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80년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 체험과 장소 감수성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1 No.-

        이 논문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異國) 체험과 장소 감수성의 젠더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1950-1980년대 해외여행 모티프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과 장소정체성이 맺는 상호 관련성을 규명한다. 1950년대 여성의 이국체험은 시찰과 견문이라는 공적 목적에 종속된 `교양 여행`의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이국체험은 여성을 일방적으로 `보이는` 대상이 아닌 `보는` 주체의 위치로 이동시켜 한국 사회의 모순과 젠더 불평등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자기와 타자를 응시하는 시선, 즉 시선의 외부성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국은 여성에게 고정된 젠더 질서와 체계를 역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사유된다. 김말봉은 「바퀴소리」와 『방초탑』에서 서양식 풍요와 동양식 미덕, 우월한 남성과 열등한 여성이라는 지리적, 젠더적 이항대립 관계를 역전시키고 재배치(repositioning)하려는 시도를 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한 해외여행이 가능해진 1970년대 이후 여성 여행서사에는 소속과 정체성을 숨기고 자유롭게 거리를 활보하는 여성 산책자가 등장한다. 송원희, 정연희, 손소희 등은 자유로운 감수성으로 유럽 도시에 대한 대중적 표상을 해체하고 자신의 감각으로 재구성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장소에 대한 기억을 거부하거나 소속을 은폐하고 불투명하게 만드는 여성 인물을 통해 모든 장소를 무질서하고 불안정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공간으로 재현한다. 이렇게 여성 여행서사는 모국과 이국에 대한 이중적인 비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탈장소성과 무국적성이라는 젠더적 글쓰기에 대한 지향성을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emale gender`s attributes of different country experience and place sensitivity seen in female trip narratives since in 1950s. Female trip narratives reveals the process that the ethnic identity and the gender identity make the mutual relationship and seek for a new identity. In Korea, an overseas trip was a privilege experience until 1980s. Especially, in 1950s-60s,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uppermost elite women went for foreign countries for formal purposes of facility inspection or visit. Like a novel written by Mal-Bong, Kim, Korean female trip narratives considered that the U.S.A was the hybrid place mixing American-style civilization and oriental values at that time. Like that, in the trip narratives, the U.S.A was reproduced as a place of possibility to shake the fixed genders order. In 1970-80s, female writers made their European trips through their private channels, and narrated their trip experiences. In the female trip narratives, a place was not expressed as a fixed symbol or image. Rather, the meaning of each city was restructured from the sensitivity aspect. That is, in female trip narratives, each place has some heterotopia characteristic. In the place, a woman tourist hides, refuses her identity and pursue a no-nationality life. Like that, a trip become a chance to dismantle and subvert the relationships among ethnic groups, races and genders.

      • KCI등재

        PBL 모델에 기반한 협력학습과 비평적 글쓰기 활용 방안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6

        이 글은 PBL 이론에 기반한 협력학습의 운영방안과 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능감을 연구한 논문이다. 모둠활동을 이용한 효과적인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적 모델을 고안하고 발표와 토론이 연계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을 타진해본 것이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 환경과 시스템을 고려할 때 협력학습은 현실적으로 필수불가결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조 발표라는 모둠활동 자체가 학습동기 활성화를 위한 요건을 갖추도록 하는 동시에 성공적인 글쓰기 학습을 위한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계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에서는 E여대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PBL 학습모형을 적용한 모둠활동의 운영방법을 제시한다. PBL 사전단계에서 교수자는 비평활동 과제를 제시하는데, 비평활동은 `상호 대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PBL의 목표와 일치하는 과제이다. 비평의 주제영역 범주를 제시해 모둠을 구성하고 구성원들은 대화와 토론을 거쳐 하위 주제를 선정한다. 주제는 PBL 문제 조건에 맞춰 시각과 방법의 창의성과 참신성, 과제 완결성과 자료 접근성, 대상의 시의성과 흥미성이라는 요건에 부합하도록 한다. PBL 모델을 응용한 모둠활동과 글쓰기 학습은 문제 확인, 정보 탐색, 정보 활용과 조직, 해결책 도출, 학습결과 공유의 5단계로 재구성해볼 수 있다. 3장에서는 협력학습 만족도와 활용도에 관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력학습의 효과와 글쓰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탐색했다. 학생들은 모둠 발표 주제로부터 문제의 초점을 재규정해 인접주제· 파생주제· 변형주제로 자신의 개인비평문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개인 글쓰기에 모둠활동 결과를 연계시킨다.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협력학습의 경험은 글쓰기 동기를 부여하고, 주제를 선정하는 어려움과 절차적 두려움을 상쇄시키고, 결과물의 질과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글쓰기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동료 피드백이라는 지속적인 협력학습 역시 최종 결과물에 대한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 교수·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manuscript devised the methodology model of effective education of writing in college us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tried to find the feasibility of writing class related with the announcement and discussion. For that, it suggested the plan of operating PBL (Problem-Based Learning) theory-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recomposed the process of group activity and writing with 5 steps by applying PBL model. The instructor composed the group by suggesting the subject area after offering the task `activity of criticism` in the preliminary PBL phase. The members of group activity select the subordinate theme after carrying out the dialog and discussion. The theme should be qualified to the requirements called visual freshness in respect of method, timeliness, completeness of task, accessibility to data, interest of the object and concreteness. Group activity is finalized after passing the phases of problem-solving, information searching, information structure, solving and results sharing. A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usabil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by the students were hi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not only did offset the difficulty to select the theme and fear of process but also contributed to raise the quality and level of output. Especially, the students took the dialog, discussion in group activity and negotiation process itself as the pleasant experience. As the result, group activity motivated the student for writing and was helpful for raising the efficacy of individual criticism writing.

      • KCI등재

        1930년대 초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모럴과 감수성

        임정연 ( Jung Youn L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8

        이 논문은 낭만적 연애의 이상과 연애의 현실이 간극을 드러내던 1930년대 초 소설을 대상으로 연애의 아비투스가 어떤 모습으로 생성되는지를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연애는 지식담론과 대중여론을 주도해가는 공적 의제였다. 또한 연애담론은 교양담론으로 헤게모니를 창출하고 차이와 배제의 정치학을 구현하는 ‘구별 기호’로 기능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연애의 감수성과 도덕성의 유착관계를 파악하고 여기에 작용하는 지식담론의 위계적 상상력을 분리해 냄으로써 전체 연애서사의 계보와 구도 안에서 30년대식 연애문법의 특수성을 이해해보고자 한 것이다. 1930년대 초 연애 환경은 연애라는 ‘교양’이 자본주의적 ‘무질서’에 의해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다. 1920년대를 거치며 엘렌 케이·구리야가와 하쿠손의 자유연애론과 콜론타이즘이 교착되고 착종되면서 연애의 통속성은 가속화되었다. 이 시기 소설들은 변종의 연애서사와 미완의 결혼서사를 통해 낭만적 연애의 판타지가 현실적 토대와 마찰을 일으키며 충돌하는 장면을 자주 연출하고 있다. 특히 연애가 결혼이라는 낭만적 연애의 판타지가 현실적 토대와 마찰을 일으키며 충돌하는 장면이 자주 발견된다. 특히 연애가 결혼이라는 근대 제도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빚어낸 불협화음을 노출함으로써 엘렌 케이 연애 결혼론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실패한 프롤레타리아 연애 서사를 통해 콜론타이즘이 속물적 교양으로 유행하고 성적 자유와 방종의 빌미가 되는 등 ‘주의’가 연애의 통속적 코드로 전락한 상황을 비판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따라서 1930년대 초 연애서사의 과제는 연애의 감수성이 통속화되어가는 상황에 대응해 사적인 열정과 충동을 공적인 방식으로 흡수하고 조절하면서 연애라는 신성한 이데올로기와 접촉 가능한 지점을 탐색해가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을 확인하는 것은 1930년대 후반 연애서사가 대중적 낭만주의의 형식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계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ove landscapes and to study what appearance the habitus of love was created in through some love narratives produced in 1930s. In the colony period, the love was a theme having the publicness leading to the intellectual discourse. As a cultural discourse, the love generated a hegemony and took the function as the ‘differentiation symbol’ for the intellectual class. Particularly, the theories of love of Ellen Key and Kolontai were supported by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respectively, and were ‘culture’ forming the youth`s self-consciousness. The environment for love in the early 1930s, however, was the situation that ‘curlture’ of so-called love was threatened by the capitalist ‘disorder’. In this period the ideal of ‘divine love’ was discolored and the sensitivity of love became popularized. Ellen Key`s theory of ‘free love’ turned into grounds of neglecting ‘freedom of love’. Above all, confusion caused by freedom of love was definite in the matter of marriage. This means Ellen Key`s romantic project to combine love with the marriage institution failed. The love novels produced in this period showed the scenes that romantic fantasy conflicted real foundational. Such scenes reflect the people`s thought that the marriage didn`t secure the love`s absoluteness and permanence. Meanwhile, fantasy of ‘red love’, only externally imitating Kolontaism, was proliferating. Kolontaism became an excuse for sexual freedom and self-indulgence. As the Socialism became popularized as a popular culture, many socialist books became must-read books for success, and a socialist was considered as the ideal boy/girlfriend for a while. Novels in the early 1930s critically describe the situation that Kolontaism degenerated into the conventional code as becoming popular as the snobbish refinement.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융합기술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8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관련 연구물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과 구조, 현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3년(2005년~2018년)동안 연구명에 '융합기술' 단어를 사용한 학술지 177편의 저자키워드 653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융합기술 연구는 지난 13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주로 융합, 디지털, 기술,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검색어 빈도분석 결과, '융합기술', '기술융합', '융합', '디자인', '융합교육', 'STEAM', '융합연구', '4차 산업혁명', '특허분석' 등이 융합기술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5개의 커뮤니티가 분류되었고, 검색어의 특성을 반영해 '나홀로 IT', '융합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산업', '기술혁신과 연구분석', '융합교육', '기술융합과 특허개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사회 융합기술교육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2005 to 2018 revised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of 653 authors' keyword from 177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onverging Technology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he past 13 years in Department of Industry Converg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search term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the 'convergence technology', 'technology convergence', 'convergence',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TEAM', 'convergence research' were used as the main keyword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ir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ve communities have been classified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 terms 'only IT', 'Cultural industry utilizing Convergence contents', 'Technology innovation and research analysis' And patent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기억의 토포스, 존재의 아토포스

        임정연(Lim, Jung-Yeo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전혜린의 글쓰기에 나타난 독일 토포필리아의 양상에 주목해 독일이라는 장소와 장소기억이 전혜린이라는 개인이 세계 내에서 자신의 존재 좌표를 설정하는데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혜린의 글쓰기가 지니는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뮌헨 ‘슈바빙’이라는 장소는 전혜린의 기억과 글쓰기의 근원적인 토포스(topos)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전혜린의 글쓰기는 슈바빙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슈바빙으로부터의 말하기, 슈바빙이 가능하게 했던 실존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전혜린의 독일행이 내면에 자리잡은 실향(失鄕)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때, 슈바빙은 ‘먼 데에 대한 그리움’이 구현된 장소로서 존재의 토포스로 기능한다. 그곳에서 전혜린은 반속물주의를 지향하는 ‘대학생’에게서 ‘슈바빙적인 것’과 슈바빙의 정신을 발견하고, 자아의 이념형(Idea-blid)으로 동일시한다. 그러나 ‘귀향’이 불가능성을 전제로 고향을 찾아가는 행위라 할 때 어떤 장소에서도 존재의 완전한 정주는 불가능하다.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일상에 대한 낯설음, 권태와 광기, 반항과 방황 등은 바로 이 같은 고향 상실의 징후들로서, 이 상실감은 근본적으로 자기와 참 자기 사이의 실존적 거리감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전혜린은 기억속에서 슈바빙을 끊임없이 소환함으로써 ‘슈바빙적인 것’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면서 존재 망각에 저항하고자 했다. 전혜린의 글쓰기는 권태와 상실에 대항해 자신의 실존적 고향(topos)을 재탈환하려는 분투의 흔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혜린의 독일행은 고향을 찾아나서는 근원적 충동의 여로였고, 독일이라는 장소를 소환하는 글쓰기는 자아의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귀향’의 글쓰기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of German topophilia in Jeon, hyerin’s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German, and Jeon, hyerin. Jeon, hyerin’s writing is a text to remember the place, ‘Schwabing’ of Munich, Germany. In her writing, Schwabing makes the fundamental topos of every memory. Her studying in Germany was driven with the consciousness of loss of hometown, which is ‘longing for a distant place’, accordingly, Schwabing was a place where German word ‘Fernweh’ was realized. She discovers the spirit of Schwabing in Munich University students’ antisnobbery, identifying as an ideal type of the self. However, simultaneously, Jeon, hyerin’s writing expresses the symptoms of loss of hometown such as unfamiliarity to daily lifew, weariness and madness, disobedience and wandering, etc. This sense of loss is generated from existential distance between the self and true self. Jeon, hyerin intended to resist the existence forgetting and sense of loss by remembering and recording Schwabing. Therefore, Jeon, hyerin’s writing is a trace of a struggle to retake her existential hometown(topos) by resisting weariness and loss. That is, Jeon, hyerin’s depart for Germany was a journey of fundamental impulse to search her hometown, and her writing was that of ‘going home’ to fill hunger of spirit.

      • 청년층의 취업준비 실태와 취업역량 강화에 대한 연구

        임정연(JungYeon Lim)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2023 대학 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의 취업에 대한 의식 변화와 취업률 하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특화 전문대학인 P대학 재학생의 취업준비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격적으로 취업을 준비하기 시작하는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들은 주로 취업을 위해 학점관리와 자격증 취득에 집중하고 있었다. 둘째, 주된 취업준비행동으로 취업정보 탐색과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준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정보 획득방법으로는 취업포털사이트를 확인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지인 및 선후배를 통한 정보획득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채용정보 취득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다 적극적인 취업 지원을 위해서는 대학 내 취업진로 관련 교과의 로드맵 제시가 필요하고, 재학생에게 변화하는 채용트렌드를 안내하는 한편 스스로 취업기업 및 직무를 설정하여 준비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ployment preparation status and needs of student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 in the MZ generation's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the decline in the employment rate, and to increase the employabil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who are starting to prepare for employment in earnest,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rolled students were mainly focusing on credit management and certificate acquisition for employ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in job preparation behaviors were searching for job information and preparing resumes and selfintroduction letters. Finally, as a method of obtaining employment information, most of them checked employment portal sites, and most of them obtained employment information at the personal level, such as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acquaintances and seniors and junior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oadmap for career-related courses in universities for more active employment support.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changing recruitment trends to current students and help them set up strategies to prepare themselves by setting up companies and jobs for employment.

      • KCI등재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영향요인 분석

        임정연(Lim Jung yon),이영민(Lee Young m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 1~2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산재근로자의 개인심리적 지원, 조직사회적 지원, 업무환경적 지원변수가 직장적 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심리적 지원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사회적 지원변수 중 동료들과의 관계와 동료들의 배려는 산재근 로자의 직장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복귀한 업무의 수준과 내용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거나 많은 지식과 기술이 요구될 경우, 원직복귀자의 직장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의 수준과 산재근로자가 지닌 기술수준이 적합하면 원직복귀자의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과 직무몰입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지원정책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job adjustment. We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e results are follow. first, self-esteem influence the job adjustment of injured workers. Second, the organization support variables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job adjustment of the injured workers. Third, If the job is more complex, injured workers have difficulty adjustment to the work. Finally, If the level of employee skills and levels of the job are suitable, the workers are absorbed in his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o a future research.

      • KCI등재

        인도(印度) 여행기의 지리적 상상력과 로컬 재현의 계보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4

        본고는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제출된 인도 여행기를 대상으로 인도 로컬리티의 기원과 전개를 재구하는 계보학적 탐색을 시도했다. 식민과 탈식민, 근대와 탈근대의 지평을 넘나들며 `인도적인 것`이 상상되고 번역된 경위와 흔적을 좇는 동시에 인도를 공간적 타자로 전유해온 과정을 심문하고 우리의 지리적 문맹을 성찰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에서 인도는 오랫동안 신화성, 초월성, 원시성이라는 상투적인 이미지와 표상체계에 갇혀 있었다. 인도의 복합적인 로컬리티는 신비한 정신세계를 가진 이상향과 불결하고 무질서한 야만이라는 이중 표상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여행주체의 욕망이 투사된 결과이다. 1920-40년대 인도 여행기는 민족 대표가 공적으로 발화하는 통로로 기능했다. 식민지 지식인의 여행기가 인도에 대한 정치적 역사적 동질감과 심리적 친연성을 확인시킨 글쓰기라면, 해방기 남한 엘리트들의 여행기는 동양 내부의 타자를 발견하고 그 차이를 위계화하려는 욕망의 흔적이다. 인도는 관찰과 경험에 토대를 두지 않은 텍스트적 세계에 갇힌 채 근대독립국가의 모델이자 아시아의 전근대성을 표상하는 이중의 메타포로 번역되었다. 196,70년대 손소희와 손장순, 김찬삼 등 당대 문화 엘리트들은 서구 여행의 여정에 인도라는 동양을 배치한다. 이때 여행주체는 인도의 현실을 스펙터클로 소비하는 구경꾼 혹은 관망자(spectator)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인도를 고대문명국이라는 프레임 안에 가두고 불순한 잉여로서의 인도 현실을 표백해냄에 따라 인도의 시공간은 우월한 과거와 열등한 현재, 악한 전통과 선한 근대로 분할되고 `인도적인 것`은 부재와 결핍의 이미지로 전유된다. 1990년대 `순례`라는 새롭게 발명된 여행 형식을 통해 인도는 신비한 정신주의의 본향으로 특화된다. 강석경과 류시화의 여행기는 자아 찾기라는 정신주의 프로젝트의 산물로, `인도적인 것`을 근대의 바깥, 영적이고 초월적인 이미지로 고착화함으로써 인도에 대한 장소신화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2000년대 포스트 식민의 지리적 상상력 속에서 인도의 로컬 표상은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Indian locality shown in Indian travelogues. In Korea, India is locked up in the conventional image and representation system like mythology, transcendence, and primitiveness. Travelogues hav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fixation of imagined geography of the public. The image of Indi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beration era has been established by the double standard such as homogeneity and difference with Korea. Intellectual travelers show the psychological affinity with India sharing the colonial experience while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India as superiority and inferiority. In travelogues of the 1960s & 1970s, as a stop for `around-the-world trip`, India is described as a place highlighting the pre-modernism of the Orient, contrast to the West. Korean cultural elites of the time such as Son So-Hee and Kim Chan-Sam create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uperior past` and `inferior present` by locking up the image of India in the frame of an ancient civilized nation. Since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ips in the 1990s, India has grabbed the tremendous popularity as a popular destination. Kang Seok-Kyeong and Ryu Si-Hwa are the people who led the travel boom to India. As a part of project to find ego, their trips played a role in producing the representation of India with spiritualism. The fever of India in the 1990s is related to the emotional structure of the public in the conflicts between affluent material and exhausted spirit. Like this, the local identity of India or `something Indian` has been subjectively composed and interpreted by desires of travelers in each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