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KCI등재

        치매환자 조호자를 위한 교육지지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비교연구

        송 흡(Heup Song),강재명(Jae Myeong Kang),김병규(Steven B. Kim),조성진(Seong Jin Cho),윤선경(Seon kyung Yun),윤혜진(Hye jin Yoon),연병길(Byeong Kil Yeo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7 노인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We studied the effect of Hyu-Sig-Gong-Gan and Hye-Ah-Rim on several evaluations and compared the two programs. We then investig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ratings. Methods:Thirty-six patients were randomized to Hyu-Sig-Gong-Gan (n=23) or Hye-Ah-Rim (n=13). We tested for the effect of each program on several evaluations and compared the two programs through Zarit Burden Interview (ZB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Dementia Attitude Scale (DAS)-intelligence, DAS-comfort and DAS-total. We then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rating depends on other factors. Results:We observ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Hyu-Sig-Gong-Gan on DAS-comfort (t=1.843, p=0.039)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Hye-Ah-Rim on ZBI (t=-2.327, p=0.019), DAS-comfort (t=2.241, p=0.022), and EuroQol-5 Dimensions-Visual Analogue Scale (t=2.537, p=0.013). For comparing the two programs, we found a lack of evidence for the difference in any of the five commonly observed evaluations. In the secondary analysis, we observed a strong trend that the two program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for caregivers with negative pre-ratings. Conclusion:The two program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various evaluations, but some evaluations coul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rograms appear to be particularly helpful for those who are in need before the program participation.

      • Sulfadimethoxine 투여에 의해 유발된 갑상선 증식성 병변에 나타난 피막 섬유화의 병리학적 특성

        김혜성,손화영,조성환,최종윤,윤원기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의과학연구소 2001 動物醫科學硏究誌 Vol.9 No.-

        Sulfadimethoxine (SM) is one of the anti-thyroid (goitrogenic) agents and has a thyroid tumor promoting eff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athology of SM induced thyroid proliferative lesions to see if these lesions showed any distinctive features. Five-week-old male F344 rats were given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N-bis(2-hydroxypropyl)nitrosamine (DHPN: 2800㎎/㎏, body weight). Starting one week thereafter, SM (1000 ppm in drinking water) was administered for 12 weeks. All animals were autopsied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the thyroids was perfomed. Thyroid follicular proliferative lesions were induced in all rats treated with SM.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thick perithyroidal fibrous capsule and pleomorphic follicles within the capsule were observed. These pleomorphic follicles showed invasive figure in some area, especially around follicular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This confuses adenoma with adenocarcinoma. However, pleomorphic follicles were also observed in the area without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Therefore, we suggest that it should be careful to diagnose adenoma and adenocarcinoma in the presence of the invasive lesions in surrounding fibrous tissue, especially SM induced thyroid lesion.

      • 거대 점오염원이 주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유근,이화운,전병일,장은숙,홍정혜,문윤섭,원경미,송정희 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6 環境硏究報 Vol.14 No.1

        In order to show the effect of a vast point pollutant source on air quality of Pusan Thermoeletric Power Plant and its surrounding area, air quality around Pusan Thermoeletric Power Plant was simulated by ISCLT-2 which was supplied by EPA. For this purpose the emission amount of SO_2, NO_2 and TSP was calculated and atmospheric stability was classified for a recent decade(1985~1994) in Pusan. A result of the emission amount showed that much amount of NO_2, NO_2 and TSP are emitted from industrial area. It was clear that NO_2 is much emitted from line source and industrial area. An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atmospheric stability, neutral, stable and unstable state were 58%, 24.1% and 17.9%, respectivly. The result of ai quality simulation by ISCLT-2 showed that Pusan Thermoeletric Power Plant is affecting on the increse of 2.0ppb, 3.0ppb and 5.0㎍/㎥, SO_2, NO_2, and TSP respectively at its surrounding area, site A-3 which was located westward 2.2㎞ distance from Plant

      • 정서유발단어에 대한 주의이동시 뇌신경망의 활성 양상

        김연희,장은혜,고명환,신승훈,양경혜,손진훈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fMRI를 사용하여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주의이동과 관련한 뇌신경망을 규명하기 위하여 12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fMRI 실험을 위한 뇌활성화 과제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선정된 행복, 슬픔, 위협에 해당하는 각각 36개씩의 단어와 각 단어의 짝을 이루기 위한 중성단어를 이용하여 변형된 Posner 패러다임을 블록디자인으로 고안하였다. fMRI 영상은 1.5T Simens Vision scanne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single-shot EPI 기법으로(TR/TE:3840/40ms, flip angle: 90, FOV: 220, 64x64 matrix, Slice thickness: 6mm) 이미지를 얻었고 피험자의 반응시간을 기록하였다. 자료분석은 SPM-99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정서유발단어는 중성단어에 비하여 반응시간이 의미있게 빨라 효과적인 주의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서유발단어와 중성단어에 의한 뇌활성화 상태를 감산분석한 결과, 좌측 상두정엽, 양측 후두엽 및 소뇌에서 뇌활성화를 보였고, 이들 영역은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주의이동시 특징적으로 활성이 일어나는 뇌영역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여러 가지 정서가를 가진 단어에 의해 유발되는 주의의 정도가 특징적인 신경망의 활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neural network related to the shift of attention and its modulation by emotion-provoking words using functional MRI (fMRI). Twelve right-handed normal female volunteers participated in fMRI study. Their mean age was 24 years and the mean modified Edinburgh score was +90. Emotion-provoking words representing happy, sad, threatened, and neutral emotional valences respectively were chosen by the assessment of 60 normal volunteers using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Mannequin scales. The activation tasks were designed using modified Posner's paradigm to have 4 blocks of each emotional and control periods, Imaging was conducted on a 1.5T Siemens Vision scanner. Single-shot echoplanar images (TR/TE = 3840/40 ms, flip angle = 90, FOV = 220, matrix = 62 ? 64, slice thickness = 6㎜) were acquired in 20 contiguous slices parallel to the AC_PC line as well as conventional T1-weighted images. Response times were obtained during the scanning, Imaging data were realigned, coregistered, normalized, smooth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in group using SPM-99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valence of word stimuli produced the effect of attentional engagement. The left superior parietal, inferior frontal, bilateral occipital lobes and cerebellum were main area of modulation of attentional network by emotional words stimuli. The different extent of brain activation induced by different emotion-provoking words were determined.

      • 일부 운수사업장 근로자의 건강진단 유소견자의 사후관리 실행과 관련요인

        윤혜은,박종,이영선,강성득,김철호 조선대학교 200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8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up management status for medical problem to be treated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some workers at transportation busines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ward 183 workers with medical problem(C and D2) among 945 examine in 1997. Results: Sixty four point five percent of surveyee received the examination result report and 40.5% were explained about the result 80.3% of surveyee answered that they knew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 Most workers felt the necessity of the health examination, but 54.1% were dissatisfied with present health examination system and 66.7% pointed it out as nominal The rate of follow-up management for the medical problem was 62.8%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follow-up management rate for those who knew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were 2.98 times higher than those who didn't know the result (OR=2.98, 95% CI 1.41~6.29) The rate for those who perceived the medical problem already were 2.64 times higher than those who perceived the problem for the first time (OR=2.64, 95% CI 1.13~6.15). The rate for those who had subjective symptoms were 2.83 times higher than those who didn't have subjective symptoms. Conclusion : sixty two point eight percent of workers with medical problem performed the follow-up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health examination result, perception of the problem in the past and experience of subjective symptoms were related with the follow-up management.

      • 식품 기준·규격의 합리적 관리 ·운영에 관한 연구(Ⅰ) : 두부,식용유지, 전분의 분말상 원료에 관하여 Powdered marerials of Tofu, Edible oil, Starch

        김희연,홍진환,박혜경,한상배,박종석,이은주,이정성,송경희,최은희,최영준,소경아,성영제,이주엽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본 연구는 분말상 원료(전분, 대두분)의 저장유통시 품질변화를 건전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검토하여 식품의 기준 ·규격 설정f.」 합지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전분과 패두분의 이물을 검사하고, 2종 대두분(중국산, 미국산)을 ?0일간 IS'c와 30t에 저장하면서 성상, 수분, 산가, 과산화물가, 지방산 조성,아플라톡신 BB의 생성여부를 분석하였다. 중국산 대두분 30'』 저장군에서 50일 이후 곰팡이가 발생한 것 이외에 모든 시료에서 양호한 성상을 나타내었고, 전분과 대두닥 모든 시료에서 이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산가는 중국산과 미국산 시료간에 편차를 보여 증국산 30"C, 50일 저장시료에서 약 10배끙도 증가하였고, 과산화물가는 저장 90일후 15'E 저장군은 약 2.3배, 30'c 저장군은 3배정도 증가하였다. 대두분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f18. 2), oleic acid(18 : 1), palmitic acid(16 : 0)이었으며, 3개월 저장에 따른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아플라톡신 B₁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uality changes of type raw materials(starch, soy flour) during various storage conditions. Starchflour(source of China, U.S.A) were slfred under two temperature(15'C, 30'c) forSensory evaluation, (o.reign material test, moisture content, acid value, peroxide ualue,composition, aflatorin Bi were analyzed. China soy flour(stor·ed 30'f) was contaminated by fungj on 50 days. Except for soy flour contardnated by fungi,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not changed and foreign mater;als were notdetected. Acid value of China soy flour(stored at 30'C, 90 days) was about 10 times higherlevel before storage and acid value was more influenced by source(China, USA). Peroxide valuewas in proportion with the storage period slightly. The major fatty acid of soy flour waslinoleic acid(18 . 2), an(3 the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observed. Aflatoxlrl Blwas not detected.

      • 운동선수들의 운동형태에 따른 체력 연구

        김의철,임달식,정혜윤 朝鮮大學校 스포츠科學硏究所 2007 스포츠科學硏究 Vol.18 No.-

        This research chooses 5 elite weight lifter and 5 Taekwondo player exercise type different investigate health connection physical strength over 3th and analyzed data. Data processing used t-test taking advantage of SPSS 12.0 figures program and main figure techniques rain parameter figure law doing application result following conclusion get. 1. Was construed that weight lifters are difference that is attentive being higher than Taekwondo player weight lifting and Taekwondo player's body special quality comparison. 2. Showed laziness or difference by thing that weight lifters are tall in weight lifter and Taekwondo player's cycle and comparative analysis result maximum blood pressure of heart exhaust ability and minimum blood pressure in weight lifting and Taekwondo player's cycle and heart exhaust ability special quality comparison. There is no difference in heart beat, capacity of the lung, standard capacity of the lung, %Capacity of the lung. 3. According to weight lifter's age change state of physical strength as result that analyze comparison age high maximum oxygen intake amount, sit-up, getting down push-up, appeared by standing high, difference that die and appeared by thing that increase from one leg stand, and keep in mind from other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item is not. Appeared difference A that is not that keep in mind according to result that compare Taekwondo player's physical strength by rain parameter statistics. Therefore, can see that there is no special in difference physical strength in athletes. In this research is looked should be developed more various program for development that have at athlete type playing the first stones for 8 weeks station and Taekwondo training that influence in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body development know can but present correct measurement data because forward research develops various program with little more many number of persons and athletes'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bodily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