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김소남 ( So Nam Kim ),이상복 ( Sang Bok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들은 역할상실, 신체 및 건강의 퇴화 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영성(Reed, 1991)과 사회적 지지는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 증진시켜 안녕감을 높여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Nam, 2004)이다.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적 안녕은 득점범위 20-80점 중에서 평균 55.90점으로 중상정도의 영적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Lee (2002)의 연구결과(53.50)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일반적 특성에서 신체적 건강 상태, 종교, 종교에 대한 만족도, 경제상태에서 영적 안녕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을수록 영적 안녕이 높게 나타난 Lee와 Lee (2011)의 연구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신체적 건강이 좋은 대상자가 영적 안녕점수가 높게 나타나 신체적 건강과 영성이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Choi (2002)의 연구결과보다 영적 안녕점수가 낮았다. 이는 본 연구 대상자의 60%는 신체적 건강상태가 보통이상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일상생활 수행이 가능한 지역사회 노인인 반면 Choi (2002)의 연구 대상자는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고통과 삶의 위기에 직면한 환자로서 위기를 통해 자신의 의지가 아닌 신과의 관계를 통한 영적 소망으로 영적 안녕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사료되므로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현재 질병 중증정도에 따른 영성과의 관계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교가 있는 경우가 종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영적 안녕 점수가 높았다. 종교와 영적 안녕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Choi (2002)와 Kim, Kwon, Sung과 Kwak (2007)의 연구에서 종교가 있는 노인이 종교가 없는 노인보다 영적 안녕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 하였다. 재가 노인의 영적 안녕 영향요인을 평가한 Jang과 Kim (2003)의 연구에서 종교가 삶에 미치는 중요성 인식정도가 33.1%의 설명력을 보였고, 취약계층 독거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Lee와 Lee (2011)의 연구에서도 종교가 영적 안녕에 관해 14.9%의 설명력을 나타내 개인의 영적 안녕에 종교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별로는 실존적 안녕이 28.85점으로 종적 안녕 27.05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경제상태, 신체적 건강상태, 삶에 대한 만족도, 사회적 모임의 유무에서 실존적 안녕 점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Song과 Kim (2011)의 연구에서는 성별과 만성질환의 개수에서 실존적 안녕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는 다른 특성들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Sung (1999)은 노인의 영적 안녕, 희망, 지각된 건강실태에 대한 연구에서 실존적 안녕 점수가 높았고, 영적 안녕은 지각된 건강상태와 관계가 있다고 했으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Lim (1998)의 연구에서도 실존적 안녕에 더 의미를 두었으며, 종교와 믿음 정도에서 영적 안녕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노인들에서 실존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스스로 대응하고 조절하며, 삶의 어려운 문제들을 극복하고 수용할 수 있다는 Song과 Kim (201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며,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해 볼 때 노인은 자신과 신의 관계에서 느끼는 종교적 안녕감은 물론 종교와 무관하게 자기 삶의 의미와 목적, 만족감을 나타내는 실존적 안녕감을 통한 영적 안녕을 추구함을 알 수 있다.또한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경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제 수준이 보통 수준 이상의 노인과 삶에 매우 만족 하는 노인이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가족, 친구, 특별 지지 각 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높은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Lee 등(2004)의 연구와 일치하였으며, 중간 수준 이상의 생활수준과 아울러 월 지출액 만족을 지각하는 노인이 사회적 지지망 형성에 있어서 관계맺기의 어려움이 적을 것이라는 Joo와 Kim (201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 한다.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노인이 통계적으로 높은 사회적 지지를 지각했는데, 건강이 좋을수록 신체적,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한 어려움이 감소하여, 사회적 모임과 같은 상호작용적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영적 안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적 안녕에 대해 30%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영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받는 관계에 있는 주위 사람들의 수를 나타내는 사회적 지지망의 구조적 크기가 클수록 노인들의 영적 안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Jang과 Kim (2003)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우울은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상태가 좋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건강상태와 생활에 대한 만족 정도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Youm et al., 2005)가 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한 가족환경의 변화로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 증가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로 고독과 소외감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있는데(Joo & Kim, 2011)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노인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른 노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한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함으로써 우울이 감소하고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적 안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적 안녕에 대해 35.2%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영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영적 안녕과 우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영적 안녕이 증가할수록 우울이 감소한다는 Youm 등 (2005)의 연구결과와 상반되지만 신체적으로 매우 건강한 노인이 우울정도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나 우울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이 큰 요인이라는 Seo와 Ryu (20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따라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켜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문화생활, 여가활동, 종교활동과 같은 개방적인 사회적 지지망을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의 양을 늘리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켜 주는 영적 안녕을 증진시켜 대상자의 심리적인 측면의 간호지지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적 안녕과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이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존적인 안녕이 생활만족도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안녕과도 긍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의 영적 안녕과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도는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삶의 위기를 대처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을 강화하여 총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안녕을 평가할 때 영적 안녕을 고려하고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의 확장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일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여 조사하였으며, 시설입소노인, 입원노인, 치매노인과의 비교평가를 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orrelation of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and to explore a possibility to apply the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as resources to promote welfareof the elderly.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data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22 senior citizens, who visited social welfare centers in Gangwon-do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0.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based on religion, satisfaction to religion, economic status,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physic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gathering.The existential well-being, family support, and spe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Conclusion: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Thus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hat improve the elderly`squality of life.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 아산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김용배,장원기,황보영,김화성,안규동,이병국,이용진,이남수,이상건,이상범,이상우,이선정,이성수 순천향대학교 200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2 No.1

        Objective : As the average lifespan of human increases,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ave become major health care problems. Despite recent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in general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analyzed the relating factors. Method : A population-based sample of 1086 adults in Asan-city, Korea was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s and height, w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economic state), lifestylef exercise, smoking, alcohol),medical history(progestin, GH, steroid, calcitonin, PTH), demographic parameter, obesity, stress, and family history was collected through an interview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level of obesity was measured by the body mass index(BMI). BMD(Bone mineral density)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Osteoporosis was considered to be T-score below -2.5. Results :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age, decreased with BMI and predominant in women by the result of x^(2) -test, T-test. Age, weight, BM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1ysis(P<0.05). And age, gender, BMI,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 gender, BMI might b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And the history taking about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is helpful for diagnosing osteoporosis.

      • KCI등재후보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동반한 삼일열 말라리아 1례

        김문석,김가연,강유민,김낙현,전재현,박완범,김홍빈,김남중,박상원,홍윤호,오명돈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5

        Plasmodium vivax malaria is an endemic disease in Korea, which rarely causes severe complications including those occurring in the cerebrum. There are limited numbers of complicated cases that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world. We experienced a case of vivax malaria with cerebral complica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ataxia. A 55-year-old female with diabetes mellitus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cute fever of two days’ duration. She did not have any history of travelling abroad or receiving blood transfusions. Peripheral blood smear revealed vivax malaria with parasitemia density of 0.53 percent. She demonstrated loss of orientation, especially regarding time and place, and ataxia. Although the initial hydroxychloroquine treatment for malaria was successful, cognitive impairment and ataxia persisted and were not recovered. Brain MRI showed no structural abnormality. Brain PET showed diffuse hypometabolism in right parieto-temporal lobe of the brain.

      • KCI등재후보

        Effects of Phenytoin and Diazepam on the Seizure Activity in the Cortical Dysplasia Animal Models

        Kim, Si-Hyung,Choi, In-Sun,Cho, Jin-Hwa,Park, Eun-Ju,Jang, Il-Sung,Choi, Byung-Ju,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31 No.2

        Dysplasia-associated seizure disorders are markedly resistant to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tudying th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AEDs) on seizure activity in a rat model of dysplasia. We have used rats exposed to methylazoxymethanol acetate(MAM) in utero, an animal model featuring nodular heterotopi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Ds in the dysplastic brain. Pilocarpine was used to induce acute seizure in MAM-exposed and age-matched vehicle-injucted control animals. Field potential recordings were used to monitor amplitude and numbers population spikes, and paired pulse inhibi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of commissural pathway. Two commonly used AEDs were tested: diazepam 5, 2.5mg/kg;phenytoin 40, 60mg/kg. Diazepam(DZP) and phenytoin(PHT) reduced the amplitude of population spike in control and MAM-exposed rats. However, the amplitude of population spike was nearly eliminated in control rats as compared to the MAM-exposed rats. Pharmaco-resistance was tested by measuring seizure latencies in awake rats after pilocarpine administration(320mg/kg, i.p.) with and without pretreatment with AEDs. Pre-treatment with PHT 60 mg prolonged seizure latency in control rats, but not in MAM-exposed animal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acute seizures initiated in MAM-exposed rats are relatively resistant to standard AEDs assessed in vivo. These data suggest that animal model with cortical dysplasia can be used to screen the effects of potential AEDs.

      • 석청(Mad-honey) 복용 후 유발된 부정맥 1예

        김용철,김남호,김승환,최준호,박은미,이상재,이은미,유남진,윤경호,오석규,정진원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석청에 포함된 grayanotoxin에 의해 독성 작용이 나올 수 있으며, 이러한 독성 작용은 일반적으로 24시간 이내 저절로 회복된다. 최근에 본 저자들은 석청 복용 후 발생한 심실빈맥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49세 남자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으며, 내원당시 분당 40회 정도의 동성 서맥이 관찰되었고, 수액을 투여하던 중 심실 빈맥이 발생하였다. 항부정맥제를 투여 후 정상 동율동으로 전환되었으며, 특별한 이상 없이 4일 후 퇴원하였다. Mad-honey intoxication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honey producted from the nectar of rhododendrons. The grayanotoxins cause the intoxication. The toxic effects of mad-honey poisoning are rarely fatal and generally last for no more than 24 hours. We experienced one case, a 49 years-old man who presented with dyspnea after ingestion of mad-honey. He showed marked sinus bradycardia with < 40 beats per minute on admission. The cardiac rhythm was changed to ventricular tachycardia immediately. These features resolved completely in 24 hours with continuous infusion of amiodarone(600 mg per day) and fluids. We report the case of intoxication of mad-honey as a presentation of fatal cardiac arrhythmia.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복식 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김종혁,이상수,김천복,김대연,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적 지표 및 재발률에 대하여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저자들은 임상적 병기 I기인 79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골반 및 부대동맥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총 79명의 환자 중, 수술적 병기 I기와 II기로 판명된 74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동안에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복강경 수술군과 병기가 같은 168예를 선정하였다. 결과 : 평균 수술 기간, 수혈량은 양군에서 비슷하였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전후 및 만성 합병증의 발생은 개복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획득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복강경 수술군에서 1예, 개복 수술군에서는 2예에서 재발하였고, 2년 무병 생존률은 복강경 수술군과 개복 수술군에서 각각 97.5%와 98.6%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술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 방법이다. 개복 수술과 비교해 볼 때, 재발 및 생존율 면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향후 전향적이고 더 오랜 추적기간을 갖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o compare surgical parameters and recurrence rate of these with those of 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November 2003, we have performed 79 cases of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lymph node dissection. Laparoscopic approach was adapted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by imaging study. Of the 79 patients, 74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surgical stage I and II were enroll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168 cases for the laparotomy group of the same stages.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nd hemoglobin chamges were similar in both the laparoscory and the convertional alparotomy group.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treated by laparoscopic surgery (10.2 vs. 15.5 days). The number of lymph node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Two 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97.5% in laparoscopy group and 98.6% in laparotomy group (p=0.763). Conclusion :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is safe and effective altematives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long term risk for recurrence and survival has yet to be defined.

      • KCI등재

        일렬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뇌 톡소포자충증 1례

        김계형,송경호,전재현,박완범,박상원,김홍빈,김남중,김인호,오명돈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3

        Toxoplasmosis is a rare but fatal complication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usually associated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We report a case of cerebral toxoplasmosis in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following tandem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 55-year-old Korean male presented with weakness in both legs that had progressed to both arms.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of the brain revealed multiple, variablesized ring-enhancing lesions with surrounding edema in the cerebral hemispheres and brain stem. Stereotactic biopsy revealed bradyzoites of Toxoplasma gondii in the brain tissue. The patient receive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followed by pyrimethamine and sulfadiazine, accompanying treatment for progressive multiple myeloma. Cerebral toxoplasmosi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differential diagnoses in patients with neurologic signs following autologous HS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