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박현진(Park, Hyun-Jin),김숙자(Kim, Suk-Ja),김현정(Kim, Hyun-Jung),장갑희(Jang, Gap-Hu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 활동안을 개발하여 5세반 유아 25명에게 5주간 1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의 현장 적용 및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에게 유아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ANCOVA와 M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기에 유아 인성교육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49 five-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self-concept inventory’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pre- &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improved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마송희(Ma So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정부나 학계에서 유아영어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어교육전문기관에서 파견한 교사가 그들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유아교육기관의 일과를 방해하고 유아교육과정과 통합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유아영어교육의 타당성을 언어습득에 관한 국내외 이론이나 뇌과학 연구, 유아기 영어교육 효과에 관한 국내연구, 사회적 변화와 외국의 유아영어교육실태 등의 관점에서 재조명해보았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과정과 통합하여 담임교사가 실시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영어와 영어권 문화에 관심을 갖고 친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노래와 동화 그리고 동작을 활용한 교수방법을 소개하였다. In spite of the negative attitude of government, English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re increasing. Most of the kindergartens use the English programs developed by a private English institute, which are neither integrated into the theme or unit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nor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validity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by reviewing language learning theory and brain science, and domestic researches on English education at preschool age, and to suggest an integrative English education model which preschool teachers are able to t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ither ‘the earlier the better’ principle nor the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language could not be supported. Second,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should focus on the affective aspects rather than cognitive domain, and include cultural education. Third, nursery rhymes and songs,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game were suggested as teaching strategies for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유아교사 대상 웹기반 유아컴퓨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김혜진(Kim Hye Jin),박혜경(Park Hye 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21세기는 소위 ‘정보화시대’라 불리는 만큼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으로 지속적 전문성 함양이 요구됨과 유아들도 점차 멀티미디어적 교육환경에 일찍 접하게 됨에 따라 유아교사들의 컴퓨터 영역에서의 운용능력함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최근 유아교사들의 바쁜 업무일정으로 출석 수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감안해서 웹기반 원격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몇몇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보다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그러한 선행연구들의 교육내용이 현장 적용적 내용이 아닌 메뉴사용 중심적 내용으로 인해 학습효과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 본 연구는 기본적이면서 유아교사들이 연수받고자 한 운용프로그램 즉 한글, 파워포인터, 엑셀에서 연수 직 후 교육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구성하여, 이를 웹기반 유아컴퓨터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들의 유아컴퓨터 실무활용능력을 통계분석 한 결과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컴퓨터 사용 능숙함과 컴퓨터 활용 두려움 극복 이라는 학습 목표를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94%와 97%가 각각 달성하였으며, 98%의 유아교사들이 웹기반 유아컴퓨터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과 수업 방식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web-based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uter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ir abilities and satisfaction. This program allowed teachers to experience and study content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This web based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uter activities appeared to be successfully constructed based on Dick and Carey's instructional system design. Its main features are that it is a web-based program emphasizing a learner-centered approach, modular and authentic contents, self-directed and active learning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Each session of program is composed of five steps: objective presentation ? selection of basic learning contents ? main instruction and practice ? advanced activities making learning materials and official documents ? Question and Answer bulleti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 interest and achievement in this web based program for computer activities and ga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 web based program.
유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그림책 활용 중심으로
이상옥,손은령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 세계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해가는 협력적 샐행연구 과정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문헌 및 면담을 통해 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D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반에서 2022년 11월~2022년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5세 반 담임교사로 교사-연구자 간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해 유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실천 방안을 찾아 계획, 실행, 반성 후 재 실행해가는 과정을 면담, 연구자 저널,,문서 및 유아 작품수집 등의 자료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유아 세계시민교육애 대한 유아교사 인식 변화하기, 국제적인 문제와 이슈를 알아보고 교육과정에 주제로 다루어보기, 효과적인 교수매체 활용하기, 가정과 연계한 살천방안 구성하기와 같은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교사-연구자 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사 세계시민의식 변화와 함께 유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 및 역량이 강화될 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김은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살펴 보며 유아지속가능발전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1년 10월 18일부터 22일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질적 연구의 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는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기본생활습관 지도로, 자연 속에서 놀이하는 시간 속에서, 가정과 연계하는 다양한 활동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실천하고 경험하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면서 유아교사는 특별한 날, 특별한 행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아쉬움, 놀이 중심 교육과 연결에 대한 혼란,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가정과의 연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황보영란(Hwang Bo Young R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실질적 의미의 유아교육법」의 개념 정립을 통한 유아교육법의 법원(法源) 및 유아교육법 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로서 유아교육법 내용을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근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질적 의미의 유아교육법」을 ‘유치원 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에 관한 제 주체들의 권리ㆍ권한을 보호하고 의무를 강제하며 유치원과 그 운영을 규율ㆍ지원ㆍ관리하는 법’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탐색도구로 하여 현행 우리나라 법령집에서 각종 법률과 명령 판례 등에 산재해 있는 100개를 훨씬 상회하는 유아교육에 관한 관계법을 유아교육법이란 관점에서 찾아냈다. 이렇게 찾아낸 유아교육법의 법원을 다시 「실질적 의미의 유아교육법」의 개념을 근본으로 크게 ‘유아교육의 근거 및 기본원리에 관한 법원’ ‘유아교육 주체의 권리ㆍ권한ㆍ의무ㆍ책무에 관한 법원.’ ‘유치원의 설치ㆍ운영 등에 관한 법원’ 그리고 ‘보칙과 벌칙에 관한 법원’으로 나누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olid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Understa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requires to find sources and establish the legal system. It can be done by building up the concep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in the material meaning. This study describes how to build up the concep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in the material mean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should protect the right and the competence of the principal body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enforce their obligation. Furthermore, the law should observe, support, and control over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a kindergarten. Based upon these established concep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in the material meaning, the acts, orders, and precedents were found from the code in force. The total number of these is above a hundred. These sourc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the sourc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bou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ourc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bout right, competence,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principal body, the sourc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bout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kindergarten, and the sourc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bout supplementary rules and punitive provisions.
Mary Wollstonecraft 교육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구수연(Gu Su-Yeon),나성식(La Sung-S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 여성 페미니스트였던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 사상을 탐구하고, 그녀의 교육론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관은 교육을 통한 여성해방, 이성의 함양, 적극적 모성론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적인 가치, 아동관,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방법, 부모교육의 측면에서 유아교육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찰한 결과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론이 갖는 유아교육적 의미는 유아기부터 남녀에게 동등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고, 아동을 사회적 존재로 보며, 유아기 교육의 주요 목표는 이성을 발달시키는 것이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맞는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하며, 부모들은 모델링을 통한 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실천할 것으로 정리되었다. 울스톤 크래프트는 최초의 페미니스트로서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교육권에 대하여 주장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의 제안은 유아교육에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ought of education of Mary Wollstonecraft, a feminist in the 18th century and explored its meanings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The thought of education of Wollstonecraft was the liberation of female through education, fostering rationality, active motherhood to care and educ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Wollstonecraft’s thought of education, meanings for childhood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in the aspect of value of childhood education, the view of child, object of education, contents and the ways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the value of her opinion for education was to give same opportunity between female and male from childhood to be educated. She imaged a child as a social one, the main object of childhood education was to develop their rationality, there could be suggested better ways to educat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and parents should recognize and practice to discipline children by modeling. Wollstonecraft maintained the equal rights of female to be educated, suggested practical ways of educating children, and gave valuable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송기창(Song KiCh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2004년 1월 제정된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그리고 유아교육재정의 형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법은 유치원운영위원회 규정을 누락하고 있으며, 무상교육, 사립유치원 지원, 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교육비 지원 등에 있어서 불분명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아교육재정 규모가 영세하며, 재원확보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관련 규정에서도 유아교육이 소외되고 있음을 밝혔다.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로 유아교육법 보완방향과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법 보완방향으로는 유치원운영위원회 설치와 5세아 유치원교육 의무교육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으로 특별회계에 유아교육 지원을 규정하는 방안을 비롯하여 유치원을 사업재정수요 대상기관에 포함시키는 방안,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을 인상하는 방안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analyzing the financial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Act') that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4, 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eschool education finance, is to suggest the financial tasks and issues to enforce the Act,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e Act omits regulations of kindergarten steering committee, and have ambiguous regulations about free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of private kindergarten and infant's protector. Also, this study made clear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stranged in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distribution as well as the scale of the finance is paltry, and financial resources security policy of preschool education is not readied. This study presented five alternatives to sec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that is, to increase the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rate, to support preschool education by special account for local education transfer,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