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권현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관계 연구

        장효민,배애란,김혜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제4차 산업혁명 이후의 미래사회는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 간 유기적인 통합을 기저로 하는 미래지향적인 특성을 지닌다. Klaus Schwab이 2016년 다보스 경제 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최초로 언급한 이후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의 물결이 다가왔다. 특히 학문 간의 경계선은 점차적으로 약해져 어느새 시공간을 초월한 광범위한 정보공유의 시대가 다가왔다. 따라서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에 적합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그 구성요인의 구조 모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14가지 문항과 미래교육의 13가지 문항,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특수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의 구성요인은 교육기대, 교육다양성, 학교교육이며, 미래교육의 구성요인은 교육유연성, 교육전문성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구성요인별 관계는 적합도 기준의 충족을 통해 확보되었다. 둘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구성요인별 구조 모형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래사회의 구성요인 중 학교교육은 미래교육에 대하여 교육유연성과 교육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래사회의 나머지 구성요인은 미래교육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특수교사는 미래사회의 학교교육이 미래교육에 대한 유연성과 전문성의 증진을 가져온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 및 지원요구

        표윤희,이희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and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demand for support for vitalizing inclusive education targe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who have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 general school environment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t the national level. A total of 13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5 questions and included free opinions on the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inclusive education,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demand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activation plans, and improvement plans for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were summarized and describ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aspects of the plan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Korea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태와 인식 및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방법] 일반학교 환경 내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특수학급 교사를 전국 단위에서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해 모집하였다. 그 결과 총 138명의 특수학급 교사가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결과] 통합교육 실태 및 만족도, 인식 및 어려움, 통합교육 요구, 지원 및 활성화 방안, 교육 및 통합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자유의견, 총 3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몇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

        이학준 ( Lee¸ Hakjun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 특수교육에서 진행된 코로나19 학술지 논문 17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는 비대면, 비접촉, 사회적 거리 두기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연구 대상은 특수교사와 장애 학생이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는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그 외는 인식 및 실태, 시사점 순이다. 셋째,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가 다른 연구 방법보다 많았다. 향후 연구과제는 온라인수업 인식 및 실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정책적 지원 등이다. [결론]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은 특수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된다. 현재 특수교육 분야에서 절실한 고민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일 것이다. 그 방법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special education had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non-contact, and social distancing. Most of the studies are related to online classes, while others are related to a variety of different top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nd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ost urgent task is to ensure effective classes for all special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This is a problem that all relevant partie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must solve together.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과 취학유예·면제 제도의 역사적 변천 및 정책적 시사점

        홍정숙,안상권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4

        This study used the historical method of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gulatory changes that took place in mandatory education, including deferments and exemp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rom 1948 to the pres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se policy changes in education and to develop policy suggestions. To examine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mandatory education, deferment, and exemption regul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Korea in an objective fashion, the study included a parti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w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enrollment was broadly encouraged for children who did not have disabilities, but many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d not receive mandatory education opportunities. Second,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were extremely limited. Third, opportunities for schooling deferment and exemption were misused, and these became convenient and legal ways to avoid providing mandatory education for children who wer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Fourth, although the kindergarten and high school cours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included as compulsory education by enact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other challenges, compulsory education at the kindergarten level was not being implemented prop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First,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gulations for mandatory educ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e most urgent task is to implement the regulation for compulsory education for kindergarten. Second, compulsory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must go beyond the stage of guaranteeing opportunities for schooling and ensure that the right to appropriate education is upheld. Third, decision about schooling defermen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ased on objective criteria and procedures, and once they are made, proper follow-up support should be given. Fourth, the right to educa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not been guaranteed school enrollment must be assur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의 법제적 변천을 일반교육과 취학유예·면제 제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 후, 이에 근거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연구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1948년부터 현재까지로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 및 취학유예·면제 법제의 역사적 실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들 법제의 한일 비교를 부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아동의 취학은 적극적으로 추진된 것에 비해, 많은 장애아동은 의무교육의 기회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였다. 둘째, 지적장애나 중도·중복 장애아동의 교육 기회는 특히 제한적이었다. 셋째, 취학유예ᐧ면제 제도는 국가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책무를 회피하는 편의적·합법적 수단으로 오용되었다. 넷째,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유치원과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도 의무교육으로 포함되었으나, 유아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법 규정과 실행 간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유아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의 철저한 이행이 시급한 과제이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의 의무교육은 취학기회 보장의 단계를 넘어 양질의 교육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셋째, 취학의무 유예 제도의 엄격한 적용과 적절한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취학을 보장받지 못하였거나 취학하였다가 학업을 중단한 장애인들의 교육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 KCI등재

        특수학교 중등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황순영,이후희,양혜림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seconda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special school teachers who are in the middle school second grade and third of high school in the five special schools in Busan. The collected data used technical statistics and Chi-squa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factor and variable using SPSS Statistics(Version 23).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ransition education management status of the students with seconda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most of teachers did not establish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 Most of the goals of the transition education were independent living and daily living function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they did not link with related organizations. Secon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transition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living functions were most frequently responded to the transition education areas needed for students with seconda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from teachers or parents was the reason why parents counseling or connection with families was not successful. It was said that the school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need to cooperate for the transition educa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would be better to start with elementary school if the school implements systematic transition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 teachers real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education was still largely challenging and difficult in Korean society, and the main reason was lacked proper curriculum or materials and support system.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전환교육의 지원이 확대되는 데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5개 특수학교의 중등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Version 23)을 활용하여 각 요인 및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중등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실제 특수학교에서 개별화 전환교육계획을 대부분 수립하고 있지 않았다. 전환교육 지도 목표는 자립생활 및 일상생활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전환교육 요소를 포함한 학부모 상담은 많은 교사가 실시하고 있었고, 관련기관과 연계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특수학교 중등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운영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중등 발달장애학생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전환교육 영역으로 자립생활 기능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편, 학부모 상담 또는 가정과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교사 또는 학부모의 정보 부족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 분석

        신서영 ( Shin Seo-young ),박창언 ( Park Chang-un ),이해란 ( Lee Hae-r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는 2015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CBAM관심도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여, 특수교사 전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 평균 분석, 최고점 집단 분석, 제1-2최고점 분석을, 동일 학교급 내의 경력별-성별 집단 집단의 특성을 알기위해 집단별 평균 프로파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2015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 전체의 관심도 평균은 정보적 관심 단계였으며, 최고점 분석에서는 무관심 단계였다. 또 동일 학교급 내의 경력별-성별 집단 각각은 상이한 형태의 프로파일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참여교사의 대표성 확보 방안, 현장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는 피드백 체제의 검토와 재정립 요구, 학교 수준 교육과정 의사결정권강화 등을 제안하고, 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현장밀착형 지원을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연수형태 및 교육과정 컨설팅 전문 지원단 양성, 동료장학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e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For this purpose, 152 questionnaires provided by the CBAM model were distributed to 152 special school teachers of special schools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teacher as a whole, total averag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 highest peaks were conducted, an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 sex group in the same school level, the average profile of each group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interest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basic curriculum of 2015 was the informative interest stage and the apathy stage was the highest point analysis. In addition, each career - gender group in the same school level showed different profiles, and each group had different averag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i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measures for secur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urriculum, reviewing and redefining the feedback system that can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and strengthening the decision. In order to support each group, it proposes effective training type, cultivating professional support team for curriculum consulting, and supervising peers.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편성·운영지침에 대한 학교 현장 적합성 연구

        권요한 ( Kwon Yo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특수학교 현장에 대한 적합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교육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점과 공통사항에 제시된 내용을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별도 프로그램, 교육과정 질 관리 등 4개 영역 총 55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해 전국의 89개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실천도를 알아보았다. 설문지결과는 영역, 문항별로 평균, 표준편차, 평균의 차이검증을 통해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대해서, 특수학교현장에서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별도 프로그램, 교육과정 질 관리영역 모두에 걸쳐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교과영역의 경우, 교육과정 편성기저, 교과목편성, 수업시수, 교수·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교과평가와 관련된 내용들,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의 경우, 체험활동 편성·운영, 부가적 프로그램, 치료지원 및 적응훈련, 중도·중복 장애아지도, 지역사회 연계와 관련된 내용 대부분이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별도프로그램 영역의 경우, 순회교육, 부진아·다문화교육, 방과후·방학중 프로그램 모두에서 그리고 교육과정 질 관리영역의 경우도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이 지니고 있는 학교현장 적합성의 의미와 문제, 향후 국가수준 및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equacy of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pplied by special schools. For this, the contents proposed in organization, operating points and common factors of the basic curriculum were composed into 55 questions in 4 domains of subject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nd distributed to 89 special schools nationwide to study their importance and practice. The survey result was process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est for difference in means per domain and question. Major result and conclusion obtained through discussion are as follows : First,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basic curriculum, the significance and practice of subject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were all highly perceived.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ignificance and practice were extremely high, rendering the adequacy extremely low. To solve this, it is important to more clearly establish the identity of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applying basic curriculum, due to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view revision of the curricular correlation to regular schools and revise in various ways, i.e. change the identity of subjects to curriculum activities; or strengthen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develop and distribut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adequacy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t is important to exert efforts to gradually chang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from the top-down to bottom-up method. Seco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adequacy of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ust solve the identity problem along with the problem which comes with trusting the authorit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e. the expertise autonomy of schools with respect to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problems in converting and applying simplified basic curriculum to special schools, problems in supporting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problems pertaining to activating school curriculum and self-evaluation. Third, the contents with high adequacy in special schools with respect to organizing and operating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e. limiting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varying number of lectures within 20% range per subject, opportunity education on current social issues, after school programs and summer or winter programs, everyday English, utilization of info-communication, use of leisure time, rehabilitation, health education,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s well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must strengthen their correlation with state-level and school-level curricula must be continuously supported to maintain and expand their adequ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