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건남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and human resources officers for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level and current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human resources officers, then analyze educational needs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hkowitz's critical fun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urrent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was middle level(approximately 3point). Second, perceived needs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was middle-high level(approximately 4point). third, the result of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hkowitz's critical function,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and area of finding employment’, ‘foreign language skills’, ‘general knowledge for employment’, ‘decision-making skills for employment’, ‘information seeking in employment’, ‘human -network using skills’, ‘the preparation of documents for employment’, human resources officers perceived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and area of employment’, ‘duty and job involvement’, ‘work capability of fie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solving’, ‘self-regulation and development’. forth, employment competency Presented by grade. finally, employment competenc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fell short of companies' needs.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체계적인 구직역량 개발을 위해 대학생의 구직역량에 대해 대학생, 기업체 인사담당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기업체 인사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의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대학생들이 구직을 위해서 개발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바꾸어야 할 인식이 어떤 것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구직역량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및 인사담당자 모두 현재 대학생의 구직역량의 수준으로 보통수준(3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향후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구직역량의 필요수준에 대해서는 필요함(4점) 정도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구직역량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으로 학생의 경우, 자기이해, 구직희망분야이해, 외국어능력, 구직일반상식, 구직의사결정능력, 구직정보탐색능력, 인적네트워크활용능력, 구직서류작성능력 등 구직지식군, 구직기술군에 속한 하위역량을, 인사담당자는 자기이해, 구직희망분야 이해, 직무 및 조직몰입, 현장직무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등 구직지식군, 구직적응군에 속한 하위역량을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구직역량에 대해 저학년, 고학년로 특화하여 우선 개발할 역량을 확인한 후, 학년별로 접근해야 하지만, 성별로는 요구가 차이가 없지 때문에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는 없다. 다섯째, 기업에서 요구하는 구직역량이 학생이 인식하는 것과 차이가 있음은 대학생의 취업준비 수준이 아직 기업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에 관한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에 개재된 논문, 총 124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7년 이후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교과 교육을 내실화하고 대양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인성교육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관련 논문이 꾸준히 관련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둘째, 체험학습의 유형은 시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생태체험과 문화역사체험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험학습의 유형 중에, 초등학생 시기에 진로발달 측면에서 직업진로체험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험학습을 다양한 활동 집단, 교류방법, 내용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연구 대상은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을 대상으로 삼는 비율이 높았는데, 연령이 어릴수록 체험학습이 학생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저학년 대상의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사례연구, 개발연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Literature review provides an analysis of relevant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in elementary school. These findings of this research help improve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by providing basic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ster's theses,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A total of 124 researches reported from 1997 to 2009 were analyzed. The following six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irsthand experience activities are useful to make curriculum for human nature, so related researches has been constantly reported from 1997. (2) Natural ecology experience program and culture experience program were most frequently researched. (3) Job experience programs are significant for career development, but related researches didn't studied enough. (4)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should be examined from various groups, interchange methods, and contents. (5) Senior classes were more studied than lower classes in spite that experience study are more effective for the younger people, so the researches for lower classes should be performed more. (6) Survey study and experimental study were mostly used as research methods, case study, developmental study should be studied more.

      • KCI등재후보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건남,이종범,정진철,고재성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 배치된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사가 초등학교에도 배치되는 것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하는 것과 담임교사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것에 대한 비교가 필요하다. 교사가 하기 어렵거나 전문성이 높은 부분은 지원해 줄 수 있는 형태로,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연수 등을 통해서 담임교사가 하는 형태로 접근함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양성방법으로 현직교사 대상으로는 특별 연수를 통해서, 예비교사는 심화과정 설치를 통한 접근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역할을 중심으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심화과정 신설 등이 어려울 경우, 향후 교육과정 개편시, 진로교육과 연관성이 있는 실과 교육과정에 진로와 관련된 부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교육 담당 교육의 양성 및 배치에 대한 내용을 ‘진로교육법’ 등에 명시하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 등의 지원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disposition of the career teachers in Korea.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ompare the disposition of the career teachers to class teacher rely on the role of the career teachers. Second, It is training current elementary teacher to rely on the role of the career teachers through training education and tra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o rely on the role of the career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urriculum for the specialty course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ird, considering the role of the career teachers, it should be developed the standard curriculum for the training.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변화 및 차이 분석(IPGA)

        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수준 및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요도-실행도 차이분석(IPGA)을 실시하여 연도별로 개선이 필요한 직무의 우선순위를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 사 결과 중,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대상으로 조사한 중요도-실행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간의 대용표본 t검정 결과를 보면, 연도 와 상관없이 대체로 직무의 중요도 수준이 실행도 수준보다 더 높았다.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평균에 따른 순위를 보면, 연도 및 중요도, 실행도에 상관없이 모두 ‘학교 진로교육 기획 및 편성’, ‘진로정보 제공 및 활용 안내’, ‘진로심리검사 실시 및 활용 안내’, ‘진로수업 운영’,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설계·운영 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 한 직무는 2018년 ‘진로정보 제공 및 활용 안내’, 2019년 ‘진로정보 제공 및 활용 안내’, ‘학생 진로상 담’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에 필요한 직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의 경우, 담임교사의 역할도 중요하기 때문에 진로전담교사 뿐만 아니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도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요도 및 실행도도 낮고, 개선은 필요하나 그 필요성이 낮은 직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and change of the task of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the task that needs improvement by conducting an Importance-Performance Gap Analysis (IPGA) based on this. For this purpose, among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the importance-performance data surveyed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from 2017 to 2021 were used.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ask of 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regardless of the year,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 task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Second, according to the averag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task recognized by 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regardless of the year,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all of them were 'planning and organizing school career education' and 'provis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application guidance' were highly ranked. Third, the tasks that need improvement in priority were ‘provis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guidance’ in 2018, ‘provis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for students’ in 2019.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tasks required for 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ince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is also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lated research targeting homeroom teachers as well as career teachers. Third, additional analysis is needed for tasks that are low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need improvement but low neces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건남,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1

        This study was to develop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model, to identify content factors for each step, and to test validity of finalized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model. To pursue this goal, the concept of a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major selections by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These included the procedure of model development, the task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An initial program model composed of six steps, 16 categories, and 36 sub-divisions of the program model and content factors was identified. Delphi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identified program model and initial content factors. A panel was included that consisted of five expert professo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operate programs related to college entrance,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teachers for a total of 15 panels from each section. With the Delphi method, the validity of the draft was confirmed by two rounds. Data from each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analyz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degree of coincidence and convergence in opinion, agreement rate, ICC(1), ICC(2) and degree of consensus by SPSS 15.0 version and EXCEL. Whether Delphi survey would continue or not an additional round, was determined by agreement rate(80% or more), CVR(≻0.49 in case of 15 experts), degree of consensus(standard deviations<0.800), ICC(1)(≧0.05), ICC(2)(≺0.70). The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hat was composed of six steps, 16 categories, and 36 sub-divisions. The developed program models for each step are as follows: 1)a step involving understand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establishing a strategy, 2)selecting a list of jobs and capabilities (valu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oneself, 3)identifying related majors and jobs to explore the major selection, 4)a comparison of majors through the major exploration, 5)the major selection, 6)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The finalized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of adaptability in the field was tested. To tes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the validity was tested with teachers who had many years of experience in career counseling. 이 연구는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및 각 단계별 내용요소를 구안하고, 구안된 프로그램 모형 및 내용요소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개념을 기초로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의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대학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각 대학의 신입생 실태 및 특성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및 내용요소를 구안하기 위해 모형 개발 절차, 대학전공선택 관련 변인,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과업,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능력,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등을 분석하여 6개 단계, 16개 중영역, 36개의 세부영역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모형 및 내용요소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 모형 및 내용요소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교수 및 연구원, 대학진학과 관련된 프로그램 운영 및 업무 담당자, 진학 상담 교사를 각각 5명씩 모두 15명을 전문가 패널로 구성하였다. 매 라운드별 평균, 긍정율, 중위수, 사분범위, CVR값, 합의도, 수렴도, ICC(1), ICC(2) 등을 산출하여 계속 진행에 나갈지를 판단하면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은 1.의사결정 이해 및 전략수립, 2.자신에 대한 이해를 통한 직업목록 및 능력(가치)선정, 3.전공선택을 위한 직업탐색 및 관련 전공파악, 4.전공탐색을 통한 전공비교, 5.전공선택, 6.평가 및 실행의 총 6개 단계, 16개 중영역, 43개 세부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의 현장적용가능성 검증을 진학상담 경험이 많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활용하여 높은 응답자간의 의견일치지수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차세대 영재 기업인의 커리어 패스

        이건남,이종범,이윤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는 KAIST 및 POSTECH에서 차세대 영재기업인 교육을 수료한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희망 진로 및 현재의 진로 상황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진로정립 및 진로지도를 위한 커리어 패스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차세대 영재기업인을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현재, 혹은 희망 진학, 전공, 취업분야를 유형화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세대 영재기업인은 연구형(고등학교 졸업 → 대학 졸업 → 대학원 졸업 → 연구자) 및 연구창업형(고등학교 졸업 → 대학 졸업 → 대학원 졸업 → 연구자 → 창업)이 학생들이 희망하는 가장 이상적인 진로경로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세대 영재기업인은 이른 학령기에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세대 영재기업인은 자신의 최종 학력을 박사 수준으로 생각하고 대학 진학을 고려하고 있었다, 넷째, 차세대 영재기업인 중 고졸 취업 및 창업을 원하는 학생이 존재하였다. 다섯째, 차세대 영재기업인 다수는 자신의 취업분야를 고려하여 대학 전공을 공학 및 기술 경영 등으로 설정하고 있다. 여섯째, 차세대 영재기업인 중 취업 후 절반 이상이 창업을 계획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nalyzed career choice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in KAIST and POSTECH.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implications 및 outcomes of the study. First,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hope research type and research -venture type in the shape of the ideal career path. Second,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think about their future careers in early school childhood. Third,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think doctoral-level in highest level of education, are considering of going on the college. Fourth, one student of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wanted employment and venture after finishing high school. Fifth, the majority of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choose college major(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employment field. Sixth, more than half of the gifted enterprisers of the next generation plan venture in after employment.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생의 전공유지에 대한 사회인지요인들의 영향

        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 of social cognitive factors(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interests, social supports, social barriers) on the major persistenc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728 students in agricultural, technical, commercial, living science, fisheries & marine science high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s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persiste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s,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major persiste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social supports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persistenc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social barriers had a negative effect on major persistence, outcome expectations. but social barriers had no effect on self-efficacy. Fourth, in women groups, path estimates was higher than mens groups in contextual factors to major persistence and personal factors(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Finally, contextual factors had no effect on personal factors(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just i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Base on the conclusion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the research should be investigated more comprehensively to include other factors(e.g. academic level) and according to sub group(agricultural, technical, commercial, living science, fisheries & marine science high schools)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hich affecting major persistence should be identifi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유지에 대한 사회인지요인(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장애)들의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농업, 공업, 상업, 가사, 수해양계열 각 2개교, 총 10개교 72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전공유지와 전공 관련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장애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였으며, 기술통계 및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흥미가 전공유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전공에 대한 결과기대와 흥미에 직접적으로, 전공유지에 흥미를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환경적 변인이 전공유지와 개인적 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전공유지와 개인적 변인에 환경적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이 남학생 보다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계열에 따른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 공업계열에서 환경적 변인이 개인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계열과는 반대로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에 미치는 영향이나, 흥미가 전공유지에 미치는 영향은 공업계열이 다른 계열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 첫째, 전문계고의 학력수준, 마이스터고나 특성화고 등의 지정여부에 따라 연구를 수행할 것과, 둘째, 계열별로 전공유지에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특징을 명확히 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교원양성대학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개인 특성, 대학입학 특성, 대학생활 특성 관련 변인에 대한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집단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형화된 집단이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차이 분석을 통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탐색적으로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한 주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은 ‘집단 1’ ‘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 ‘집단 2’는 ‘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 ‘집단 3’은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고학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은 대학 진학과 관련하여 다른 집단에 비해 만족하지 못하고 대학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고, 또한 학교 내 다른 학우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만족하는 학생보다 보통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았다. 셋째,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1(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은 핚업성취도가 낮은 집단으로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은 교육만족도와 진로발달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mployed latent class analysis to categorize university student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analysis involved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university entrance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life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were explored to draw implicat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analysis identified three groups. Cohort 1 was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Cohort 2' was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and ‘'Cohort 3’ was upper-grade students preparing for the teacher employment exam. Second, students in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reported higher dissatisfaction and disengagement with their university experience than other cohorts. However, compared to other cohorts, they were more likely to express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on campus and perceive these relationships as average.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by cohort, ‘Cohort 1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emerged as a group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emerged as a group with the lowest level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