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국적 이동과 지식의 번역 및 글쓰기: 타이완 추리문학장의 형성과 세기 전환기의 재구축

        박은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23 대만연구 Vol.- No.22

        In Taiwan, mystery novels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by forming a literary field centered on the Japanese and Western knowledge systems. Japanese writers living in Taiwan embraced the Western knowledge system refracted through Japan, and writers of Taiwan embraced the Western writing and knowledge system directly. After the end of the war, mystery novels, which had briefly slowed down due to national literary policies, will be revived in the 1980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er Lin Mystery Award and the launching of the magazine Mystery During this period, the narrative flow led by Japanese knowledge capital served as an important operating norm in Taiwan's mystery literary field. With the onset of the 1990s, Taiwan’s mystery literary field began to experience wild swings. Though they had been the dominant force in the 1980s, Fo-er Lin and Lin Po Publishing Corporation could not escape the fate of being replaced by Hung-Tze Jan and his mystery novel series ‘House of Murder Specialties’, The narrative paradigm of mystery novels had shifted from Japan to the West.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Third Million Dollar China Times Award for Novels, the field of mystery novels had not only gradually coincided with the mainstream literary world, but had also led to conflicts over the definition of the mystery genre between the mainstream media and on-line readers. This the facilitated the organization of the Ren-Lang-Chen Mystery Award/Mystery Writers of Taiwan Award that arose from the Internet in 2002, launching a new wave of power struggles over new rules for the mystery novel genre, as well as spawning local adaptions of the narrative paradigm of Japan’s Shin-honkaku mystery novel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aiwan's mystery genre, and how the new knowledge power relations had been generated under the new rules set for the field, shaping out Taiwan’s mystery genre that on can see observe today. 타이완에서 추리소설은 처음부터 일본의 지식체계와 서구의 지식체계 중심인 문학장(場)을 형성하며 발전했다. 타이완의 거주하는 일본 작가들은 일본을 통해 굴절된 서구 지식체계를 수용하였으며, 타이완 고전 문인들은 직접적인 서구의 글쓰기와 지식체계를 수용했다. 이 시기부터 서구와 일본이라는 초국적으로 연결된 번역 동력이 부르디외가 정의한 문화 자본 형식으로 작동하며 타이완 추리문학장에서 중첩과 장력을 형성, 이후 두 지식 체계의 경쟁과 다른 하위 장으로의 분리를 위한 토대가 되었다. 종전 이후 국가 문예정책으로 잠시 주춤했던 추리소설은, 1980년대 ‘린푸얼 추리소설상’ 제정과 잡지 추리 창간과 함께 다시 부활한다. 이 시기 타이완의 추리문학장은 일본의 지식자본이 주도하는 서사 흐름이 중요한 운용 규범으로 작용했다. 타이완 추리문학장은 1990년대에 들어선 이후 큰 변화를 겪었다. 1980년대 린푸얼과 린바이출판사가 쥐고 있었던 주도권은 잔훙즈(詹宏志)와 그가 기획한 『살인전문점』 시리즈로 넘어갔다. 추리 서사의 전범(典範)도 일본에서 서구로 교체되었다. 1998년 시행된 제3회 시보문학 백만소설상은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적 정의 문제에 대해 주류 매체와 온라인의 추리소설 독자 사이의 힘겨루기를 촉발시켰다. 2002년 온라인에서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인랑성추리문학상/타이완추리작가협회공모전'은 새로운 주도권 다툼을 불러 일으켰을 뿐 아니라, 일본 추리 서사의 현지화도 함께 이뤄졌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타이완의 추리문학장의 형성 과정을 검토하고 세기 전환기의 타이완 추리문학장이 어떻게 재구축되었는지, 또한 추리문학장의 새로운 운용 규범 하에서 지식 권력 관계와 분배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오늘날 독립성을 가진 타이완 추리문학장을 형성했는지 고찰하는데 있다.

      • KCI등재

        부르디외 문화생산의 장이론으로 본 한국발레장의 역사성: 1950년대 이후 신문기사의 양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박은혜 무용역사기록학회 2018 무용역사기록학 Vol.51 No.-

        Based on Pierre Bourdieu's theory of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this paper focuses on historicity in the field of ballet in Korean Society.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f major daily newspaper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artists' occupational groups and professional ballet careers, as a measure of autonomy in the field of ballet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found that 1) since the 1980s, choreographers of ballet have attracted more attention than artists in other genres, and 2) while educational capitals is still a strong element, the autonomous hierarchy of a professional ballet career is emerging in the field of ballet in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the field of ballet Korean society has strengthened in autonomy.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발레장의 ‘현재’ 모습보다 역사적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발레장이 한국사회에서 획득해온 고급문화로서의 궤적을 사회학적으로 추적해보려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문화가 고급문화로서의 특성과 위상을 지니게 된 데에는 이와 관련된 행위자들 간 위계원리의 자율성을 확보해온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이 주효했다는 부르디외의 문화생산의 장이론에 근거하여, 이것이 한국사회 발레장의 역사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의 발레 장에서 발레예술가(안무가, 무용수, 지도자)가 주요한 행위자로서 지속적으로 인식되어 왔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후, 발레장 만의 상징자본인 발레전문경력이 해당 발레예술가의 위상에 실제로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발레장이 위계원리에 있어서 고유의 자율성을 획득해온 과정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원으로는 사회적 담론을 담보하면서 장의 역동을 보여준다고 간주되는 일간신문기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문화생산의 장이론을 활용한 기존의 무용연구가 질적 접근에 치중되어있다는 점을 보완하고자 주요일간지의 내용분석을 활용한 양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객관성을 높였다. 연구결과, 1988년 이후의 발레 장에서 발레예술가의 위치가 견고해진 가운데, 198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작곡가에 비해 낮았던 발레안무가의 위치가 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발레예술가의 경력 중 주목받는 부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학력의 힘이 여전히 건재한 가운데 콩쿠르에서의 입상과 전문발레단에서의 활동이력과 같은 발레중심의 위계질서가 점차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볼 때 한국의 발레장은 발레라는 특수한 예술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 위계원리가 점차 강화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의 발레장에서 발레예술가들이 점차 지배적인 위치를 굳혀갔으며 발레전문경력을 강화시켜나간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한국사회에서 발레장은 자율성이라는 고급문화 장의 위계적 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고급문화로서 발레의 현재적 위치가 고정불변의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과정을 거친 역사적 결과물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혼합연령집단 실외놀이가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혼합연령집단에서의 실외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었다. 만3세 유아와 혼합연령집단을 구성하여 어린연령과 실외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활동 후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을 연구도구는 Bronson(1985)의 사회 과업 기술척도(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 중 ‘사회 행동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역보상 과제(Carlson, Davis, & Leach, 2005)와 스티커 찾기 과제(Simpson & Riggs(2007)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성 측정 검사의 하위요소 중 ‘사회적조절’ 점수와 ‘조절당함’, ‘사회적 도움청구’, ‘협동기술’ 점수에서 혼합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동일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의 하위요소 중 역보상 과제1, 2 스티커 찾기 과제 1, 2에서 혼합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동일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져, 연구결과는 혼합연령집단에서의 실외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정서적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박은혜,김영태,홍기형,연석정,김경양,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6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4 No.2

        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림상징체계는 해당 사회와문화를 반영하는 어휘와 상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상징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AAC 도구 및 상징체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유아 및 학령기, 초기 성인기 장애인에게 필요한 어휘를 수집하고 타당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어휘리스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그림상징을 디자인한 후 언어치료 및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가들과 장애학생의부모들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결과: 유아 및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디자인과 일반적인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의 두 유형으로 총 1 만여개의 그림상징이 개발되었으며, 높은 전문가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연령 및 우리나라문화에 대한 고려와 상황어휘와 발달어휘의 균형있는 포함은 본 상징체계의 주요 장점이다. 추후 상징체계의 도상성 및 확장 필요성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Cultural appropriateness of AAC vocabulary and graphic representa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line-drawing AAC symb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aphic symbol system which reflect Korean culture of school and life in general. Method: Korean AAC vocabulary set was developed by analyzing various high-tech communication devices and symbol software as well as collecting age specific vocabulary for children, school-aged student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color line drawing graphic symbols were designed for the AAC vocabulary set and were verified multiple times by professionals such as special educators and SLPs who had extensive teaching experience with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difficulties. Results: About 10,000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and high validity score was obtain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Ewha-AAC symbol system is meaningful in consideration of age range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as having balance between situational vocabulary and developmental vocabulary.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for symbol iconicity and expans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학교의 성경교수에 있어서 위기와 도전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This paper organized the problems of why the Bible teaching could not achieve the essential goals in using the primary textbook to form and develop faith, examined the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the main phenomenon of post-modernism, and suggested ways in Bible teaching by accepting crises into challenges and using it as opportunities. The suggested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about Bible teaching are lack of educating learners as main agents due to teacher-centered education, lack of connecting to learners’ various daily lives due to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lack of Bible teaching in the holistic areas due to cramming teaching methods. Although the postmodernism phenomenon of destruction of power can be a crisis in Bible teaching, the destruction of the teacher-centered education can stand learners as the main agents to perform the essential purpose of Bible teaching.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destruct the power of teacher-oriented ways, to understand the learners with postmodernism mind, and to have theological conversation as co-partners to find the truth of God for educating learners as main agents by respecting thei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Destructing the grand narrative in human history can be a crisis that leads to rejecting the truth of Scripture. However, applying the Bible’s content to the context of students’ lives can be a challen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engage students to actively expressing the stories of their lives and connecting with a variety of day-to-day experience with the Bible teaching methods. It also proposed that the teacher should utilize the variety of learning styles, allow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yle that they choose to, and use digital devices that are closely used in the students’ lives. Because relativity and diversity does not recognize the universal and absolute truth, it can be a crisis in Bible teaching. However, following Jesus’ teaching can be a challenge when trying to listen to the marginalized, overlooked, ignored, and excluded while giving new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This paper suggested a way to educate pursuit of identity in diversities. Respecting the differences in the various lives of learners racially and culturall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their lives, and finding their identity in God’s truth in the midst of new experience by sharing with others are ways offered for Bible teaching. 본 논문은 신앙을 형성하고 발달시키기 위한 주요 교재로서 성경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성경교수의 본질적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게 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그러한 문제점들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현상과 연결하여 성경교수에 주는 위기를 살펴보며, 위기를 도전으로 받아들여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성경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경교수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지적한 성경교수에 관한 문제점은 교사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성경을 대할 때 주체로서의 학습자 교육의 부족, 내용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학습자의 다양한 삶과의 연결 부족, 주입식 교육방법 위주의 인지적 성서교육으로 전인적 측면의 성경교수의 부족으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권력의 해체현상은 교사중심의 성경교수에 위기가 되기는 하지만, 성경교수의 본질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교사중심의 교육을 해체하고 학습자를 주체로 설 수 있게 하는 교육으로 도전이 됨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님의 진리를 발견해나가는 공동의 파트너로서 교사중심의 권위를 해체하고, 학습자에 대해 포스트모던적으로 이해하며, 성경교수 학습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해석자로 설 수 있도록 그들의 해석을 존중하며 신학적 대화를 나누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거대담론의 해체는 인류 역사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내려오는 성경의 진리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에서 위기가 되지만, 성경의 내용이 학습자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도록 교육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전이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한 성경교수 방안으로 학습자들의 다양한 일상의 경험과 연결하는 교육이 되도록 학습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형태를 활용하여 교수 학습을 계획하고, 자신의 학습 형태에 맞는 단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과 학습자들의 삶과 밀접한 디지털 기기들을 사용하여 참여를 자극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대성과 다양성은 보편적이며 절대적인 진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성경교수에 있어서 위기가 되지만, 주변적인 것으로 소외, 간과, 무시, 배제되었던 국지적인 주장과 의도에 귀를 기울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에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른다는 점에서 도전이 된다. 이를 위한 성경교수 방안으로 다양성 안에서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교육을 제안하였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학습자들의 다양한 삶의 차이를 인정하며 다양한 경험을 타인들과 나눔으로 하나님의 진리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교육

        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1

        1980년대에 들어 유아교사의 전문직화가 커다란 논의 대상이 되었다. 전문인이 가져야 하는 특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반성적 사고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유아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반성적 사고의 개념, 유아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 반성적 사고가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 그리고 반성적 사고를 길러줄 수 있는 교수전략이 논의되었다. Professionalization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ion on one's work is a key component of being a professional and is essential to teacher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why reflective thinking is essential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defines reflective thinking through its various aspects, and offers several strategies to promote it amo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e strategies include journal writing, autobiography, curriculum story, case study, action research, and ethnographic study. An ability to reflect in- and on- practice is not something that most prospective teachers master within a handful of courses, or in a month of student teaching. It is, rather, a lifelong practice that only begins during pre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박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199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사교육에서 그 중요성 이 강조되고 있는 저널쓰기의 활용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저널쓰기는 유아교사들이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해 개인적인 관점을 가지고 기록하는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의미하며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널 쓰기의 개념, 준비단계, 방법 등을 고찰하였으며 반성적 사고의 신장과 개인화된 이론 구축 등의 교육적 효과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 아동권리 관점에서의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박은혜,김나영,남희경,박선화,김인영,김지은,김교령 한국국제협력단 2017 국제개발협력 Vol.2017 No.4

        본 논문은 아동권리관점에서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그 개념과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정책제안을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와 아동 및 빈곤, 개발, 인권과의 관계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아동의 위치, UN아동권리협약 비준의 역사와 내용, 우리나라 정부의 비준 상황 및 국제개발협력에서 아동권리 보장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아동권리협약과 국제개발협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서 더 나아가 국제개발협력 내에서 아동권리 주류화를 목적으로 아동권리기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정책적 측면, 사업적 측면, 조직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기독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사례 연구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0 No.-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classes by studying a case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them. Literature review method is used for theoretical study. Participants were a number of Christians, 163 before class and 178 after class, of a Christian private university in Kyounggi-Do to prove efficiency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perspective on the changes of objective and contents of the class were improv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s of non-Christians' perspective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Christians'. Second, variou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student particip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confidence, and self-effici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among demographic variables; genders, majors, religions and grades. Fourth, the merits of flipped learning were improving student participation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trengthening self-directed learning. Its demerits were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on-line learning at home, encouraging student participation, making videos, and technical problems and so 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small group classes, supplementary materials, recruiting teachers, grading systems, and convenient approaches to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based on these results: recruiting teachers and training, making videos by considering contents, the length of videos, supplementary materials, techniques, and educating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hat everybody can understand and accept regardless of their religions. 본 연구는 기독교 교양과목 수업에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연구하여 기독교 교양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론적 배경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플립드 러닝 방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기독교 사립대학의 학생들 중, 사전에 163명, 사후에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해 교강사들과 학생들의 서술식 설문 내용과 학기 중간과 기말 강의평가의 서술식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은 사전과 사후의 평균값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차이는 없었으나, 기독교인보다 비기독교인의 사전과 사후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비기독교인 학생들의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가 수업 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드 러닝 방식의 여러 효과 중, 학생참여, 자기주도적 학습, 자신감, 자기효능감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 사전 및 사후 설문 모두 성별, 전공, 종교, 그리고 학년 모두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서술식 및 강의평가 결과를 통해 본 플립드 러닝에 대한 장점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수업의 참여도 향상, 교수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증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단점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교육활동의 개발과 수업 전 영상을 통한 학습 여부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 수업 참여를 일으키는 방안, 강의 콘텐츠의 내용과 제작 기간, 과제의 부담, 기술적인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으로 소그룹 강의, 보충자료 제공, 교강사 선정, 성적 부여 방식, 시스템의 용이성 등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강사의 선정과 훈련, 동영상의 내용, 길이, 보충자료, 그리고 기술 등을 고려하여 제작할 것, 종교와 상관없이 모두가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