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동세브란스병원 주산기 사망 1998~2003

        조시현 ( Si Hyun Cho ),오자랑 ( Ja Rang Oh ),윤덕경 ( Duk Kyoung Yoon ),채용현 ( Yong Hyun Chae ),이미범 ( Mi Bum Lee ),이경은 ( Kyung Eun Lee ),이혜선 ( Hye Sun Lee ),전영은 ( Young Eun Chun ),황주연 ( Ju Youn Hwang ),김재훈 ( Ja 대한주산의학회 2008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9 No.1

        목적: 최근 연도별 태아 빛 신생아의 질적 관리를 평가하고자 주산기 통계를 제공하고, 출생체중, 임신주수, 임신부 연령, 영아의 성, 산전 진찰 횟수와 사망원인별 주산기 사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본원에서 출생한 단태아 4910예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주산기는 WHO정의에 따랐고 임상적 사망원인은 Aberdeen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조(교정) 주산기 사망률은 22.8 (13.4)였다. 임신 중단이나 중중기형아를 제외한 4.862예의 출생아 중 (1) 태아사망이 주산기 사망의 78% (51/65)였다. (2) 신생아(4,811예) 출생체중 1,000 g 미만, 1,000~1,499 g, 1,500~2,499 g의 빈도는 각각 0.3%. 0.7%. 5.6%로 생존율은 각각 73.7%, 86.1%, 99.6%였다. (3) 36주 이하의 조산아 사망은 총 신생아 사망의 약 86%(12/14)를 차지하였다. (4)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494예)의 주산기 사망률이 20.2로 다른 연령군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273). (5) 남아(2,616예)와 여아(2,245예)의 주산기 사망 시 성비는 173:100으로 남아의 주산기 사망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3l). (6) 산전진찰 2번 미만의 출생아(204예)의 주산기 사망률이 152.0으로 2회 이상의 경우 7.3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0l). 조 주산기 사망 112예의 원인을 보면 기형 31.3% 원인 모르는 미숙아 28.6%, 모성질환 10.7% 순이었다. 결론: 출생아 수가 매년 감소하나, 연도별 주산기 사망의 개선된 변화가 없어 특히 조산, 기형, 모성질환에 대한 주산기 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PMR)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perinatal deaths such as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maternal age, fetal sex, number of antenatal visits, and cause of deaths. Methods: Review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4,910 cases of singleton deliveries from 1998 to 2003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was done. The perinatal period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WHO definition and the cause of mortalit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Aberdeen Classification. Results: Crude (corrected) PMR was 22.8 (13.4). Among 4862 deliveries excluding termination of pregnancy and severe congenital anomalies, (1) stillbirths accounted for 78% (51/65) of perinatal deaths. (2) Distribution of neonatal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1,000~1,499 g, 1,500 g~2,499 g were 0.3%, 0.7%, 5.6% with survival rates of 73.7%, 86.1%, and 99.6% respectively. (3) Deaths of preterm births accounted for 86% (12/14) of total neonatal deaths. (4) PMR of 494 cases of advanced maternal age was higher (20.2) than those of other age group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273). (5) PMR of male-to-female ratio was 173:100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1). (6) PMR of infants with less than 2 antenatal visits was 152.0, in comparison with the rate (7.3) of infants with more than 2 antenatal visits (P<0.001). Among 112 cases of crude perinatal deaths, the leading causes were congenital anomalies (31.3%), prematurity cause unknown (28.6%), and maternal disease (10.7%). Conclusions: The number of births is decreasing, but no significant decrease of PMR was observed. Therefore, intensive care of preterm infants and congenital anomalous babie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주산기 뇌경색에 대한 임상적 연구

        정명숙 ( Myung Sook Jeong ),천정미 ( Jung Mi Chun ),김경아 ( Kyung Ah Kim ),고선영 ( Sun Young Ko ),이연경 ( Yeon Kyung Lee ),한병희 ( Byoung Hee Han ),신손문 ( Son Moon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2

        목적: 주산기 뇌경색은 신생아 신경계 질환의 중요한 원인으로 특히 신생아 경련을 보이는 환아의 10~20%에 이르며 출생아 4,000명당 1명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에서의 보고가 없어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주산기 뇌경색의 원인, 증상, 방사선적 소견, 경과,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주산기 뇌경색으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원인, 증상, 병변 부위, 방사선적 소견, 임상경과를 살펴보았고 외래 추적 관찰시의 신경학적 검사와 발달 검사(BSID-II)를 통해 신경학적 발달 및 예후를 평가하였다. 결과: 주산기 뇌경색 환아 8예 중 만삭아가 6예, 미숙아가 2예였으며 성비는 남아가 5예 여아가 3예였다. 이들 중 초기 임상증상은 5예에서 신생아 경련, 3예에서 무호흡 및 호흡 곤란 증상이었으며 생후 2~6일에 시행한 초기 뇌초음파 검사상 전례에서 뇌경색을 의심하였고 이후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 영상검사로 확진하였다. 뇌파검사상 4예에서 이상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상파의 출현이 병변 부위와 일치하였다. 주산기 뇌경색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혈액 응고 인자 등 혈액검사와 태반조직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없었고 병변 부위는 좌측 반구가 총 8예 중 5예(63%), 우측 반구는 3예(37%)였으며, 좌중대뇌동맥이 8예 중 4예, 좌전중대뇌동맥 1예, 우중대뇌동맥 2예, 우후대뇌동맥 1예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3~42개월로 평균 17개월이었으며 외래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7예 중 신경학적 증상으로 경한 편측 부전마비가 3예, 간질이 1예 있었고 발달평가는 4예에서 시행하였는데 모두 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주산기 뇌경색의 초기 임상증상으로 경련이 매우 중요하며 초기 진단방법으로 뇌 초음파 검사가 유용하였다. 신경학적 검사상 경한 편측 부전마비와 간질이 환아들의 절반에서 관찰되었으며 향후보다 많은 환아 들을 대상으로 학령기까지의 추적 관찰을 통한 장기간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Perinatal infarcts are an important cause of neonatal neurologic morbidity accounting up to 10~20% of neonatal seizures and annual incidence rate is about one in 4,000 live bir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course, radiologic and Electroencephlogram (EEG) findings and to evaluate the neurologic outcome of cerebral infarcts.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to May 2004, 8 of 40,204 delivered newborns (0.02%) were diagnosed as having cerebral infarcts. The clinical presentation, course, radiologic and EEG findings were characteriz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and neurological outcome was evaluated by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developmental test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at out-patient department. Results: There were 5 males and 3 females. Six cases of them were full term, and other 2 cases were near-term neonates. Five cases presented neonatal seizure and 3 presented apnea or respiratory distress. All cases showed abnormal finding in the cranial ultrasonography that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symptoms. After then, diagnosis of cerebral infarct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bnormal EEG finding was found in the 4 cases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these abnormalities and cerebral infarcts existed. The location of infarct was on the left hemisphere in five of the 8 cases and predominantly in the distribution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7 cases were followed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17 months (range 3~42 months). Neurologic outcome was normal in 3 cases and abnormal in 4 cases. Mild hemiparesis was present in 3 cases and recurrent epilepsy in 1 case. Developmental test was performed in 4 cases, all of them were normal. Conclusion: Neonatal seizure is an important presentation as the first sign of perinatal infarcts and cranial ultrasound can be used for initial evaluation of these perinatal infarcts. Neuological sequelae remains over half of the patients. Performing long term follow-up study of large cohort study is needed.

      • KCI등재

        임상 ;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

        최병민 ( Byung Min Choi ),송영우 ( Young Wooh Song ),신정희 ( Jeong Hee Shin ),윤영선 ( Young Sun Yoon ),정현철 ( Hyun Chul Jeong ),임형은 ( Hyung Eun Yim ),이정화 ( Jung Hwa Lee ),김해중 ( Hai Joong Kim ),홍영숙 ( Young Sook H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산전 관리는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우리 나라의 사회 경제적 여건이 개선 되면서 대부분의 임부가 산전 관리를 받고 있지만 아직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는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가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국내의 보고는 없는 실정이어서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 생아의 어머니 중 산전 관리를 3회 이하로 받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대상 임산부는 106명, 대상 신생아는 107명으로 재태 연령이 부정확한 경우는 새로운 발라드 법을 이용하여 재 태 기간을 추정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임산부의 분만력과 주산기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신생아의 인구역학적 특징과 주산기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사망률을 조사하였으며 본원 의료 사회사업팀에서 연계한 의료 지원에 대 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임산부는 2004년도에 12명이었고 2005년도에 14명, 2006년도에 9명, 2007년도에 15명, 2008 년도에 28명, 2009년도에 28명으로 최근에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지 못하는 임산부와 신생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임산부의 주산기 합병증으로는 조산이 35명(33.0%), 빈혈 20명(22.9%), 조기 양막 파수 15 명(17.2%), 융모양막염 14명(16%), 태반 조기 박리 6명(6.8%), 다발성 질벽 열상 6명(6.8%), 전자간증 4명 (4.5%)이 있었다.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으로 미숙아가 44명(41.1%)이었으며 이중 재태 기간 28주 미만의 미 숙아는 7명(6.5%)이었다. 저체중 출생아는 44명(41.1%)으로 극소 저체중 출생아 17명(15.8%),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7명(6.5%)이었다. 대상 신생아 중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26명에 대하여 같은 기간 동안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출생한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52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미숙아에 비해 대상 미 숙아들의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이 더 많았고(P =0.044), 부당 경량아가 더 많이 태어났으며(P =0.038), 3단계 이상의 뇌출혈 또한 유의하게 더 많이 발생하였다(P =0.040). 또한 선천성 기형아와 사망아의 비율도 높았으며 특히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이나 Beare-Stevenson 증후군과 같이 생존율이 매우 낮은 기형아의 출생 도 있었다. 대상 환아 중 37명(34.5%)이 입양 기관으로 이송되었고, 1명은 아동보호시설로 퇴원하였으며, 13명 (12.1%)은 보호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보건소, 재단, 교우회, 시청 등에서 진료비 지원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임산부의 사회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사회적 부담도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저소득층 및 미 성년자와 같은 소외 계층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의 무료 산전 관리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야간 및 주말에도 산전 관리 진료를 운영하는 등의 실질적인 국가 정책의 활성화와 소외 계층 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Objective: With improvem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es of Korea, most of the pregnancies have been appropriately examined but there are a few mothers and newborns who have not received proper prenatal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7 neonates who had received prenatal care lesser than 3 visits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bstetrical complications, neonatal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neonata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We compared neonatal complications of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and those of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lesser than 34 weeks` gestational age neonates. Results: In obstetrical complications, there were twenty women with anemia, fifteen cases with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fourteen chorioamnionitis. In neonatal complications, there were forth-four premature infants, and forty-four low birth weight infant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mall for gestational age,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more common in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an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irty-seven infants (34.5%) were sent to the adoption agency. Fifty infants (46.6%) received medical expense support by the social service. Conclusions: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and social burden were increasing when the pregnancies had not received adequate prenatal care. To reduce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in low socioeconomic classes, practical nation`s policies and social supports for adequate prenatal care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전자 주산기 의무 기록

        이국 ( Kook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2

        우리나라 병원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기들에 관한 자료를 컴퓨터에 직접 기록하고, 입력·저장된 자료를 추출해서 주산기 사망 및 이환 통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 주산기 의무 기록을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얻어진 경험을 요약해서 제공하고자 한다. 계속적인 주산기 통계를 위하여 표준화된 기록 양식의 조사항목 선정에 있어서 모든 임산부와 아기에 관한 최소한의 기본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조사항목의 세부는 컴퓨터 분석을 위해 적합하게 디자인 되었다. 전자 주산기 의무 기록 체계는 종래 사용하던 임산부 퇴원 기록 서식을 수정하여 2004년 5월부터 별 문제없이 가동 중이다. 우리나라 병원의 주산기 통계를 위하여 모든 산과·소아과 의사에게 새로운 기록 양식인 전자 주산기 의무기록을 권장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정확한 주산기 통계를 기대하려면 산·소아과 의사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컴퓨터에 의한 기록 저장과 빠른 정보검색은 병원과 지역과 국가의료의 주산기 치료 향상을 위하여 유용한 주산기 통계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 new electronic perinatal record system for the prospective capture of accurate, standardized maternal and neonatal clinical data and provision of annual statistics on all babies born in Korean hospitals. The initial experience gained in the years of planning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is also to be summarized. Data are entered by obstetric and pediatric residents, who can easily select the code number from each corresponding data item. Data items were made to be basic and included minimum 49 entries, of which the code was designed to provide the accurate information. The system has been fully operational with no significant problems since May, 2004. It is proposed that obstetricians and pediatricians throughout Korea will be encouraged to use the new form of an electronic perinatal record to improve perinatal surveillance. Its use requires the willing co-operation of doctors of the mother and baby care tea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Neuroprotective Effects of SYM 2081, Targeting Kainate Receptors in the Neo-natal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 Jong Hoon Lee ),( Eun Joo Lee ),( Yoon Young Jang ),( Ji Eun Jeong ),( Hai Lee Chung ),( Woo Taek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7 No.3

        Purpose: Glutamate induced excitotoxicity has been implicated as a major factor of central neuronal death in neonatal hypoxic-ischemic (HI) injury. Kainate receptors (KARs) are one of glutamatergic receptors involving glutamate toxicity. However, the expression patterns of KARs in the neonatal HI brain injury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KARs 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of SYM 2081 ((2S, 4R)-4-methylglutamic acid) as a neuronal rescue agent after HI brain injury. Methods: In an in vivo model, left carotid artery ligation (LCA) was done in Sprague-Dawley (SD) rat pup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oxia (N), hypoxia (8% O2, 92% N2) (H), hypoxia with sham-operation (HS), hypoxia with operation (HO), and HO treated with SYM 2081 before a hypoxic insult (HM). In an in vitro model, the cultured embryonic cortical neuronal cel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oxia (95% air, 5% CO2) (Nc), hypoxia (94% N2, 5% CO2) (Hc), and Hc treated with SYM2081 (HMc) before a hypoxic insult. The expressions of GluK1-5 were assess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area of left hemisphere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contralateral hemisphere in HO group, restored by SYM 2081 treatment. Cell loss observed in the Hc group was decreased in the HMC group. The expressions of all KARs except for GluK2 were decreased in the HO and HC groups, whereas they were increased in HM and HMc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YM 2081 had neuroprotective effects on HI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through modulating KAR expression.

      • KCI등재

        Early Detection and Successful Laparoscopic Adrenalectomy for Pheochromocytoma in Pregnancy; A Case Report

        ( Jong Hyu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7 No.2

        Pheochromocytoma is an extremely rare tumor in pregnant women with potentially fatal consequences. We report a case of pregnant woman at 22 weeks of gestation with pheochromocytoma. A correct diagnosis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clues from severe preeclampsia was obtained and laparoscopic adrenalectomy was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