원봉사센터)의 적극적인 업무태도 및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of volunteer, there is need to discuss local residents’ willing participation in volunteer. Concretizing this should be preceded by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volunteer polic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ole of local authority for volunteer by analyzing the community residents’ perceptions on credibility, validity, adaptability and effectiveness on the local authority’s policy of volunte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to credibility, evaluation on the policy of volunteer was influenced by age, which i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otal period of volunteer, confidence in the target peopl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olicy, and reliability on solving problems. As to validity, the evaluation was influenced by education of personal trait, time(months) of volunteer, total period of volunteer,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As to analysis of adaptability, adaptability to policy felt by the person in charge and target people of policy was varied by gender as personal trait, total period of volunteer and accessibility of duties. As to effectiveness, evaluation on the policy of volunteer was influenced by education of personal trait, total period of volunteer, effect of policy and its direct effects. Besides, to improve the local authority’s volunteer policy, first, there is need to introduce a clear guideline and management system on volunteer policy. Second, decision makers should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volunteer policy. Third, local authority should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on the major premise of creating local culture through volunteer. Fourth, there should be a positive discussion o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order to fill the lacking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of a region complementarily. Fifth,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positive effort to change their work attitude and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local authority department in charge of volunteer and an independent institution(volunteer center).

      • KCI등재

        『법화경』은 일체중생의 성불을 설하는가?-세친 『법화경론』의 사종성문설을 중심으로-

        하영수 ( Ha¸ Young-su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법화경』의 일승사상은 일체중생의 성불을 설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친의 『법화경론』을 중심으로 이 주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세친은 그의 주석서에서 『법화경』의 성문을 퇴보리심성문(退菩提心聲聞), 응화성문(應化聲聞), 증상만성문(增上慢聲聞), 결정성문(決定聲聞)의 네 부류로 분류하고 있다. 이 사종성문설은『유가사지론』에서 설해진 사종성문의 개정(改定)이다. 세친은 이 사종성문 중에서 앞의 두 부류는 여래로부터 직접 수기를 받았지만, 나머지 두 부류의 성문은 상불경(常不輕)보살로부터 수기를 받았다고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법화경』에서 이 사종성문에 대응하는 경문을 찾아 그들의 성불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네 부류의 성문이 모두 성불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관건이 되는 것은 유가행파에서 성불할 수 없는 성문으로 분류한 취적성문(趣寂聲聞)의 성불 여부이다. 그러나 취적 성문에 관해서는 「화성유품」에서 아라한의 죽음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면서 그들의 성불을 선언하고 있다. 따라서 경전에 취적성문이 성불한다는 내용이 설해져 있으므로, 세친은 수행론적 관점이 반영된 취적성문이라는 용어를 종성론적 색채가 투영된 결정성문으로 변경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변경은 『법화경』의 ‘일체중생의 성불’이라는 명제와 유가행파의 ‘종성이론’ 사이의 긴장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만일 『법화경』의 일승(一乘)사상을 종성론적 관점에서 표현한다면 일종성(一種姓)이 될 것이다. The One Vehicl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is widely known as preaching the Buddhahood of all sentient beings. In this study, I review this topic, focusing on Vasubandhu’s commentary (法華經論, Fa-huaching- lun). In his commentary, Vasubandhu classifies the śrāvakas (disciples) of the Lotus Sutra into four types: śrāvakas who have turned away from the bodhicitta (退菩提心聲聞), śrāvakas whom buddhas and bodhisattvas have transformed into the shape of disciples (應化聲聞), arrogant (or self-conceited) śrāvakas (增上慢聲聞), and śrāvakas whose gotra is in a determinative state (決定聲聞). This categorization of four types of śrāvakas is a revision of that presented in Yogācārabhūmi (瑜伽師地論). Vasubandhu explains that, among these four types of śrāvakas, the first two types received predictions directly from the Tathāgata, while the other two types of śrāvakas received predictions from the Sadāparibhūtabodhisattva (常不輕菩薩). In this paper, I attempt to find the scriptures corresponding to these four types in the Lotus Sutra and examine whether they attained Buddhahood. The result is confirmation that all four types of śrāvakas can attain Buddhahood. In particular, the key issue is the śrāvaka who proceeds solely toward peacefulness (趣寂聲聞), who is classified as unable to attain Buddhahood in the Yogācāra tradition. As for this type of śrāvaka, however, the process after the death of Arhats is revealed, and their attainment of Buddhahood is declared in the “Parable of the Phantom City” chapter (化城喩品). Because the scripture says that this type of śrāvaka can attain Buddhahood, it is assumed that Vasubandhu changed the term “the śrāvaka who proceeds solely toward peacefulness” to “the determinative śrāvaka,” which projects the color of the gotra theory more clearly. This change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tension between the Lotus Sutra’s proposition of the enlightenment of all sentient beings and the gotra theory of the Yogācāra tradition. If the One Vehicl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were expre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tra theory, it would be the One Gotra.

      • KCI등재

        『법화경』 「비유품」의 사거에 대한 동물비유의 상징성 연구

        하영수 ( Ha Young-s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법화경의 「비유품」에서는 세 종류의 동물이 끄는 수레의 비유를 설하고 이를 삼승과 연결시켜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성문승과 독각승의 비유풀이에 대해서, 두 한역본인 『정법화경』과 『묘법연화경』에서는 성문승을 양의 수레로, 독각승을 사슴 수레로 풀이하고 있는 반면, 범어본에서는 대응관계가 뒤바뀌어 있다. 그러나 네 개의 항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대응관계가 뒤바뀐 두 개의 진술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이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범어사본 등을 참조하여 문제를 명확하게 하고, 이후 비유되는 동물의 상징성과 불제자의 유형의 공통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했다. 그 결과 가축으로서의 양(aja)의 특징과 성문의 붓다에 대한 의존성이 공통되므로, 양을 성문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또한 사슴(mrga)의 야생성과 독각의 無師獨悟라는 특징이 상통하므로, 사슴을 독각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살승과 불승에 소(go)의 비유가 사용된 이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먼저 법화경 자체에 붓다가 소로 비유되는 용례들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실제로 석가모니 붓다의 이름이 최상의 소를 의미하는 `고타마(gotama)`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소를 숭배하는 인도의 문화적 토양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추측되는데, 인도에서 최상의 소는 흰 소이기 때문에 `고타마 붓다`는 `흰 소의 붓다`를 의미한다. 바로 이러한 상징성에 의거하여 大白牛車가 佛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In the Chapter on Parable of the Lotus Sutra, the Buddha preaches a parable of chariots which are drawn by three kinds of animals and reveals its meaning by connecting with the three vehicles.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metaphor and object about the sravakayana (聲聞) and the praryekabuddhayana (獨覺) is reversed. In the two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i.e. Zheng-fa-hua-jing (正法華經) and Miao-fa-lian-hua-jing (妙法蓮華經), the sravak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sheep and the praryekabuddh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deer. On the contrary, this correspondence version is reversed in the critical edition of Sanskrit. If four items are fixed, two kinds of propositions in which their correspondence is reversed could not be allowed. Therefore, to examine this problem, I consulted with manuscripts of the Sanskrit versions of the Lotus Sutra, and then focused on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symbolism of the animals and the type of the Buddha`s disciples. As a result, the feature of sheep (aja) as livestock and the dependence of the sravaka on the Buddha have in common, so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sheep as a metaphor for the sravaka.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ness of the deer (mrga) and enlightenmentwithout- teacher (無師獨悟) of the pratyekabuddha are so common that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deer as a metaphor for pratyekabuddha.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I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parable of cow (go) was used in the bodhisattvayana (菩薩乘) and the buddhayana (佛乘), and I confirmed that the Buddha is likened to the cow in the Lotus Sutra. In addition, I paid attention to the Buddha`s name Gotama. Then, I assumed that a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Buddha as cow was used in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a which adores cow. Also, because the best cow in India is the white cow, the Gotama Buddha is symbolized by the Buddha of the white cow. Based on this symbolism, I assumed that the metaphor of the white cow was adopted for the buddhayana.

      • KCI등재

        日本 地方自治法의 實態와 法的性質에 關한 硏究

        河映秀(Ha Young-Su)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土地公法硏究 Vol.30 No.-

          Concept of local government is composing local government which local residents have power by law. And handle problem of region and self-government company business separatively without being interfered from central government. Also, autonomy can speak as activity process that handle administrative affairs independently under self-regulating responsibility readying finance expense voluntarily. That is, local government is meaning provides administrative service and solves region pending issue and administrative affairs connected with inhabitants independently naturally from central government for local residents.   Japanese local government passes over fixing stage of democracy, I have tried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and globalization by target. And regular discussion was gone in the 1990s. Japan Local autonomy It is related with essence. Theory an autonomous peculiar right theory and an autonomy consignment theory institutional. There is a security theor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with theory about Japan The Local Government Act Actual condition. And I have discussion about connection with decentralization.

      • KCI등재

        주민생활정보화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하영수(Young Su Ha)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4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어 있는 주민생활정보화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생활정보화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민생활정보화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민정보화가 아주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주민생활정보화교육의 필요성, 참여도, 효과성 등이 주민생활정보화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는 주민생활정보화 정책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민복지정보화 변수는 다른 변수들과 비교했을 때 실효성이 가장 강조되는 측면의 변수이다. 넷째, 유비쿼터스 마을조성은 신개념의 정보시스템이다. 이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는 비교적 약한 수준이었지만 주민생활정보화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 되었다. 새로운 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과 수준향상에 대한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다섯째, 지역안전관리시스템이 주민생활정보화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지는 않았지만 조사대상지역은 풍수해를 비롯한 자연재해가 타 지역에 비해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의 관리운영이 필요하다. Though this study analyzes about local resident`s quality of life elevation and leading person affecting in connected directly E-life`s Satisfaction and gropes local resident`s E-life promotion plan with this, there is purpose. If summarize result of this study first, leading person that affect to E-life`s Satisfaction can know that E-life is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econd, E-life education`s necessity, participation, effect etc.. that affect to E-life`s Satisfaction findings that necessity of public information is important about E-life policy know can. Third, when Resident welfare variable compared with other variables, effectiveness is emphasized side variable. Fourth, Ubiquitous village furtherance is information system of new concept. Human wisdom of inhabitantses was analyzed by variable affecting to E-life`s Satisfaction in reply although was weak level relatively. More efforts about inflection and level elevation for new information system are required. Fifth, local safety control system was not construed by leading person that affect to E-life`s Satisfaction but because natural disaster of Research zone is area that happen frequently than other area including storm and flood damage, need management operation of systematic system in reply.

      • KCI등재

        원위 상완골 관상면 관절 골절의 개방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의 임상적 결과

        영수(Young-Su Byun),신동주(Dong-Ju Shin),단진명(Jin-Myoung Dan),이성만(Seong-Man Lee),정대근(Dae-Geun Jeong),구태회(Tae-Hoe Gu),성수(Sung-Soo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개방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원위 상완골 관상면 관절 골절 환자를 Ring의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고,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세 곳의 각기 다른 병원에서 원위 상완골 관상면 관절 골절로 개방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11명을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Ring의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고,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로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골유합 및 합병증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 55세(15-88세)였고, 남자 3명, 여자 8명이었다. 평균 MEPS는 85점(60-100점), 최우수 4예, 우수 4예, 보통 3예의 결과를 보였으며, 1예를 제외한 10예에서 골절이 유합되었다, Ring 분류법에 따라 외과 후면 골절이 동반될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또한 활차 후면 골절이 동반될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MEPS와 운동 범위가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를과 보였다(p<0.05). 결론: 원위 상완골 관상면 골절 환자에서 개방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비교적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외과나 활차 후면까지 골절이 침범할 경우 불량한 예후가 예측되어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Ring’s classification system in patients with the distal humeral coronal plane articular fracture after treatment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the distal humeral coronal plane articular fracture treated with OR/IF in the three hospital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evaluat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according to the Ring’s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Eleven patients, including three males and eight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5 years (15–88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verag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85 (60–100), four patients had excellent, four had good, and three had fair results. Fracture union was achieved in ten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ccording to Ring’s classification, patients presenting fracture of the posterior aspect of the lateral column showed worse clinical results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the same for the patient presenting fracture of the posterior aspect of the trochlea. Conclusion: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provides good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for the distal humeral coronal plane articular fractu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of fracture involvement with posterior aspect of trochlear or capitellum can result in poor clinic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