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초종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의 진단적 가치

        김정일,김엄지,문태용,이인숙,송유선,최경운,Kim, Jeung Il,Kim, Um Ji,Moon, Tae Yong,Lee, In Sook,Song, You Seon,Choi, Kyung 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연부조직 종양 중 지방종과 신경초종(Schwannoma)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만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종양이다. 하지만 신경초종의 경우 종양의 특성상 MRI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신경주변에 생긴 다른 종양이 MRI상 신경초종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따라서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RI에서 신경초종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술 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상 신경초종(schwannoma)이 의심된 환자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 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신경초종이 나온 경우를 1군으로 하고, 다른 병변이 나온 경우를 2군으로 나누어서 MRI 상 신경초종을 의심할 수 있는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4예의 조직검사 결과 신경초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92예이며, 신경초종 외에 다른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는 12예였다. MRI 특이 소견중 target sign은 1군에서는 41예(45%), 2군에서는 없었으며, fascicular sign은 1군에서는 47예(51%), 2군에서는 2예(17%), fat split sign은 1군에서는 44예(48%), 2군에서는 5예(42%),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은 1군에서는 28예(30%), 2군에서는 1예(9%)가 나타났다. 위 네가지 소견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1군에서 8예(9%), 2군에서 6예(50%) 였다. 종양이 신경 주행 경로에 있는 경우는 1군에서 52예(57%), 2군에서 5예(42%)였다. Chi-squared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위의 네가지 소견 중 target sign이 신경초종의 진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신경초종 진단에 MRI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경초종이 지닌 여러가지 특성으로 인해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다른 종양으로 확진 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 그러므로 MRI상 과녁징후가 보이지 않는 신경초종의 경우에는 다른 종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 such as lipoma and Schwannom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ufficient in most cases. However, various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RI images of Schwannoma, thus other type of tumor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imag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May 2013, 104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rith MRI images are included in data, and the final diagnosis is confirmed with biopsy. Patients ar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who are confirmed as Schwannoma and other disease with biopsy, respectively. Results: 92 patients were diagnosed as Schwannoma (group 1) and 12 patients were diagnosed as other disease (group 2).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41 patients of group 1 (45%) and 0 patients of group 2 (0%) showed target sign, 47 patients of group 1 (51%) and 2 patients of group 2 (17%) showed fascicular sign, 44 patients of group 1 (48%)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showed fat split sign, 28 patients of group 1 (30%) and 1 patients of group 2(9%) showed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 and 8 patients of group 1 (9%) and 6 patients of group 2 (50%) showed none of four specific findings on their MRI images. 52 patients of group 1 (57%)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have tumors on the pathway of nerve. Target sig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diagnostic value of the sign we investigate (p<0.05). Conclusion: Although specific MRI findings have powerful diagnostic value, patient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findings. Therefore, if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based on MRI findings have no target sign on their MRI image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disease.

      • KCI등재후보

        신경막종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자기공명영상 소견

        정재윤,서형연,이재준,김현종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1

        Study Design: A restrosepctive study Objectives: We present the diverse imaging features of a spinal nerve sheath tumor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and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typical imaging findings of spinal nerve sheath tumors a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y can show diverse and unusual imaging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30 patients who had undergone MR imaging for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a spinal nerve sheath tumor from September 1989 to February 2008. All patients had undergone surgery for a spinal tumor that was confirmed by biops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1 months. The T1-, T2-weighted spine echo images and contrast material images were obtained in the sagittal plane. Axial images were obtained in any area of the spine where the sagittal images demonstrated abnormal findings. The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homogenicity, heterogenicity were evaluated in the T1-, T2-, and enhanced images Results: Twenty-four cases were neurilemmoma and 6 cases were neurofibromas. Different types of neurilemmomas included neurilemmomas with cystic changes (n=6), focal hemorrhage (n=5), extensive vertebral destruction (n=1), and giant neurilemmoma( n=1). The T1-weighted image showed low and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The T2-weighted image showed high-signal intensity except for one neurilemmoma. The Gd-DTPA enhanced image showed homogenous, heterogeneous, and rim enhancement except for one case of a neurilemmoma with cystic changes. Conclusions: Spinal nerve sheath tumors can show diverse and unusual imaging findings. An awareness of the uncommon presentations of these tumors is important for making a preoperative diagnosis and treatment. MRI is valuable in characterizing the soft tissue and bony anatomy in spinal neurilemmoma and neurofibroma.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척추에서 발생하는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은 전체 척추내 종양의 약 25~30%를 차지하는 양성종양 병변 이다. 이러한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의 전형적인 영상검사 소견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경초 종과 신경섬유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8년까지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통한 척추관 내에 발생한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 종 진단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 3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남자가 17례, 여자가 13례였으며, 평균 나이는 41.9세(8-69)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3.1(4~102)개월 이었다. 전례에서 1.0 Tesla 또는 1.5 Tesla (GE medicine) 자기공명영상 기기를 이용하여 앙와위에서 spine surface coil을 적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30례중 24례에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신경섬유종이 6례 이었다. 신경초종 24례중 6례에서 낭종성 변 화, 5례에서 종양내 국소출혈, 1례에서 주위 골조직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1례에서 2개의 추체보다 큰 거대 신 경초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와 중등도 신호강도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다. T2 강조영 상에서 중등도 신호강도를 보이는 신경초종 1례를 제외하고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종 전례에서 고신호강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Gd-DTPA를 이용한 조영증강영상에서 낭종성 변화를 보이는 신경초종 1례를 제외하고 전례에서 균질 성, 비균질성 조영증강 및 주변부 조영증강등 다양한 조영증강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척추에 발생한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은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양성종양으로 전형적인 영상학적 소견을 보인 다. 그러나 이러한 종양 또한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영상학적 소견을 보일수 있으며 다양한 영상학적 소견에 대한 이 해가 정확한 수술전 진단 및 적절한 치료에 도움이 된다.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종에서 연부조 직 및 골조직의 해부학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검사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악성 연부 종양으로 오인하기 쉬운 신경 및 연부조직의 거대 신경초종

        김용성(Yongsung Kim),전대근(Dae-Geun Jeon),조완형(Wan Hyeong Cho),송원석(Won Seok Song),김경훈(Kyung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신경초종은 말초신경에 주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나 크기가 크거나 신경 이외의 부위에서 발견될 경우 악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오인하기 쉽다. 저자들은 크기 5 ㎝ 이상의 신경초종 50예의 1) 원발 위치의 분포 및 임상증상여부, 2) 술 전 방사선 및 병리학적 진단 결과와 진단적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신경초종으로 확진된 214예 중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상 종양의 최대직경이 5 ㎝ 이상인 종양 50예를 추출하였다. 이를 주요신경 기원, 근육 내, 골 내의 원발위치에 따라 분류하였고 구체적인 해부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코호트에서 원발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주요 말초신경에 생긴 종양이 14예, 근육 내 발생이 31예, 골 내 발생이 5예였다. 신경초종의 평균크기는 7 ㎝였으며 근육내 신경초종이 평균 8 ㎝로 가장 컸다. MRI를 통한 영상학적 진단에서 전체 50예 중 33예(66.0%)는 양성 신경종양으로, 15예(30.0%)는 악성종양으로 판독하였으며, 나머지 2예(4.0%)는 각각 결핵 농양, 건활막 거대세포종으로 보고되었다. 골내 신경초종 5예 중 영상학적으로 신경초종으로 진단한 예는 없었다. 임상증상에서는 주요 신경기원의 경우는 Tinel sign이 78.6%로 많았고(11/14), 주요 신경 외 기원 종양에서는 종괴 촉지 증상이 93.5%로 가장 많았으며(29/31) 증상기간도 평균 66.6개월로 가장 길었다.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 생검을 시행한 총 38예 중 86.8%에서는 신경초종으로 진단하였다. 합병증은 수술 후 합병증이 총 2예였으며 종양절제 후 출혈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와 수술 후 경한 신경마비가 발생한 경우였다. 결론: 5 ㎝ 이상의 근육 내 종양을 진단할 때 장기간의 종괴인지 소견이 있고, MRI상 비특이적인 소견일 경우에는 양상 신경종양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직학적 확진 후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과잉 치료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Schwannoma is a benign tumor that occurs mainly in the peripheral nerve. If the tumor is large or is in areas other than the nerves, it is likely to be mistaken for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The authors reviewed 50 cases of giant schwannomas and assessed the distribution of the primary locations, clinical symptoms,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diagnosis, and diagnostic accuracy.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214 pathologically confirmed schwannomas, 50 cases with a maximum diameter of 5 cm or more were extracted. The entire cohor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 (major peripheral nerve, intramuscular, bone) according to the primary location, and the anatomical locations were specified. Results: When the entire cohor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imary location, 14 tumors occurred in the major peripheral nerve, 31 cases in the muscle, and 5 cases in the bone. The mean size of the tumor in the entire cohort was 7.0 cm, and the intramuscular subgroup had the largest size with 8.0 cm. The radiological diagnosis revealed 33 out of 50 cases to be benign schwannoma (66.0%), 15 cases as low-grade malignancy (30.0%), and the remaining two cases (4.0%) as a suspicious tuberculosis abscess and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respectively. On the clinical symptoms, Tinel sign was the most common in the peripheral nerve group with 78.6% (11/14), while 93.5% of the intramuscular group had palpation of the mass with a mean duration of 66.6 months. In the bone group, one out of five cases was reported as a low-grade malignancy. Two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one was bleeding after tumor excision, which required hemostasis, and the other was peroneal nerve palsy after surgery. Conclusion: When assessing the large-sized soft tissue tumors in the muscles, the possibility of a benign schwannoma should be considered if 1) there is a long period of mass palpation and 2) non-specific findings in MRI. Preoperative pathology confirmation with a biopsy can help reduce the risk of overtreatment.

      • KCI등재

        좌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 제거 후 비복 신경 이식

        신덕섭(Duk-Seop Shin),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ook Park),변성준(Seong-Joon B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신경초종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종양 중의 하나이나 좌골신경에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그리 흔하지 않은 편이다. 신경초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며 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필요에 의해 신경절제술을 시행 시 신경절제술 후 기능상실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저자들은 좌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을 절제한 뒤 비복 신경을 이용해 신경 이식술을 시행한 뒤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게 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schwan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neoplasms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but schwannomas of the sciatic nerve are rare. Treatment is a surgical excision and the overall prognosis is good. But functional loss occurs when a neurectomy is performed with inevitable cause. We report one case of a successful sural nerve graft after resection of a schwannoma in a sciatic nerve and we present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신경섬유종증의 동반이 없는 총상 신경초종 - 2 례 보고 -

        이기행,김윤수,정창훈,성미숙,김진아,최승욱,김형민,Lee, Kee-Haeng,Kim, Youn-Soo,Jeong, Chang-Hoon,Sung, Mi-Sook,Kim, Jean-A,Choi, Seung-Woog,Kim, Hyoung-M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신경초 세포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에는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이 있다. 이 중 총상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는 대부분 신경섬유종이며, 신경초종의 경우는 매우 드물다. 총상 신경초종은 신경섬유종증을 동반하지 않고, 악성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드시 신경섬유종과 감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각 각 좌측 상완부와 우측 족부에 발생한 총상 신경초종 2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oth neurilemmoma and neurofibroma are originated from Schwann cell. Plexiform tumor was mostly neurofibroma but Neurilemmoma which has plexiform is extremely rare. So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plexiform neurilemmoma from plexiform neurofibroma, because plexiform neurilemmoma appears to have neither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neurofibromatosis nor a propensity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We report two cases of plexiform neurilemmoma involving the left arm and right foot.

      • KCI등재

        신경속 보존술을 이용한 상지 신경초종 절제 수술의 결과

        최진희,양태영,이태경,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1

        Purpose: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nd the rate of neurological complication occurring after micro-surgical enucleation of schwannom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fascicle resection and neurological deficiency.Methods: From January 2010 through September 2018, a total of 65 patients underwent micro-surgical enucleation for schwannoma in the forearm and hand. The factors affecting new neurological deficiency after surgery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in neurological incidence were compared between those that preserved the fascicle and those that were un-avoidable to resect the fascicle at surgery.Results: Immediately neurological complications were reported in 16 patients (24.6%) after the surgery, with 4 patients (6.2%) remaining in the final outcome. Neurological complication (50.0%) was higher in case of resection of fascicle at surgery (hazard ratio, HR=18.791, p<0.05). The preoperative misdiagnosis also increased the incidence of neurological complications (HR=10.693, p<0.05).Conclusion: Accurate diagnosis before surgery and preservation of the nerve fascicle at surgery are important to reduce postoperative neurological co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schwannoma. For accurate diagnosis, detailed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uld be actively done, and during surgery,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serve the nerve fascicle as much as possible by using microscopic surgical techniques. 목적: 전완부 및 수부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미세수술적 적출술 후 발생한 신경학적 결손의 빈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수술적 과정 중 종양 관련 단일 신경속 절제가 신경학적 결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총 65명의 환자에서 전완부 및 수부에 발생한 신경초종에 대한 미세수술적 피막 내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새로 발생한 신경학적 결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으며, 신경속을 보존한 군과 수술 과정에서 신경속 절제가 불가피했던 군 간에 신경학적 발생률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행 후 초기 신경학적 합병증이 16명(24.6%)에서 나타났으며 최종 추시에서는 4명(6.2%)에서 신경학적 합병증이 남아 있었다. 수술 중 신경속을 절제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률(50.0%)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hazard ratio, HR=18.791, p<0.05) 수술 전 오진(HR=10.693, p<0.05) 여부 또한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신경초종의 치료에서 수술 전 정확한 진단을 위해 자세한 문진 및 신체검진, 자기공명영상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하며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미세수술적 술기를 이용하여 신경속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 KCI등재

        상지의 신경초종의 적출술 후 신경학적 결손

        강진우,이용석,김철규,신승한,정양국 대한수부외과학회 2017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2 No.1

        Purpose: Neurologic deficits after enucleation of schwannoma are not rare. To evaluate the neurologic deficits after surgical enucleation of schwannoma in the upper extremity,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schwannoma over a 14-year period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Between March 2001 and September 2014, 103 patients underwent surgical enucleation for schwannomas; 36 patients of them had lesions in the upper extremity, and 2 out of 36 patients had multiple schwannomas. Each operation was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under loupe magnification. The post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s were graded as major and minor in both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at last follow-up. The major deficit was defined as anesthesia or marked hypoesthesia, motor weakness of grade 3 or less and neuropathic pain. Minor deficit was defined as mild symptoms of mild hypoesthesia, paresthesia and motor weakness of grade 4 or more. Results: There were 2 major (2 mixed nerve) and 12 minor (4 motor, 7 sensory, 1 mixed nerve) neurologic deficits after surgery. At the last follow-up, one major mixed neurologic deficit remained as major motor and minor sensory, and other major ones changed to mixed minor. And all minor deficits except 1 sensory deficit were recovered spontaneously. Conclusion: Even though high incidence rate of neurologic deficit after enucleation of schwannoma in the upper extremity (38.9%), about three fourths of them were recovered spontaneously. There were 3 permanent neurologic deficits, and one of them was major one. In some cases, surgeon cannot avoid to encounter a neurological deficit. So we recommend more delicate microscopic surgical procedure and preoperative planning and counseling. And surgery is indicated for only symptomatic lesions. 목적: 신경초종의 적출술 후에 신경학적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상지에서의 신경초종 적출술 후 신경학적 결손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자, 저자들은 본원에서 14년 동안 수술적으로 절제한 신경초종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14년까지 103명의 환자가 신경초종 적출술을 시행 받았으며, 그 중에 36명이 상지에 병변이 있었고, 다발성 신경초종 환자는 2명이었다.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확대경하에 시행되었다. 수술 후신경학적 합병증은 주 합병증과 부 합병증으로 구분하였으며 주 합병증은 상당한 정도의 감각 이상, 3등급 이하의 운동기능 저하, 신경성 통증이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2명이 주 합병증, 12명이 부 합병증을 보였으며, 최종 추시에서 혼합신경(mixed nerve) 주 합병증을 보였던 한 명은 운동 기능 저하가 여전히 M3 이하였으나 감각 기능 저하는 경도로 호전되었고, 혼합신경 주 합병증을 보였던 다른한 명은 증상이 부분적으로 호전되어 혼합신경 부 합병증으로 평가되었다. 부 합병증을 보였던 12명 중 11명은 완전히회복되었고 한 명에서는 경도의 감각 신경 이상이 남았다. 결론: 신경초종의 적출술 후 신경학적 결손의 발생 가능성이 적지 않으므로 술자는 수술 전 환자와의 충분한 면담을 통해 수술을 계획하고 종양 절제의 섬세한 미세 수술적 술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수술은 증상이 있을 때만 시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송상호,조성우,심창구,Song, Sang-Ho,Cho, Seong-Woo,Shim, Chang-G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악성 신경초종은 주로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매우 드문 육종으로 기존의 신경섬유종이나 신경초종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초신경에서 새로이 발생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신경섬유종증의 기왕력이 있는 3 9세 남자로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대퇴후방의 동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계가 분명한 $6.5{\times}5{\times}4.5$cm 크기의 종괴는 광학 현미경상 촘촘히 압축된 방추상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경섬유종증 환자는 이차적으로 악성 신경초종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악성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MPNSTs) are uncommon sarcomas that mostly arise in the soft tissue. They can develop from the pre-existing neurofibromas or schwannomas, or denovo from the peripheral nerves, or they can occur following the radiation therapy. We report a case of MPNST that developed in the sciatic nerve of the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type-1(NF-1). The patient was a 39-year-old man with the history of NF-1, who's main symptom was a rapidly enlarging painful mass in his posterior thigh. The well demarcated tumor, $6.5{\times}5{\times}4.5$cm in size, was composed of closely packed spindle cells. Since the patients with NF-1 have a high risk for developing a recurred MPNST, the importance of the clinical follow up is emphasized.

      • KCI등재후보

        대두식이가 흰쥐의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

        조정희(Jeong Hee Cho),안수경(Soo Kyung Ahn),김승민(Seung Min Kim),이원택(Won Taek Lee),박경아(Kyung Ah Park)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6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 환자에서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병리학적으로 신경섬유의 축삭 위축이 진행하여 결국 신경섬유의 소실이 일어난다. 이 연구는 형태계측기를 이용하여 대두가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Sprague-Dawley 흰쥐를 정상 대조군, 당뇨군, 대두식이 당뇨군으로 나누어 각각 4주와 8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군의 혈당 및 HbA1c를 측정하고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를 세고 신경섬유 크기에 따른 분포를 평가하였으며,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소견을 비교하였다. 대두식이 당뇨군의 혈당은 실험 4주에는 정상 대조군과 당뇨군 사이로 조절되었고 8주에는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조절되었다.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는 4주에는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으나 8주에는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의 축삭 소실을 나타내고 대두식이 당뇨군은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에 비해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가 유의하게 많고 정상 대조군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을 투여한 당뇨군과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 간에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섬유의 크기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당뇨군과 대두식이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섬유의 비율이 더 많았다. 전자현미경 소견상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은 유수초 신경 및 무수초 신경의 변성이 뚜렷하나 대두식이 당뇨군과 인슐린을 투여한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대두식이가 당뇨병에서 혈당의 조절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Neuropathy is a serious and disabling complication that contributes to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diabetic patients. There is progressive distal to proximal axonal atrophy that ultimately leads to Wallerian degen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y bean on diabetic neuropathy using morphometr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grouped into control, diabetic with red chow diet and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e myelinated nerve fibers were counted and fiber size distributions were evaluated in each group at 4 and 8 weeks, respectively. Diabetic neuropathy didn’t develop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t four weeks. At 8 weeks, the myelinated nerve fib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was larger in number than that in diabetic to which did not be administered insulin. The number of myelinated nerve fiber was not different between diabetic group with insulin and without insulin. Mean myelinated nerve fiber size was small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an diabetic with red chow diet and control. Histogram of fiber size distribution was shifted to left in diabetic with red chow and soy bean diet groups compared to control.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showed marked degeneration of nerve fibers in diabetic with red chow diet but preservation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e level of glucose and HbA1c was low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an red chow diet. Soy bean could be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neuropathy induced by diabetes melli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