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 골육종의 치료결과

        정양국,이승구,김형민,박원종,이안희,박정미,강용구,최광천,Chung, Yang-Guk,Rhee, Seung-Koo,Kim, Hyung-Min,Bahk, Won-Jong,Lee, An-Hi,Park, Jung-Mi,Kang, Yong-Koo,Choi, Kwang-Ch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목적: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 이후 장관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하여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한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48예에서 광범위 절제술을, 2예에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했으며 나머지 8예에서는 절단술을 시행했다. 평균 추시기간은 4.1년 이었고 국소 재발, 원격 전이, 합병증, 생존율과 함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지속적 무병생존 35예, 무병생존 9예, 유병생존 5예,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7예였으며 2예는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다. 국소 재발이 8예(13.8%)에서 있었고 원격전이는 18예(31%)에서 있었으며 재건술을 시행한 48예 중 9예(18.8%)에서 감염증이 발생했다. 기능적 결과는 평균 24.3점이었다. 5년 생존율은 84.6%였으며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후 5년에 68.7%, 10년에 42.3%였다. 결론: 총 58예의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의 골육종 중 46예(79.3%)에서 평균 4.1년 추시상 지속적 무병생존 또는 무병생존을 보였다. 치료군 전체의 5년 생존율은 84.6%였고 기능적 결과는 평균 24.3점으로 우수하여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견할 만 하였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of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the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Since February 1993, 58 Enneking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long bones were managed and followed at least one year at our four university hospitals. There were 48 wide resections, 2 marginal resections and 8 amputation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1years (up to 12.2years).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complication, survival rate, and oncolog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35 patients were CDF, 9 were NED, 5 were AWD, 7 were DOD and the remained 2 died with unrelated disease. Eight local recurrences (13.8%) and 18 distant metastases (31.0%) were occurred. Nine infections were developed after 48 reconstructions (18.8%). Overall functional outcome was 24.3 (81.%). The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84.6% and the continuous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68.7% at 5 years and 42.3% at 10 years. Conclusion: Forty-six of 58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long bones (79.3%) showed CDF or NED at an average 4.1 year follow up.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4.6% and overall functional outcome score was 24.3,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studies.

      • KCI등재

        절개 변형한 척측 구형성 부목을 이용한 제5중수골경부 골절의 치료

        정양국,길호진,신승한,김동현,강진우,전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5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전통적인 척측 구형성 부목(ulnar gutter splint)의 문제점을 보완한 절개 변형한 척측 구형성 부목(modified split ulnar gutter splint)을 이용하여 보존적으로 치료한 제5중수골 경부골절 환자의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본원에서 치료 받은 17명, 18예를 대상으로 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 직후 및 최종 추시의 사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각형성을 측정하여 교정각 및 고정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균 고정 기간은 4.9주(범위, 4-7주)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7.1 주(범위, 8-80주)였다. 결과: 전체 17명, 18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고, 사면 방사선 사진상 정복 전 각변형이 평균 27 에서 정복 후 평균 17 로 교정되었고, 측면 방사선 사진상에서도 21 에서 10 도로 교정되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p<0.001). 최종 추시시의 사면 방사선 사진상의 교정각의 변화는 평균 3 , 측면 방사선 사진상 1 로 우수한 골절 고정력을 보였다. 결론: 제5중수골 경부 골절 치료로 영상 증폭 관찰하에서 도수 정복 후 절개 변형한 척측 구형성 부목(modified split ulnar gutter splint) 고정술은 고정력이 우수하여 보존적 치료의 적응증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radiological results of the modified split ulnar gutter splint for the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 Methods: Between December 2008 and May 2014, 17 patients (18 cases) with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s were managed with our modified split ulnar gutter splint. Radiological outcomes in oblique and lateral radiographs were evaluated. Mean immobilization period was 4.9 weeks (range, 4-7) weeks. Mean follow-up period was 17.1 week (range, 8-80 weeks). Results: All of 18 fractures were completely united. The average of prereduction dorsal angulation, 27° in the oblique radiographs and 21° in the lateral radiographs, were corrected to 17° in the oblique radiographs and 10° in the lateral radiographs after closed reduction. At the last follow-up, they were 14° and 11° respectively. The mean difference of angulation deformity between in postreduction and final follow-up radiograms were 3° in the oblique radiographs and 1° in the lateral radiographs,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Immobilization using modified split ulnar gutter splint will be a reliable option for the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s in selected patients, which will avoid the surgeries.

      •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종양절제 후 골 결손의 재건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박보연,Chung, Yang-Guk,Kang, Yong-Koo,Bar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eong-Mi,Park, Bo-Yo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목적: 종양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이후 종양 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재건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례를 대상으로 골 유합 시기, 기능적 결과 및 합병증 등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관련인자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재생골-숙주골 접합부 총 20부위 중 13부위(65%)에서 일차수술 후 골 유합을 얻었으며 골 유합까지의 기간은 골간단부는 평균 3.7개월, 골간부는 평균 8개월이었다(P<0.05). 골간부에서 나이가 20세 미만인 군과 생비골을 골수강내 이식한 군에서 골 유합까지의 기간이 짧았다(P<0.05). 기능적 결과는 평균 81%였다. 합병증으로 불유합이 3부위, 지연유합이 4부위에서 있었으며 2예에서 재생 자가골의 심한 흡수와 함께 이식골의 골절이 발생하였다. 결론: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된 비골의 혈행을 유지할 수 있는 정확한 술기와 견고한 내고정, 접합부를 가로지르는 이식 생비골의 충분한 길이, 골 유합 또는 이식 생비골의 비후가 일어나기까지의 적절한 보호가 필요하다. Purpose: We evaluated the outcomes of surgical reconstructions using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for bone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 malignant or locally aggressive bone tumor who were managed with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and followed up minimum 1 year were evaluated for bone union, functional result and complications.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bone union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Bone unions were obtained at 13 of 20 junctions. Average union time was 3.7 months at metaphyseal junctions and 8 months at diaphyseal junctions (P<0.05). At diaphyseal junctions, younger aged group and intramedullary location group showed earlier bone union (P<0.05).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1%. There were 3 nonunions, 4 delayed unions and 2 recycled bone resorption combined with fractures. Conclusion: To obtain excellent results, proper microvascular technique, sufficient length of VFG bridging both junctions, stable internal fixation and protection of reconstructed bone until union are necessary.

      • 경화성 골수염양 다핵성 유골 골종 - 1예 보고-

        정양국,강용구,지원희,이안희,이승구,박원종,박일석,Chung, Yang-Guk,Kang, Yong-Koo,Jee, Won-Hee,Lee, An-Hi,Rhee, Seung-Koo,Bahk, Won-Jong,Park, Ill-Seo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유골 골종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양상으로 비교적 진단이 용이하나,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아급성 경화성 골수염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진단이 지연되었던 경골근위부에 발생한 2개의 핵을 가진 유골 골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The typical radiologic findings of a small radiolucent nidus with surrounding sclerosis and night pain responding to aspirin make the diagnosis of osteoid osteoma not too difficult. We report a case of multicentric osteoid osteoma with unusual clinical and imaging features which were strongly suggestive of subacute sclerosing osteomyelitis.

      • 거대 낭종성 골병소 또는 소파 후 잔유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 이식술

        정양국,강용구,김철진,이안희,박정미,박원종,유현호,Chung, Yang-Guk,Kang, Yong-Koo,Kim, Chol-Jin,Lee, An-Hi,Park, Jeong-Mi,Bahk, Won-Jong,Yoo, Hyu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2

        목적: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의 치료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대하여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과 동종 망상골 이식술을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예에서는 추가적인 금속판 내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원발병소는 단순 골낭종이 3예,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속발된 동맥류성 골낭종이 2예, 이전에 수술한 골시멘트를 제거한 후 남은 골 결손이 1예, 섬유성 이형성증이 1예였다. 3예에서는 최초 내원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다. 골 융합의 진행, 생역학적 지지기능 및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4개월이었다. 결과: 전예에서 이식된 동종 피질 지주골은 숙주골과 융합되었으며 6예의 골간단부에서는 평균 4.2개월에, 5예의 골간부에서는 평균 5.8개월에 융합되었다. 부가적인 수술 등의 조치없이 7예 중 6예에서 생역학적 지지가 가능하였으며 동종골 이식과 직접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종 추시시 기능적 평가상 평균 29.6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은 추가적인 생역학적 안정성과 나사못 고정의 골지주판을 제공하여 조기거동과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가능하게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sult of inlay cortical strut bone grafts for large cysts or cavitary bone lesions in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ith large cyst or cavitary bony lesions were managed with curettage, allogeneic inlay cortical strut and cancellous bone grafts. Additional plate and screw fixations were performed in 6 patients. There were three SBCs, two FDs with secondary ABC changes, one FD and one post-cement spacer removal state. Three of them had pathologic fractures. Progression of bone healing and mechanical support and functional result were evaluat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4 months. Results: Incorporations into host bones were progressed in all, average 4.2 months in six metaphyseal regions and 5.8 months in five diaphyseal regions respectively. Full structural supports were achieved in all except one patien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s. No allograft-related complication was developed. Mean functional score according to the MSTS criteria was 29.6 at last follow up. Conclusion: Inlay cortical strut graft provided additional mechanical stability and bone stock for screw purchase in large cyst or cavitary defects of long bones, which allow early mobilization and excellent functional outcome.

      • 상지의 압박성 신경병증의 초음파 검사

        정양국,김배균,Chung, Yang-Guk,Kim, Bae-Gy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1

        주관절, 완관절 주변의 압박성 신경병증은 일상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는 상지에서의 흔한 신경병증의 하나로 이에 대한 초음파 검사 소견을 바르게 해석하는 데는 정상적인 신경의 구조와 압박성 신경병증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박성 신경병증에서는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데 압박부위의 신경은 눌려서 편평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근위부에서는 고신호강도의 부종성 변화와 신경속 양상의 소실을 보인다. 기본적인 횡주사 및 종주사 영상 외에 관절이나 근육을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시행한 초음파 검사는 척골신경이 주관절 굴곡시 삼두박건 내측두와 함께 내상과위로 아탈구 되는 탄발성 삼두박근 증후군이나 능동적 회내근의 수축시 신경압박이 일어나는 원형 회내근 증후군 등에서 신경의 아탈구나 압박소견을 보여준다. 수근관 증후군이나 주관 증후군 등에서는 신경 단면적의 정량적인 계측이나 압박비의 평가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임상적 검사 및 전기생리적 검사와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초음파 영상은 상지에서의 압박성 신경병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의 하나이다. Compression neuropathy around elbow and wrist are one of the common disturbing problems in the upper extremity. The understanding of normal nerve architectures and pathophysiologic changes in compression neuropathy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 ultrasonographic images correctly. Compression neuropathies have characteristic ultrasonographic imaging features of flattened nerve at compression and hypoechoic swollen nerve with loss of fascicular patterns at proximal segments. Dynamic ultrasonographic imagings on motion can show dymanic subluxation of ulnar nerve and medial head of triceps muscle over the medial epicondyle in snapping triceps syndrome. Dynamic compression of median nerve also can be visualized in pronator teres syndrome by dynamic imaging studies. A quantitative measures of cross sectional area or compression ratio can be helpful to diagnose compression neuropathies, such as carpal tunnel syndrome or cubital tunnel syndrome. With the clinical features and electeophysiologic studies, the untrasonographic imagings are useful tool for evaluation of the compression neuropathies in the upper extremities.

      • 비구주변 골반골 악성 골종양에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

        정양국,강용구,이승구,박원종,이안희,박정미,이교선,이형주,Chung, Yang-Guk,Kang, Yong-Koo,Lee, Seung-Koo,Bahk, Won-Jong,Lee, An-Hi,Park, Jung-Mi,Lee, Kyo-Sun,Lee, Hyung-J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재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비구주변을 침범한 악성 골종양에 대하여 내골반골 절제술 후 특별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8예의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2세였다. 골육종이 3예였고, 연골육종 3예, 전이성 골종양2예였다. 골반골 절제유형은 I+II+III 형 6예, I+II형 1예, II+III형 1예였다. 기능적 결과는 ISOLS의 수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84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무병생존이 5예, 유병생존이 2예였고 나머지 1예는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기능적 평가에서 통증,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조기구 사용, 보행능력, 보행양상은 각각 4.9, 2.9, 2.9, 1.5, 2.3 및 2.5점이었으며 정상 측의 37~70%(평균 56%)에 해당하였다. 3예에서 일시적인 신경마비가 발생하였다. 결론: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제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은 합병증 발생이 적고 양호한 기능적 결과를 보여 재건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of periacetabular malignant bone tumors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eight patients with primary malignant or metastatic periacetabular bone tumors were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There were 6 men and 2 women. Mean age was 42 years old. There were 3 osteosarcomas, 3 chondrosarcomas and 2 metastatic carcinomas. The type of pelvic resections were 6 type I+II+III, 1 type I+II and 1 type II+II resection. The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ISOLS revised criteria.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6 to 84 months. Results: At last follow up, 5 patients showed CDF, 2 patients, AWD and the remained 1, DOD. The mean functional score for pain, functional activity, emotional acceptance, use of external support, walking ability and gait were 4.9, 2.9, 2.9, 1.5, 2.3 and 2.5 respectively. The total functional score ranged from 37% to 70%(average: 56%). There were three temporary nerve palsies. Conclusion: The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for selective difficult periacetabular malignant tumors could be a viable option with fewer complications and fair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후보

        한국인에서 발생한 Paget병의 골격증상

        정양국,강용구,이승구,이안희,송석환,박원종,황승현,김정만 대한정형외과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7 No.5

        목 적 : 한국인에서 발생한 Paget병의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이 치험한 한국인에서 발생한 11예의 Paget병을 분석하여 그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합병증 발생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전에 보고되었던 국내 발생 증례 7예와도 비교하였다. 결 과 : 주로 두개골, 척추골 또는 골반골의 축성골격을 침범하였으며 골반골 침범이 가장 많았고 7예에서 2부위 이상을 침범하였다. 이환 부위의 동통이5예(45%)에서 있었고, 척추관 협착에 따른 파행이 1예(9.1%)에서 있었으나 뇌신경 장해나 울혈성 심부전 등 심한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전례에서 혈액 화학 검사상 골형성 지표인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 치가 2-5배 이상 증가되어 있었으며 bisphosphate 제재의 투여로 임상증상이 호전되었고 알카리 인산분해효소 치가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정상화되었다. 결 론 : 한국인에서 발생한 Paget병은 서양인들에서 발생한 경우에 비하여 발생 빈도가 현저하게 낮고 임상증상이 경미하며 심한 합병증의 발생이 적었다.

      • KCI등재

        Ender 정을 이용한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

        정양국,옥인영,김택수 대한골절학회 2000 대한골절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ough Ender nailing in tibial shaft fractures is a good method of treatment, there were several reports about complications such as angulation or shortening. Most of those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with improper surgical technique and might be avoidable. So, we analyzed the results of tibial Ender nailing in view of the complication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Material and Method: Thirty-five tibial shaft fractures were treated with Ender nailing and followed up for 12 to 51 months. We evaluated the bony union, angulation, shortening, proximal migration of nail and infec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in association with the type and the location of fractures, the number and the length of nails and the divergency of distal tip of nails. Results: Average bony union time was 18.5 weeks and there were 2 delayed unions, 2 nonunions, 5 angulations, 1 shortening, 3 soft tissue irritations by proximal tips of nails, 1 proximal migrations of nails and one nail breakage. Most of them were associated with technical faults such as few number, short length or insufficient divergency of nails. According to the type of fractures, the highest rate of complications was seen in segmental fractures. Conclusion: Performed by proper surgical technique based on detailed fracture analysis, most of the complications of Ender nailing for tibial shaft fractures might be avoidable. Therefore, Ender nailing is one of the useful alternatives for tibial shaft fractures.

      • 지방육종의 예후 인자: 52예 후향적 연구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김민우,Chung, Yang-Guk,Kang, Yong-Koo,Bah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ung-Mee,Kim, Min-W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지방육종의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이후 치료받은 52명의 지방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 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수술적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 원격 전이 그리고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9개월이었고 통계적 분석에는 단일변수 및 다중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이 11예(21.2%)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전이는 4예(8%)에서 발생하였다.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 후 4년에 67%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절제연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불량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p<0.05). 무병생존율에 대한 단일변수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 및 항암화학요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결론: 선택오차를 고려할 때 절제연 양성이 국소재발의 불량한 예후인자였으며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 무병생존율과 관련하여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of lipo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managed for liposarcomas since 1993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the view of prognostic influence of patient age, tumor size, location, histologic type, histologic grade, resection typ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9 month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Results: The local recurrences occurred in 11 patients (21.2%) and distant metastasis in 4 patients (8%), Event-free survival rate at 4 year follow up was 67%. In univariate analysis, histologic grad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local recurrence (p<0.05). However, histologic grade lost its significance in muitivariate analysis. Trunk location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an extremity location. In univariate analysis on event-free survival. histologic grade and chemotherapy were significant factors (p<0.05). No factor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Considering selection bias, positive surgical margin was negative prognostic factor on local recurrence. Liposarcomas arisen in trunk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no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n event-free survival of patients with liposarco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