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CS 직업기초능력의 자기개발능력 교양교과 수강유무에 따른 자기성찰능력과 진로준비행동 증진 효과검증

        장수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3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development capacity in general education on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An and Oh (2013)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Choi and Kim (2012) were used to assess college students’ capacity for self-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ducation for 15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COVA (multiple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development capacity in general education on the NCS had influence on enhancing self-reflective capacity and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groups. Second, the capacity for self-development in general education on the NCS had influence on enhancing three factors of self-reflection depending on groups. Third, the capacity for self-development in general education on the NCS had influence on improving three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groups. 본 연구에서는 NCS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자기개발능력 교양교과 수강유무에 따라 자기성찰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이 증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자기성찰능력은 안체윤․오미경(2013)이 개발한 척도를, 진로준비행동은 최윤경․ 김성회(201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S여대 74명을 대상으로 비동질 집단설계(William, 2006)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NCS 자기개발능력 교양교과를 수강한 집단에서 자기성찰능력의 향상과 진로준비행동의 증진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능력의 각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기이해, 자기조절 및 활용, 자기반성 등이 NCS 자기개발능력 교양교과를 수강한 집단에서 향상된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차이의 크기는 자기조절 및 활용, 자기이해, 자기반성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각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기이해행동,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 모두 NCS 자기개발능력 교양교과를 수강한집단에서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차이의 크기는 직업세계탐색행동, 직업능력향상행동, 자기이해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분석

        김인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based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s 3,564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in 151 universities, sampling 525 students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from 35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was 7.4% of the total variances, and the variation between students was 92.6%. Second,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each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ird, variabl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learning agility, immersion in major of study, experience of training practi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ag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151개 대학에 재학중인 3,564명의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이며, 표집은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비례층화로 표집된 35개 대학교 525명 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수업수행능력 전체 변량 중 대학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7.4%로 나타났으며,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92.6%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특성 변인인 대학설립유형, 수업환경,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는 수업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개인특성 변인 중 학습민첩성, 전공몰입, 교육실습경험,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 등은 수업수행능력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분석 결과, 수업수행능력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실태와 형성 요인

        임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dult basic skills and gender, age, and lifelong learning. Data on 5,506 Korean adults was collected through ALL(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survey led by OECD and Statistics Canada. People who are more educated, engaged in the more knowledge-intensive occupations, and utilizing skills actively in the workplace and daily life tend to have higher basic skills. Although lifelong learning had no direct impact on basic skills, it showed indirect effect by strongly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skills at workplace and everyday life. Through examination of various indicators, this study showed that disadvantaged groups are faced with unfavourable circumstances in developing and sustaining skills. People with relatively low education levels and the aged tend not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tend to have less opportunity to apply basic skills. They have relatively low possibilities to improve their skills through learning, and the gap in skills level tend to be widen over time. 이 연구는 OECD와 캐나다 통계청이 주관하여 성인의 기초능력을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ALL(Adult Literacy & Life Skills Survey)에 한국이 참여하여 성인 5,606명에 대하여 직업기초능력을 조사한 결과 중에서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목적은 한국 성인의 기초능력의 실태가 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직업기초능력이 평생학습과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검토하는 데 있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지식 집약적 직업에 종사할수록, 그리고 직장과 일상생활에서 기초능력을 많이 활용할수록 기초능력이 높으며, 평생학습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직업기초능력의 활용에 대한 강한 영향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포괄적이며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취약계층이 능력의 형성 및 유지, 개발에 불리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저학력 , 고령자가 학습에 덜 참여하고 있으며, 능력을 덜 활용함으로써 다른 집단보다 더 빨리 그 능력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능력의 격차는 갈수록 더 심화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정숙,황여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의 중학교 3학년 3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희망직업 결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계 전체 고등학생들의 직업결정에는 성별, 가정 내에서의 직업·학교·학과에 대한 정보탐색 활동, 학교 내 상담 경험, 적성에 대한 인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결정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전체고등학생을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직업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직업·학교·학과에 대한 정보탐색 활동과 본인의 적성에 대한 인지 여부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자아개념이 강하고,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학교에서 진로상담 경험이 있으며, 본인의 적성을 인지하고 있을수록 직업결정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which influence job decision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3rd wave of KEEP(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The authors found that the variables such as sex, job(schools, departments) exploring activities,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in school, and recognition of self aptitud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job decisions. The authors also found the differences of job decision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job decisions are influenced by job(schools, departments) exploring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self aptitude. Female students' job decisions however are influenced by self concepts, dependency on their parents,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in school, and recognition of self aptitude. This results address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and imply that career guidance strategies should b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 KCI등재

        한국과 비교한 중국의 직업구조와 인적자원개발 정책적 함의

        유홍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8 No.1

        In this article, I inten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weakness of modern Chinese occupational structure.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Korea, I try to answer to the question "On what stage of industrialization China is?" The fundamental issue regarding the occupational structure is 'educational structure' as an input and 'class structure' as its output. Thus, it's possible to foresee the prospects of Chinese occupational structure by investigating Chinese education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s probable to forecast future level of inequality in Chinese class structure. The reffered empirical data from 10 tables indicates that China is showing retardness in its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tructure. Although Chinese government try to enhance its human capital capabilities through the HRD policy, it will take quite a long time. Thus, it would be safe to guess that it would lead in the persistence of inequality of stratification for another 20-30 years. ‘떠오르고 있는 세계의 공장’이라고 하는 중국은 경제, 산업적인 측면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성장 속에서도 몇몇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바, 이 논문에서는 중국 직업구조의 특징과 취약점을 분석하면서 중국의 산업화 수준을 확인하고자 한다.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은 산업구조의 큰 변화를 초래했다. 그러나 산업별 노동력 구성비를 보면 중국은 한국에 비해 20~30년, 일본에 비해서는 약 반세기 뒤처진 상태로서 아직 산업화 단계에 달하지 못한 상태이다. 중국과 한국의 직업구조를 비교 분석해 보면 한국이 이미 정보사회에 진입한 직업구조를 보이는 반면, 중국은 겨우 산업화 초기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교육구조이다. 따라서 미래 직업구조의 변화 양상을 예측해보기 위해 교육수준별 직업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동일한 교육수준으로 더 나은 직업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으로 말해 중국의 현재 교육구조는 현대적 직업구조를 뒷받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인구 중 학생구성을 보여주는 도표 역시 고등교육 인구가 극히 적은 중국 교육구조의 취약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우수 직업훈련교사에 관한 의미연결망 분석

        정선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 및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에 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훈련생이 인식한 우수 직업훈련교사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수행된 만족도 조사 등에서 훈련생으로부터 응답받은 우수 직업훈련교사의 추천사유 자료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실업자훈련은 2,356명, 재직자훈련은 1,227명이 응답한 추천사유에 관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실업자 및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의 주요단어는 각 82개, 71개로, 각 1%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공통적인 주요단어는 수업, 학생, 열정, 열의, 이해, 친절, 도움, 쉽게, 지식, 준비, 재미, 자세히, 전문적, 적극적, 실무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자 및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의 주요단어에 대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업자 우수 직업훈련교사는 수업과 학생을 중심으로 그 이외의 단어들과 강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고,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는 수업을 중심으로 그 이외의 단어들과 강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실업자 및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의 주요단어를 군집화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업자 우수 직업훈련교사는 수업관리 및 응대, 수업방법, 수업준비 및 피드백, 학생응대, 학생관리, 담임역할, 취업지원 등 7가지 특성이 도출되었고, 재직자 우수 직업훈련교사는 수업응대, 수업방법, 수업준비 및 피드백, 학생관리, 교사전문성, 실무도움 등 6가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training teachers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reasons of recommendation for training teachers. First, the key words of the unemployed and employed excellent training teachers were each 82 and 71 pieces, and common key words were class, student, passion, enthusiasm, understanding, kindness, and help. Second, unemployed excellent training teachers had formed strong networks with two words, class and student, around the other words, while employed excellent training teachers had formed strong networks with a word, class, around the other words. Third, seven characteristics of unemployed excellent training teachers have been derived, including classroom management and response, teaching methods, lesson preparation and feedback, student response, student management, class teacher role, employment support, while six characteristics of employed excellent training teachers have been derived, including classroom response, teaching methods, lesson preparation and feedback, student management, teacher expertise, and practical assistance.

      • KCI등재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권재기,김진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job decision in adolescence and compare the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career worry following the results and also examine influential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latent classes. In order to resolve our research question, we performed the research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2004-2008 surveys. We appli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Growth Mixture Models(GMM) with known class in longitudinal studies, and applied the Decision Tree Analysis(DTA) in cross-sectional studies. First, our studies’ results found the four latent trajectory classes(decision class, confusion class, weakening class, indecision class) for the job decision change. Second, in case of students’ career worry, confusion class had the highest initial average(.897, ) and weakening class had the highest linear change rate(.448, ) significantly. Third, among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gender, indecision reason, aptitude recognition,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influenced prediction for the latent classes significantly.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종단·횡단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을 탐색하는 잠재성장계층분석에서는 직업결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결정 집단’, 직업결정을 번복하는 ‘결정혼란 집단’, 초기 몇 년간은 직업을 결정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미결정 상태가 되는 ‘결정약화 집단’, 그리고 5년간 직업을 결정하지 못한 ‘미결정 집단’이라는 4개의 잠재계층을 확인하였다. 둘째, 잠계계층별 변화양상을 비교하는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에서는 대학생 진로고민의 평균 초기치는 결정혼란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897, ), 매년 .276 정도씩 진로고민이 증가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 중에서 직업결정을 못한 이유, 성별, 적성인지 여부, 학교의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잠재계층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직무역량 개발을 위한 직업훈련기관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이수경,박연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perceptions of core job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ir readiness and needs for training. To this end, we conducted surveys of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and readiness for core job competencies that WEF addressed, perceptions of project-based instruction as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and needs for integration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IT) for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wo surveys conducted in 2017 and 2019,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perceived core job competencies to be important, especially the complex problem solving skills, technical skills, and social skills. On the other hand, they perceived the degree of readiness for properly developing these competencies to be slightly inadequate, revealing the needs for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petencies development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while the positive effects of project-based instruction emerged as a suitable training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according to occupation. Lastly, the use of advanced IT was gradually increasing.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직무역량에 관한 직업훈련기관의 인식과 준비도, 효과적 훈련방향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 사업에 참여한 기관을 대상으로 WEF가 제시한 핵심직무역량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준비도, 직업훈련을 위한 효과적 교육방법으로써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인식, 사이버교육 및 IT융합기술 활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2017년과 2019년에 실시한 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직업훈련기관들은 기술 능력, 사회적 협업 능력, 나아가 복합적 문제해결 능력의 흐름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한 한편, 직업훈련기관들이 이러한 역량을 제대로 개발하기 위한 준비도는 미흡하게 인식하여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지원하는 역량개발 인프라와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드러내고 있었다. 적합한 훈련 방법으로써 대두된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 가운데, 직종에 따른 효과성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이버 교육 및 첨단 기술의 활용은 점차 증가 추세로, 활용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제도적 허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4차 산업혁명 대응 직업훈련의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관련 시사점 및 개선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청년층의 희망임금과 실제임금에 미치는 영향

        박천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9 No.1

        This paper reviews the influence factors of youth reservation wage(hope salary) and real wage by using 2012 KEEP Data. Empirical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Korean SAT grades and job prefer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reservation wage. But labor market condition, such as job seeking experience, had little effect. Also, youth reservation wage wa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dividual average SAT grade than by the education level. The wage gap by gender was not found systematically, but firm size, whether temporary or a full time job, and occupation type provided some wage premium in real wage. The wage gap between education levels disappeared, but the individual average SAT grade systematically influenced real wages of youth work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SAT grades reflect not only psychological importance of youth but also their actual job competencies.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2012)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이 청년층의 희망임금과 실제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청년층의 희망임금은 대학수능 성적과 특정 기업만 취업하겠다는 등의취업선호가 구직이나 취업활동과 같은 노동시장 경험보다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수능 평균 등급이라는 단일 변수가 복합적인 교육경력보다 희망임금 형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비재학 청년층의 경우에 수능 평균이 1등급 좋아질 때마다 희망임금이 평균 3.9% 상승하고 있다. 실제임금에 대한 추정 결과를 보면 청년 초기 노동시장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체계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반면에, 기업규모, 정규직 여부, 시간제 근로, 종사 직업이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수준별 임금격차가 사라진 대신 수능등급에 따른 임금차이가 뚜렷하게 확인되어, 비재학 청년층의 경우에 수능 평균이 1등급 좋아질수록 임금도 2.7% 높아지고 있다. 이는 청년층이 장기간에 걸쳐 준비한 수능 성적이 심리적인 중요성(희망임금)은물론 실제 직무역량(실제임금)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세대 간 직업계층의 계승과 직업 지속성 간의 관계

        임창규,윤인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2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ccession of occupational class on the occupational continuation of the sons. Data for this research cam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in 1998 through 2007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When sons of the middle-class fathers who consist of professional, administrative, or semi-professional workers succeed their father's occupational class, the duration of the first job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s. By contrast, sons of the lower class fathers who consist of industrial laborers succeed their fathers' occupational class, the duration of the first job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s. The sons of the lower class exhibit more job turnovers and dropouts from the labor market when they succeed their fathers' occupational class. 본 연구는 세대 간의 직업계층 계승 경향에 중점을 두고 아버지의 영향에 의한 아들의 첫 직업지위 획득과 이후 직업계층 유지 간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첫 직업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한 분석이었고, 취업 이후의 직업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미하여 이러한 기존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직업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이 1998년에 시작하여 2007년(10차 조사)까지 조사한 노동패널자료이다.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중간계층 이상에서 직업계층의 계승과 유지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계층을 계승한 경우 첫 직업을 오랫동안 유지할 뿐만 아니라 직업의 이동횟수나 실직횟수가 적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재생산하기 위해 노력하며 가능하면 직업계층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