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8∼2017년도 직업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윤옥한(Okhan Yoo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직업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직업교육 연구 학회지를 분석하여 직업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8년 27권 1호부터 2017년 36권 2호까지 총 436편이다. 연구 방법은 연구자 특성, 연구비 수혜 현황, 연구 방법,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과 비교하여 직업교육 연구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연구자의 특성은 단독 수행 논문과 5명 이상 공동 수행한 논문이 감소하였고 2명 공동 수행한 논문이 늘어났다. 교신저자의 경우 대학교 교수들이 높았으며 연구기관의 교신저자는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비 수혜의 경우 대학교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한 논문이 늘어났으며, 다른 기관들에서 지원하는 연구비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의 경우 실험연구가 늘어난 반면 조사연구, 문헌 연구, 개발연구가 감소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의 경우 고등학교와 대학교, 기업체가 늘어났다. 넷째, 연구주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연구주제는 여전히 직업교육 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관련, 학습자 특성, 평가와 측정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나온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직업교육 연구’ 방향이나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연구된 다른 학회의 학술지를 함께 비교·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 틀 외에 다른 분석 틀을 통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직업교육학회가 직업교육에 대한 학문적 체계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구논문의 방향을 문헌 연구와 이론연구를 증편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A total of 436 papers were analyzed from 27th issue in 2008 to 36th issue in 2017.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the status of receiving the research expenses,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themes. The analysis analyzed the trend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compared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10 years from 1998 to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were reduced in the case of single-handed papers and co-papers of more than 5 persons, In the case of correspondent authors, university professors were high and correspondent authors decreased. Second, in the case of benefiting from the research fu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supported by the university ha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research funding supported by other institutions has decreased. Third, the research type increased while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decreased. the number of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businesses increased for the study institutions. Fourth, there was no major change in research topic. Research topics are still being researched related to vocational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learner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measur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ademic journals of other academic journals studied so far.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rough the analysis framework other than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paper. Third, the Korean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needs to increas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국가인적자원개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미래형 직업교육체제 탐색

        이병욱,이정표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하여 우리나라 미래의 직업교육체제가 어떻게 설계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우선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직업교육경로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직업교육체제를 분석한 결과, 제도적으로 개인의 진로를 지원해 줄 수 있는 계속직업교육체제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개인의 선택권을 강화할 수 있는 직업진로지도 및 지원체제가 미약한 상황이다. 학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우리나라 직업교육 관련 학제가 여러 주요 국가와는 달리 자체적인 독자적 논리성과 계속적인 체계 속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일반교육의 보완 차원에서 이류교육으로 서열화 되어 있다.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미래형 직업교육의 체제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다양한 직업교육체제는 수요자의 선택권 보장을 전제로 설계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형 직업교육체제는 평생직업교육체제의 구축을 목표로 연계화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미래형 직업교육체제 설계시 직업교육의 내실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미래형 직업교육체제는 직업교육체제의 다양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미래형 직업교육체제는 직업교육기관의 자율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미래형 직업교육체제는 형평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이러한 기본 설계 방향에 터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상황에 부합하는 미래형 직업교육체제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I illustrated how the Korean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has to be design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HRD. According to the Korean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alysis, on the aspects of vocational education pathways for NHRD, systematically there is no established continuum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d there is not enough job, career guidance and supporting system to strength the individuals’ right of choice. Also, as the school system problem, Korean vocational education school system is not established with its own logic and continuous system unlike other important countries and it is ranked as a second-class education which supports the general education. The basic directions for the Korean future vocational system desig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have to consider the followings. Firstly,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have to be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users’ right of choice is secured. Secondly,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needs to focus on the connection with the goal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design. Thirdly, the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s designed on the assumption of the substantialit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ourth,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has to be developed through diversity of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Fifth, the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ha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liberaliz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rganization. Sixth, the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ha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equality. In this study, I suggest futur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circumstances based on the basic design plan.

      • KCI등재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박주호,이정표,박윤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The importance of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is a leading issue in current education and training. To fulfill many different roles throughout life in organization and to increase individual employability, key competencies are critical. In this sense, key competencies need to be taught as an educational process in post-secondary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of students, the current status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first assessed. Then,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key competencies required from graduates of Korea Polytechnic Colleges. The study conducted surveys of industries where the graduates a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PA matrix analysis and Borich needs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key competencie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areas of self development,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tasks to improve key competencies were suggested for education in the Polytechnic Colleges. 모든 직업 활동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이 조직 차원에서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하고, 개인 차원의 경우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직업기초능력이 학교 교육과 평생 학습 차원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먼저 학교 차원에서는 직업기초능력 증진 교육을 위해 해당 학교 졸업생들이 취업한 산업체로부터 직업기초능력 정도를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폴리텍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강화 차원에서 해당 졸업생들이 취업한 산업체로부터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측정 평가 하였다. 산업체로부터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에 대한 교육 요구도 조사는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었다. 1차 교육요구도 웹설문 조사에서는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을 고용하고 있는 전국 16개 지역(서울, 부산, 광주, 구미, 김제, 대구, 대전, 목포, 성남, 아산, 안성, 울산, 인천, 창원, 청주, 홍성) 626개 기업체 소속 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339명으로부터 응답을 확보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직업기초능력 6개 영역(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화능력, 직업윤리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1차 조사 결과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하위능력을 구성하는 세부 행동 지표별로 2차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2차 조사에는 626개 기업체 소속 인사 중 189명의 응답자가 설문에 참여했으나, 결측치가 포함된 응답자를 제외하고 실제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 포함된 참여자는 144명이었다. 이들 교육 요구도 분석은 IPA 매트릭스 분석과 보리치(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교육 요구도가 높은 세부 행동지표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폴리텍대학의 직업기초능력 증진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직업교육연구 학회지 논문의 분석과 종합: 1998-2007년

        나승일,김강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ynthesiz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1998-2007). The 264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had published from 1998 to 2007. The coding system for analysis included the aspects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such as author, focused-institutes and populations,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opic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key wor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before 1998, literature-based review papers had decreased while survey research tended to increase sharply. (2)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had expanded on more various focused-institutes and populations over the last 10 years. (3) In the survey research, more various and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o explore the new information. (4) Research subjects for academic and practical recognition of vocational education had emphasized. (5)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before 1998, th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during the last 10 years showed a little growth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ractic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better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including making an effort to build vocational pedagogy as a discipline,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in doing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data and explore new information, studying diverse areas and themes on vocational education, and editing the Journal as a specialized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직업교육학회가 창간호부터 1997년도 이전에 발행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 논문을 분석하고 종합한 선행연구(나승일, 1998)의 후속연구로, 1998년부터 2007년 사이에 발행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었다. 1998년에서 2007년 사이에 발행된 직업교육연구지에 게재된 논문은 총 264편이었다. 이러한 논문들은 연구진이 마련한 논문의 분석틀에 따라 발표자,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분석, 연구주제 영역, 주제어를 코딩하여 분석항목별로 해당 논문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연구유형이 1997년 이전과 비교하여 문헌연구는 감소한 반면 조사연구는 급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최근 10년 동안 직업교육연구 대상의 폭이 확대되었다. 셋째, 조사연구 논문의 자료 분석은 다양한 정보 탐색에 적합한 추리통계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았다. 넷째, 직업교육의 학문적·실천적 재인식을 위한 연구주제가 강조되었다. 다섯째, 최근 10년 동안 직업교육연구 논문은 과거(1982-1997년)에 비해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교육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노력, 다양한 연구방법의 활용, 자료 분석 및 새로운 정보 탐색을 위한 다양한 통계방법의 활용, 직업교육 탐구주제 영역의 다양화 및 학문중심의 전문학회지로서의 직업교육연구 편집을 위한 개선점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직업교육 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연구

        이찬(Chan Lee),송낙현(Nakhyun Song),최현정(Hyun Jeong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변화와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 혁신의 주체가 될 직업계고 교원의 직업교육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직업교육 현장에 적용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하고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통한 직업교육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직업계고 교원 651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한 교차분석(χ2 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으로 Scheffee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은 직업교육에 대한 현실적 목적으로 취업과 진로를 동시에 추구하는 데 동의하며 중등 직업교육이 취업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중등 직업교육 운영에 대하여 부족하다는 평가를 하며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혁신적 변화를 위한 노력에 대하여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들은 중등 직업교육의 혁신적 변화의 필요성에 긍정하며 ‘산・관・학 협력 활성화’를 통한 방안 및 ‘학생 중심의 교육과 학생이 오고 싶은 학교’로 직업계고 전환을 요구하였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들은 중등 직업교육 발전을 위하여 직무 전문성 향상 및 교수학습 혁신을 통한 수업 운영역량 강화를 희망하고 있었다. 아울러 교원의 사기 진작을 위하여 과중하게 부담된 업무부담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산・관・학 협력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야 하며 고졸 취업에 대한 정보와 자원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직업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혁신역량이 우수한 교원을 전문 컨설턴트로 양성하여 혁신역량을 확산해야 한다. 또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방향을 설정해야 하되 학교와 구성원들이 함께 변화를 고민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cational education perceptions and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ho are the target of educational innovation as the need for change and improvement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s. The study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vocational education. As a result, three main findings emerged. Firstl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greed that pursuing both employment and career is a realistic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evaluated as insufficient, but the efforts for innovative change in the school in which they work were evaluated somewhat positively. Secondly,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confirmed the need for innovative change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demanded measures through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and ‘student-centered schools that want to come’ through convers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ly,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hope to strengthen their class management capabilities through job expertise improvement and teaching-learning innovation. Additionally, the need to improve the excessive workload to boost teacher morale has emerg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ek specific ways to activate industry-governmental cooperation and build a vocational education platform that can actively share information and resources for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Teachers with outstanding innovation capabilities should be fostered as professional consultants to spread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be set by reflecting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but schools and members should be able to contemplate and practice changes together.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직업계고 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육 참여주체 간 인식 차이 분석

        조준형(Joonhyung Cho),이병욱(Byung-Wook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 직업계고 교육의 목적 설정에 필요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 참여 주체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각 집단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의미분별법을 활용하여 정리하였고, 직업교육 목적의 각 의미에 대한 인식 수준을 그래프로 표현하여 비교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직업계고 교육의 목적에 대하여 지역 내 교육 참여 주체는 직무수행을 위한 전문성 함양을 강조하는 방향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제주특별자치도 직업계고 교육은 관련 분야의 전문성과 함께 범용성이 있는 일반적 역량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을 바라보는 높은 수준의 관점 전환”이 필요하다.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를 양분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향 정립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융합적, 자율적 학습 경험이 필수적인 시대인 만큼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일반적 역량이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히려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내 산업분야의 빠른 변화 속에서도 직업계고의 전문교과 교육이 그 효용성과 가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차원에서의 산학협력 지원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 직업계고 학생, 직업계고 교사, 중학생 학부모 모두 졸업 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술의 습득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육 참여 주체의 요구를 직업계고 교육에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산업기술의 최신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직업계고 산학협력 체제의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rticipant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ducation on the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ach group were organized using the semantic discrimination method,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each meaning for vocational education purposes was expressed and compared in a graph.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rough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for job performance. Most of the respondents high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specific skills necessary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the importance of specialized subjects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subjec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urriculum educatio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e relatively very high than theory, and thu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expertise for job performance after employment. Second,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hould consist of content that can develop general competencies with general purpose along with expertise in related field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a high level of education”(Jeong Yeon-jae, 2019). Efforts are required to establish directions that can be integrally connected rather than dividing ordinary and professional subjects. As convergent and autonomous learning experiences are essential,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narrowing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by organically harmonizing expertise and general competencies in specific fields.

      • KCI등재

        외국의 중등 직업교육과정 동향 분석

        박윤희,장명희,최동선,장규선,이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t vocational high schools is going to b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vision will be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2001. In this context, the analyse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several leading countries are essentially need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work of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England, Finland, and Sweden. The analysis framework was applied for the review: 1)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2)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3) contents of subjects, 4) quality assurance and assessment, and 5) accreditation and qualifications. On the basis of the reviews, the features of the five countries are discussed for comparisons. In addition,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영국, 핀란드, 스웨덴의 5개 국가를 대상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과정 동향을 분석하였다. 각 국가의 직업교육과정은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중등 직업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방법, 교과내용, 질 관리 및 평가, 인증 및 자격체계와의 연계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정으로부터 분리․독립시켜 운영하는 이원화(복선형)체제이거나,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단일화(단선형)체제이다. 미국, 일본, 핀란드, 영국은 이원화체제이고, 스웨덴은 단일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각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고교단계의 직업교육과정을 평생교육의 틀 관점에서 개방화, 유연화를 추진하고 있고, 직업 세계와 학문의 세계를 개인적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넘나들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직업교육의 기회를 가지도록 하며, 최근 우리나라 전문계고 정책이 지향하고 있는 선취업 후진학의 진로 경로 정착 등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 및 편성·운영 면에서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산업체들의 참여를 전제로 하며, 시대적, 지역 특성적 요구를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적극적이고도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직업자격과 연계한 다양한 과정들을 개설 운영하고 있었으며, 특히 건강, 보건, 복지 및 대인서비스 등 취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전공계열이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경제학적인 변화에 따른 직업세계와의 연계 측면에서 직업교육 분야의 재구조화 등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 면에서는 이수 교육과정에 대부분 인문교과군을 공통 핵심과목이나 핵심필수 교과로 포함시키고 있고, 교육과정 이수와 자격증 취득 간의 연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셋째, 평가기준 및 졸업 면에서는 대체로 정해진 학제에 의거하기보다는 학점이수제를 통해 학생의 노력과 능력을 평가하고 졸업 및 자격증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해당 전공과 접목시켜 실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중심으로 목표, 내용, 평가를 연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교육의 질 관리 면에서는 국가차원의 자격증 시험이나 합격․불합격의 등급 부여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각 전공분야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해당 과목의 학습목표 및 평가기준에 반영하여 관련 직업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필수 이수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다섯째, 기타 직업기초능력 자격 취득의 과정에서 필요한 핵심 및 기초 과목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직업기초능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핵심교육과정(전공)과 적성․기초수여과목 등을 이수하도록 하고, 자격 부여 기준에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수행을 평가․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CIPP 모형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양성과정)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배광민,우혜정,최명란,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2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must complete the training course for the training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 and get the qualification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with the criteria set by the Presidential Decre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_university 's educational performance, which is the only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in Korea and that plays a role of mass production in the labor market, has a great influence o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education based on CIPP model, Furthermore, it was aim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qualification training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training students was grasped. And We conducted a survey to draw out the improvement plan and utilized the results of 173 copies. We conducted interviews by selecting eight subjects for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positiv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context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about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learner and social needs. In the input factors, positive opinions were derived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raining requirements. However, there were man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achievement of the learner's educational goal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negative opinions of online contents education. In the process factors, positive evaluation was high in class related part, learner attendance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However, negative opinions were drawn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period, and the learner's burden due to lack of learning period appeared to be the main reason. In the factor of calculation, Positive opinions were derived from the applicability of the business curriculum for training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industry occupations. However,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such as learning time, concentration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of instru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lexibly manage the training schedule for the weekly training course f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to improve the online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consum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access to qualification training for local residents. Fourth, pre - education support for qualified applicants is required. Finally, follow-up care of qualified trainees is necessary.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수료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고용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국내 유일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를 담당하고, 노동시장에 양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H대학교의 교육성과는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IPP모형에 기초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실태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교직훈련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3부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대한 세부현황 파악과 심층 분석을 위해 8인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자원 등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도출되었다. 반면 학습자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교육목표와 훈련요구 항목에서 긍정의견이 도출되었으나 학습자들의 교육목표 성취여부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온라인콘텐츠 교육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과정요인에서는 수업관련 부분, 학습자 출결관리, 기관지원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종합평가에 대해 부정의견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기간 부족에 따른 학습자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인에서는 교육과정의 현업적용가능성에서 산업직종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훈련교사들에게 교육학 및 직업훈련 운영과 관련된 학습이 편성된 자격연수에 긍정적인 의견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도에서 교육수준 대비 학습시간과 학습 집중도 문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등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평일과정 연수일정의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정 개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거주 교육이수자들의 자격연수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연수 합격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지원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격연수 수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가별 중등직업교육 유형에 따른 직업교육 이수자의 역량 및 노동시장 이행 성과

        최수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2

        There has been ongoing discussion on the key competency of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Labour market demands the general skills as well as industry-specific skills.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the general skills could be useful tool to maintain their ability though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p of key competency and labour market outcomes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and general education graduates. Using the PIAAC international data from OECD,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based on statistical approach including HLM & GHLM.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literac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education graduates. It was common pattern among the countries. Secondly, these tendency intensified in work-based VET countries, such as Germany, Austria and Denmark. Thirdly, although the low literacy of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they tend to transit to labour market smoothly than general education graduates. Especially,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from work-based VET countries are likely to get a decent job.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has made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research o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 직업교육 이수자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는 전문적인 industry-specific skill을 강조함에 따라 기초역량 부재가 일어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초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별 직업교육 시스템 특성에 따른 청년들의 역량 격차의 실태와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 이수자들이 같은 수준의 인문교육 이수자에 비해 낮은 언어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의 모든 국가에서 같은 양상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교 단계에서 직업교육을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있거나, 도제훈련 형태의 직업교육 체제를 갖고 있는 국가일수록 국가 내 청년층의 언어능력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제훈련 중심 국가일수록 이러한 경향성은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과 학교에서의 교환적인 교육이라는 도제훈련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교육을 이수한 사람이나 직업교육을 중점적으로 운영하는 국가일수록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통계 수준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되었으며(경제활동상태, 직업의 수준, 임금 수준, 학력미스매치 등), 실제 인과관계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일 기반 학습 중심 국가일수록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가 우수하고, 조기에 노동시장으로 진입할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산업기술 고도화에 따른 직업교육 이수자의 기초 학습능력의 강화가 필요하며, 도제훈련 제도 도입 시 기초학습에 대한 강화 필요, 도제훈련 중심 국가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차이를 반영한 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업교육학의 학문분류체계 개발

        정진철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2

        지식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에서 직업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직업교육학의 개념을 구명하고, 직업교육학의 학문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고자 이 연구는 직업교육학의 학문분류체계를 개발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먼저 직업교육학과 학문분류의 개념이 구명되었다. 구명된 직업교육학의 개념에 근거하여 기존 학문분류, 문헌분류, 연구(활동)분류, 학과(전공)분류, 시소러스 분류 등 국내외 총 11종의 분류를 분석함으로써 직업교육학 관련 종개념을 추출되었다. 설정된 분류원칙(포괄성, 배타성, 유사성, 규모성, 보편성), 분류방식(조립형, 원리형, 평면배치형과 다원배치형, 열거형), 그리고 제시방식(3단계 분류, 10진법 체계)에 따라 최종적으로 직업교육학의 학문분류체계가 다원배치형과 열거형으로 개발되었다. 직업교육학은 형식 측면에서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 모두를 포함하고, 영역 측면에서는 직업교양, 전문직업능력, 직업진로발달, 직업교육심리, 직업교원교육, 직업교육방법, 직업교육정책 등을 아우르는 응용학문분야이다. 직업교육학은 대분류 상으로 교양직업교육학, 전문직업교육학, 직업진로교육학, 직업교육심리학, 직업교육교원양성학, 기타 직업교육학 등을 종개념으로 하는 학문분류체계를 갖는다. The vocational education gains importance in the knowledge-based and the lifelong-learning society and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vocational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o discover the disciplinary component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velop a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concept of the disciplinary classification were defin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Eleven types of foreign and domestic classifications were analyzed and a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was developed. The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levels. Main classes of the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re A) Vocational education as liberal arts, B)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C) Vocational career education, D) Vocational educational psychology, E) Educational management of vocational schools and education of vocational teachers, and F) Vocational education pedagogy and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