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비교 분석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관련 자 료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여 내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STEL의 핵심 교과 표준, 실천 및 내용 영역과 연 계되어 있었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STEL의 벤치마크는 3차원 또는 3영역의 내용을 적 절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과 STEL은 모두 교과에 대한 소양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실과의 교과 역량은 STEL의 역량에 비해 포괄적이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 정 ․ 기능 차원의 내용 요소 반영이 미흡하였다. 여섯째, STEL은 실과 교육과정에 비해 구성 요소의 개 요와 사례 제시에 충실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으로 교과 역 량의 구체성과 명확성, STEL의 핵심 교과 표준의 일부 반영, 성취기준의 구체화 및 적용을 위한 가이 드,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공유, 공학에 대한 관심 확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PA) curriculum and STEL.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PA curriculum and STEL based on structure and components of docum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were similar to core standards, practice and contexts of STEL. Second, three levels or domains of contents was relfected properly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and benchmark of STEL. Third, it was shown that both PA curriculum and STEL emphasized literacy towards subject matters. Fourth, the competencies of PA were more comprehensive than those of STEL. Fifth,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components in ‘the process and skill level’ were not included sufficiently in achievement standards. Sixth, STEL provided more sufficient descriptions of the content, course sample and so on than PA curriculum.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A education were suggested such as clar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subject matter, consideration of including STEL’s core standards, embodi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development and sharing of curriculum materials, enhancement of interest on Engineering.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교육’ 연구 경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황동국,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고, 시사점 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10월까지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주요 단어를 도출하였고, 빈도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실과교육연구에서 80.6%가 발 표된 것으로 나타났고, 주요단어 빈도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핵심어에는 ‘실과 (760회)’, ‘교육과정(256회)’, ‘실과교육(170회)’, ‘단원(117회)’이었다. 둘째, 주요 핵심어들의 언 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과’, ‘교육과정’, ‘생활’, ‘기술’ 등이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상당 히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결 중앙성 분석 결과, ‘실과 (3,019)’, ‘교육과정(772)’, ‘생활(697)’, ‘기술(627)’, ‘단원(577)’, ‘학습(561)’ 순으로 나타났고, 인접 중앙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실과’, ‘생활’, ‘학습’, ‘실과교육’, ‘단원’ 등이 높게 나타났다. 위세 중앙성은 ‘실과(0.625)’, ‘교육과정(0.336)’, ‘실과교육(0.266)’, ‘생활(0.244)’, ‘기술(0.237)’ 순 으로 나타났다. 빈도분석과 중앙성 분석에서는 실과, 교육과정, 실과교육, 단원, 교과서가 출연빈도 와 중앙성이 높은 핵심어였고, 생활은 출연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중앙성이 높은 값을 보였다. 셋째,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과’, ‘실과교육’, ‘생활’ 등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related to practical art education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keyword were extracted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until October, 2017, and frequency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0.6% of the studies on Practic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the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Practical Arts (760),' 'Practical Arts (235)', 'Practical Arts Education (170)', 'Unit (117)' ti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of the 19 main words,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Life', 'Technology' showed a considerable influence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nection centrali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Practical (3,019)', 'Curriculum (772)', 'Living (697)', 'Technology (627)', 'Unit (577)'. 'Life', 'Learning', 'Practical education', and 'Unit' are high in the result of analyzing adjacent centrality. In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centralism, ‘Practical Arts’, ‘Curriculum’, ‘Practical art education’, ‘Unit’, and ‘Textbook’ were the key word with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centralism, and ‘Life’ frequency was relatively low but the centralality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clusters are formed centering on 'Practical art', 'Practical art education', and 'Life'.

      • KCI등재후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초등 농업교육’ 연구동향 분석

        황동국,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농업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까지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주요 단어를 도출하였고, 빈도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농업교육과 관련한 연구의 주요단어 빈도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하는 단어는 ‘실과(8회)’, ‘농업생명과학(8회)’, ‘실과교육(7회)’, ‘개정 실과교육과정(7회)’이었다. 둘째, 19개의 주요단어들의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양농업교육’, ‘실과’, ‘농업생명과학’, ‘실과교육’ 등이 초등학교 농업교육에서 상당히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결 중앙성 분석 결과, ‘실과(38.000)’, ‘실과교육(29.000)’, ‘농업생명과학(14.000)’, ‘교양농업교육(12.000)’, ‘초등학교(9.000)’, ‘초등교사(9.000)’ 순으로 나타났고, 인접 중앙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실과’, ‘실과교육’, ‘농업생명과학’, ‘교양농업교육’, ‘초등교사’ 등이 높게 나타났다. 사이 중앙성 분석 결과 ‘실과(55.607)’, ‘교양농업교육(10.405)’, ‘초등교사(9.024)’, ‘실과교육(8.440)’, ‘농업생명과학(2.952)’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세 중앙성은 ‘실과(0.634)’, ‘실과교육(0.604)’, ‘농업생명과학(0.310)’, ‘초등교사(0.176)’, ‘교양농업교육(0.161)’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양농업교육’, ‘실과교육’, ‘초등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journal articles by 2016, extracted key words, and analyzed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main words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agriculture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words were 'Practical Art (8 times)', 'Agricultural Life Science (8 times)', 'Practical Art Education (7 times)’ , And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7 ti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19 major words, 'Liberal Agriculture Education', 'Practical Arts', 'Agricultural Life Science',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in elementary school agr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nection centrality,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concatenated centralism are as follows. ‘Practical Arts (38.000)’, ‘Practical Arts Education (29.000)’, ‘Agricultural Life Science (14.000)’, ‘Liberal Agriculture Education (12.000)’, ‘Elementary school (9.000)’, ‘Elementary school teacher (9.000)’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adjacency centrality showed that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Education', ‘Agricultural Life Science’, ‘Liberal Agriculture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high. The results of interval centrality analysis were as follows: ‘Practical Arts (55.607)’, ‘Liberal Agriculture Education (10.405)’, ‘Elementary school teachers (9.024)’, ‘Practical Arts Education (8.440)’ and ‘Agricultural Life Science (2.952)’ and The results of influence centrality analysis were as follows: ‘Practical Arts (0.634)’, ‘Practical Arts Education (0.604)’, ‘Agricultural Life Science (0.3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0.176)’, and ‘Liberal Agriculture Education (0.161)’. Thi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lusters are formed around cultivated agriculture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and programs.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경숙,이상원,김종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른 인성 함양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천하는 매체로서 실생활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과교육이 ‘생활에의 적용과 실천,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하는 교과임에 초점을 맞추고, 실과교육 내용에 근거한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영역 중 시사성이 내재되어 있는 내용을 국가적 기념일의 의미와 통합시킨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사회적 정체성 확립의 내면화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절차는 기획, 준비, 개발, 개선과 같이 4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여 국가기념일을 기반으로 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은 서울시 S초등학교 5~6학년 11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훈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및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는 초등 실과 내용을 기반으로 한 통합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둘째, 개발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실천적이면서 반성적 계기를 만들어 주어 바른 인성이 내면화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천적 의지에 대한 변화를 글쓰기 활동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은 도덕 교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실과 교과를 포함한 전 교과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훈화교육 내용 개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인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초등학교에 있어 인성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에 분산되어 있는 훈화교육의 각 주제를 재구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of national memorial days-centered based o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ontents. To realize the humanity cultivation in actual life, this program integrates the meaning of national memorial days into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four major stages: (1) plan, (2) preparation (3) development, and (4) improve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leven classes of the 5th and 6th graders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holiday-center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focuses on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students get opportunities to reflect themselves and cultivate humanity by writing essay about their practical will. In conclusi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an be effective in divers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whole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rt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as one subject. Also, to make character education formulate better, various researches that rearrange the admonitory topics dispersed in different subjects should be followed constantly.

      • KCI등재후보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B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이며, 연구 방법은 사전사후 통제반 실험설계이고, 수업에 적용한 단원은 5학년 2학기 실과 ‘7. 정보 기기와 사이버 공간’ 이다. 실험반은 2012년 10월 1주부터 2012년 11월 1주까지 5주간에 걸쳐서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시하였고 통제반에는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정보교육에 대한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정보교육에 대한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연구를 통해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on students’ affective peculiar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5th graders in B elementary school in Goyang city, Gyeongi-province and this study was adapted to chapter 7 ‘Information Devices and Cyberspa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through the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class was designed to have an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for five weeks, whereas the control class was designed to have an existing educational program. It started from the first week of October to the first week of November, 2012. After experimenting Information Education adapting STEAM with the students, we have examined t-test using SPSS 20.0 statistic program which set the significant level to 5%.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it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self-efficacy. Second,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tudents' interest towards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ird,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s has proved that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s effective to the students' affective peculiarities. We could know that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education field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의생활영역의 연구 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의 고찰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의생활교육은 1차 교육과정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그 가치에 대한 인식 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의생활교육의 의의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실과교육연구에 게재된 의생활영역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실험 연구, 조사 연구, 문헌 연구로 유형화하여 내용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의생활영역의 교육적 의의와 관련된 연구는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실험 연구, 학생의 뜨개질 경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분석한 조사 연구, 특정 능력의 향 상을 목적으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문헌 연구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의생활영역의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 창의성, 다문화 인식/태도, 환경 인식/행동, 진로 인식 능력의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의생활영역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대부분은 다문화 인식/태도, 창의성 (발명 포함), 인성, 환경 인식, 소비자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실험 연구의 목적 과도 유사한 것으로 의생활교육이 가지고 있는 가치나 중요성을 드러낸다. 즉 의생활교육은 일상생 활에 필요한 기본 기능으로서의 바느질 능력과 아울러 창의·인성, 다문화 인식, 환경 인식, 진로 인식 함양 등 국가와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인간을 양성하는 중요한 교육 소재임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의생활교육의 의의에 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성 에 대해서는 실험 처치(의생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n Practical Art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KPAE, SKPA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led the studies, followed by documentary study and survey study. Second, educational program in Clothing and Textiles influenced positively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othing attitude, crea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environment perception, career awareness. Third, the develop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program followed in three step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nhancement. The programs were aimed to develop clothing attitude, crea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environment perception, healthy consumer. The studies suggested follow-up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s.

      • KCI등재후보

        ‘노동’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비판적 성찰 및 수용 :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윤지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노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과교육의 성격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예시자료를 제안하여 실과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성찰적으로 수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문헌고찰과 실제적 예시자료의 개발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은 실과 교육을 비롯한 교육 분야에서 ‘발전’의 개념 측면에서 이념적인 혼란을 가져왔고, 녹색성장전략과 혼동되어 ‘환경교육’의 차원에 머물렀으며, 교육주체에 있어서 혼동을 가져왔다. 따라서 ESD의 두 번째 정의인 ‘욕구’와 ‘한계’의 개념에 주목하여, 환경교육의 범주를 넘어서서 통합적인 관점을 반영해야 하고 실과교과를 포함하여 각 교과로부터 자발적으로 ESD의 가치를 내재화 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발전’과 ‘성장’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성장’의 결과인 일자리가 아니라 일하는 인간의 ‘노동’에서 ‘발전’과 ‘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환경교육이 아니라 인간 삶에 관한 인식과 실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며, 실과교육의 고유한 본질임에도 지금까지 교육의 중심부에서 가려져 왔다. 교육은 형이상학적 지식체계가아니며 노동하는 인간의 삶에 대한 역사이다. 셋째, 2009실과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예시자료를 제안하였다. 실과교과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교육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맥락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ESD의 세 가지 국면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가․사회적요구, 핵심역량, ESD역량, 연구자가 제시한 준거(욕구, 노동, 사고과정) 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서로 다층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뽑아낼 수는 없지만, 그러나 이러한 준거들은 어디까지나 ESD를 실천하고 연구하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acception on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the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ESD and by the suggestion of the Educational Example Materials on E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ncepts of ESD were confused with ‘development' and ‘Carbon Green Growth Strategy', were understood ‘environment education', and confused in major educational player. So the concepts of 'needs' and 'limits' of ESD are important subconcept and the voluntarily acceptances of ESD in School Subject are needed. Second, from the view of 'labor' concept with relation human needs and desire, 'development' and 'growth' concepts are the results of human labor. So the concept of 'labor' are most important concept for understanding ESD from Hegel's viewpoint, Educational area,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area. Third, to practice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ubject voluntarily, there are various criterions are needed as to three areas of ESD, core ability and national·social needs on the curriculum, ESD core ability, and the criterion suggested by researcher(desire, labor, thinking process). From those criterions, example materials of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방안

        이성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이 연구는 실과교육과정기별로 실과 가정영역의 변화 과정 및 교육과정 개정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를 개 발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실과교육과정기별로 실과 가정영역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목표는 가정생활, 자신의 주도하는 삶, 가치 판단력, 미래 지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내용 체계는 가족생활에서는 가정 일, 가족원의 역할, 식생활에서는 전통 한식의 중요성, 의생활에서는 자립적인 의생활과 창의 성, 환경, 나눔, 주생활에서는 쾌적한 주거 환경, 소비생활과 자원관리에서는 시간과 용 돈 관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2007,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공통된 주제어는 통합, 미래 핵심 역량, 일상 생활 등이었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미래 교육과정의 실과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 체제의 개발 방향은 통합적 측면, 미래 핵심 역량적 측면, 가정생활 관점, 사회적 실제 및 시간적ž공간적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실과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 계는 다음과 같다. 개발된 가정영역 목표는 대영역 목표와 3개의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 다. 개발된 내용 체계는 나를 중심으로 한 ‘자율적인 생활’,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한 ‘건 강한 생활’, 자신, 가족 더 넓은 생활환경인 사회를 중심으로 한 ‘행복한 생활’ 3개 영역 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초와 심화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3개 영역에서 가정영역 내용인 가족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및 자원관리 영역이 의미 있게 포함되도록 하 였다. 개발된 실과 가정영역 목표와 내용 체계는 미래의 교육과정을 대비한 시도로서 앞으로 많은 보완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실과교육과정은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간의 상호 보완과 통합 및 핵심역량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goals and content system of future curriculum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changes and revision of home economic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goals of the area showed the change into family life, self-leading life, value judgment and future orientation. Content system was changed into the emphasis on family affairs and roles of family members in family life,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food in dietary life, independent clothing, creativity, environment and sharing in clothing life, comfortable residential life and environment in housing life, and time and pocket money management in consumption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revis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mmon key words such as integration, future core competence and daily lif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future practical arts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tegration, convergence, future core competence, family life, social practice and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developed are as follows. Goals of home economics area were divided into large-area goal and three sub-goals. Content system developed consisted of three areas including self-centered 'autonomous life', family life centered 'healthy life', and 'happy life' centering around self, family and society by dividing them into basic and advanced areas. These three areas also included family life, dietary life, clothing life, housing life, consumption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area. It is considered that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developed need more complementary stud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curriculum and also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integration, and core competence view are required in the same area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특성 분석

        이건남,김영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인용 정보를 분석 하여 실과교육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실과교육연구 및 해당 학술지가 속한 교육학 영역의 학술지들과 비교를 통해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간 우수한 논문을 게재함에도 불구하고, 피인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 지 않은 결과로,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영향력 지수(IF)가 낮은 편이다. 둘째, 2008년 에서 2009년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에는 지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2010년도의 지수는 교육학 영역에서 학술지 순위는 30위권으로 높은 편으로 교육학 영역에 속한 다른 학 술지에 비해 자기인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셋째,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즉시성 지수는 2010년에 0.2점대를 2009년 이후 유지하고 있으며, 순위도 높은 편이다. 각 연도별 게재논문수를 보면 2008년, 2009년, 2010년에 발간된 각 1,2호에 실린 논문 수가 24편, 25편, 22편 등 상대적으로 본 학술지의 다른 연도에 비해서 적지 않았기 때 문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즉시성 지수(0.234), 인용반감기(8.81 년), 인용 절정기(5년)로 볼 때, 다른 분야의 학술지에 비해 지식이전속도가 빠른 편은 아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using Korea citation index.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papers were not cited in recent three-year period, impact factor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decreased. Second, kor-factor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likely to be high in domain of pedagogy, because of low rate of self-citations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ZIF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likely to be high in domain of pedagogy. Fourth, the speed of knowledge transfer is not fast considering period of citation(8.81 year), and period of citation peak(5 year) in comparison with other fields of the journal, which means that the research environment of is not fast.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실태및 실과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강대중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onstructive measures for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at, investigated 144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and 465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 the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were evenly distributed by area and major unit. Second, descriptive written assessm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respect of the method for assessment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llowed by practical arts evaluation and observational evaluation. Third, there extremely few schools that plagiarized the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Although it was not an obligation, some plans did not incorporate the key achievement criteria which could help improve the quality manage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reduce the burden of studying. Fourth, there were very few these that analyzed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includ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among the theses published by academic associations researching into practical arts pedagogy. Based on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specify the essence and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clearly. The two academic associations which are committed to research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pedagogy should cooperate in mapping out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ubstance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와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한국실과교육학회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에서 발행한 학회지의 논문 가운데 실과 수행평가와 관련한 연구를 분석하여 실과 수행평가의 발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학년도 G광역시 초등학교 30개 학교의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144개와 논문 465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의 영역별 대단원의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의 평가 방법으로는 서술형 지필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실기평가와 관찰평가가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를 표절하여 사용하고 있는 학교는 극히 일부 학교가 있었다.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도모할 수 있고 학습 부감을 줄일 수 있는 핵심 성취기준을 반영하지 안흔 계획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학회에서 발행한 논문 중 수행평가를 포함한 평가 실태를 분석한 논문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과 수행평가의 본질,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고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두 학회는 실과 수행평가 내실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협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