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실현방안 탐색

        남창우 ( Nam Chang-woo ),이동엽 ( Lee Dong-yub ),이영태 ( Lee Young-tae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초·중등 교육의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고, 부산의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교육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부산 미래교육 연구 및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초·중등 교원 2명, 정책집행전문가 2명, 정책연구 전문가 3명 그리고 미래교육 전 문가 2명의 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 문항은 부산 미래교육 기본방향,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목표, 부산 미래교육 추진 전략, 부산 미래교육 추진과제(아젠다) 그리고 부산 미래교육 추진 과제에 대한 타당도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 실시 후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산의 교육 환경 및 특징에 기반한 교육정책의 방향 및 전략을 구안하여 ‘인성 중심의 미래지향적 본(本) 교육 (New-tro: 뉴트로)의 구현’ 이라는 부산형 미래교육의 비전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에 맞는 중점 과제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추진 과제를 설정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to prepare for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an’s education is facing how to find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ro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Busan’s fu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Busan’s educat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some previous studies about how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and about the basic directions of Busan’s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delphi technique 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of two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wo exper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ree experts of policy research and two experts of the future education, totally nine members. Delphi survey questions are basic direction, vision, goals, practice strategies, and agenda for future education in Busan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domains was check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round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lphi-survey. After the proces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olidified the meaning of the Busan’s future education,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ty-oriented "new-tro"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by establishing the main tasks and the implementation tasks to realize Busan’s future education.

      • 국내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기초조사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희령 ( Lee Heeryoung ),김영근 ( Kim Young-geun ),홍승표 ( Hong Seungpyo ),주유미 ( Ju Yumi ),한대성 ( Han D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최근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조사하고, 미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의 토의를 통해 구성된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전문가 패널 16명에게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폐쇄형 질문으로 재구성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CVR 값이 .49 이하의 값을 보인 41개 항목을 제거하여 최종 6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질문별로 가장 높은 내용 타당도 비율을 보인 항목은, 국내 인지재활 발전 영역에서 ‘대학 교육과정에 인지재활 관련 과목 편성’, 현재 인지평가의 문제점 영역에서 ‘표준화된 작업수행기반 인지평가 도구 부족’, 현재 인지중재의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요소별 향상과 작업수행 향상 연결 부족’, 현재 제도적인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재활 관련 보험수가 부족’, 미래 발전을 위해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영역에서 ‘작업수행기반 인지장애 평가와 중재 능력’, 새롭게 개발하고 도입해야 할 평가 또는 중재 영역에서 ‘작업 수행기반 인지평가도구’,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확대되어야 할 영역에서는 ‘작업수행기반 인지재활’로 파악되었다. 결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작업치료 내 인지재활의 현황과 미래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인지재활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o derive necessary matter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s: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experts panel using open-ended questions form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questionnaire into closed-ended question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R, stability,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with the second Delphi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104 ite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41 items which was less than .49 of CVR value were removed, and 63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items with the highest content validity ratio for each question were ‘Organization of subjects rela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Lack of standardized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improvement by cognitive skills and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erformance’, ‘Insufficient insurance coverag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bility’,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 and ‘task performa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at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matters to be strived for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미래 조직과 노동력 관리를 위한 인적자원 패널 데이터 타당화 연구

        홍아정,송해덕,조윤성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 요소에 대한 신규패널 조사 포함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적자원 패널조사 구축 방안을 탐색하여 미래조직과 노동력에 대한 과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관련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인적자원을 주제로 한 신규패널 조사 설계 시 조사항목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항목을 탐색하고 타당성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평가모형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 기법을 적용하여, 앞서 도출된 조사항목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는 조사항목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 일반조사항목 63개, 신규조사항목 55개가 높은 타당성을 보임으로써 신규 패널조사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진행된 최우선순위 조사항목 분석결과 경영일반 2개, HRM/HRD 제도 4개, 근로자심리요인 9개, 수행 및 성과 1개 등 총 16개의 조사항목이 미래조직 및 노동력 관리를 위한 중요한 인적자원관리, 개발 요소로 도출되어, 향후 신규패널 조사 설계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고려가 요청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차적으로는 신규 인적자원 패널조사 설계 및 실제 수행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미래조직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효과적 노동관리를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인적자원 관련 요소를 탐색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labor management by exploring the items to be included in the new panel survey in relation to human resource factors and testing the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it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9 experts in the human resource field to identify new survey items and to test their validity. In additio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pplied for the previously derived items, and the survey items that needed to be considered first were subsequently derived.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it was found that 63 basic survey items and 55 new survey items were included in the new panel survey. Next, as a result of deriving the highest priority survey items for the new survey items, a total of 16 survey items need to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including 2 general management, 4 HRM/HRD (Human Resource Management/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s, 9 worker psychological factors, and one connected to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ew human resource panel surveys were presented.

      • KCI등재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지표 개발

        황수빈 ( Hwang Su-bin ),김종배 ( Kim Jong-bae ),홍현 ( Hong Hyeon ),황모세 ( Hwang Mo-se ),장완호 ( Jang Wan-ho ),김정현 ( Kim Jeong-hyeon ),김정란 ( Kim Jeong-r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포커스그룹인터뷰,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사용성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초안을 개발하였다. 1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및 2차 델파이조사를 통해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를 검증하였다. 1차 델파이조사 결과, 휠체어 사용 대상자 및 버스기사 대상자를 위한 사용성평가 시나리오가 각각 2가지 항목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시나리오 내용의 정의가 더 명확하게 수정되었다. 하위지표로는 성공여부, 오류횟수, 오류번호, 과제노력도, 수행시간, 기술수용도, 과제난이도, 제품만족도가 도출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휠체어 사용 대상자 및 버스기사 대상자를 위한 사용성 평가지표는 각각 3개의 사용성 상위지표와 12개의 하위지표, 10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었다. 사용성평가 시나리오는 휠체어 사용 대상자를 위한 2개의 수행영역과 8개의 수행과제로 구성되었고, 버스 기사 대상자를 위한 4개의 수행영역과 14개의 수행과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지표를 기반으로 향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enario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usability test of express/intercity buses for wheelchair users. The research methods us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delphi technique.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usability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 draft was develop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Twelve experts were tested for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and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two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for wheelchair users with disabilities and bus drivers were added, and some of the definition of scenarios were more clearly modified. Sub-indicators were success, error frequency, error number, task effort, performance time, task acceptance, task difficulty, produc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showed that the u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wheelchair user and bus driver subject was composed of three usability upper-indicators, 12 lower-indicators and 10 detailed-indicators, respectively.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consisted of 2 performance areas and 8 performance tasks for the wheelchair users and 4 performance areas and 14 performance tasks for bus driver subjects.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and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express/intercity buses for wheelchair users in the future.

      • KCI등재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정명섭(Myung Sup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세계지리 수업과 세계시민성 함양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문항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재 개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세계시민과 지리」교과서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를 분석하여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를 위한 영역, 항목, 문항 등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패널로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델파이 조사 결과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의 영역을 인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기능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고, 인지적 영역 4개 항목, 사회⋅정서적 영역 7개 항목, 기능적 영역 4개 항목 총 15개 항목과 30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결론 개발된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의 영역, 항목, 문항은 고등학교 세계 지리(2022개정 세계시민과 지리) 학습과 세계시민성 함양의 밀접한 연관성을 연구하기 위한 길라잡이 역할과 지침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tool item for measuring global citizenship that can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geography classes and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through a Delphi survey. Methods To this end, areas, items, and questions for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World Citizens and Geography” textbook a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22-33). In addition, a group of 10 experts was formed into a panel to conduct a Delphi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he area of the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was divided into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and skill areas, and a total of 15 category and 30 items were developed in 4 category in the cognitive domain, 7 category in the social and emotional domain, and 4 category in the skill domain. Conclusions The areas, items, and questions of the developed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will serve as a guide and guide for studying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high school world geography (2022 revised world citizenship and geography) and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중장기 계획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김정연,박은혜,표윤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3

        [Purpose] In this stud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a mid- to long-term plan for communication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uitable for the field. [Method] Opinions on communication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itially collected from a comprehensive literature analysis, from focus group interviews, and from survey results. The opinions of experts were then collected through two rounds of a Delphi survey. [Results] The mid- to long-term plan for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in a paper that reported on th second Delphi survey(which further developed the results from the first Delphi survey). This paper sets the goal as the“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to guarantee the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and social participation”. The plan consisted of five areas, 17 tasks, and 45 strateg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aspects of a mid- to long-term plan for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of related policies were debated.

      • KCI등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통합물관리 환경변화와 기능 재설계 방향: 수자원조사 기능을 중심으로

        유수동,박현욱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2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IWRM) is a new water resources management paradigm. In the meantime, Korea's IWRM has been promoted centering on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coordinating tasks of central ministries. However,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the operation of the governance system determines the success of IWRM. As such, discuss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functions within the administrative system related to water resources have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operating effectively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will affect IWRM by utilizing the expert Delphi survey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design of the water resources survey function.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it was suggested that the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environment would have a great impact on IWRM, and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coordination among related institutions and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and organizational systems we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s for policy design and function coordination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the future. 통합물관리는 국가와 지역의 새로운 물관리 패러다임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통합물관리는제도적 기반 마련, 중앙부처 업무 조정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선진국의 경험에 따르면, 거버넌스체계의 작동 여부가 통합물관리의 성공을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수자원관련 행정체계 내 기능 재조정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라 통합관리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여 통합물관리에 영향을 미칠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수자원조사기능의 재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델파이 조사 결과, 법・제도・정책환경이 통합물관리에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관련 기관 간 기능적 조정과 행정・조직체계 개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통합물관리를 위한 정책 설계와 기능 조정에 있어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Contents of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Recognized by Experts

        Kim, Sun-Hee,Ryu, Chang-Yol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기술교과교육에서 생물기술 영역의 내용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채택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수정 델파이 조사이다. 총 3회에 걸쳐 수행된 수정 델파이는 모두 구조화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선정된 패널은 33인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기술의 대영역은 생물기술의 기초, 생물기술의 원리, 생물기술의 이용, 그리고 생물기술 영향으로 하였다. 둘째, 생물기술의 기초 영역에는 생물기술의 정의, 생물기술의 역사, 생물기술과 관련된 용어, 생물기술의 특성(생물기능이용 및 개량, 대량생산), 생물기술 영역과 관련된 기술{(생물이용기술(생물기능향상기술-유전자조작, 세포융합), (생물기능이용기술 - 재배, 사육, 육종, 배양, 발효, 바이오리액터), 생물모방기술}이 있다. 셋째, 생물기술의 원리 영역에는 유전자조작기술, 세포융합기술, 배양기술, 생물반응기기술과 현대 생물기술의 절차(유전자조작기술 또는 세포융합기술, 배양기술, 생물반응기기술), 생물기술 영역과 관련된 기술에 부합하는 조작적 활동이 있다. 넷째, 생물기술의 이용 영역에는 농업 분야, 의료 분야, 환경 분야, 에너지 분야, 생물기술 관련된 진로탐색이 있다. 다섯째, 생물기술의 영향 영역에는 생물기술의 사회적 영향, 생물 윤리, 생물 안정성(식품, 환경), 생물기술의 전망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tents for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of the secondary school level.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view and modified Delphi survey. The modified Delphi survey that were conducted totally 3 times all consisted of structured items and the selected panel is composed of 33 per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ly, four 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were foundation of biotechnology, principles of biotechnology, utilization of biotechnology and impact of biotechnology. Secondly, the foundation of biotechnology included five sub-categories such as definition of biotechnology, history of biotechnology, terms related to biotechnology, characteristics of biotechnology (improvement & utilization of organism function, mass production), and technology related to biotechnology domain{bio-utilization technology (improvement of organism function - genetic manipulation, cell fusion, utilization of organism function - fermentation, culturing, cultivation, raising, breeding, bioreactor), biomimetics}. Thirdly, the principles of biotechnology included six sub-categories such as genetic manipulation, cell fusion, culturing, bioreactor, procedure of modern biotechnology(genetic manipulation or cell fusion →culturing→ bioreactor) and hands on activity corresponding to technology related to biotechnology domain. Fourthly, the utilization of biotechnology included five sub-categories such as the utilization in agriculture sector, the utilization in medicine sector, the utilization in environment sector, the utilization in energy sector,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biotechnology. Fifthly, the impact of biotechnology included four sub-categories such as social impact of biotechnology, bioethics, biosafety(food, environment), the prospect of biotechnology.

      • KCI등재

        학교시설 맞춤형 BF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윤평세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3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2 No.2

        This paper reports on three Delphi surveys based on draft evaluation items with the aim of deriving evaluation items prior to developing a BF certification index for school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he index safe and convenient. To this end, problems were formulat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ollow-up evaluation of existing BF certification indicators. Draft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ies were proposed. The adequacy of each evaluation item was verified using a Delphi survey. Experts and working-level groups, such as university professors, architects, public officials, certification agencies, and organizations for disabled persons, provided feedback for all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y BF, which was incorporated in the final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8 evaluation items, a total of 75 evaluation items were proposed as maintenance items, 12 as improvement review items, and 15 as new evaluation items. 본 연구는 안전하고 접근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학교시설만의 BF인증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 로써 평가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평가항목 초안을 바탕으로 3회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BF인증지표의 내용분석과 사후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학교시설의 BF인증 평가항목의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평가항목별 적정성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BF 심사,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교수, 건축사, 공무원, 인증기관담당자, 장애인단체 등 전문가 및 실무자 그룹으로 구성하여 리쿼드 7단계 척도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 학교시설 BF평가항목에 대한 각 평가 항목별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평가항목에 반영하였다. 델파이조사 결과, 기존의 8개의 평가항목을 제외한 총 75개의 평가항목을 유지항목으로, 12개의 평가항목에는 개선 검토항목으로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새롭게 제시된 추가검토가 필요한 15개의 항목들에 대해 평가항목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3D프린터의 유치원 현장적용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델파이 조사 분석

        이건우(Lee, Keon-Woo),유구종(Yoo, Gu-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3D프린터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여 통합네트워크화 하고,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연구에 기반하여 3D프린터의 유치원 현장적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D프린터+유아’, ‘3D프린터+교육’을 검색어로 최근 3년간 국내 소셜미디어 온라인 상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Textom을 통해 텍스트를 수집 및 정제하였으며, UCINet6를 사용하여 시각화 하였다. 또한 전문패널을 선정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프린터에 대한 인식의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상위 20개의 단어를 통해 동시출현 빈도와 주요발생지역을 파악하였다. 둘째, 1차 델파이 조사결과 3D프린터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문제점, 요구의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2차 델파이 조사결과 3D프린터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절감, 유치원 현장의 인식개선, 교육적 효과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3D프린터의 유치원 현장적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pply 3D printers in kindergarten through two-time Delphi survey, which is based on the unified network of social perception appeared in social media towards 3D printers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this, ‘3D Printer + Infant’ and ‘3D Printer + Education,’ as a search ter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line text data of domestic social media were collected over the past three years. Text was collected and refined through Textom and then visualized using UCINet6. Based on this, the Commission selected experts in infant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experts in child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experts in infant education field as expert panels and sought ways to apply 3D printers to kindergarten on-site through a two-stage Delphi survey. The data of the Delphi survey conducted in two round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main keyword analysis of recognition of 3D printers selected the top 20 words to discover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and central occurrence area. Second, the first Delphi survey revealed that the recognition of 3D printers was in three categories: necessity, problem, and demand. Third, the second Delphi survey foun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said that in order to apply 3D printers to kindergarten sites, cost reduction, improvement in awareness of kindergarten sites, and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s must precede. Based on these findings, a plan for field application of 3D printers to kindergartens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