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약청소년 자립준비요인 탐색 및 시사점

        조규필 ( Gyu Pil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청소년의 자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이들의 자립준비에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탐색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검토를 통해 기존에 도출된 자립준비 구성개념들을 살펴보았으며, 4명의 취약청소년을 대상으로 직접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 취약청소년 자립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집한 실무자 대상 집단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에 필요한 요소는 모두 10가지 영역(직업/진로, 돈관리, 자기보호, 일상생활기술, 사회성, 주거, 교육, 자원관리, 여가/문화, 정의적 영역)에서 65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미시적으로는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며, 거시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자립지원 정책을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adiness factors for independent living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is suffering from difficulties of self-sufficiency and to support them. For this, it was examined components of preparedness for independent living from literatures in domestic and foreign, and analysed the findings after having depth interviews with 4 vulnerable adolescents. In addition, it was analysed group interview data with field affairs collected to develop independent living supported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come out 65 elements in 10 categories that were job & career, money management, self-care, daily living skill, social skill, housing, education, resources management, recreation & culture, affectiv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foundational data to development the indicators measuring the readiness conditions for independent living of vulnerable adolescents microscopically, and expected to diagnose the policy for independent living support and establish developmental directions macroscopically.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재적응 과정 연구

        조규필 ( Gyu Pil Cho ),박현진 ( Hyun Jin Park ),김래선 ( Lae Sun Kim ),김범구 ( Bum Goo Kim ),양대희 ( Dae Hee Yang ),이현진 ( Hyun Jin Lee ),황수진 ( Soo Jin Hw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학업중단 시기를 거쳐 학교에 복학한 청소년들의 학교 재적응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학한지 6개월 이상 경과한 전문계 고등학생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Strauss와 Cobin(2008)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33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그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학업동기 발생``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학업동기화 전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 이후 ``학업동기가 발생``하고, ``학교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각오를 다지고 습관을 변화``시키며, ``가족을 생각``하며, ``친구관계를 형성``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학교 재적응 과정 전반에 미치는 조건은 ``부모·친구·교사·전문가의 지원``이 있었고, 학교 재적응으로 나타난 결과는 ``학교생활 적응``, ``비행 중단``, ``꿈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복학 후 재적응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복학생들이 재탈락하지 않도록 조력하기 위한 개입방법의 틀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nth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guidance of the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bin(2008). Open coding results in 133 concepts, 42 sub-categories followed by 19 more abstracted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academic motivation``. Participations had perceived the situation and had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before they had motivation to return to school. In the process of ``having motivation`` and ``re-adaptation in the school``, they experienced ``reestablishment determination``, ``changing habits``, ``thinking family`` and ``building up friendship``. A support of parent, friends, teachers, and expert was significant conditions to affect the process of school re-adaption. The results of school re-adaption were ``school adaptation``, ``discontinuance delinquent`` and ``having a dream``.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practical supporting method to prevent re-dropout of returned students.

      • KCI등재

        취약청소년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조규필 ( Gyu Pil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립준비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절충하여 문헌조사, 14명의 취약청소년 대상 개별면접과 집단면접, 실무자 5명의 초점집단 인터뷰, 전문가 36명의 내용타당도 검토, 예비조사(청소년 198명)와 본조사(청소년 2,028명)를 통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소척도(자립의지, 진로직업역량, 경제적관리, 사회적기술, 주거 및 일상생활관리, 학업관리, 자기보호)로 구성된 16요인 54문항의 다차원 자립준비도 척도를 최종 개발하였다. 자립준비도 척도는 .66∼.87 사이, 전체는 .94의 양호한 내적일치도(Cronbach`sa)를 보였으며, 수렴타당도, 교차타당도, 대비집단타당도 검증결과, 모두 양호한 내적·외적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dependent living readiness scale to measure objectively vulnerable youth’s independent living level. The scale development was arranged a compromise between theoretical approach and experiential approach.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search, personal interview and group interview with 14 vulnerable youths,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staffs, content validity review by 36 experts, preliminary survey of 198 youths and main survey of 2,028 youths. Using collected data, suitability of measurement model was evalua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next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As the result of study, this multidimensional readiness scale for independent living which are of 54 questions, 16 factors with 7 small scales such as self-reliance will, ability career and vocational, economical management, social skill, management of housing and daily life, self care, management of study was completed. In the scale of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Cronbach’s ? value of 7 regions was between .66~.87 and overall showed .94 of fine internal consistency. Continually, to check generalizability of developed scale, converge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contrast group validity was evaluated and all result showed fin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 KCI등재

        위기청소년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 프로그램 효과 분석

        조규필(Cho Gyu-Pil),권해수(Kweon Hae-Soo),김범구(Kim Bum-Goo),박가열(Park Ka-Yeu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프로그램(두드림존프로그램 1단계 교육프로그램)을 위기청소년들에게 실시한 후 참여자의 유형별로 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두드림존 시범운영기관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기청소년 520명(학교부적응집단 138명, 대안교육집단 92명, 가출집단 57명, 비행집단 190명, 직업훈련집단 43명)이다. 프로그램은 4일간 총 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8시간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검사와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 성취도 검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참여자의 유형간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두드림존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를 제고시키며, 사회진출의 필수 요소인 비전설정, 경제마인드, 직업이해, 구직 및 생활적응 기술, 실천의지를 높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 학교부적응집단과 비행집단이 대안교육집단, 가출집단, 그리고 직업훈련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만족도에서 참여자들 대부분 흥미성과 유익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될수록 만족도가 조금씩 떨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 유형별 특성화 두드림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which exist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for youth’s self-independence in transition process into society (DoDreamZon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0 at-risk youths (138 school maladjusted youths, 92 youths i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s, 57 runway youths, 190 delinquent youths, and 43 youths in vocational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age of the DoDreamZone motiva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held in DoDreamZone model institutes. This program has been intensive in nature and is conducted through 6 sessions over 4 days, for 18 hours in total. To prove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 internally-developed Program Achievement Inventory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nventor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Mixed ANOVA was appli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rogr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diverse types of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DoDreamZone program was observed to have increased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participants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had a meaningful effect in enhancing essential elements in transition such as establishing vision, an economical world view, understanding one's career, general life skills and job seeking skills, and the creation of a will for action.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type, the school-maladapted group and the delinquent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the runaway group and the group undertaking job-training. Additionally, although all of the participants (except for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itself had a tendency to drop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offer important suggestions in developing more specialized DoDreamZone program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types of at-risk youth.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 연구

        김효정(Kim, Hyo Jung),조규필(Cho, Gyu Pil)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인간 Vol.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청소년이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특히 이들의 적응과정에서 중도입국 청소년기관의 역할은 어떤 함의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주제분석을 통해 이들의 적응과정은 ‘낯선 이방인’, ‘학교 아웃사이더’, ‘심리적 방황’, ‘나홀로 버티기’, ‘디딤돌 밟기’, ‘내길 찾기’의 6개 메인 주제로 분류됐다. 참여자들은 한국으로 이주 후, 크고 작은 차이를 경험했다. 이것은 언어, 음식, 사회 시스템 같은 변화에서부터 문화, 정체성의 변화까지 다양했다. 특히 참여자들은 한국어 미숙으로 학업문제에 어려움이 많았고, 학교에서의 차별과 왕따 경험을 당하면서도 주변의 지지체계가 빈약하여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했다. 하지만 중도입국 청소년기관의 도움을 발판삼아 조금씩 한국사회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자신감을 회복한 참여자들은 문화적응태도가 ‘소외’에서 ‘통합’으로 조금씩 변화되었으나, 학교부적응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계속 ‘분리’상태에 머물러 있기를 원했다. 이러한 결과는 중도입국청소년의 적응과정에서 중도입국 청소년기관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daptation difficulties of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and how to deal with these challenges. Especially, We tri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 the role of specialized institutes for immigrant adolescents in their adaptation process in Korea. To achieve these purposes, Sixteen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were interviewed through three focus groups.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main themes and the participant’adapt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six main themes:‘Stranger in the new society’, ‘Outsider ot school’, ‘Psychological Challenges’, ‘Holding out Alone’, ‘Stepping Stone’, ‘Finding my way’. After moving to Korea,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wide range of differences from changes in language, food, social systems, culture and identity. Specifically, participants had substantial difficulties in studying due to their lack of Korean language, and suffered severe mental stress due to lack of support system despite the discrimination and bullying at school. However, with the assistance of specialized institutes for immigrant adolescents, they began to enter the Korean society gradually. Acculturation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who took back confident were gradually changed from ‘Marginalization’ to ‘integration’, while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school maladjustment wanted to hold on ‘sepa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pecialized institutes for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adjust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