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9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8 No.4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ncept of school space innovation to aim at the importance of user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or consume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ve curriculum and various school-govern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 the ways to link school space innovation to the best possible reflection for demander-centered or the demander needs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autonomous educ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were reviewed,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goals and basic value-added awarenes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basic values ​​of education, the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the direc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pace spatial composition, and school space.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 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 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송정란,이용환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7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nvenience facilities to strengthen or mitigate the Barrier Free awareness and Kindergarten Barrier Free for the kindergarten school staff and the public facility officials of the education office. In addition, to improve the Barrier Free, the improvement facilities of the kindergarte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irst, from the institutional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existing regulations of the Act for the Promotion of the Convenience Promotion of Disabled Persons, Elderly and Pregnant Women in Korea, and to change the facilities for duties and recommended install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tandards. Second, in order to apply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to the kindergarten in terms of facilit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barrier kind of the kindergarten so as to receive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by lowering the score of the items difficult to improve due to the terrain or building structure. Third, the perception of Barrier Free is still not high in terms of soci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creating a Barrier Free for a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 and living space of children who ar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change of Barrier Free in Kindergarten if an attempt is made to improve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index suitable for public kindergarten.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교직원과 교육청의 시설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지도와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구축을 위해 강화 또는 완화해야 할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또한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기설 단설유치원의 개선 편의시설에 대해서 조사하여 개선방안을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현행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유치원의 의무·권장 설치대상 편의시설과 그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기설 유치원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지형 또는 건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항목은 배점을낮게 조정하여 기설 유치원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인식적 측면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기존유치원과 신설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조성 방향의 핵심은 보호능력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다. 모든 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고 자동문을 설치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위생시설은 유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적절한 높이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 유아기 공동체 활동이 강화됨에 따라 강당이나 도서관의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피난안전 시설도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유아들의 교육·생활공간인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기설 유치원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연구가 시도된다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기관 선택 요인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대상자 배치계획

        김은규,이용환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가 자녀의 특수교육기관 선택 시 고려하고 있는 요인 등을 분석하여 특수교육대상자 배치계획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는 유치원 과정이 의무교육임에도 상당수가 초등학교 입학 시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고 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의 특수교육기관 선택 요인은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과정 운영, 자녀의 장애 유형 및 정도, 통학거리 및 통학방법, 교육시설(특별활동실, 치료실 등)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교육기관 배치 방식은 통학권내 학교 중 학부모 선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배치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정확히 파악되어야 하므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시기는 늦어도 유치원 과정으로 하고, 특수교육기관의 불균형 및 교육시설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통학권도 설정해야 할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factors considered by parents of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en selecting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present proposals for improving the placement plan of special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 considerable number of kindergarten processes are required for compulsory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selected for elementary school entrance. Second, the factors of choosing the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of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 type and extent of child disability, the distance to school and the way of commuting, educational facilities , Treatment room etc). Thirdly, it was found that parents' choices are the largest among schools in the school area, as to how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arranged. For proper placement planning,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number of subjects for special education, so the selection time of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shall be the process of kindergarten at the latest, the disparity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ispar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school books to solve it.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이상민,최형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present situation data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related systems and to develop indicators related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ents' education and lif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cond Delphy Surve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ex. As a result, a total of 88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43 indicators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area, adequacy of general classrooms, and appropriateness of multi-purpose steel sugar, 34 indicators on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seismic performance, age of fire facilities, aging of toilets, and aging of finishing materials, and 11 indicators on operational aspects such as energ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생태감사 프로그램 개발 방안

        김희진,남영숙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0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audi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School ecological audits enable students or groups of students to identify and solve the school's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ir own, thereby fostering sustainable decision-making and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 ecological audit project learning program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is aimed at 6th graders and is composed of 16 steps reflecting the procedural and ecological processes of the ecological audit. In order to settle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school site and improve the school sustain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periodically monitor the school environment, strengthen the capacity of school teachers, and provide a professional certification system outside the school. In addition, with this bottom-up policy-making system, students can expect to spread a sustainable school cultur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생태감사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학교 생태감사는 학생 또는 학교라는 집단이 학교의 환경적 문제점을 스스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오래갈 의사결정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생태감사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6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태감사의 절차적 과정 및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16차시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안착 및 학교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 환경을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학교 환경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학교 교사의 역량 강화, 학교 외부의 전문적 인증제도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향식 정책 결정 체제로서, 학생들의 환경교육 활동을 통한 지속 가능한 학교 문화 확산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 의제 탐색 연구

        최형주,조진일,신은경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2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New Deal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and furthermore, to provide basic data to discover and present a desirable futur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related agenda that will help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we explored the new paradigm shift for the education new deal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utur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through Korean and overseas related policies, reports, and source books.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panels of experts in the front-line education field, academia, and industry. As a result, 5 areas were derived as key domains of th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era, and a total of 33 agendas [8 in green, 9 in smart, 9 in spatial innovation, 4 in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nd 3 in others (safety)] were derived.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the smart area and spatial innovation area as th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agenda in the post-COVID-19 era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green area or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rea. Therefore, when establishing educational facility poli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ustomized policies that reflect the demands and needs for the smart area and spatial innovation area, whereas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establishing policies that improve awareness and interest about the green area and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rea.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보다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미래 교육시설환경 관련 핵심 영역과 영역별 의제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 시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관련 정책, 보고서, 자료집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뉴딜 및 미래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하고, 미래 교육시설환경 분야의 핵심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일선 교육 현장과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의 핵심 영역으로 5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총 33개의 의제(그린 영역 8개, 스마트 영역 9개, 공간혁신 영역 9개, 학교시설 복합화 4개, 기타(안전) 영역 3개)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조성 방안 연구

        조진일,최형주,김성중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2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온라인 교육 공간’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권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양질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방향, 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 및 공간의 종류 등 온라인 교육을 위한 공간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특성, 온라인 교육 공간의 특성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외의 온라인 교육 운영 및 공간조성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①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원칙과 방향, ②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융복합성, 편리성, 탈장소성(De-place)), ③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33개의 공간을 제시<Table . 참조>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online education space” in which the nee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As a way to create an online education space that can provide quality online education while sufficiently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online learning, the basic direction, attributes of space, and types of spac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literature review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functions of the online education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review, domestic and overseas online education operation and space creation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he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online education of teachers who operate online edu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①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online education space creation, ② attributes of online education space (convergence, convenience, de-place), and ③ 33 spaces (see Table 8) required for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현황분석 연구(설립시기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이규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2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1 No.1

        To understand the level of disability-free environment in existing high schools, this study evaluated the level of appli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177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Detailed standards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such as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an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were reviewed. The overall application level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f high schools, and the application level was analyzed by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s an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학교의 세부적인 시설관련 기준인 장애인등 편의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3장에서는 장애인 등 편의법 규정을 토대로 고등학교 환경의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편의시설의 전반적인 적용수준과 장애인등 편의법 시행 전후 시기별 및 특수학급의 유무별로 적용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교육과정 연계 고등학교 일반교실 공간계획 연구 -수준별 교육과정운영을 중심으로-

        양범석,이재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0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7 No.1

        A classroom is very crucial spac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facility. In planning of these spaces, it is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us and surveying the phenomena that students who are users psychologically feel about a classroom, the degree of a classroom's complying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urriculum to sincerely approach the primary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as below were obtained by integrating established cases of study. 1) The classroom of a course that is for exclusive use for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by the level and a class-based classroom i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7th curriculum in the type of a classroom. 2) The scope of learning group for a class by the level is as below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of psychologically stable range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faithful to curriculum. 3) The scale of classroom that is efficient in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and is psychologically stable is as belo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pacity of a classroom in high school from now should be designed below 25 students for teachers to be faithful to the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and the classroom should be recognized as being not only for learning but also the space that students live in and in the space plan of a classroom from now,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physical satisfaction such as the scale of facility and the array of desk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study in support of this is judged to be continued. A classroom is very crucial spac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facility. In planning of these spaces, it is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us and surveying the phenomena that students who are users psychologically feel about a classroom, the degree of a classroom's complying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urriculum to sincerely approach the primary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as below were obtained by integrating established cases of study. 1) The classroom of a course that is for exclusive use for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by the level and a class-based classroom i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7th curriculum in the type of a classroom. 2) The scope of learning group for a class by the level is as below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of psychologically stable range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faithful to curriculum. 3) The scale of classroom that is efficient in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and is psychologically stable is as belo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pacity of a classroom in high school from now should be designed below 25 students for teachers to be faithful to the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and the classroom should be recognized as being not only for learning but also the space that students live in and in the space plan of a classroom from now,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physical satisfaction such as the scale of facility and the array of desk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study in support of this is judged to be continued.

      • KCI등재

        요구분석을 통한 학교안전정책 개선방안 연구

        오대영,신선희,박윤주,김경회,한종극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9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ly, it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the 34 specific policies of school safety-accident prevention that were implemented at K-12 public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1st School Safety-Accident Prevention Plan established in December 2015. Secondly, it prioritized the policies based on the outcomes from the investigation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614 school teachers and staff from 24 school-safety research schools across the nation on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policies for preventing school safety accidents. Specifically, they were asked about the degree of realization and the necessity of expansion of the polic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Borich index as a needs measure was computed for each policy and a list of policies prioritiz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index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chool teachers and staff’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school safety since the policies took effect was highly positive in general. It was also shown that the policies perceived as best-implemented were, in descending order, “first-aid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aff”, “safety management of school meals”, “prevention activity of student traffic safety-accident”, and so on. The majority of survey respondents said that the policies were being implemented well and that they should be expanded and enhanced. As a result of the Borich’s ne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re collegial collaboration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other relevant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for school safety", "prevention education activity for water safety”, and so forth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본 연구는 2015년 12월 수립된 제1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계획을 기초로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안전사고 예방 34개 세부과제를 평가하고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세부과제들 중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24개 학교안전 연구학교 교직원 614명을 대상으로 학교안전사고 예방 계획 추진과제별 실현 수준 및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보리치(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학교 교직원들의 학교안전 개선 체감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가장 충실하게 시행된 정책과제는 교직원 대상 응급처치교육, 학교급식 안전관리, 학생 교통안전사고 예방활동 순이었다. 대다수의 설문참여자들은 해당 정책들이 잘 추진되고 있으며 지금보다 더 확대되고 강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교안전을 위해 교육청과 지역사회 관련기관의 긴밀한 협력’, ‘수상 안전사고 예방교육 활동’이 더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