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환경오염문제의 효율적 해결과 국제법상 정책적 접근방법

        鄭瑞溶(Suh-Yong Chung) 대한국제법학회 2006 國際法學會論叢 Vol.51 No.3

        동북아시아의 급속한 역내 경제 성장은 황사 및 해양오염 등 심각한 지역 내 환경오염문제를 만들어 내고 있다. 국제법상 규범적 접근방식에 기초한 대응 방식은 그 자체의 논리적 치밀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환경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초국경적오염피해방지의무와 국가책임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국제 환경오염 문제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효율적인 국제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즉 외부재로서의 환경문제, 환경과 경제발전의 조화의 어려움, 주권국가 상호간의 협력의 어려움,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특수성 등의 규범 외적인 문제들이 규범적 접근방식에 의한 동북아시아 환경오염 문제의 효율적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국제법상 정책적 접근방법이 규범적 접근방법의 환경오염 문제의 효율적 해결에서 보이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방법의 중요성, 연성법적 접근방식 그리고 시장질서에 의한 문제해결의 모색이 정책적 접근방식의 맥락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based approach to address serious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in Northeast Asia in a more effective way. Despite its popularity in dealing with regional pollution problems, normative approach has revealed its limitations to provide practical and effective solutions to the region. Without considering variables such as the externalty problem, vagueness of the concep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difficulty in cooperation among sovereign states, and unique geo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normative approach of the international law may face serious limitations in applying international law instruments such as the state responsibility system and draw actual results in decreasing the regional pollution. Instead, policy based approach may be a possible alternative as a more effective way of addressing regional pollution problems while incorporating several components such a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soft law based approaches, and utilization of the market based instruments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policy instruments.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에 기반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주,김효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ological art classes designed according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P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cusing on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lement this, ecological art classes are designed based on CPS Model and proposed as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ecological art classes delivered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 'To express your future residence based on your imagination' was newly devised to verify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ecological art classes. Extensive lecture notes and detailed guidance are designed lecture by lecture, and overall purpose and evaluation schemes are also outlined. Third, this scheme was implemented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or fourteen 2nd-grade students throughout six classes. Also,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examination developed by the MI research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rth,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through the use of a statistics program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and conducted the t-test to see the relevance between ecological art class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fter the class treat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alyzed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rt classes, the study was wrapped up with discussion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conclusion,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overall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nd its sub-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PS model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ecological art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을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계획 단계에서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CPS) 모형 및 초등학교 환경 미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생태적 환경 미술 수업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를 검증할 ‘미래의 거주지 상상하여 표현해보기’ 수업을 개발한다. 총괄 교수학습 지도안과 세부지도안을 차시별로 작성하며, 학습 목표,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한다. 셋째, 연구의 실행 단계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2학년 14명을 대상으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 6차시를 실행한 후 서울대 심리연구실 MI연구팀이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다. 넷째, 연구의 분석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WIN 통계 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고 본 수업의 유의미성을 파악한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다섯째, 연구의 결론 단계는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의 수업 결과를 토대 로 논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창의적 문제해결 (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전체 영역과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환경에 대한 과학기술의 결과들과 해결책에 대한 철학적 반성의 필요성

        김완구 ( Kim Whan-ku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21세기 환경 위기는 실제적이고 매우 심각하기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여러 해결책이 제시되지만 많은 사람들은 과학과 기술이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은 우리에게 많은 편익을 가져다주지만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서 그에 못지않게 많은 폐해를 동시에 가져다 준다. 여기에서 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런 과학과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철학적인 반성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화이트의 논의를 통해 환경위기의 근원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와 이로부터 비롯된 과학과 기술이라는 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기술의 결과를 주로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검토하고 그런 환경문제를 과학기술에 의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책들을 소개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들 또한 대부분의 과학기술과 마찬가지로 양면성을 지니기에 해결하는 만큼의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나는 끝으로 환경위기와 그것의 해결은 과학과 기술의 문제만도 아니고 또 본래 과학과 기술의 문제도 아니며 근본적으로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라는 점을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립환경연구원 등에서는 과학기술에만 집중하는 편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한 사례로 지적하며 논의를 마친다. The environmental crisis of the 21st century is very real and profound. Although pessimists among us despair at this reality, many others hav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While many varieties of solutions have been offered, a majority of scholars insist that onl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can help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is no denying that science and technology are beneficial to us, but they also have serious side effects; they have an ambilateralit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blems that may be generat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To this aim, I first examine White`s argument that our environmental crisis is the product of our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grew out of Christian attitudes towards nature. Second, I examine the consequences of technology in relation to environment, and reflect on the technological solutions to cope with their side effects. These technological solutions have an ambilaterality; they are as much the cause of the problem a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For this reason, I argue that environmental challenges are neither exclusively nor even primarily probl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y are fundamentally questions of ethics and philosophy.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facing Korea`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s that they overly rely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 KCI등재

        팀 프로젝트 기반 환경주제 사회문제해결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들의 환경 인식 변화 연구: 한국·몽골 대학생 중심으로

        이윤선,고명희,김재선,김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몽골 대학생을 대상으로 팀 프로젝트 기반 환경주제 사회문제해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참여한 대학생의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한국과 몽골 교수진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내용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최종 정리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2017년 서울소재 S대학교에서 교양 필수 과목인 환경주제 사회문제해결수업 수강생 34명과 환경주제 사회문제 해결 동아리 활동을 한 울란바토르시 소재 U대학교 학생 12명에게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수집된 두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이해, 태도 및 가치관, 기술, 그리고 실천적 의지 측면의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환경에 대한 지식 습득 및 생태학적 관점에서 환경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의식, 연대의식, 협동, 존중과 배려 등의 태도, 가치관 및 기술의 변화, 그리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상에서의 실천의지를 포함하는 통합적인 교육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특히,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수업에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동료학생들의 말을 경청하는 토의활동을 통해 공감적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한국과 몽골 대학생들이 같은 학기에 동일한 환경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환경문제가 세계적 문제이며 세계 모든사람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함께 해결해야한다는 글로벌시민의식 함양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erception on the environments of both Korean and Mongolia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team project-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programs. The study analyzed two reflective journals from 34 Korean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based in Seoul, South Korea and 12 Mongolian students at a university based in Ulaanbataar, Mongolia, in fall 2017.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team project-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class/club activities reported changes in their knowledge & understanding, values & attitudes, skills, and behavioral aspects on the environments. Specifically, students could gain cognitive knowledge about and ecological perspectives on the environments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enhanc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artnerships for taking care of the environments, learn how to collaborate with and respect & care for others and finally put into action with their learning on how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eam project activities, students could also sharpen empathic communication skills by sharing their opinions and listening to others carefully in group discussions. Furthermore, both Mongolian and Korean students enhanced their global citizenship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same environmental projects were being implemented in the same semester both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후보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선택,정진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업사이클링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특정 영역 지식ㆍ사고기능ㆍ기술 이해 및 숙달)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고,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 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환경태도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언어적 관여, 행동적 관여, 정서적 관여)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고,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 향 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업사이클링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solve creative problems and environmental attitude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2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city, and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developed and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for 10 classes. As a test too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 test paper were used. The SPSSWIN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main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rt, the average of all sub-areas(specific area knowledge·thinking skill·technology understanding and master, divergent thinking,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it was found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average of all sub-areas(linguistic involvement, behavioral involvement, emotional invol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it was found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실과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에서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효과

        이지현,최지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about a unit 'My Environment-friendly Life' in a sixth-grade practical arts on school children's environmental Liter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students in two different 5th grade class in G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Cheongju, Chungbuk.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As for data handling, t-test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the students. And the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literacy, which involved ecological knowledge, knowledge of environmental problem & issue, environmental sensitivity, environmental attitude, skill, environmental crisis, locus of contro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s, but there is statistically not a considerable difference of environmental literacy about the environmental issue, investigation & action strategy knowledge,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Valu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s one of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stir up the positive environmental literacy of learner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적합한 실천적 문제해결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보고, 실과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의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청주시의 G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64명을 대상으로 이질집단 전후검사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실천적 문제해결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문제해결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t 검증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집단 간에 환경 소양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실천적 문제 해결학습이 생태적 지식, 환경 쟁점 지식, 환경감수성, 환경쟁점지식, 환경태도, 환경기능, 조절점, 책임 있는 환경행동의 환경구성요소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환경쟁점조사․행동전략지식, 환경관심, 환경가치 함양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에서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경불확실성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과 조직구조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상연(Park Sang Yun),이창수(Lee Chang So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변수의 역할 중요성을 인식하여 환경불확실성, 협력적 문제해결 및 조직구조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물류성과에 주는 함의를 연구하여 물류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수립 시에 합리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실증분석결과, 물류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경적합성과 협력적 문제해결적합성을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물류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선결과제이나 이러한 조화가 달성되지 않는 경우는 먼저 환경 불확실성과 협력적 문제해결 변수 간의 적합성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갖는 환경적합성을 달성한 후에 문제해결적합성이 달성될 때, 물류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략의 수립 · 실행만을 관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물류경영실무에 대해서도 협력적 문제해결 변수에 대한 명시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며, 아울러 전략실행의 문제를 배제하고 있는 물류경영실무에 대해서도 성과 함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조에 적합한 협력적 문제해결 시스템의 선택에 관한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 uncertainty,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organization structure, and suggests logistics strategies that would help achieving the logistics goals. Being in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it is not enough to pursue fitness between environment uncertainty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or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organization structure separately. Instead of this, this study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achieve the fitnes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a better logistics goals, and this logical suggestion is a critical contribution which is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ses the Korean listed firms as a research sample. Once the firm agreed to participate, researcher have visited logistics divisional managers within the firm to administer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are primarily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However, an opportunity to interview many of the leading authorities in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lso provided an excellent opportunity to gather additional insight into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s.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on January, 2009. 236 valid responses have been collected. The findings can suggest for logistics strategies setting as followings. Firms with high cooperative problem-solving adaptation harmon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logistics performance than firms with low harmony. Unless the harmonization is achieved, it is primarily required to reach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fitness which has the applicability to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with the adaptation between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organization structure. Then the environment adaptation is achieved and the logistical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 KCI등재후보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손장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실과 교과에서 STEAM 교육 적용이 가능하고, 환경요소가 많이 포함된 5학년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을 선정․ 재구성하여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둘째,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P=0.09), 하위요소인 동기적요소의 유의미한 증가(P<0.01)가 인정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실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시간을 확보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학생의 특성, 지역의 특수성, 학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E-STEAM- Environment’ Program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selected living in the wood products' section contains the STEAM education possible and a lot of environmental factor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PAE). It was reconstructed by applying the 'Practical Arts-STEAM-Environment’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E-STEAM-environment' program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literacy of elementary student (P<0.05). Second, the 'PAE-STEAM-environment' program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P=0.09). but have a positive impact on motivational component (P=0.01), a facto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rd, the 'PAE-STEAM-environment'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Program contents will be able to utilize reconstru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peculiarities of the area, such as the situation of the school.

      • KCI등재후보

        해양환경오염에 관한 AI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영,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EAM program on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pply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effect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with 22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ere analyzed, and the effect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was analyzed throug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EAM program on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such as sensitivity, aesthetic sense and emotional stability, sympathy and compassion improved. Seco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EAM program on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is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thinking intelligence, understanding and mastery of skills, divergent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motivational factors in specific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EAM program on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and satisfaction with the marine environment. After experiencing the program, the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well as the marine environment, and it ha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ir will to practic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onnection with their daily lives. 본 연구는 해양환경오염에 관한 인공지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환경 감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경 감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사전 ·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서면 질의 답변을 통해 흥미도와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환경오염에 관한 인공지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은 민감성, 심미감과 정서 안정, 동정과 연민 등의 환경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해양환경오염에 관한 인공지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프로그램은 특정 영역의 지식, 사고 지능, 기술의 이해 및 숙달 여부,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동기적 요소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양환경오염에 관한 인공지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해양환경에 대한 흥미도 및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해양환경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고,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해양환경 보호 실천 의지를 다지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환경교육용 보드게임 디자인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환경적 지식, 환경 소양과 창의 공학적 문제해결 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남윤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환경교육용 보드게임 디자인 활동을 개발하고, 이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환경 개념적 지식, 환경 소양 및 창의 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환경동아리에 소속된 25명의 고등학교 1, 2 학년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보드게임 디자인 활동은 총 10차시 수업으로 공학적 설계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주요 데이터는 환경 주제(기후온난화와 생태계 파괴)에 관한 학생들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된 사전-사후 개념도와 환경 소양 측정지 및 창의적 공학적 문제해결성향 측정지이다. 연구 결과 환경교육용 보드게임 디자인 활동을 수행한 후 학생들이 제시한 개념도의 환경관련 단어의 개수가 지식 영역에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 소양측정지와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 측정지의 평균도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드게임을 활용한 수업 방법이 학생들이 다양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는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드게임과 중등 교육을 접목한 연구는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현직 교사들의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