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통해 본 마이스터고 정책의 성과 분석

        임소현,황준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3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 of policy for meister high schools through the recognition of school constituent. As a result, policy for meister high schools are achieving policy objectives that competitiveness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and effective training of personnel required for the labor market enough. Therefore, policy implications for meister high schools are linking professional high schools with industrial manpower needs, and building a first employed and later entering college system. This research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policy for meister high schools, first, expanding meister high schools that is linking with national or local industries, second, enhancing specialized in industrial needs curriculum, third, implementing job preparing programs for preventing the dropouts, finally, building infrastructure to support college entrance opportunities.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 정책의 성과를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밝혀보고자 마이스터고를 포함한 일반고, 특성화고의 학생, 교원 및 학부모 등의 주요 학교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마이스터고 정책 및 그 성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향후 확대 발전을 위한 마이스터고 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마이스터고는 ‘직업교육분야 고등학교의 경쟁력 제고’와 ‘노동시장에 필요한 인재의 효과적 양성’이라는 두 가지 고유 정책목표를 충분히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학교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모든 성과지표에 대한 응답 결과가 4.0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업교육분야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 ‘고교졸업생 취업률 향상’ 및 ‘고교졸업생 취업의 질 향상’과 관련해서는 4.30 이상의 응답 결과를 보여 상당히 높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마이스터고 정책은 그간의 성과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면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이스터고 정책의 지속적인 확대・발전을 위해 마이스터고에서 인재를 육성할 필요가 있는 산업 분야의 지속적 발굴 및 산업체 채용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강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실제적 운영,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전공에 맞는 진로지도, 마이스터고 졸업자의 선(先)취업 후(後)진학의 기회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마이스터고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산업체의 근본적인 인식 전환과 고졸 채용 문화 확산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 KCI등재

        Korean native Veronica rotunda and Veronica longifolia are day-neutral plants with no vernalization requirements

        임소현,Nam Hyun Im,안성광,Hyo Beom Lee,김기선 한국원예학회 2021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62 No.6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 Yamaz. (mountain spike speedwell) and V. longifolia L. (long-leaf spike speedwell)are Korean native plants that have potential value as novel ornamental crops due to their unique appearance and fl owering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 ects of cold and photoperiod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fl oweringof two Veronica species. Eight-week-old seedlings with four or fi ve nodes grown under a 9-h photoperiod were stored at5 °C for 0, 3, 6, 9, or 12 weeks and then forced under one of six photoperiod conditions [9, 12, 14, 16, or 24 h of continuouslight or 9 h with a 4-h night interruption (NI, 22:00 to 02:00 HR )] in a greenhouse. Regardless of cold treatment, there wereno signifi cant diff erences among photoperiod treatments in any growth parameter (i.e., plant height, numbers of nodes orbranches, leaf length or width, shoot or root dry weight) in either species. In plants without cold treatment, V. rotunda var. subintegra showed more than 85.7% fl owering regardless of photoperiod, and fl owering of V. longifolia was 80.0, 66.7,70.0, 85.7, 71.4, or 100.0% under photoperiods of 9, 12, 14, 16, or 24 h or NI, respectively. The number of nodes below thefi rst infl orescence, the number of visible infl orescences (VI) at the fi rst open fl ower, and days to VI were not infl uenced byphotoperiod in either species. As a result, cold treatment wa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fl owering of the two Veronicaspecies. Moreover, photoperiod also did not aff ect the fl owering of either spe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Koreannative Veronica species can be classifi ed as day-neutral plants with no vernalization requirement.

      • KCI등재

        설명되지 않는 임신 제3 삼분기 혈청 아미노전이효소 수치의 현저한 상승: 절반에서 임신성 간내담즙정체가 의심되는 증례들

        임소현,김리나,강혜심,심순섭 대한주산의학회 2022 Perinatology Vol.33 No.3

        Objective: Major causes of markedly elevated serum transaminase levels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re severe preeclampsia, HELLP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and low platelet counts) syndrome, viral hepatitis, and so on. We have experienced cases in which we could not explain with usual causes. We presented the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Methods: We collected cases with marked elevation of serum transaminase levels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nd the exclusion criteria were the diagnoses of preeclampsia, HELLP syndrome, viral hepatitis, etc.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courses of the cases. Results: We collected ten cases. Three patients had mild nausea or vomiting, and five had pruritus. Medians (ranges) of peak aspartate transaminase and alanine transaminase were 250 (112-497) IU/L and 348.5 (198-735) IU/L, respectively. Total bilirubin was mildly elevated in four cases. In liver ultrasound, four cases showed the findings of fatty liver. Gestational age at delivery ranged from 32 weeks 5 days to 37 weeks 6 days, and the mode of delivery was cesarean in seven cases. Rapid decreases in serum transaminase levels from around delivery were common findings. Conclusion: We have experienced unexplained cases with markedly elevated serum transaminase levels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nd half of the cases are suspicious of intrahepatic cholestasis of pregnancy. In these cases, we suggest considering detailed history taking including pruritus and the determination of bile acid levels, with suspicion of intrahepatic cholestasis of pregnancy.

      • KCI등재

        혁신도시는 외부지역 인구 유입에 실패하였는가?: 혁신도시 정책의 도외 인구 순유입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

        임소현,지수호 한국지방정부학회 2024 지방정부연구 Vol.27 No.4

        Is the innovation city policy considered successful? Despite numerous discussions on its performance, evaluations remain conflicting. In terms of population migration effects, evaluations of innovation city policy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ome argue that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local population, while others claim that they have not been effective in dispersing the population as they have only absorbed population from surrounding areas. Although there is significant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positive spillover effect, research on the negative spillover effect is still lack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gative spillover effect through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net population migration effects of the innovation city policy on the population from other regions from 2007 to 2020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 are analyzed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innovation cities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et inflow of population from outside the region after the public sector relocation compared to others.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is effect was concentrat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public sector relocation was in full swing and gradually decreased, which raises concerns about the policy's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way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novation city policy.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 전후 가구 소득의 변화와 학업성취 수준 간의 관계에서 가정 내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비교 연구

        임소현,오성배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전후 가구 소득의 변화와 학업성취 수준 간의 관계에서 가정 내 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중1 패널데이터를 활용해 가구 소득을 독립변인으로, 가정 내 사회자본인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매개변인으로, 학업성취 수준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 코로나 팬데믹 후 가구 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으며, 가정 내 사회적 자본도 현저히 줄어들었다. 또한 변인들 간의 평균값 차이에서 학업성취 수준은 가구 소득이 감소한 집단에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가구 소득과 학업성취 수준, 가정 내 사회자본의 관계를 매개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전체의 가구 소득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코로나 팬데믹 전후에 모두 학업성취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코로나 팬데믹 후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코로나 팬데믹 후 가구 소득이 감소한 집단에서 가구 소득은 학업성취에 정적 영향을,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가구 소득이 유지ㆍ증가한 집단은 코로나 팬데믹 후 가구 소득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다만 그 효과의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 내 사회자본은 그 효과의 크기는 감소하였지만, 학업성취에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 내 사회자본은 경제적 자본을 보완하여 학업성취 수준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저하된 학업성취 수준을 회복하고 손실된 가정 내 사회자본의 복구를 위한 다양한 사회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KCYPS 2018 to compar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 impact of income and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 showed family income gap was widened after COVID-19 pandemic, while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was remarkably reduced. Moreover, incom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before COVID-19 pandemic, but spending time with parents and child only had a significant impact after COVID-19 pandemic. Specifically,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pending time with parents and child had a negative effect in income reduction group. By comparision, incom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magnitude of effect was smaller in income maintaining and increasing group.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arents’ SES and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were found to still have an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the size of the effect has decreased. In additio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played a role in strengthening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y compensating for the decline in economic capital. Therefore, various social and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recov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at has de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restore the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that has been lost.

      • 노무현 정부의 세종시 신행정수도 건설 사업은 왜 좌절되었는가? :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임소현 한국정책학회 2020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1971년 김대중 후보 공약 이후 역대 정부마다 되풀이되었던 정책문제흐름인 ‘신행정 수도 건설’은 노무현 정부 시절 실질적으로 돌출되었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의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사업의 추진 과정을 M. Moore(1995)가 제시한 정치적 관리 (political management)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Moore에 의하면 새로운 정책을 도입 하거나 기존 정책에 주요한 변화를 가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것은 정치적 환경으로부터 정당성(legitimacy)과 지지(support)를 획득하는 것이며,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일련의 전략적 활동, 즉 정치적 관리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정치적 관리는 기업가적 옹호, 정책개발관리, 협상, 공적 숙의와 사회학습 및 리더십, 공공부문 마케팅과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의 5가지 실천 전략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실천 전략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세종시 신행정수도 건설 사업 추진 과정을 분석하였고, 정책의 찬성과 반대 측의 정책행위자들의 정치적 관리 전략이 사업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궁극적 목적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성공에 있어 요구되는 관리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 분석 방법을 활용한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 예측모형 비교 연구: 개인-환경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임소현,이영광,이승엽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6

        The study aimed to select person-environment, person-family and person-school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by identifying prior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environmental interaction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as the way of raising affection from their parents, while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eniors was peer affection. Second, person-family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ere in the order of affection and supervision parenting style, an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eniors, supervision and love parenting style were followed. Third, person-school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as teacher relationship, an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eniors was peer attach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 개인-가정 및 개인-학교 상호작용 변인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KCYPS 자료 중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6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1,788명과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65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진로정체성 수준에 따른 집단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개인-환경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개인-환경 작용 변인은 애정 양육방식이었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또래애착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가정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애정 양육방식, 감독 양육방식 순이었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감독 양육방식, 애정 양육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학교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개인-학교 상호작용 변인은 교사관계였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또래애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기자들의 ‘현장’ 의미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소현,양승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5

        This study tried to substantively grasp the meaning of ‘Hyun-Jang’, an abstract and complex concept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Korean media, and to organize it systematic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of ‘Hyun-Jang’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it is divided into ‘reporter as a witness’, ‘building a network of factuality’ and ‘access to first-handed data’. These were classified into three perspectives: 'Space', 'Practice', and ‘Originality(independent reporting)’, respec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d ‘Hyun-Jang’ as ‘an environment in whic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reporters discover articles on their own and find links between facts discovered through an independent verification process are performed’. Based on this, an attempt was made to compare the actual perceptions of report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to find out how reporters actually perceive the meaning of ‘Hyun-Jang’, it was found that the reporters understood and accepted the perspectives of and ‘space’, ‘practice’ but overlooked the perspective of ‘originality’. This is a phenomenon that shows that Korean journalists are feeling confused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Korean journalists showed an attitude of vaguely accepting only some of the journalistic values of ‘Hyun-Jang’. 본 연구는 국내 언론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추상적이며 복합적인 개념인 ‘현장’의 의미를 실체적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다뤄진 ‘현장’에 대한 의미를 살펴본 결과 ‘증인으로서의 기자’, ‘사실성의 망 구축’, ‘1차 자료로의 접근(독자적취재)’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를 각각 ‘공간’, ‘관행’, ‘역할’의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을 ‘기자가 스스로 기삿거리를 발굴하고, 독자적인 검증 과정을 거쳐 발견한 사실들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는 환경’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삼아 기자들의 ‘현장’에 실제 인식을 비교해보았다.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기자들은 ‘공간’과 ‘관행’의 관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역할’의 관점은 간과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자들은 ‘현장’이 가진 저널리즘적 가치 중 일부를 막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취재 과정과 기자들의 인식도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