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트랜스휴먼 시대에 따른 미래직업세계 연구

        성원(Seongwon Park),박가열,최영순,진설아(Seola Jin),황윤하,홍성민(Seongmin Ho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ocess by which we can forecast how the world of work will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Generally, studies discussing changes in technologies and works have been considered the effect of technologies on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jobs and the effect of technologies on worker duties. Studies forecasting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jobs assert that technologies will advance a specific industry, creating new demand for employment; or, that technologies replace a certain job,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required. Meanwhile, studies emphasizing a change in one"s duties focus on which types of work technologies are causing a change rather than the replacement of jobs by technologies. Those studies present what could be described as an optimistic view regard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which people are able to do their work more safely and under better conditions by using technologies. We assert that technologies gain a certain social dire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chnologies and society, and such preceding studies lack a perspective regarding the change in works required as a result. The methods through which technologies are used vary based on region, culture and social needs. For example, while the Facebook social network is used in the US as a means of finding old friends or establishing new social relations, it has been used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o organize or spread protests against the government. In order to forecast how work will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we believe that following notions should be considered: 1) technologies are the means to realize certain norms and public values in a society; 2)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ich vision of the future the society imagines and how this vision evolves. This is because it is only possible to forecast the new changes in jobs or duties demanded by society in a wider social context when the desired image of the future society can be forecasted. Based on this assumption, we will discuss the fact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technologies debated indepth in our society are aiming at the transhuman society, and what changes in works and duties can be expected as a result.

      • KCI등재후보

        경력단절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이영민(Lee, Young-Min),박가열(Park, Ka Yeul),경연(Park, Kyeong Yeon),임정연(Lim, Jung-Yeo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들이 직장에 재취업할 때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토대로, 직장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설계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 직종과 직장 부적응 원인을 검토하였고,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선행연구와 인터뷰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취업을 준비하는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20시간의 집단상담 직장적응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11개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이용자 중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장 및 직무의 기대, 직장적응 내용 이해 등의 측면의 향상정도를 효과성으로 파악하였다. 시범운영 결과, 경력단절 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은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사회적 지지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 직장생활에 대한 이해와 직장 관련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이해 등 학습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 the workplace adoption of career discontinuous woman when they get back to workplace again, we developed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for them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increase the validity of program design, we reviewed the re-employment job for them and reviewed the negative influ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ir back to the workplace. Based on the review, we designed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which consists of 20 hours module and sub-module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selected 11 women development center that recruited volunteered women and investigated the program effectiveness in term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work and job expect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workplace adoption,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sychological elements. In the results,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has highly impacted on the consequences of dependent variables. It is also expected the program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understandings of work and job adoption.

      • KCI등재

        4년제 대학 재학 중 일 경험 유형이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은수(Lee, Eunsoo),박가열(Park, Ka Yeu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 대학 재학 중 일 경험 유형이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6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재학 중 일 경험 목적 및 전공 관련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졸업 후 첫 직장 취업 소요기간, 임금,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진로탐색을 목적으로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 재학 중 일자리를 경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첫 일자리로의 진입이 빠르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계를 목적으로 전공과 관련 없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 재학 중 일 경험이 없는 집단과 비교했을 때 취업소요기간이 짧고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계가 목적이지만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는 그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 재학 중 자신의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청년층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일 관련 경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work experience during the college effect the earlier labor market transitions after graduation.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ypology of students’ work experience(sort by both primarily reasons for working and coherence of work experience with the field of study attended) on several labor market outcomes-job-search durati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who had work experience which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for preparing future career has shorter job-search duration and higher job satisfaction. Moreover, students who had work experienc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field of study to maintain a livelihood had shorter job-duration and low income. However, students" work experience which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to maintain a livelihood offsets negative effect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importance of work experience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and suggest poli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위기청소년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 프로그램 효과 분석

        조규필(Cho Gyu-Pil),권해수(Kweon Hae-Soo),김범구(Kim Bum-Goo),박가열(Park Ka-Yeu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프로그램(두드림존프로그램 1단계 교육프로그램)을 위기청소년들에게 실시한 후 참여자의 유형별로 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두드림존 시범운영기관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기청소년 520명(학교부적응집단 138명, 대안교육집단 92명, 가출집단 57명, 비행집단 190명, 직업훈련집단 43명)이다. 프로그램은 4일간 총 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8시간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검사와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 성취도 검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참여자의 유형간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두드림존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를 제고시키며, 사회진출의 필수 요소인 비전설정, 경제마인드, 직업이해, 구직 및 생활적응 기술, 실천의지를 높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 학교부적응집단과 비행집단이 대안교육집단, 가출집단, 그리고 직업훈련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만족도에서 참여자들 대부분 흥미성과 유익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될수록 만족도가 조금씩 떨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 유형별 특성화 두드림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which exist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for youth’s self-independence in transition process into society (DoDreamZon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0 at-risk youths (138 school maladjusted youths, 92 youths i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s, 57 runway youths, 190 delinquent youths, and 43 youths in vocational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age of the DoDreamZone motiva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held in DoDreamZone model institutes. This program has been intensive in nature and is conducted through 6 sessions over 4 days, for 18 hours in total. To prove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 internally-developed Program Achievement Inventory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nventor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Mixed ANOVA was appli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rogr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diverse types of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DoDreamZone program was observed to have increased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participants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had a meaningful effect in enhancing essential elements in transition such as establishing vision, an economical world view, understanding one's career, general life skills and job seeking skills, and the creation of a will for action.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type, the school-maladapted group and the delinquent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the runaway group and the group undertaking job-training. Additionally, although all of the participants (except for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itself had a tendency to drop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offer important suggestions in developing more specialized DoDreamZone program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types of at-risk youth.

      • KCI등재

        효율적인 군 전직지원체제 정립 방안

        정철영,고재관,황원채,윤희철,박가열,김재호,이성식,김동승,표성일,이건남,양안나,최수정,김은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제대군인에 대한 효율적인 전직지원을 위해서 현행 전직지원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안과 이에 따른 국방부, 국가보훈처 등 제대군인 전직지원관련 기관 간의 역할분담 및 연계방안에 대해서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는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쳤다. 첫째, 국내 군 전직지원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러한 문제점과 시사점, 군 전직지원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효율적인 군 전직지원 프로세스 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구축한 군 전직지원 프로세스 안에 따라 주요 군 전직지원 관련 기관인 국방부, 국가보훈처의 역할 분담 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upport process of effective occupation change for discharged soldiers and then role assignments among related institutions for supporting discharged soldiers such as Ministry of Defens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Ministry of Labor and the cooperation plan among the institutions. The study was made in three steps. First, after analyzing currents support facts and status for discharged soldiers, it induced its problems and implications. Second, integrating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upport plan on occupation changes for the discharged soldiers, Problems and implications mentioned above, it constructed effective occupation change process for discharged soldiers. The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process, it suggested role assignments such as Ministry of Defens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Ministry of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