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과 환자-대조군 분석

        조완형,이수용,송원석,공창배,원호현,홍윤석,전대근,Cho, Wan-Hyeong,Lee, Soo-Yong,Song, Won-Seok,Kong, Chang-Bae,Won, Ho-Hyun,Hong, Youn-Seok,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Purpose: Compared to soft tissue sarcoma, the relative risk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is still no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rate between two soft tissue 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extraskeletal osteosarcoma were analysed. For retrospective matched case-control study, we selected 72 patients who were confirmed as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and had similar tumor location, tumor size and age to extraskeletal osteosarcoma. Results: Median age was 50 years old. Five cases were located in upper extremity, four in the buttocks, three in the lower extremity. Overall survival rat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group and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group at 5 years were 52% and 5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8). Local recurrence rate and metastasis rate were 58%, 67% in extraskeletal osteosarcoma group and 36%, 51% in soft tissue sarcoma group, which were not stastistically significant(p=0.2, p=0.4). Conclusion: Extraskeletal osteosarcoma have similar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compare to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The number of patients of this study were too small to identify outcom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Further multi-institutional study should be attempted. 목적: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종양으로 연부조직육종에 비해 어느 정도의 치료 성적을 보이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두 악성 연부 육종의 치료결과를 비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12례의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 환자와 짝짓기 환자-대조군 분석을 위해 악성도 3등급의 연부조직 육종 중 골외성 골육종 환자와 유사한 위치, 크기, 나이를 가진 환자 6배수를 선별하였다. 결과: 골외성 골육종 환자 나이는 35~77세 (중간값 50세)였다. 위치는 상지 5례, 둔부 4례, 하지 3례 였다. 5년 생존율은 52% 였다. 대조군인 연부조직육종의 5년 생존율은 55%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 국소재발율은 골외성 골육종이 58%, 연부조직육종이 36%이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 전이율은 각각 67%, 51%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 결론: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연부조직종양과 비슷한 전이 및 국소재발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골외성 골육종의 증례가 적으므로 다기관 연구를 통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상완골에서 발생한 Grade I 및 Grade II 연골육종 - 증례 보고 -

        조완형,전대근,박종훈,송원석,안준환,이수용,Cho, Wan-Hyeong,Jeon, Dae-Geun,Park, Jong-Hoon,Song, Won-Seok,An, Joon-Hwan,Lee, Soo-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연골육종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grade I, II, III로 나누어지며 예후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Grade II 및 III의 연골육종의 수술 시 광범위 절제를 주로 시행하나 grade I 연골육종의 경우에는 소파술과 광범위 절제술 사이에 이견이 많다. 저자들은 상완골의 근위부에 grade I, 원위부에 grade II의 연골육종이 발생한 경우에 grade I은 소파술을, grade II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경험을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hondrosarcoma can be divided into grade I, II and III by histological finding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nosis and the histological grading has been identified. Although the surgical treatment of grade II and III chondrosarcoma necessitates wide resection margin, there has been controversy about curettage versus wide resection in case of grade I chondrosarcoma.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grade I chondrosarcoma of proximal humerus and grade II chondrosarcoma of distal humerus with good onc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 through curettage and wide resection respectively.

      • 유상피 육종

        조완형,전대근,박종훈,송원석,이수용,고재수,고한상,Cho, Wan-Hyeong,Jeon, Dae-Geun,Park, Jong-Hoon,Song, Won-Seok,Lee, Soo-Yong,Koh, Jae-Soo,Koh, Han-Sa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목적: 유상피 육종은 매우 드물며 예후 예측이 힘든 육종이다. 본 연구는 병기, 잔존 종양의 유무, ezrin 발현과 유상피 육종의 임상 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보조적 치료로 15예는 화학요법을, 6예는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15예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였다. 분석한 인자는 병기, 보조적 요법, 국소 재발, 잔여 종양, 면역조직화학 결과, 절제연이었다. 결과: 15예의 병기 II및 III 환자의 무병 생존율은 129 개월에 47.4%, 8예의 병기 IV환자의 실질 생존율은 80개월에 37.5%였다. 재 절제한 병리 표본에 잔존 종양의 존재 유무가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였다(P=0.03). 보조적 요법의 유무가 치료 결과와 상관은 없었다. 병기 IV와 국소 재발한 예에서 Ezrin 발현이 호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잔존 종양의 유무가 예후에 중요하였으며 보조적 치료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Ezrin 발현과 예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기 위해 좀더 많은 증례 분석이 요구된다. Purpose: Epitheliod sarcoma is an obscure clinical entity.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course and the AJCC stage, presence of residual tumor and ezrin-ex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cases of epithelioid sarcoma were eligible. All the cases had operation. Fifteen cases had systemic chemotherapy and 6 cases had adjuvant radiotherapy. Immumohistochemical analysis was done for 15 cases. Analyzed factors were initial stage, adjuvant treatment, local recurrence, residual tumor immumohistochemical results and surgical margin. Results: The event free survival rate of 15 stage II, III cases was 47.4% at 129 months. The actual survival rate of 8 stage IV cases was 37.5% at 80 months. The presence of residual tumor tissue on re-excision specime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event free survival rate(P=0.03). Adjuvant therapy showed no impact on outcome. The stage IV and locally recurrent case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Ezrin-positivity. Conclusion: Residual tumor showed correlation in the outcome of epitheliod sarcoma.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did not affect the outcome. Further case collection and analysis is needed for the significance between Ezrin expression and clinical behavior.

      • 양성 골종양의 악성변화에 의한 연골육종

        조완형,송원석,공창배,홍윤석,이정동,전대근,Cho, Wan-Hyeong,Song, Won-Seok,Kong, Chang-Bae,Hong, Yun-Suk,Lee, Jung-Dong,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1

        목적: 저자들은 양성 골종양의 이차적 악성 변화로 인한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의 특성 및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183명의 연골육종 환자 중 양성 골종양의 악성 변화로 생긴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환자의 특성 및 국소재발, 원격전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 18명을 원발성 병변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골연골종 4명, 다발성 골연골종 11명, 다발성 내연골종 3명이었다. 추시 기간은 평균 85개월(21-166)이었다. 최종 추시상 5년 무병 생존율은 $85.9{\pm}9.3%$였으며 평균 기능적 점수는 25.2점(84%)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추시 기간 중 3명의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원격 전이는 없었다.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에서 발생한 속발성 연골 육종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해부학적 위치와 수술적 절제연이 중요한 예후 인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al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 of the chondrosarcoma arising from benign bone tumor due to malignant trans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1986 to April 2009, 18 cases were considered eligible.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that affect to the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Results: As classified by primary benign bone tumor, 4 cases were solitary osteochondroma, 11 cases were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and 3 cases were multiple enchondromatosi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85 months.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18 patients was 85.9%. Their overall MSTS score was 25.2 (84%). There were local recurrence in 3 cases and no distant metastasis. We found that tumor location and surgical margin affected to the prognosis significantly. Conclusion: In secondary chondrosarcoma patients, the prognosis was good relatively and tumor location and surgical margin are important prognosis factor.

      • KCI등재

        사지의 연부 조직 육종의 무계획적인 절제 후 재 절제의 결과

        조완형(Wan-Hyeong Cho),송원석(Won-Seok Song),박종훈(Jong-Hoon Park),전대근(Dae-Geun Jeon),이수용(Soo-Yong Lee),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연부 조직 육종에 대한 의심 없이 무계획적으로 절제한 후 재 절제 및 보조 요법을 한 환자들의 생존율과 국소 재발률, 전이 양상 등을 분석하여 현미경 상 잔여 종양의 유무가 재발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타원에서 절제한 후 육종으로 판명되어 전원 된 환자 중 이학적 검사상 종양이 만져지거나 자기 공명 영상으로 종양이 확인된 경우를 제외한 68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재 절제를 시행한 후 잔여 종양의 유무를 판독하였다. 남녀 비는 같았고 평균 34.7세였다. AJCC 분류에 따른 병기는 Ⅰa 3예, Ⅰb 2예, Ⅱa 5예, Ⅱb 34예, Ⅲ 24예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9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상 CDF 48예, NED 9예, AWD 3예, DOD 8예이었다. 5년 및 16년 지속적 무병 생존율은 각각 68.1, 61.3% 이었다. 잔여 종양이 있었던 23예 중에는 8예가, 없었던 45예 중 6예가 국소 재발하였다. 종양의 크기, 잔여 종양, 최초의 절제와 재 절제간의 시간 간격, 병기는 국소 재발에 유의한 인자이었다. 지속적 무병 생존율에 국소 재발, 원격 전이, 병기가 유의한 예후 인자이었다. 결론: 지속적 무병 생존에 중요한 인자 세 가지 중 국소 재발만이 조절 가능한 인자이었다. 국소 재발에 관여하는 요인 중 잔여 종양의 유무가 중요하였다. 무계획적인 절제는 가급적 피해야 하나 무계획적인 절제 후에도 광범위 절제연으로 재 절제하면 재발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microscopic residual tumor on the survival and recurrence rate by analyzi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re-excision after an unplanned excision of a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85 to June 2002, 68 unplanned excisions of a soft tissue sarcoma at other institutes were referred to our service. All cases had undergone a re-excision and were re-evaluated for residual tumo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the same with an average age of 34.7 years. Staging followed the AJCC classification and there were 3 cases of la, 2 Ⅰb, 5 Ⅱa, 34 Ⅱb, 24 Ⅲ. Twenty six case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only and 42 had added adjuvant therapy. The mean follow-up was 58.9 month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there were 48 CDF, 9 NED, 3 AWD and 8 DOD. The CDF 5/16 year survival rates were 68.1/61.3%. Eight of the 23 residual tumor positive cases and 6 of the 45 residual tumor negative cases had a local recurrence. The tumor size, residual tumor, interval between the excision and re-excision, and 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a local recurrenc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tage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survival. Conclusion: Local recurrence was the only controllable factor for survival. The presence of a residual tumor had an impact on the local recurrence. A re-excision after an unplanned excision may reduce the incidence of a local recurrence.

      • KCI등재
      • KCI등재

        저 악성도 중심성 연골육종의 광범위 소파술 후 종양학적 및 기능적 예후

        조완형(Wan-Hyeong Cho),이수용(Soo-Yong Lee),송원석(Won-Seok Song),공창배(Chang-Bae Kong),조상현(Sang-Hyun Cho),전대근(Dae-Geu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5

        목적: 저 악성도 중심성 연골육종의 치료방법 중 광범위 소파술 후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Grade Ⅰ으로 진단되어 광범위 소파술을 시행하고 보조 요법으로 과산화수소에 의한 화학적 소작술을 시행한 후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0명의 연골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특성 및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술후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5년 무병 생존율을 87.5%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82.7개월이었으며 최종 추시까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술후 16명 환자의 평균 MSTS는 27.5(91.6%)로 측정되었다. 결론: 저 악성도 중심성 연골육성의 치료에 있어서 철저한 광범위 소파술과 보조요법을 병행하는 것은 광범위 절제술에 비하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광범위 절제술로 인한 합병증과 기능 소실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al and functional outcome of extended curettage for low-grade central chondr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6 patients with Grade I central chondrosarcomas treated with extended curettage and adjuvant therapy of chemical cauterization with H<sub>2</sub>O<sub>2</sub> at a minimum follow up of 24 months Results: Five-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87 .5%. Mean follow up was 82.7 months and no patient developed metastases or died of disease. The mean final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score was 27.5 (91 .6%) Conclusion: Extended curettage is an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for low-grade central chondrosarcoma with improved functional outcomes and lower complication rates compared to wide re section and reconstruction

      • KCI등재

        대퇴골 전치환술 받은 악성 골종양 환자의 생존인자와 합병증

        조완형(Wan Hyeong Cho),전대근(Dae-Geun Jeon),송원석(Won Seok Song),박환성(Hwan Seong Park),남희승(Hee Seung Nam),김경훈(Kyung 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3

        목적: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재건술의 극단적 술식 중 하나이며 증례가 드물어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술식 후의 합병증에 대한 분석이며 본 술식의 적응증에 대한 분석은 미미하다. 저자들은 대퇴골 전치환술 36예의 1) 종양적 문제로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에 관련된 예후인자, 2) 치환물 및 하지의 생존율, 3) 치환물을 3년 이상 추시한 예의 합병증, 최종 하지 상태 및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치환술을 받은 이유에 따라 원발성 종양에 의한 경우(15예, 1군), 오인 수술 및 국소재발로 인한 경우(16예, 2군), 재건물 실패로 인한 경우(5예, 3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 생존인자 분석 항목은 나이, 성별, 전치환술 원인, 항암요법 전후 종양 부피 변화, 절제연, 국소재발이었다. 결과: 전체 36예의 5년 환자 생존율은 31.5%±16.2%였다.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치환술을 받은 31예의 5년 생존율은 21.1%±15.6%였다. 항암요법 전후 종양의 크기가 같거나 감소한 10예의 5년 생존율은 50.0%±31.0%로 크기가 증가한 13예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 광범위 절제연을 얻은 12예의 5년 생존율은 41.7%±27.9%로 변연부 절제연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3). 성별, 나이,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원인, 치환술 후 국소 재발여부와 생존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환물 36예에서 5년 생존율은 16.6%±18.2%였다. 하지의 10년 생존율은 85.9%±14.1%였다. 최종 추시상 종양인공관절을 유지한 것이 12예, 회전성형술은 2예, 슬관절 상부 절단술 1예, 관절고정술 1예였다. 대퇴골 전치환술 후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6예 중 수술이 필요했던 주 합병증이 14예, 보존적 치료만 했던 저등급 감염이 2예였다. 수술한 환자 14예 중 감염이 10예(71.4%)예, 국소재발이 2예, 고관절 탈구, bushing 파손, 대퇴동맥 폐색이 각각 1예였다. 결론: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항암요법 후 종양의 크기가 커지거나 절제연이 불량한 경우, 환자가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전치환술의 시행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환자에서도 감염률이 높고 기능적 결과도 만족스럽지 않으나 현재 적응증을 고려했을 때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보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보인다. Purpose: Total femoral replacement (TFR) is an extreme form of limb salvage. Considering the rarity of this procedure, reports have focused on the complications and a proper indication is unclear. This study analyzed 36 patients with TFR who were asked the following: 1)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survival in patients who underwent TFR with a tumoral cause; 2) overall implant and limb survival; 3) complications, functional outcome, and limb status for patients surviving for more than 3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causes for TFR, 36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extensive primary tumoral involvement (group 1, 15 cases), tumoral contamination by an inadvertent procedure or local recurrence (group 2, 16 cases), and salvage of a failed reconstruction (group 3, 5 cas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urvival of patients included age, sex, cause of TFR, and tumor volume change after chemotherapy. Results: The overall five-year survival of the 36 patients was 31.5%±16.2%. The five-year survival of 31 patients with tumoral causes was 21.1%±15.6%. The five-year survival of 50.0%±31.0% in patients with a de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was higher than that of increased tumor volume (p=0.02). The five-year survival of 12 cases with a wide margin was 41.7%±27.9%, whereas that of the marginal margin was 0.0%±0.0% (p=0.03). The ten-year overall implant survival of 36 patients was 85.9%±14.1%. The five-year revisionfree survival was 16.6%±18.2%. At the final follow-up, 12 maintained tumor prosthesis, three underwent amputation (rotationplasty, 2; above knee amputation, 1), and the remaining one had knee fusion. Among 16 patients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three years, 14 patients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and two patients had conservative management. Complications included infection in 10 cases, local recurrences in two cases, and one case each of hip dislocation, bushing fracture, and femoral artery occlusion. Conclusion: Patients showing an in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and having an inadequate surgical margin showed a high chance of early death. In the long-term follow-up, TFR showed a high infection rate and the functional outcome was unsatisfactory. Nevertheless, this procedure is an inevitable option of limb preservation in selected patients.

      • KCI등재후보

        악성 골종양에서 감염된 종양대치물의 치료

        조완형(Wan-Hyeong Cho),박종훈(Jong-Hoon Park),송원석(Won Seok Song),이수용(Soo-Yong Lee),전대근(Dae-Geun Jeon),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종양 대치물 시술 후 발생한 감염의 양상, 기간 및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 및 치료 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2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골종양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받은 환자 215명 중 감염이 발생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수술을 하였으며, 17예에서 총 42회의 수술을 시행하였다(반흔 조직 청소술(scarectomy) 11예, 종양 대치물의 부분적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9예,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 술 20예, 절단술 2예). 감염 치유의 지표로 미생물 배양 검사, C-반응단백(CRP), 적혈구 침강속도(ESR) 및 이학적 소견을 이용하였으며, 수술 후 3개월 이상 염증 소견이 없으면 완치로 보았다. 각 술식을 독립된 사건으로 간주하여 감염이 해결되었으면 생존, 재발하면 사건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지속적 무병생존율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하였으며, 각 술식 간의 차이는 log rank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반흔 조직 청소술, 종양 대치물 부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의 누적 생존율은 각각 0% (11개월), 0% (12개월), 34% (79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종양 대치물 사용 후 발생한 감염은 초기에 종양 대치물의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로서 반복되는 재발을 막을 수 있다. Purpose: The analysis poi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eatures, durations, and outcomes following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an infected tumor prosthesis (TP). These were used to defin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infected TP.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86 to November 1999, 215 patients underwent a TP replacement operation in our hospital, and 17 patients with an infected TP were eligible for the study. Forty-two opera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17 patients (scarectomy 11 cases,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9 cases,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20 cases, and amputation 2 cases). Freedom from infection was defined as no sign of inflammation for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its objective variables were CRP, ESR, physical examination, and culture free body fluid. Although one patient received several procedures, we considered each event as a separate variable. The survival rates of the procedures were analysed by Kaplan-Meier plots and these were compared using the log rank test.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of each procedure was 0% by scarectomy at 11 months, 0% by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12 months, and 34% by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79 month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were found for these procedures (p<0.001). Conclusion: Aggressive initial management reduces patients pain and increases the cha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functional status.

      • KCI등재

        악성 골종양의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

        조완형(Wan-Hyeong Cho),공창배(Chang-Bae Kong),전대근(Dae-Geun Jeon),박환성(Hwan Seong Park),송원석(Won Seok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목적: 골표면 또는 편심성으로 위치하는 골종양은 골수강 내의 침습이 적어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hemicortical resection)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악성 골종양에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4년 사이에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골성 골육종이 10예, 골육종 5예, 골막성 연골육종 2예, 연골 육종 1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1개월(24-125개월)이었다. 부분 피질골 절제술 후 종양학적 결과, 골 유합률,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3명(16.7%)의 방골성 골육종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여 재절제를 시행하였으나 1명은 전이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재건술을 시행한 15명의 환자 가운데 감염으로 이식물을 제거한 2명을 제외한 13명의 환자 중 12명(92.3%)에서 평균 8개월(5-13개월)후 골 유합이 이루어졌다. 합병증으로 골절은 2명(11.1%)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감염은 3명(16.7%)의 근위 경골 골육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편심성 또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악성 종양의 경우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근위경골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점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Hemicortical resection may be applied to bone tumors arising at the bone surface or of eccentric location due to minimal medullary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hemicortical resection for malignant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emicortical resection between 2005 and 2014. The study included 10 patients with parosteal osteosarcoma, 5 patients with osteosarcoma, 2 patients with periosteal chondrosarcoma, and 1 patient with chondrosarcoma, who were followed-up for a mean duration of 61 months (24–125 months). We evaluated 1) the oncologic outcome (recurrence, metastasis), 2) the rate of bony union, and 3) complications, such as fracture or infection,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Results: There were local recurrences in 3 parosteal osteosarcoma patients (16.7%). After subsequent re-excision for recurrence, one patient died of metastasis. The defect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was reconstructed by bone graft in 15 patients and the grafts were removed for infection in 2 patients. Bone grafts were united in 12 (92.3%) out of 13 patients at 8 months (5–13 months) after reconstruction on average. Host bone fractures occurred in 2 patients (11.1%); infection developed in 3 patients (16.7%), who received hemicondylar resection for osteosarcoma in proximal tibia. Conclusion: Hemicortical resection for eccentric tumors or small tumor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There is relatively a high risk of infection in the lesion of proximal tib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