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children’s health

        황상현,Jong Hee Hwang,문진수,이도훈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5 No.2

        Passive exposure to tobacco smoke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children. Children, in particular, seem to be the most susceptible population to the harmful effect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Paternal smoking inside the home leads to significant maternal and fetal exposure to ETS and may subsequently affect fetal health. ETS has been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on pediatric health, including preterm bir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perinatal mortality, respiratory illness, neurobehavioral problems, and decreased performance in school. A valid estimation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tobacco exposure depends on accurate measurement. Nicotine and its major metabolite, cotinine, are commonly used as smoking biomarkers, and their levels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biological specimens such as blood, saliva, and urine. Recently, hair analysis was found to be a convenient, noninvasive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nicotine exposure. Because nicotine/cotinine accumulates in hair during hair growth, it is a unique measure of longterm,cumulative exposure to tobacco smoke. Although smoking ban policies result in considerable reductions in ETS exposure, children are still exposed significantly to tobacco smoke not only in their homes but also in schools, restaurants, child-care settings, cars, buses, and other public places. Therefore, more effective strategies and public policies to protect preschool children from ETS should be consolidated.

      • 전방시현기 및 다기능시현기 구동을 위한 그래픽 영상생성기 설계 연구

        황상현,이재억,박덕배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5 No.2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technology of a Graphic Generator which drives the embedded aircraft display equipments such as HUD(Head-Up Display) and MFD (Multi-Function Display) those provide pilot with the most important mission information. The main issue of this design is how we can implement the real-time embedded graphic generator using a general purpose processor as a substitute for the obsolete the production of specific graphic processor in the military market. So we proposed two kinds of method that one is a software solution so called graphic kernel system, interpreting the display file, controlling the graphic system and pre-processing graphic primitives, the other is a hardware solution so called graphic engine, interpreting passed commands through the graphic kernel system, post-processing the looping calculation taking much of time as implemented by software. We have tested and verified the functionalities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of Graphic Generator.

      • KCI등재

        지체장애인 가족 스키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황상현,노형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unning the adaptive ski program (ASP)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participants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APAI). To reach this end,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ction research solving the problems in society with practice. The project team was organized for action research with undergraduate, graduate students and instructors at K university interested in ASP and developed ASP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5 families, a total of 2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groups; 1. adaptive ski experts, 2. family participants, and 3. APAI. And, various materials were collected produced at all stages of action (including program documents, researcher field notes, videos, and photo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categorized to find core word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this action research was going into four steps such as program element exploration, program planning,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valuation. Second, the finding of the experiences of the families with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ing ASP could be summarized as "I can do as much as I have done!”, "Complexity of disability” and “Beyond disability right to family leisure”. Third, the interviews of APAI depict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as “Knowing through practice”, “Practice of humanistic sports education” and “Growing instructor”. In the conclusion, attending skiing activities gave each family possibility for semantic change. The meaning of ASP was depicted as uncanniness but that was the moment to find the alternative meanings of disability and family which were fixed images before. So, feeling uncanniness through sports is one of the mechanisms for cracking dominant discourse. Outdoor sports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would be activated as a practice of human right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essional institution.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 가족 스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탐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인 가족과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경험이 갖는 체험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 내 존재하는 문제를 실천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K 대학의 장애인레저스포츠 운영진, 장애인레저스포츠에 관심 있는 K 대학의 학부, 대학원 재학생과 실행연구를 위한 프로젝트팀을 구성하여 5가족 총 20명의 지체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장애인스키 전문가 집단, 참여 가족 집단, 장애인스포츠지도자 집단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행의 단계에서 작성된 각종 문서(운영진 협의회 문서, 현장 지도자 협의회 녹음자료, 지도자 성찰일지, 연구자 필드 노트,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자료 포함 등)를 수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문제별로 도출된 의미단위는 연구문제 1은 30개, 연구문제 2는 26개, 연구문제 3은 20개였다. 도출된 의미단위를 범주화, 재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과 1의 핵심주제어는 ‘어제보다 새롭게: 프로그램 실행 요소 탐색’, ‘감동을 위한 준비: 프로그램 계획’, ‘함께 만들어가는 실천: 프로그램 실행’, ‘성장과 배움의 장: 프로그램 평가’, 결과 2의 핵심주제어는 ‘해본 만큼 할 수 있다!’, ‘드러나는 장애의 복합성’, ‘공감을 넘어 여가 권리로’, 결과 3의 핵심주제어는 ‘실천에 내재된 앎’, ‘인본주의 스포츠 교육의 실천’, ‘좋은 지도자로 거듭나기’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는 장애를 상호호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장애인(레저)스포츠를 실행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레저스포츠 종목과 가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정규적이고 안정적인 장애인레저스포츠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장애인레저스포츠 운영 주체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체육 분야에서 다양한 범위와 형태의 실행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HLA-A, -B, -C 대립유전자와 일배체형 분포

        황상현,오흥범,양진혁,권오중,신은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4 No.6

        Background : The HLA system is known to be the most polymorphic gene cluster in the human genome. HLA allele and haplotype distribution varies widely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requency of HLA class I alleles and haplotypes in 309 healthy Koreans. Methods : We typed HLA-A, -B, and -C genes at the allelic level in 109 unrelated Korean individuals using a sequence-based typing. With the additional data of 200 healthy Koreans from dbMHC (http://www.ncbi.nlm.nih.gov/mhc/), allele and haplotype frequencies we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Serological typing results of 49 individual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highly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22 HLA-A, 41 HLA-B, and 21 HLA-C alleles were found in this study. Alleles showing frequencies of more than 10% in each HLA locus were A*2402 (22.5%), A*0201 (15.7%), A*3303 (14.4%), A*1101 (11.0%), B*5101 (12.1%), Cw*0102 (18.8%), and Cw*1402 (10.2%). The most common A-B-C haplotypes at a frequency of more than 3% were A*3303-B*5801-Cw*0302 (5.2%), A*2402-B*5101-Cw*1402 (4.5%), A*1101-B*1501-Cw*0401 (4.3%), A*3303-B*4403-Cw*1403 (4.0%), A*3001-B*1302-Cw*0602 (3.7%), and A*0207-B*4601-Cw*0102 (3.2%). Misassignment of HLA-C antigen by serotyping was detected in 11 (22.4%) of 49 individuals. Conclusions : Our results will be useful as a basic data for studies on anthropology, disease association, an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Misidentification of HLA-C by serotyping is so high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perform a DNA typing especially in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Korean J Lab Med 2004; 24: 396-404) 배경 : HLA 유전자는 인간 게놈 유전자 중에서 다형성이 가장심한 유전자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종족에 따라 그 유전자빈도가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309명의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HLA-A, -B, -C의 대립유전자 빈도 및 일배체형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 109명의 정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직접염기서열분석법으로 HLA-A, -B, -C의 대립유전자를 결정하였으며 dbMHC (http://www.ncbi.nlm.nih.gov/mhc/)에 공개된 200명의 정상 한국인자료를 이용하여 총 309명에서 HLA 대립유전자 빈도 및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였다. 혈청학적 검사가 이루어졌던 49명에 대해 항원동정 오류를 분석하였다.결과 : 본 연구에서 HLA-A 대립유전자는 2종, HLA-B는41종, HLA-C는 21종을 확인하였다. 10% 이상의 높은 빈도를 보이는 대립유전자는 A*2402 (22.5%), A *0201 (15.7%), A *3303(14.4%), A *1101 (11.0%), B *5101 (12.1%), Cw *0102 (18.8%),Cw*1402 (10.2%) 등 모두 7 종이었고, 3% 이상의 높은 빈도를보이는 A-B-C 일배체형은 A *3303-B*5801-Cw*0302 (5.2%),A*2402-B*5101-Cw*1402 (4.5%), A *1101-B*1501-Cw*0401(4.3%), A *3303-B*4403-Cw*1403 (4.0%), A *3001-B*1302-Cw*0602 (3.7%), A *0207-B*4601-Cw*0102 (3.2%) 등 6종이었다. 혈청학적 검사가 이루어졌던 49명 중 1명 (22.4%)에서는HLA-C에서 혈청학적 항원 동정이 잘못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로 얻어진 대립유전자 및 일배체형 빈도는 인류학적 연구와 골수이식 및 질환연관성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청학적 HLA-Cw 항원동정에서 오류가 많이 관찰된 점을 고려할 때 비혈연 골수 이식에서는 DNA 검사를 통해 항원을 정확히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KCI등재

        하중조건과 콜드조인트를 고려한 GGBFS 콘크리트의 탄산화 거동

        황상현,윤용식,권성준 한국콘크리트학회 2019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콜드조인트를 가진 OPC 및 GGBFS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 및 인장하중을 고려하여 탄산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건전부 및 콜드조인트의 하중을 재하하지 않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압축재하영역 30 %에서는 공극압밀로 인해 탄산화 속도계수가 -12.0~-4.7 %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콜드조인트를 가진 GGBFS 콘크리트와 OPC 콘크리트 모두 하중 영향에 대해서는 탄산화 속도계수가 -1.7~5.8 %의 증감률을 나타내어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건전부에 비하여 탄산화 속도계수는 9.7~53.3 % 수준으로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콜드조인트부에서는 탄산화 침투가 가속화되므로 응력이 집중되는 콜드조인트부의 내구성 설계에서는 콜드조인트 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KCI등재

        법인세의 기업고용효과분석 – 한계실효세율을 중심으로

        황상현,설윤,이선화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2

        In view of management of a firm, a firm employment is an independent decision by firm managements. The firm employment owns the property of independent to explain other variables, while firm employment has the dependent property which is explained by other independent variables. In Business, recently an interest on firm employment is recently extended to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and financial variables which explains firm employment as major variables from the effect of technical innovations or R&D. However, corporate tax burden as other factors to explain firm employment is not much considered as research subject. Under this background, our interest is to exte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nd firm employment. Compared to existing studies, our paper is the first analysis using marginal tax rate for analysis and marginal tax rate is defined as the tax rate of return occurred from additional one unit of investment. In economics and business, marginal tax rate as well as average tax rate are important concept for financial decision maker and business manager. Using Korean firm-level data from 1986 to 2012,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corporate tax burden on firms’ employment. We first estimate an average and marginal effective tax rate and, then construct an dynamic employment model which is present in form of an persistence of labor panel regression model. To solve the problem of endogeneity, we utilize the first-difference GMM and empirical results are compared to the first-step and the second-step estimation. This econometric approach allows us to provide more precise estimates for better understanding what the effect of firm tax burden on firm employment under dynamic panel setting.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view of using a marginal effective tax rate. We compare results for average tax rate and marginal rax rate under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the various estimation results, we find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tax burden on employment for both tax rates. Thus, when tax rate increases, then firm employment decreases and results hold when firms face different tax burdens. This implies the decision for firm employment by manager of firm is affected by the government policy for corporate tax. For comparison between Large and S&M enterprise, the effect on employment is significant negative for the Large firms but is not significant for the S&M enterprise. For results for average effective rate, we find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on employment for only the Large firms using the first-step GMM and second-step GMM and also these results are the same for marginal effective tax rate. We explain that positive effect for employment is from larger scale effect rather than substitute effect occurring when corporate tax burden exists. These results are robust for both the first-step and the second-step GMM using an average and marginal effective tax rate. Government would anticipate effective policy effect for the Large enterprise rather than the S&M enterprise when they implement the corporate tax policy. 경영분야에서 기업고용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에 대한 관심은 주로 기술혁신이나 연구개발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거나 제품이나 공정혁신, 최근에는 재무관련 변수의 역할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법인세가 고용에 어떻게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1986~2012년 동안 기업수준(firm-level)에서 우리나라의 기업별 평균실효세율과 한계실효세율의 법인세와 고용의 동태적모형을 구성하고 이러한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계 차분 일반화된 적률법(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평균유효세율과 한계유효세율 모두 기업의 고용에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정부의 법인세 정책에 따라 기업의 고용에 대한 의사결정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체표본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분할하여 분석한 결과 둘 다 음(-)의 값으로 추정되었으나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법인세 효과는 대기업 그룹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고용이 증가하는 대체효과보다 규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기업의 특성과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부가 법인세 인하로 인한 고용효과를 기대하는 경우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의 고용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운동프로그램(MATP) 참가자들의 경험 연구

        황상현,노형규,한범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severe profound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articipants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Motor Activity Training Program(MATP).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the MATP in M-gu, S-si, which was running by the instructors of the MATP coaching course hosted by the 2019 Special Olympics Korea. In addition, 6 people with severe profound and multiple disability, 3 coaches, 5 carers and 6 volunte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rom August to November 2019, the researchers recorded videos and written notes on the MATP of 13 times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9 and February 2020 with MATP participants, consisting of coaches, carers and volunteers. All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used as in-depth qualitative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ontent analys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 meeting of researchers consisting of 1 professor of APA and 2 doctoral students of APA were held for trustworthiness of research. By comparing the collected data with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duced 181 meaning units, and repeated reading of the content resulted in 6 sub-categories, 2 main categories, 'Possibility : Yes, we can!' and 'Solidarity : Making Together'. All participants in the MATP had moved away from their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and linked to the converted perception of equality and close friends. This perception was ultimately intended for social integration, and since all participants had recognized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in their own lives. In conclusion, the MATP provided sports experiences that could be shared by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could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if they provide experiences that all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y could be shared.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운동프로그램(MATP)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중증장애인과 참가자들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9스페셜올림픽코리아 주관 MATP지도자강습회 지도강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S시 M구의 중증장애인 운동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선택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는 MATP에 참가한 중증장애인 6명과 참가구성원인 코치, 보호자, 자원봉사자 1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2019년 8월부터 11월까지 총 13회기의 MATP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영상촬영, 필기노트를 작성하였다. 코치, 보호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참가구성원과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한글 파일로 모두 전사하였으며 심층 질적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특수체육 전공 교수 1인, 특수체육 전공 박사과정 2인으로 구성된 연구진 회의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연구의 목적과 비교하여 총 181개의 의미단위를 산출하였고, 의미단위의 반복 숙독을 통해 6개의 하위 범주어, 2개의 상위 범주어인 ‘가능함 : 할 수 있는 우리’와 ‘같이함 : 함께 만들어가는 우리’를 도출하였다. MATP의 모든 참여자는 장애와 비장애가 아닌 사람과 사람, 즉 친구라는 전환된 인식의 고리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지향(intention)하고 있으며 MATP 참여 이후 참가구성원 모두는 각자의 삶에서 사회통합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MATP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유할 수 있는 스포츠 경험을 제공하였고, 이는 특수체육 프로그램이 규모에 제한 없이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면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황상현,노형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장애인 가족의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이 가진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van Manen(1997)이 해석학적 현상학에서 제안한 네가지 실존체(신체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분석적 틀로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다섯 가족, 총 16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이 제안한 4가지 실존체인 신체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토대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신체성은 ‘깨어남’과 ‘인정’, 관계성은 ‘보임’과 ‘동등’, 공간성은 ‘자유’과 ‘추억’, 시간성은 ‘몰입’과 ‘성찰’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장애인 가족 구성원은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을 통해 완결적으로 닫힌 모습이 아닌 가능성의 시간 속에서 삶을 만들어가는 존재자의 실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상 레저스포츠와 같이 ‘일상적이지 않은 신체활동’에 참여하면서 가족 구성원은 수평적인 소통을 경험하는 동시 가능성을 찾아내고 실현하는 시선에서 가족의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family water sport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W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van Manen (1997) presented, the four existentials (corporeality, relationality, spatiality, temporality) provided a basis for analysis and discussion. Participants were from five families, totaling 16 members with each family including IWD.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ssociating with the four existentials of their lifeworld and depicted the lived experience of family water sport: (corporeality) awakened, recognized; (relationality) visibility, horizontality; (spatiality) freedom, remembrance; (temporality) immersiveness, reflexivity. These findings led to discussing the meaning of family water sports from bodily communication and bodily deviation. Both of these aspects were combined with temporality to recreate human existence. Participant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alternative interactions during the family water sports program, and they also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family from a perspective of possibility.

      • KCI등재

        법인세의 기업투자 효과 분석: 한계 및 실효세율 중심으로

        황상현,설윤 한국재정정책학회 2022 財政政策論集 Vol.24 No.1

        Using Korean firm-level data from 1986 to 2012,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corporate tax burden on firms’ investment and gives policy implications. We estimate an average and marginal effective tax rate and, then, construct an investment model based on Tobin’s Q which is present in form of an unbalanced dynamic panel regression model. Our empirical results are compared to the first-step and the second-step estimation across these two estimation methods.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view of using a marginal effective tax rate. For the various estimation results, we confirm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and for more concretely if the average or the marginal effective tax rate increases by 1%p., then the ratio of investment to total asset decreases by 1.3%p. for the average effective tax rate and 2.7%p. for the marginal effective tax rate. For comparison between Large and S&M enterprise, the effects of corporate tax burden on investment are presented for both.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1986∼2012년 기업별 법인세 부담을 평균실효세율과한계실효세율로 추정한 후, 동태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법인세 부담이 기업들의 투자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평균실효세율을 이용한 세부담은 다양한 추정방법에서 평균실효세율의 1%p. 증가는 기업의 총자산대비투자를 약 1.3%p. 감소시키고, 한계실효세율의 경우 총자산대비투자를 2.7%p.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어 세부담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분할하여 살펴본 실증분석 결과에서 평균실효세율을 이용한 세부담의 투자효과는 대기업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실효세율로 측정된 세부담은 대기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한계실효세율의 투자 감소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비과세⋅감면 축소 등을 통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 대한 법인세 부담을 증가시키는 법인세 정책 방향은 좀 더 재고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