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초파리집단의 선택불리에 관한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의 영향

        박은규,정승문,김중현,최오목 圓光大學校 1995 論文集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선유도의 자연집단 야생형 초파리와 가시돌연변이형 황색체-소시 초파리를 Helmholtz coils 장치를 이용해서 유도한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내의 집단과 비교 집단인 지구 자기장내의 집단에서 발생율 변동과 성적 선택빈도를 조사하여, 선택불리에 관한 유전적 행동을 관찰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야생형 유전자(+)를 운반하는 염색체의 선택빈도는 15세대까지 평균 빈도가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 지구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이 각각 0.6489, 0.6553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초파리 집단에서 더 강한 선택불리 행동을 보여 주었다. 2.초파리 집단의 발생율 변동은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 3세대(13.60%), 지구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 6세대(22.35%), 8세대(22.30%)에서 아주 낮은 발생율의 변동을 보여주었으며, 2개의 상이한 자기장내 초파리 집단의 전체 평균 발생율은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 지구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각각 58.07%, 41.93%로 관찰되었으며, 후자보다 전자에서 발생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3.돌연변이형 황색체-소시 유전자(ym)를 운반한 염색체의 선택빈도는 각각의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0.0542, 0.0646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0.0542로 상대적으로 강하게 선택불리 행동을 보여 주었다. 4.돌연변이형 황색체 유전자(y)를 운반한 염색체의 선택빈도는 각각의 초파리 집단에서 0.0185, 0.0144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비교 집단인 지구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0.0144로 더 강한 선택불리 행동을 보여 주었다. 5.돌연변이형 소시 유전자(m)을 운반한 염색체의 선택빈도는 각각의 조절된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0.0328, 0.0190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도 지구 자기장내의 초파리 집단에서 0.0190으로 상대적인 강한 선택불리 행동을 보여 주었다. 6.수컷이 가지고 있는 Y-염색체의 선택빈도는 각각의 초파리 집단에서 0.2457, 0.2467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지구 자기장의 5배인 초파리 집단에서 0.2457로 더 높은 선택불리 행동을 보여 주었다. 7.Duncan's multiple range test의 LSD값으로 유의 차이 유무 검정을 하였던 바 야생형 유전자의 A 그룹과 돌연변이형 유전자들의 B 그룹사이에서 고도의 유의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To elucidate the genetic behavior of selective disadvantage among visible mutants of Drosophila melanogaster bred and kept by the genetic study laboratory room. Wonkwang University and the wild type collected at Sunyoudo island in Korea, and reared under the influence of two different strength of magnetic fields, i.e. the quintuple and the ambient magnetic fie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above indicated laboratory room. 1.The mean selective frequencies of wild gene(+)-carry chromosome up to 15th generation, affected by two different magnetic fields, showed 0.6489 and 0.6553 with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s mentioned order before. The data explains that the popula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reared in the quintuple magnetic field showed higher selective disadvantage. 2.The variations of emergence rates of the popul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altering by generation showed the drastic lowest values at the specified generation, for example, 13.60% under the quintuple magnetic field at the third generation and 22.35% and 22.30% under the ambient magnetic field at the 6th and 8th generation. The over-all mean emergence rates of the popul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reared in controlled magnetic fields, i.e. the quintuple and the ambient magnetic fields using Helmholtz coils, showed 58.07% and 41.93% respectively. Referring to these data, the population of flies raised in the quintuple magnetic field showed a relatively higher emergence rate than the ambient magnetic field. 3.The mean selective frequencies of the individual of ym gene-bearing chromosomes showed 0.0542 and 0.0646 by the same order of magnetic field strength indicated above. It was shown that the population of flies reared in the quintuple strength generated by Helmholtz coils cleared the relatively strong selective disadvantage being 0.0542. 4.The mean selective frequencies of the mutant that carries y gene-bearing chromosome showed 0.0185 and 0.0144 from the two different magnetic fields in the same magnetic ord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pulation of flies from the ambient magnetic field showed higher selective disadvantage frequency, 0.0144. 5.The mean selective frequencies for the mutant carrying m gene-bearing chromosome were calculated as to be 0.0328 and 0.0190 for the same order of magnetic field strength. The found from this results is that the selective disadvantage behavior for the mutant rearing m gene chromosome in the ambient magnetic field was stronger than the one, being 0.0190. 6.The mean selective frequencies of the male flies which carries Y-chromosome showed 0.2457 and 0.2467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le flies from the quintuple magnetic field showed higher selective disadvantage being 0.2457. 7.Throug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LSD value, th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group of the wild type and B group of the other three mutants were calculated.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김용훈,권현철,김필호,안석진,유철웅,최진호,이상철,김준수,김덕경,전은석,이상훈,홍경표,박정의,서정돈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5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 Successful Intubation using Angulated Video Laryngoscopy and a Back-up Head-elevated Position in a Patient with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A Case Report

        ( Eun Hee Chun ),( Mi Hwa Chung ),( Eun Mi Choi ),( Jung Eun Kim ),( In-jung Jun ),( Jong Hee Park ),( Joon-sang Hyeon ),( Joo Hyun Jun )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2020 慶熙醫學 Vol.35 No.1

        Ligamentous ossification of the anterolateral spine is characteristic of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i.e., ankylosing hyperostosis or Forestier’s disease). Cervical spine involvement can make airway management difficult during intubatio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impossible intubation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large anterior cervical osteophytes presented for removal of the osteophytes. Preoperative diagnostic imaging revealed a larynx anteriorly displaced by osteophytes. The osteophytes were on the anterior surfaces of the third to seventh cervical vertebrae. Successful intubation was performed using an angulated curved video laryngoscope and a back-up head-elevated position (BUHE). The angulated curved video laryngoscope and BUHE position provided a good laryngeal view in a patient with DISH who had a larynx with osteophyte-associated anterior displacement. We suggest that these methods are an alternative for anesthesiologists during airwa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ifficult intub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