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화경』 「비유품」의 사거에 대한 동물비유의 상징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igious symbolism of the chariots of animals at Chapter on A Parable in the Lotus Sut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화경의 「비유품」에서는 세 종류의 동물이 끄는 수레의 비유를 설하고 이를 삼승과 연결시켜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성문승과 독각승의 비유풀이에 대해서, 두 한역본인 『정법화경』과...

      법화경의 「비유품」에서는 세 종류의 동물이 끄는 수레의 비유를 설하고 이를 삼승과 연결시켜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성문승과 독각승의 비유풀이에 대해서, 두 한역본인 『정법화경』과 『묘법연화경』에서는 성문승을 양의 수레로, 독각승을 사슴 수레로 풀이하고 있는 반면, 범어본에서는 대응관계가 뒤바뀌어 있다. 그러나 네 개의 항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대응관계가 뒤바뀐 두 개의 진술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이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범어사본 등을 참조하여 문제를 명확하게 하고, 이후 비유되는 동물의 상징성과 불제자의 유형의 공통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했다. 그 결과 가축으로서의 양(aja)의 특징과 성문의 붓다에 대한 의존성이 공통되므로, 양을 성문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또한 사슴(mrga)의 야생성과 독각의 無師獨悟라는 특징이 상통하므로, 사슴을 독각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살승과 불승에 소(go)의 비유가 사용된 이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먼저 법화경 자체에 붓다가 소로 비유되는 용례들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실제로 석가모니 붓다의 이름이 최상의 소를 의미하는 `고타마(gotama)`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소를 숭배하는 인도의 문화적 토양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추측되는데, 인도에서 최상의 소는 흰 소이기 때문에 `고타마 붓다`는 `흰 소의 붓다`를 의미한다. 바로 이러한 상징성에 의거하여 大白牛車가 佛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hapter on Parable of the Lotus Sutra, the Buddha preaches a parable of chariots which are drawn by three kinds of animals and reveals its meaning by connecting with the three vehicles.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metaphor and object ab...

      In the Chapter on Parable of the Lotus Sutra, the Buddha preaches a parable of chariots which are drawn by three kinds of animals and reveals its meaning by connecting with the three vehicles.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metaphor and object about the sravakayana (聲聞) and the praryekabuddhayana (獨覺) is reversed. In the two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i.e. Zheng-fa-hua-jing (正法華經) and Miao-fa-lian-hua-jing (妙法蓮華經), the sravak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sheep and the praryekabuddh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deer. On the contrary, this correspondence version is reversed in the critical edition of Sanskrit. If four items are fixed, two kinds of propositions in which their correspondence is reversed could not be allowed. Therefore, to examine this problem, I consulted with manuscripts of the Sanskrit versions of the Lotus Sutra, and then focused on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symbolism of the animals and the type of the Buddha`s disciples. As a result, the feature of sheep (aja) as livestock and the dependence of the sravaka on the Buddha have in common, so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sheep as a metaphor for the sravaka.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ness of the deer (mrga) and enlightenmentwithout- teacher (無師獨悟) of the pratyekabuddha are so common that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deer as a metaphor for pratyekabuddha.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I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parable of cow (go) was used in the bodhisattvayana (菩薩乘) and the buddhayana (佛乘), and I confirmed that the Buddha is likened to the cow in the Lotus Sutra. In addition, I paid attention to the Buddha`s name Gotama. Then, I assumed that a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Buddha as cow was used in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a which adores cow. Also, because the best cow in India is the white cow, the Gotama Buddha is symbolized by the Buddha of the white cow. Based on this symbolism, I assumed that the metaphor of the white cow was adopted for the buddhaya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관, "천태사교의"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2 김경학, "소복합(cow complex)을 통한 인도 사회·문화의 이해"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5 (5): 1996

      3 차상엽, "샤마타圖(Zhi gnas dpe ris)와 道次第(L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 한국불교연구원 (32) : 65-85, 2010

      4 "雜阿含經"

      5 "阿毘達磨俱舍論"

      6 荻原雲來, "漢訳対照梵和大辞典"

      7 "法華遊意"

      8 "法華經義記"

      9 松本史朗, "法華經思想論" 大藏出版 2010

      10 松濤誠廉, "法華經Ⅰ·Ⅱ" 中公文庫 2001

      1 제관, "천태사교의"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2 김경학, "소복합(cow complex)을 통한 인도 사회·문화의 이해"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5 (5): 1996

      3 차상엽, "샤마타圖(Zhi gnas dpe ris)와 道次第(L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 한국불교연구원 (32) : 65-85, 2010

      4 "雜阿含經"

      5 "阿毘達磨俱舍論"

      6 荻原雲來, "漢訳対照梵和大辞典"

      7 "法華遊意"

      8 "法華經義記"

      9 松本史朗, "法華經思想論" 大藏出版 2010

      10 松濤誠廉, "法華經Ⅰ·Ⅱ" 中公文庫 2001

      11 辛嶋静志, "法華経の受容と展開" 平楽寺書店 1993

      12 坂本幸男, "法華経 上·中·下" 岩波書店 1965

      13 植木雅俊, "法華経 上·下" 岩波書店 2011

      14 藤田宏達, "法華思想" 1975

      15 "正法華經"

      16 현해, "梵文·漢譯·英譯·國譯 四本對照 妙法蓮華經Ⅰ·Ⅱ·Ⅱ" 成贊會·民族社 2004

      17 "妙法蓮華經"

      18 "妙法蓮華經玄贊"

      19 宇井白寿, "印度哲学研究 4" 岩波書店 1965

      20 "南本大般涅槃經"

      21 平川彰, "初期大乘佛敎と法華思想" 春秋社 1991

      22 "佛本行集經"

      23 "中阿含經"

      24 이병수, "中道에 근거한 『法華經』의 몇 가지 解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1) : 95-123, 2012

      25 中村元, "ブッダのことば スッタニパータ" 岩波書店 2002

      26 신명희, "『法華經』에 나타난 禪思想 一考 - 一乘思想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1) : 169-194, 2015

      27 최기표, "「법화경」 해석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불교학연구회 4 : 7-170, 2002

      28 Basham, Arthur Llewellyn, "The wonder that was India" Rupa&co 34-35, 1956

      29 Beer, Robert, "The handbook of Tibetan Buddhist symbols" Serindia Publications 2003

      30 Dines Andersen, "Sutta Nipāta" Oxford Univ 1913

      31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nctionary"

      32 Kern, H., "Saddharmapuṇḍarıka or the Lotus of the True Law" Dover 1963

      33 Hirohumi Toda,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Central Asian Manuscripts; Romanized Text" Tokushima kyoiku Shuppan Center 1981

      34 Shoko Watanabe, "Saddharmapuṇḍarīka Manuscripts Found in Gilgit. Part2" The Reiyukai 1975

      35 U. Wogihara, "SP(WT) Saddharmapuṇḍarikasūtra" Sankibo Buddhist Book Store 1958

      36 P.L. Vaidya, "SP(V) Saddharmapuṇḍarikasūtra"

      37 Nalinaksha DUTT, "S(D) Saddharmapuṇḍrīkasūtram, with N. D. Minorov’s Reading from Central Asia MSS"

      38 江島恵敎, "Index to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Sanskrit, Tibetan, Chinese" The Reiyukai 1993

      39 H. Kern, "Bibliotheca Buddhica Ⅹ, St. Pétersbourg, 1908-1912"

      40 Hirohumi Toda, "A Classification of the Nepalese Manuscripts of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2)"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