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지질공원 및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김수민,백승연,전진찬,황현준,정철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과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질공원 교육에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질공원을 활용한교육은 학생의 탐구 능력 및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있도록 도와주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를 교육할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질공원 교육의 이점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예비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 소재 A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6명을 대상으로 지질공원에 대한 인지와 이해 수준, 지질공원 교육 경험, 지질공원 교육 필요성, 지질공원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하여인식하고 있지만, 국내 및 세계 지질공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부족한 이해 수준과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현행 중등교육에서 지질공원 교육을 다루는 정도가 부족하고 예비교사들이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나 이해 정도가부족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 지질공원 교육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지구과학교육 현장, 사회교육현장, 비교과 교육 현장 등에서 지질공원 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구과학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김윤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4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90명의 고등학생들(성취도 상․중․하 수준의 각 30명)을 대상으로 GAP 프로그램의 일환 으로 개발된 10개의 문항으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은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직업인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며, 자신의 진로로 연계하여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지구과학 학습의 실패 는 지구과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미래 진로 로의 비연계로 이어졌다. 학교교육 현장에서부터 학 생들이 지구과학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으로 연계시키려 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10 questions as development of GAP program for ninety high school students(each student of 30 with achievement as high, medium, and low categories), it was analyzed the perception of Earth scientist. High school stu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a course in Earth science, but they have lack of knowledge about Earth scientist as a career man, and they can't recognize Earth scientist as a career. A failure of learning of Earth science for Students with low level achievement leads to a negative perception about Earth scientist and disconnection to future career. School education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encounter Earth scientist for students and it is badly in need of effort to connect to the job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독서감상문에 담긴 과학 교과독서의 의미 비교

        임성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독서를 통해 과학도서와 독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과학 교과독서 과정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 사 양성 대학에 다니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24명과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25명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과 학 예비교사들은 교과독서를 과학 내용 지식을 습득하 는데 많이 활용하였으나,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과 과학적인 흥미, 궁금증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지구과학 예비교 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관련 도서를 과학 교육 에 활용하는 데에서도 생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 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과학도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 에 대해 드물게 서술한 반면,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 독서 관점에서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 비해 초등 예비 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교과독서의 의미를 부각시키 고 있었다. 과학에서의 독서활동이 많은 효과가 있다 는 연구결과들을 비춰보면 학교 현장 수업에서 교수전 략으로서 과학 교과독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hat meaning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books and reading through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and how their thoughts on science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ocess. For the study, 24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25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primary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t a teacher training colleg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used disciplinary reading a lot to acquire knowledge of science content, but primary pre-service teachers used it for the purpose of using it in class, scientific interest, and curiosity solution. Second,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in using science related books for science education. Whil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rarely described the use of science books in their classes,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described science class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actively emphasizing the meaning of disciplinary reading compared t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reading activity in science has a lot of effect, it is thought that a wide range of research on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should be conducted as a teaching strategy in school field classes.

      • KCI등재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정철,김윤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시민으로 성 장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자연물 과 인공물의 복합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또한 현재에서 미래로 지구 환경의 변화 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 들이 상상하는 미래의 지구 환경의 이미지에서 자연과 함께 생존하는 인간이 그려질 수 있도록 환경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 로 더불어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환경 교육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 들은 미래의 지구 환경을 인간이 수정하는 공간으로 내면화 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동 에 의해 지구 환경이 수정될 수 있다는 관점을 나타내 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학에서 제공해야 하는 환경 교 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에 대한 교육이나 환경으 로부터의 교육이 아닌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대학의 환경 교육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대학 교육과정에 서 전공 여부에 차별 없이 모든 대학생들에게 지구 환 경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우리의 아들딸들 이 지구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 한 지구 환경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e recognition for future global environment was studied targeti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grown as general public composing our society in this study. The rate recognizing as the complex space of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is very low for non-science majored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rate recognizing global environment change from now to the future as negative. The environment recognition should be changed a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can imagine the human live together with the nature in the image of future global environment. The environment education find out and practice the method that human can co-exist together to the direction of co-exist with the nature. Also, the rate internalizing future global environment as the space the human amends for non-science majored university students. This result is interpreted as shown the point of view that the glob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the human activity, and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the university should supply. The environment education direction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eduction of environment or the eduction from environment to the education for environment. The opportunity for global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all university students without the discrimination on the major in the university education course. Sustainable global environment eduction is necessary for our son and daughter live on the earth continuously.

      • KCI등재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곽영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 육학 출제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 선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등교사 자격증 표시과목 ‘지구과학’의 기본이수과목 중 ‘지구과 학교육론’에 해당하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 학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지구과학교 육학 문항 분석틀은 대영역, 평가영역, 평가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4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임용시 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 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 교육학 문항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 80점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학에는 22-24점이 배정되어 출제되어왔다. 평가영역별 출제 경 향과 배점을 살펴보면, 지구과학 교수학습 영역의 출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지구과학 탐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 등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각 평가영역별로 출 제경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 개선방 안과,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교육과정 개선방 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developing exam ques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item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T, and this analysis framework covers required courses for ‘theory of Earth science education’ of ‘Earth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big categories, assessment domains, and assessment components. We divided system changes in secondary-school TET into 4 types, and analyzed exams of 2014-2018 school year, which is the existing exam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22-24 points out of 80 have been allotted to Earth science education. Among assessment domains, Earth science Teaching & Learning domain has taken the highest percentage of scores and item numbers, followed by Earth science inquiry,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etc. For each domain, we analyzed exam tendencies in detail. Based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developing exam ques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T, and ways to improve curriculum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과학교육에의 함의

        배경석,손연아,오준영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symmetry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d the way of thinking of Western science in general through ancient Greek scholars. Second, we divided the perception of symmetry into ancient and modern times. Third, we draw out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way of thinking in Western science is 'abstraction', which began with Parmenides and was established by Plato. Second, the ancient perception of symmetry is symmetry as beautiful proportions and harmony based on abstraction, and the modern perception of symmetry is symmetry as an invariant perspective based on abstraction that seeks to find constancy in change. We examined Eratosthenes' experiment to measure the circumference of the earth as an example of ancient symmetry, and Galilean relativity or transformation as examples of modern symmetry. Third,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re as follows. Awareness of symmetry can help educate student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s it is a central theme that runs through ancient and modern science. Second, the Eratosthenes’ experiment and Galilean relativity or transformations are not re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ut could support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key competencies and concepts. Finally, an integrated approach to science education centered on symmetr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 본 연구는 대칭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 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를 위해 첫째, 고대 그리스 학자들을 통해 일반적인 서 양 과학의 사유방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대칭성에 대 한 인식을 고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이에 대한 과학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서양 과학의 사유방식은 파르메니데스에 서 시작되어 플라톤이 정립한 ‘추상화’이다. 둘째, 고 대의 대칭성 인식은 추상화를 기반으로 한 아름다운 비율과 조화로서의 대칭성, 근현대의 대칭성 인식은 변화에서 불변을 찾고자 했던 추상화를 기반으로 한 불변의 관점으로서의 대칭성이다. 그리고 고대의 대칭 성의 예시로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둘레 측정 실험 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근현대의 대칭성의 예시로서 갈릴레이 상대성 및 변환을 고찰하였다. 셋째, 이에 따 른 과학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대칭성에 대한 인 식은 고대부터 근현대 과학을 관통하는 핵심주제라는 관점에서 과학의 본성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 째, 에라토스테네스 지구 둘레 측정 실험과 갈릴레이 상대성 및 변환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에는 제시 되어 있지 않지만 과학과 핵심역량 및 개념 이해에 도 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칭성을 중심으로한 통 합적 접근으로의 과학교육은 과학적 태도와 흥미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훈,이동영,김윤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 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 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역시 소 재 초등학교 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연구집 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학 년 2학기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을 10차시를 선정 하여 연구집단의 학생들은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을,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교사 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통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MSI모 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 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둘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즐거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단계별 메이커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향상된 영역별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하고 교과별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이 관련 교과 수업의 즐거움으로 이어지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involved 40 sixth-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aker education program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whereas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class as outlined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to sci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이용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에게 메타버스에 대한 교 육적 접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초 등과학교재연구 Ⅱ’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초등예비교 사 71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LMS 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문을 제시하여 그에 반응 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량적 수치 해석과 정성적 분석 으로 결과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예비교사 의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 정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초등예비교사들은 MZ세대로서 이미 메타버스의 기본 이 될 수 있는 매우 빠른 IT환경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메타버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메타버스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메타버스는 현재의 교육환경을 넘어서 보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가 많기 때문 에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 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적용 가능성 탐색의 질문에서는 아직까지 교수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메타 버스 교수설계를 기획한 사례는 보기 드물었다. 이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와 우주’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을 제안하며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활용한 교육컨텐츠는 매우 필요할 것이라 여겨 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교수설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기법을 도입 한 교육컨텐츠가 개발되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 째, 교육환경에서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재정 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원(초등예비교사 포함)들에게 메타버스에 대한 연찬을 할 수 있도록 연 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he educational approach to metaverse. Questions about metaverse were asked to 7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taking the course ‘Study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ience Ⅱ’.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and static analysis based on the responses to questions presented using the university's LMS system.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very hi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the MZ generation, are already living in a very fast IT environment that can be the basis of the metaverse, so it would have been helpful to understand the metaverse. Second, the need for the metaver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very high. There was a tendency to think tha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because the metaverse has many factors that can provide higher quality education beyond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in the question of applicability exploration in the 'Earth and Space' domai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have been few cases in which instructional design was planned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se results, if the possibility of metaverse application is proposed in the ‘Earth and Space’ domain, educational contents using virtual space that can transcend time and space will be very necessary.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content incorporating the metaverse technique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Seco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metaverse can be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clud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give lectures on metaverse.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한신,김용기,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외계행성 에 대한 개념을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을 받기 전, 후의 개념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받기 전에는 외 계행성을 단순히 ‘태양계 바깥(외계)의 행성’ 정도의 맥락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육을 받은 후에 중요 키워드 중심으로 ‘태양계 바깥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매스컴 에서 접했던 간접 경험을 토대로 도플러효과, 식현상, 중력렌즈를 활용한 관측한다는 정도의 간단한 답변을 하여 관측 방법에 대한 개념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 나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 받 으면서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인식이 구체화되었다. 셋 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을 단순히 외계 생명체의 발견을 넘어서서 태양계를 비롯한 행성의 생 성과정과 연구 방법, 인류의 발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 다. 넷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구 과학 교육과정에서 소개한다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에서 외 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we developed an extra-solar planet educ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s which help to figure ou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pplied them to the targe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articipants understood it merely as a planet outside the solar system before they got training. However, they expanded it to the one revolving around a star that appears outside the solar system based on keywords after the training. Second, they gave brief responses regarding exploration strategies (e.g., observing the extra-solar planet by using the Doppler effect, dietary phenomenon, and gravitational len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s they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responses indicated their lack of concept of the extra-solar planet exploration methods. However, their recogni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observation became concrete while students learned about the explora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Third, they wer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the exoplanet observation simply beyond the discovery of extraterrestrial life to the creative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solar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humanity. Fourth, they recognized that exoplanet education is necessary for curriculum as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if contents related to the extra-solar planet appear in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