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 그동안의 담론 검토를 중심으로

        김상영 韓國佛敎硏究院 2014 불교연구 Vol.40 No.-

        Discours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has been a major theme within the Korean Buddhist studies community since the 1980s. This theme has been expressed viaphrases such as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Korean Buddhism" or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depending on the scholar. However the theme of this discourse consistently addresses the questions, "Does Korean Buddhism possess any unique characteristics? If so, what are they?" Prior to the 1980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had been understood within the frameworks of "interpenetrating Buddhism" (K. tong bulgyo) and "state-protecting Buddhism" (K. hoguk bulgyo), which have been commonly regarded as defining features of Buddhism as historically practiced within Korea. However, recent academic discourse regarding this theme has revealed a diversity of historical realities and interpretations thereof which has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our understanding of Korean Buddhist history as a whole. In spite of this recent research, however, it is my opinion that discourse regar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has just begun and we should refrain from drawing any definitive conclusions on the matt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iew the primary contents of the academic discourse regard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over the past 30 years. First, the work of Sim Jae-ryong is reviewed in detail, which founded the discourse concerning the "theory of interpenetrated Buddhism;" followed by a survey of the subsequent work of Korean and overseas scholars. In addition, critical research regarding the "theory of stateprotecting Buddhism" is examined, followed by an introduction of recent developments in related studies. Substantial achievements have been made within the discours e a propo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hich has come to involve non-Korean scholars and scholars trained over seas. However, in my opinion, the arguments criticizing the frameworks of "interpenetrated Buddhism" and "state-protecting Buddhism" are much stronger than the arguments made in their support. Thus, the academic discussion regarding the unique or definitive characteristics of Korea's national Buddhist tradition should move beyond the "effort to laboriously prove tha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is interpenetrated Buddhism" as this limits the scope of discourse and hinders progress. Two issues must be resolved before any further attempts are made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First, discourse must proceed based on historical facts. Second, in order to reap more productive and meaningful results from thi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lete discussion concerning the various historical perspectives regarding Joseon-era Buddhism among scholars. The settlement of these two issues would hopefully enable the Korean Buddhist studies community to move forward in this discussion. 1980년대 이후의 한국 불교학계에서 담론으로 칭해도 좋을 만큼의 주제가 하나 발견된다. 바로 '한국불교의 특성'과 관계된 담론이다. 연구자에 따라 이것을 한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또는 한국불교의 성격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이들의 담론은 결국 한국불교에는 특성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하는 내용으로 귀결된다. 적어도 1980년대 이전까지 우리는 한국불교의 특성을 '통불교(회통불교)'와 '호국불교'의 틀 속에서 이해하여 왔다. 그것은 마치 상식처럼 통용되던 개념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 진행된 담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전혀 새로운 관점과 사실을 많이 접하게 되었고, 그 결과 한국불교 역사 전체를 이해하는 지평이 확대되기도 하였다. 그동안의 적지 않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한국불교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담론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우리는 아직까지 한국불교 특성과 관련하여 그 어떠한 결론을 도출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논문은 지난 30여 년간 진행된 한국불교 특성과 관련한 담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이른바 '통불교론'의 본격적인 담론이 형성되는 단초를 제공한 심재룡의 연구를 자세하게 정리하였고, 이후 제기된 국내외 학자들의 주요 연구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호국불교론'을 비판적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들을 정리한 이후, 최근 진행되고 있는 호국불교 관련 연구의 동향과 성과를 소개하였다. 외국인, 혹은 외국에서 유학한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기 시작한 '한국불교 특성' 담론은 그동안 적지 않은 연구 성과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이른바 통불교와 호국불교를 비판했던 주장들에 비해 그 對論은 다소 빈약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향후 이 담론은 '한국불교는 통불교(회통불교)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애써 규명하기 위한 노력에 머무르지 말아야 한다. 이것을 마치 명제처럼 인식하고,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 논설을 펴는 연구는 오히려 그동안 진행되어온 담론의 수준을 후퇴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학술 담론에 있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이 담론은 무엇보다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째, 이 담론이 보다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 조선시대 불교사를 바라보는 史觀과 관련한 담론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과제의 해결을 통해 향후 한국 불교학계의 연구 수준이 진일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不然 李箕永의 韓國佛敎史 硏究

        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5 No.-

        이 글은 不然李箕永(1922~1996)의 한국불교사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불연은 우리 역사를 전공하기 위해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했고, 예과를 수료한 뒤에는 같은 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했다. 벨기에의 루벵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할 때도 불교에 중점을 둔 새로운 종교사 연구를 시도하겠다는 생각을 한 바 있었고, 귀국 이후 불교학 내지는 원효사상(Won-Hyo’s Thought) 연구에 집중하여 남다른 성과를 이룩했지만, 그의 관심은 한국불교사, 특히 신라불교사를 떠나지 않았다. 불연은 역사를 불교의 술어로 緣起(Paṭiccasamuppāda)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불연이 이해하는 역사는 단순히 발전하는 것도 기계적으로 순환하는 것도 아니다. 역사란 신이 조종하는 것도 운명도 아니기에 발전할 수도 퇴보할 수도 있는 가변적인 것이 된다. 불교적 입장에서 역사를 이해하고 있던 불연은 유물사관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었다. 불연에 의하면, 유물론은 인간을 경제의 노예로 전락시키고 모든 정신문화의 가치를 가소평가 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고, 인간의 역사를 계급적 갈등 관계로만 이해하는 유물사관의 획일주의적 결정론에도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불연의 주장에 의하면, 불교의 이해 없이는 해명될 수 없는 것이 한국의 역사시대라고 한다. 이 때문에 불교와 사회와의 관계를 추구하는 입장에서 한국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은 불가결의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불교와 사회의 관계는 서로 유리된 관계가 아니라, 사회는 불교에 의해서 이끌려 왔고, 불교는 사회 속에서 변용되면서 사회 자체를 이루어 온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한국불교의 특수성을 알기 위해서는 중국불교나 일본불교 등과 비교 평가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불연은 신라불교의 특징을 밝히려는 여러 노력을 했다. 불연은 『삼국유사』는 물론이고 신라 승려들의 여러 저서를 검토했다. 신라의 고승으로는 원효를 비롯한 원광, 의상, 명효 등에 관심을 보였고, 신라의 불교전적에 대해서는 원효의 여러 저서를 비롯하여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명효의 『해인삼매론』, 『석마하연론』 등을 연구했다. 신라불교에서 보살계의 정신이 강조되었다거나 신라인의 세계관이 철학적 통찰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그의 견해는 신라 학승들의 여러 저서를 검토한 뒤에 얻은 결론이었다. 불연은 1974년에 한국불교연구원을 개원한 뒤에 5명의 연구원과 함께 『불국사』 등 한국의 사찰 18책을 간행했다. 해당 사찰의 역사와 사상, 그리고 유물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서술함으로써 한국문화의 고향으로서의 사찰을 탐구한 한국의 사찰은 이 방면 연구의 선구적인 업적이었다. 불연은 1970년대에 「불교사상의 수용과 변모」와 「고려후기의 불교사상」, 그리고 「조선왕조 말기의 불교」와 「한국현대 불교사상」 등 한국불교사의 전개 과정과 관련된 글을 발표했고, 이를 다시 정리한 『한국의 불교』를 세종대왕기념사업회의 교양국사 총서 중의 한 책으로 간행하기도 했다. This essay aims to elucidate Bulyeon Rhi Ki-Young (1922~1996)’s academic achievement of Buddhist history. He entered a preparatory cours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to study Korean history. After completing the preparatory course, he studied Asian history at the history branch in the faculty of law. When he was studying philosophy at Louvain University in Belgium, he tried to conduct a new religious history research concerning Buddhism. Even though he made a distinctive academic achievement on Buddhism and Won-Hyo’s thought since he had returned to Korea, his greatest concern was Korean Buddhism and Buddhism of the Silla Kingdom. Bulyeon explains history with Buddhist concept of Paṭiccasamuppāda(緣起). Therefore, for him, history is not something simply progresses nor mechanically circulates. Since history is not masterminded by God or fate, history for him is something variable so that it can progress or retrogress. His perception of Buddhist history made him critical of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history. According to him, historical materialism makes human kind a slave of economy and underestimates the value of spiritual culture. And its standardized determinism, which explains history only as a struggle of classes, also has a serious problem. Bulyeon asserted that Korean history can not be properly understood unless there is a deep understanding on Buddhism. Therefore, to conduct Korean history research, one most necessarily needs to concern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the world. According to him, Buddhism and the world are not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world has been led by Buddhism and the world has changed Buddhism into the world itself. He also insisted that to understand unique feature of Korean Buddhism, one should understand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Bulyeon made a various effort to elucidate distinct feature of Buddhism of the Silla Kingdom. He examined Samgukyusa and other Buddhist writings from Silla period. He studied Buddhist dignitaries like Wong-wang, Ui-sang, Myeong-hyo as well as Won-hyo, and examined various Buddhist books like Hwaeomilseungbeopgyedo, Myeong-hyo’s Haeinsamaeron, Seokmahayeonron, and Won-hyo’s writings. After the extensive research, he came to a conclusion that Silla people create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based on Buddhist philosophical insight and the spirit of bodhisattva-sīla (菩薩戒) was emphasized in Silla Buddhism. Bulyeon established the Institute of Korean Buddhism in 1974, and published, with 5 researchers, 18 books of Korean Buddhist Temple Series including Bulkusa Temple. These books were a pioneering achievement of Korean Buddhism since it was a comprehensive account of history, relics, and thoughts of Korean Buddhist temples. By this achievement, Korean Buddhist temples were re-discovered as the origin of Korean culture. In 1970s, Bulyeon presented essays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like The Acceptance and Transition of Buddhist Thoughts, Buddhist Thoughts in the Late Koryeo Dynast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Korean Modern Buddhism. And he compiled these essays into a book titled Korea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as one of the Korean History Book series of the King Sejong Memorial Foundation.

      • KCI등재

        해방공간미군정(解放空間美軍政)의 불교정책연구(佛敎政策硏究) -정책실패요인(政策失敗要因)을 중심으로-

        김범준 ( Bum Jun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본 연구(硏究)의 초점(焦點)은 미군정기(美軍政期)의 종교정책(宗敎政策)추진 과정상에서 정책실패(政策失敗)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학습(政策學習)을 통한 시행착오를 줄여 향후 종교정책(宗敎政策)의 효율성(效率性)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여기서 정교분리원칙(政敎分離原則)이란 국가(國家)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자신의 신앙(信仰)을 지키고 종교(宗敎)에 혜택을 주는 것이다. 종교에 대해서 우리 헌법상(憲法上)제20조에는 종교의 자유 및 정교분리 조항이 있다. 여기서 정교분리 원칙에는 기준이 있다. 국가에 의한 종교의 차별(差別)의 금지(禁止)가 최우선 되어야만 한다. 이때 국가는 다른 종교의 신앙을 제한(制限)하는 행위를 방지하여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군정(美軍政)과 이승만(李承晩)은 정교분리(政敎分離)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정교분리 의식이 미약하였고, 그들의 종교적 性向에 따라 기독교식정치(基督敎式政治)를 지향(指向)함으로써 정교유착(政敎癒着)의 심화(深化)와 특정 종교에만 각종 지원과 혜택을 주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적산처(敵産處) 리문제(理問題) 사찰령(寺刹令) 방송선교(放送宣敎) 형목제도 편향적인사정책(偏向的人事政策)등은 정교분리(政敎分離)원칙의 위반 시비를 불러온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당시 불교교단(佛敎敎團)의 소극적인 태도와 교단내(敎團內)의 내부적인 갈등(葛藤)도 중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당시 불교교단(佛敎敎團)의 사찰령폐지(寺刹令廢止)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은 비록 미군정(美軍政)의 군정청장관(軍政廳長官)의 인준거부(認准拒否)로 법률(法律)이 성립하지 못하게 되었다고는 하나 불교교단(佛敎敎團)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찰령에 대한 입법적조치(立法的措置)나 논의(論議)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던 점은 당연히 비판 받아야 마땅하며 미군정(美軍政)에 대한 종교정책(宗敎政策)에서 불교교단의 부참여(不參與)는 정책실패의 중요 원인(原因)일 것이다. 2년 11개월 동안의 미군정기(美軍政期)와 이승만(한민당) 정권은 한국전쟁 전 후의 시대상으로서 좌파 우파의 투쟁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미군정은 1947년 3월 트루만 독트린(Truman Doctrine) 선언 이후 한국불교교단(韓國佛敎敎團)을 일방적으로 좌파 단체로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미군정과 이승만은 종교문제(宗敎問題)를 냉전논리(冷戰論理)에 입각하여 한국의 기독교(基督敎)에 지원과 혜택을 제공하여 종교편파적(宗敎偏頗的)인 성향의 정책결정(政策決定)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독교(基督敎)는 한국전쟁 전 후의 풍부한 원조물자(援助物資)와 미군정(美軍政)의 무분별하고 편파적인 적산불하(敵産拂下)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지만 반면에 한국불교(韓國佛敎)는 일제 식민지 불교의 좌절에 이어 또 다시 정체성 위기(Identity crisis)를 맞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주도세력이었던 미군정과 이승만(한민당)은 정치적 의도와 냉전논리 에 입각하여 종교적 편향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더 나아가서 장면정부시기(張勉政府時期)를 거쳐 지금 현재까지의 종교(宗敎)의 정책학습(政策學習)을 통한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교에 대한 미군정(美軍政)의 정부개입(政府介入)의 유형(類型)을 통해서 한국불교(韓國佛敎)는 향후 정부의 종교정책(宗敎政策)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방안(對應方案)을 모색(摸索)해 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olicy on the Buddhism(佛敎政策)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美軍政) could be said that it was a clear example of the failure of a policy. Firstly, The policy on the Buddhism(佛敎政策)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美軍政) wasn`t obeyed a fundamental rule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the religion and also a fundamental rule of separation between policy and religion. After the liberation, the policy on the Buddhism, which was progress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been shown partial and preferential intervention with out accordance with it`s aim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the religion. They maintained the system of the low, which oppressed and discriminated to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and logics on the system of the cold war by the High- ranked official, they used public management broadcast for the broadcast of the Protestantism, and also discriminated distribute had been done, and designation of the Christmas as a holy-day, For the price of these partial and preferential intervention, the High- ranked official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Protestant constructed intimating cooperation system, Second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n`t even looking at policy on religion as a religious but they looking it as a problem of ideological. Thirdly, in case of supreme commanders assuming leadership of the policy on religion could be involving associations, which is occurred from supreme commander` spersonally political and religious propensity. In this case, it could be said that it was policy of the pro-Christianity which is brought by the supreme commander Douglas Mac Arthur`s persnal propensity. Finally, the Christianity occupied almost responsible position and they had participated in decision on the policy about the religion. Such partiality brings upun-cooperation of the Buddhist clique in long term. Therefore, we need to make improvements by having minute observation on the problems of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alysis these stuff again, firstly, the process in the policy formulation, as we could see, in chance of the founding and decision about policy of the religion, participation of the Buddhist clique had to be done. And also shown in the area of the separation of the politic and religion or clearing off of the Japanese ruling period, practical and feasible objects were had to be established. Then the plentyof time and rationality of the procedures were needed in area of making the policy of the religion. Secondly, the proces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frames for vitality of policy settlements had to be prepared and the section of religion, of which sense of discrimination and conception in long term is needed, were not being in hastily propulsion. And needed concreted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planning that includes the methods of the mobilization of the resources and the methods of the making connection between an objective and a device. Finally, process in the policy evaluation, an objectivity of the valuation of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to be ensure, but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notin forms of justice or objective, and also we could pointing out that there was an un-clearness of the responsibility in the policy valuation lies.

      • KCI등재

        비단길과 한국불교

        정병조(Jung Byung-Jo)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9 No.-

          Central to this paper is the ideological meaning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monks from Korea and western China through the Silk Road.<BR>  Buddhism was one of the popular ideas in western China, it could not develop its doctrines due to the geographical facts. Instead some sorcery ceremonies and rites were developed here. So Buddhism here became a sort of a religion for spiritual peace and enlightenment or for self-protection.<BR>  This is why India"s Esoteric Buddhism became to contain Lama"s Buddhist characteristics, when it came to western area.<BR>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and Korea and a number of monks searching Dharma through the Silk Road let Buddhism grow in ideological way. Buddhism helped Korea"s old nations form the base with its developed culture.<BR>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s Buddhism and the Silk Road, the conclusions which can be drawn are these: 1) the ones who introduced Korea Buddhism were Indian monks, 2) Korea"s monks had particular purposes such as visiting sacred places, studying new sutras and traveling through the Silk Road and 3) most of them were respected for their ascetic practice.<BR>  Regarding most of the records on Buddhism of westernChina and the Silk Road rely on the Chinese authorized history, it is possible to see western Buddhism in a crooked view point.<BR>  But, so far the historical materials in Ho language are so rare that it is still hard to get the right view on western Buddhism.<BR>  The outcomes and the studies based on them of many research groups in Mid Asia link up with Buddhism in ancient Korea.<BR>  Given that the western region wa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East and the W est and had unique traditions, the study of Buddhism in this area is in need of more extensive research.<BR>  Moreover, considerable work needs to be done on the study of Esoteric Buddhism in this area.   본 논문에서는 실크로드를 넘나든 한국승려들과 서역승려들의 행적을 살펴보고, 그 사상적 의미를 살펴보았다.<BR>  서역 일대에서 가장 현저한 호응을 받았던 가르침의 하나가 불교였다. 다만 험난한 風土때문에 이 일대에서는 교리 위주의 불교가 발전할 수 없었다. 오히려 형식의례, 呪術儀禮에 치중하면서 불교를 安心立命내지는 護身의 절대적 가르침으로 이해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인도의 밀교는 서역에 이르러 라마적 불교전통으로 바뀌어 수용하게 된다. 오늘날 비교적 현저하게 그 서역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곳은 티베트 정도가 꼽힐 따름이다.<BR>  실크로드를 통한 중국과 한국의 불교 전래와 많은 스님들의 구법 활동은 불교 자체의 사상적인 면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발전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선진문화를 수용함에 따라 한국의 고대사회는 그 기본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BR>  실크로드와 한국불교의 관련을 인물중심으로 살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첫째, 한국에 불교를 전한 이들은 대부분 인도승려였다는 점, 둘째, 한국 승려들이 실크로드를 따라 구법여행을 떠난 것은 성지 참배, 신학문수용, 경전수입 등의 목표가 있었다는 점, 셋째, 구법승려의 대부분은 두타행이 남다름으로써 존경을 모았다는 점 등이다.<BR>  실크로드와 관련된 서역불교의 사료들은 주로 중국의 西域經營 결과로 남아있는 正史의 기록이나 그 외의 한문 문헌 사료를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자칫 중국인들의 눈을 통해 본 佛敎史에 한정되기 쉬운 점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현존하는 胡語관계의 사료들 그 수가 극히 적어서 서역불교의 전체모습을 가늠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다.<BR>  중앙아시아의 각 지역에서 행해졌거나 지금도 행해지고 있는 각국 학술조사단의 연구 성과 및 그들이 가져온 자료에 기초한 각 분야의 연구는 한국 불교의 전래와도 깊은 연관을 가진다. 동서문화 교류의 루트였고 독특한 전통체계를 지녔다는 점에서 서역불교에 관한 연구는 보다 심도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지역적 특수성 때문에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이 지역 불교의 밀교적 경향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은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1935년 조선불교중앙선리참구원과 조선불교선종수좌대회 -<조선불교선종수좌대회회록(朝鮮佛敎禪宗首座大會會錄)>을 중심으로-

        오경후 ( Oh Kyeong-Hw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선학원의 1934년 재단법인 인가와 1935년 조선불교선종 선포는 한국 근대불교계의 변화였다. 선학원은 1921년 설립 직후 조선총독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우리만의 수행도량을 만들어보자는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이 목적은 한국불교의 독자성을 계승하고 면면히 유지하자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일제의 폭압과 간섭, 대처풍조는 청정비구승의 수행을 좌절시켰고, 선학원의 침체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수호와 선불교를 중흥시키는데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1931년 김적음을 비롯한 설립조사들의 선학원 중흥을 위한 노력은 10여 년 만에 재단법인 인가와 조선불교 선종 선포로 귀결되었다. 재정은 안정되었고, 선원과 안거대중 수는 크게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구참노덕(舊參老德)의 수행을 위한 양로선원의 신설은 수행 여건의 뚜렷한 향상이었다. 칭명염불(稱名念佛)이 불교의 전부로만 믿었던 청신사·청신녀 역시 선불교와 수행에 대한 적극적 인식으로 남녀선우회를 결성하고 부인선원까지 마련하여 안거에 참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불교 선종 선포 역시 재단법인의 기초 하에 그 체계를 확고히 하여 선불교의 근본적인 독립발전을 모색할 수 있었다. 더욱이 종명(宗名)은 당시 불교계의 ‘조선불교선교양종’과는 달리 한국불교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임제종운동의 이념을 계승하고 있었다. 때문에 ‘조선불교 선종’은 유구한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산물이었고, 왜색화되어 갔던 당시 불교계와는 다른 한국불교의 정통성 계승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선리참구원의 양로선원 신설과 재가신자의 선불교 인식과 본격적인 수행은 일제하 불교계의 변화로 지적할 수 있다. 한국불교의 명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기도 하지만, 수행여건 향상과 선불교의 대중화는 대처승 일색의 당시 불교계풍조에서는 확실히 이채로운 것이었다. 선학원 연구는 단순히 선학원 차원에서 머무를 수 없는 근대불교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설립이념과 참여했던 인물들은 시세를 거슬렀고 동시대에도 주목받지 못했었다. 때문에 선학원 연구는 일제하 불교사의 다양성을 살피고 그 위상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한국근대불교사 연구차원의 선학원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Seonhakwon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creating our own training place that is not subject to the interfer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is purpose contained the important meaning of succeeding and maintain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fter overcoming the recession, the efforts of the founding investigators including Kim Jeok - eum in 1931 to revitalize the Seonhakwon resulted in the approval of the foundation and the declaration of the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after 10 years. The finances were stabilized, and the number of the Chanyuan (禪院) and attendants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for the old practitioner was a marked improvement in the training conditions. The believers, who believed that chanting Buddha was only the whole of Buddhism, also formed and participated in meditation groups with an active awareness of Zen Buddhism and meditation. The proclamation of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was also able to seek a fundamental independent development of Zen Buddhism by solidifying the system under the foundation of the foundation. Moreover, the name of the order was not only the identity and identity of Korean Buddhism, but also inherited the ideology of the former Imjejong Movement, unlike the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For this reason,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was a product of the long tradition of practicing Korean Buddhism, and meant the succession of the authenticity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Buddhist world when it was Japaneseize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for the old practitioner by Chosun Zen Buddhist Research and Action Center and the recognition and full-fledged practice of Zen Buddhism by inhabitants are a change in the Buddhist worl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also an effort to maintain the prestige of Korean Buddhism, but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e conditions and the popularization of Zen Buddhism were certainly remarkable in the Buddhist trend of that time.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성지순례의 諸相

        정영식(Jeong, You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5 No.-

        근대이전의 한국인에 의한 국외 불교성지순례의 대상지는 주로 중국이었다. 그 이유는 중국이 동아시아불교의 종주국이었고, 불교교학의 선진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에 오면 일본을 많이 선호하게 되는데, 그것은 당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본불교를 근대화의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다. 일본불교성지순례는 시찰단이 주를 이루는데, 순수한 구법여행이라기보다 일본의 근대시설을 견학하기 위한 ‘선진문물견학’이 주목적이었고 참가자도 친일인사가 많았다. 한편, 李英宰는 일본에 유학하던 도중 스리랑카와 인도를 순례하기 위해 단신 스리랑카로 건너갔다. 그 후 캔디를 비롯한 스리랑카 각지를 순례하였지만 남겨진 기록은 별로 없고, 도중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인도는 순례하지 못하였다. 외국인에 의한 국내불교성지순례자로서는 相馬勝英이 특이하다. 그는 당시의 일본승려들이 ‘한국불교는 일본불교를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과 달리, 한국에 체재하면서 한국불교를 좋아하게 되었다. 특히 그는 방한암선사를 깊이 존경하였고, 선수행의 경지를 인정하였다. 그의 친한적 태도가 총독부의 한국불교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인들이 한국불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That was China where korean buddhists went on a pilgrimage to in pre-modern times. Because China was the center of east-asia buddhism. But in modern times, korean buddhists frequently go on a pilgrimage to japan instead of china. Because that not only korea was colony of japan from 1910 to 1945, but also korean buddhists recognize japan buddhism as a model of modernization. On pilgrimage to japan, many inspection teams were sent. But the purpose of inspection team was learning modern civilization of japan than purely learning buddhism. On the other hand, Lee Young Jae(李英宰) went to Sri-ranka to purely studying buddhism and make pilgrimage India’s holy place. But his pilgrimage India can not succeeded because of his sudden death. Soma shouei(相馬勝英) is a special person who made a pilgrimage holy place of korea buddhism in modern times. At that time, the most of japan buddhist thought that korean buddhism must follow japan buddhism. But Soma becomes respect korean buddhism, especially zen master Bang Han Am(方寒巖). Although his friendly view of korean buddhism can not influence 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many japanese buddhists become appreciate korean buddhism as worth learning.

      • KCI등재

        서구 ‘세속불교(Secular Buddhism)’의 도전과 기회 -불교의 세속화와 근대성, 어디까지 가능한가?-

        송현주 한국불교연구원 2020 불교연구 Vol.53 No.-

        2016년 종교인구조사에서 한국의 불교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또 이 조사에서 개신교 인구가 불교인구를 넘어섬으로써 한국불교계에서는 위기감이 고조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한국의 종교인구 자체가 50% 아래로 떨어져, 한국사회의 탈종교화·세속화(secularization)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구에서는 이미 세속화에 부응하여 불교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세속불교(Secular Buddhism)’라는 이름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 글은 스티븐 배철러(Stephen Batchelor)를 중심으로 ‘세속불교’의 내용과 특징, 논란과 비판,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불교의 미래, 즉 세속화의 도전과 기회를 미리 예측해보고자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글로벌문화 속에서 동양인들도 서양사상의 흐름을 일정 부분 공유할 수 밖에 없다. 서구 ‘세속불교’의 흐름 속에서 오늘날 한국의 젊은 세대들의 문제의식을 선제적으로 포착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불가지론적이며 개인주의적인 현대인에게 잠재되어 있는 철학적·종교적 탐색의 양상들을 추출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세속의 시대에 한국불교, 나아가 종교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2016 Religious Demographic Survey, the Buddhist population in Korea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Protestant population has surpassed the Buddhist population, which raises a sense of crisis in the Korean Buddhist world. At the same time, the religious population of Korea has fallen below 50 percent, and thus there is growing attention for the seculariz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West, the efforts to reconstruct Buddhism in response to secularization are already being actively developed under the name of “Secular Buddhism.” This article, focusing on Stephen Batchelor, examine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controversy and criticism, and the meaning of “Secular Buddhism.” This study is meant to predict the future of modern Korean Buddhism, by focusing 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ecularization. Amid the development of today’s global culture, it is inevitable for Asian countries to share the trends of Western thought. In the flow of Western “Secular Buddhism,” we will be able to preemptively capture the consciousness of today’s young Korean generation, and extract the aspects of philosophical and religious exploration that are latent in agnostic individualistic modern people. It will give us an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of Korean Buddhism and religion in this era of the secular world.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시대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김경집 ( Kim Kyung - Jib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만해 한용운(1879~1944)은 1910년 『조선불교유신론』을 탈고한 이후 승려의 입장에서 불교 개혁을, 독립운동가로서 일제에 항거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사회사상가로서 한국사회의 변화를 갈망하는 글을 발표하였다. 만해의 글 가운데 불교활동과 독립 및 사회활동 그리고 종교 및 문화에 해당하는 72편의 글을 모아 ‘<표 1> - 만해 한용운이 저술한 시론(時論)의 분류’로 정리하였다. 그 글속에는 일제하에서 야기된 한국사회와 불교의 문제점, 그리고 그 상황을 타개하려는 의지와 실천방향 등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그 내용을 시대적 추이에 따라 분석하면 그가 치열하게 살았던 1910년대와 20년대 그리고 30년대의 시대인식 변화를 알 수 있다. 그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만해의 시대인식은 다음과 같다. 1910년대 만해의 현실인식은 불교 개혁과 독립운동이었다. 불교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없었던 승려취처를 제안하였고,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을 발간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역할과 서적을 통해 불교계의 변화를 도모하였다. 사회에 대한 인식은 독립의식이었다.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한일합방으로 식민지 체제가 되자 세상을 주유하며 문명의 발전을 살펴보았다. 그런 과정에서 얻어진 민족의식으로 한국의 주권상실과 대중들의 고통을 바라보며 망설임 없이 3.1운동에 참여하였고 불교사상의 핵심인 자유와 평등으로 한국인의 자주권을 강변하였다. 1920년대 만해의 현실인식은 불교와 사회에 대한 가치의 확대였다. 불교에 있어서 문화적 가치에 눈을 떠 역사적인 자료의 수집과 전승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고유한 한국불교 문화를 대중들에게 알리는 것이 불교의 발전임을 인식하였다. 사회적 활동은 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여 독립을 지향하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1927년 신간회 경성지회장으로 선출된 후 여성의 권위와 역할에 대한 조언과 동맹휴학을 주도하는 청년들의 의식과 자세를 당부하였다. 그리고 이런 청년운동이 불교계에도 확대될 수 있도록 이끌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정립하면서 일제에 항거하는 단체로 발전시켰다. 1930년대 만해의 인식은 불교와 사회는 둘이 아니라는 심화된 의식이었다. 상의상관 속에 있기 때문에 불교를 개혁할 때 우리 민족의 정신과 생활을 혁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런 불교 개혁의 시작은 불교와 정치의 분리, 한국불교통일기관의 설치, 그리고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불교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회활동은 더욱 심화되어 불교를 포함한 한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1920년대 문제의식을 넘어 농민문제, 재만 동포의 문제, 한글장려, 그리고 교육문제 등 한국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 전반에 걸쳐 비판하였다. 이런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자기 일은 자기가 한다는 강력한 의지력과, 모든 산업에 있어 새 길을 개척하려고 노력하여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Han Yong - woon (1879~1944) published an article that longed for changes in Buddhism 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analyz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reveals the recognition of the era of 1910s, 20s, and 30s, when he lived fiercely.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1910s was Buddhist reform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for the Buddhist system, the Buddhist system was changed through the roles and books that fit the new era. The perception of society was independent. When it became a colonial system, I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Looking at the suffering of the masses, I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without hesitation. He spoke about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with freedom and equality, the core of Buddhist thought.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1920s was an extension of values to Buddhism and society. The awareness of Buddhist culture has increas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collect and pass on historical data. It was the development of Buddhism that informed the public of such a unique Korean Buddhist culture. His social activity was to establish our identity and independence from Japan. He was very interested in women and youth activities. And he tried to expand the youth movement to the Buddhist world. He allowed the Buddhist youth to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erception of the 1930s was a deepening awareness that Buddhism and society were not two. He thought that when he reformed Buddhism, he could revolutionize the spirit and life of our nation. His idea of Buddhist reform was to separate Buddhism and politics, establish a Korean Buddhist unification agency, and create Buddhism that the public could understand. He criticized all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including Buddhism. And as a solution, his work presented a strong willpower and a new way of paving the way.

      • KCI등재

        만해의 독립운동과 선학원 - 재산환수승소판결문을 중심으로 -

        최종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만해 용운선사(이하 만해)는 선학원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항일운동과 함께 불교계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그는 민족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았으며 또한 자비를 실천하고 다른 이의 깨달음을 위해 노력하였다.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만해의 행적과 희생적인 노력은 민족불교의 중요한 초석이었으며 왜색불교를 타파하기 위한 임제종 운동, 그리고 선학원과 항일 운동이라는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열 수 있는 것이다. 선학원은 임제종을 시원(始原)으로 삼아 시작되었다. 선학원 설립의 시초부터, 만해는 견고한 이념적 토대를 실질적으로 제시하게 된다. 만해의 독립운동은 선학원 설립의 정신적 이념이 되었으며 선학원은 설립 이후, 만해를 중심으로 한 불교계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기여하였다. 일찍이 그는 조선불교청년회 창설, 그리고 조선불교임제종 창립 즉 보종운동(保宗運動)과 같은 다양한 불교계의 항일운동 내지 그 흐름을 주도하였다. 만해는 임제종의 관장[대표]을 맡았던 일이 있었고, 임제종의 전통을 전승한 선학원을 활동거점의 중심지로 삼았다. 그래서 오늘날 만해는 선학원을 설립한 여러 선사들과 더불어 선학원 조사 가운데 한 분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만해는 3·1만세운동의 배후자로 일제에 의해 검거되어 영어의 몸이 되었다가 선학원 창설 직후인 1921년 12월, 출옥하면서 선학원으로 운신하였다. 여러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보면, 만해는 선학원의 정기 총회에 꾸준히 참여했고, 이 곳에서 1931년까지 약 10여 년 동안 그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회복과 독립운동으로 동분서주하였다. 선학원의 만해는 좌익과 우익의 연합체인 ‘신간회’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신간회의 경성지회 대표를 맡아 활동하였다. 또한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해 한문 불적을 유려한 국한문 혼용체로 번역하였고, 끊임없는 대중 강연으로 교육활동을 병행하였다. 일본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망령의 상징이라 할 일본경찰에 의해 만해는 6·10 만세운동의 주요 배후 인물로 지목 받아 선학원의 입구에서 긴급 체포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국의 독립, 그리고 한국민족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지원하며 찬동 연설을 강행했으며, 조선학생을 위한 대학인 민립대학을 설립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해가 선학원에 머물며 활동했던 상기의 제반활동을 시기적으로 재검토하는 한편, 만해의 독립운동과 선학원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재산환수소송 판결문을 통해 선학원 설립의 시대적 상황과 설립에 끼친 만해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련의 사실을 통해 선학원의 만해가 전개한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 불교 보종운동인 임제종 운동 및 항일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선학원 설립에 대해 만해가 끼친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학원이 덕성학원과 재산환수의 건으로 소송을 진행했던 판결문을 객관적인 자료로서, 그리고 중요 1차 사료로 채택하였다. 3·1 만세운동으로 감옥에 갇혀 있던 만해 용운 선사는 감옥에서 나온 직후, 선학원을 활동 중심지로 삼고 일본제국주의에 효율적으로 대항하는 한편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한국역사에 깊이 스며든 불교전통의 보존을 위한 ... Seonhakwon was established upon the foundation of the Yimje Order. When Seonhakwon was first founded, Manhae Yongun Seonsa(Ven.)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robust ideological foundation. Due to this contribution, h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ny founders of Seonhakwon, along with many monks who were involved with the sect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Ven. Manhae had served as the executive chief of the Joseon Buddhist Yimje Order, and considered Seonhakwon - the historical successor of the Yimje Order - as the hub of his spiritual activities. In addition to dedicating his life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Manhae Yongun Seonsa(Ven.) led a life of service for the Korean people. He practiced mercy while making an effort for other people to reach this enlightenment. Such an effort by Ven. Manhae derived from traditional teachings of Buddhism. His efforts were self - sacrificial and noble, and opened the way for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Manhae Yongun Seonsa(Ven.) of Seonhakwon took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inganhoe, an alliance created from the balance between the political left and right. He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Seoul branch of the organization. Also, in an attempt to propagate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Korean Buddhism, he made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uddhist books originally translated from Sanskrit to Chinese. Ven. Manhae also consistently gave lectures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rocess, the Japanese Police - the symbol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 began suspecting him as the leader of the June 10 Independence Movement, so Ven. Manhae was arrested at the entrance to Seonhakwon. Manhae Yongun Seonsa(Ven.) made a constant effort for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Korean people. He supported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ity funded and founded by the Korean people.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and identity of Seonhakwon,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Manhae Yongun Seonsa(Ven.) and Seonhakwon. Once, Seonhakwon stood in the court as a plaintiff in a civil lawsuit regarding a property issue. The judgment from the trial in that lawsuit reveals the impact of Ven. Manhae o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The current study adopted the written judgment from the lawsuit as a crucial and objective material that can clarify the impact of Ven. Manhae o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In addition, facts disclosed in various data indicate that Manhae Yongun Seonsa(Ven.) regularly attended the ordinary general meetings of Seonhakwon. When he was released after serving a prison time due to his involvement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Ven. Manhae relocated his center of activity to Seonhakwon to engage in a dynamic anti - Japanese movement. In addition, to efficiently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from Seonhakwon, he als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ism. Furthermore, he did not spare his effort to preserve the Buddhist traditions deeply penetrating the history of Korea.

      • KCI등재

        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최병헌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한국불교사에서 원효는 거사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승속불이(僧俗不二)의 보살행을 통하여 신라불교의 사회적 기반을 크게 넓히었고, 대승불교 거의 모든 분야의 경전에 대한 주석 작업을 통하여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함으로써 신라불교를 뛰어넘어 동아시아 불교사상의 발전에까지 크게 기여하였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원효 연구는 수많은 논문과 저술의 양산에도 불구하고 원효의 행적에 대해서는 아직 설화적인 이해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불교사상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이해체계를 수립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일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원효 연구를 어렵게 하는 근본적인 이유로는 우선 자료의 절대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원효는 승속을 넘나드는 무애한 교화 활동을 전개한 반면에 제자를 적극적으로 양성하거나 종파를 창립하지 않은 결과, 그의 불교는 후대에 제대로 계승되지를 못하였다. 원효의 평생 도반이었던 의상이 화엄종이라는 새로운 종단을 조직하고 제자를 열심히 양성함으로써 이후 불교계의 주류로 등장하여 면면히 계승될 수 있었던 것과 대조되었다. 원효 사후 1,300여년 동안 원효 불교는 계속하여 잊혀져 오는 가운데 몇 차례의 재발견 사례가 발견되었을 뿐이다. 첫째는 9세기초 손자인 설중업이 원효소상과 고선사서당화상비의 조성 등 추모사업을 통하여 학승·교화승·신승으로서의 원효를 현창하였으며, 둘째는 11세기 후반 의천이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이루어진 불전(장소)들을 수집하여 교장(敎藏)이라는 총서로 간행하는 과정에서 원효 불교의 역사적 의의를 발견하고 “화쟁국사”를 추증케 하여 정통 조사의 지위로 끌어올린 적이 있었다. 셋째는 20세기 전반 최남선이 일본 근대불교사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일제의 식민지불교사학에 대항하여 한국불교사를 연구하는 가운데 원효불교의 역사적 위치를 발견하고 “통불교론”을 제창하여 이후의 원효불교상의 정립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이기영은 원효의 불교사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한국불교사상사의 중심인물로 자리 잡게 함으로써 이후의 불교학계에서의 연구를 선도하는 한편 원효를 거사의 관점에서 시종 일관되게 접근하여 승속불이의 보살사상으로 이해하고 대중화를 위한 실천운동을 전개하여 학문연구와 실천운동을 병행하는 전범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7세기 후반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한 사상가, 그리고 무애의 보살행을 펼쳤던 대중교화사로서의 두 얼굴을 가진 원효의 온전한 모습, 그리고 사회통합과 국가발전에 기여하였던 역사적인 역할이 새롭게 조명될 수 있었다. 오늘날의 한국 불교계에서 원효를 주목하고 재평가하려는 의미는 일차적으로는 과거의 역사로서 원효 불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현재 한국불교의 좌표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오늘날 우리 불교계에서는 출가자 감소와 신자 수효의 정체로 인한 불교의 쇠퇴를 염려하고 있으나, 그보다 더 근원적인 위기는 원효와 같은 뛰어난 사상가이자 대중교화사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불교사상체계와 수행방법을 계발하지 못하게 된 불교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그런데 그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그러한 불교계의 문제점과 시대적 과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역사의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출가 재가를 불문하고 무엇보다도 오늘날 불교계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성찰하는 데서 출발하여야 할 것이며,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불교연구의 부진과 화석화된 간화선의 집착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서 이 시대 선지식이 될 수 있는 뛰어난 사상가를 배출하고,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사상체계와 수행방법을 계발하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종단에서는 전근대적인 종파의식이나 문중의식의 편협성, 화석화된 간화선 지상주의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서 원효 불교와 같은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하는 한편 세속사회 속에 들어가 대중을 교화하는 길로 나서야 할 것이며, 불교계의 체질화된 세속성과 어용성을 청산하고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재정립할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