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保健所의 農村地域 訪問看護事業 評價

        강성득,김기순,박종 대한보건협회 1996 대한보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농촌지역주민에 대한 방문간호사업을 평가하고, 농촌지역 주민에게 맞는 보건간호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1995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일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주민 남자 3.231명, 여자 3,575명 중 방문간호대상자로. 남자 256명, 여자 311명 등 총 567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가정건강기록부와 가정간호관리기록부를 조사하여 기 실시하고 있는 방문간호사업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인구 6,806명 중 방문간호대상자는 567명(10.8%)으로서 남자는 256명(45,2%), 여자는 311명(54.8%)이었다. 2. 연령별로는 50대가161명(28.4%),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이 232명(40.9%),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408명(72.0%)으로 가장 많았다. 3. 가족형태로는 노인들만 사는 경우가 396명(69.8%), 화장실 형태는 재래식 화상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324명(57.1%), 음용수는 상수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364명(64.2%) 가장 많았다. 4. 질병별 분포는 고혈압, 당뇨, 관절염, 중풍, 심질환 순이었으며, 여성에서 그리고 나이가 증가할수록 질병의 유병율도 증가하였다 5. 5개 주요 질병의 주된 치료기관은 병의원과 보건소였으며, 주된 치료방법은 약물과 식이요법이었다. 6. 질병별 치료 권유기관은 고혈압과 관절염은 보건소를, 당뇨, 중풍, 심질환은 병의원이었으며, 질병에 따라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으로 구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농촌지역의 주민에 있어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방문간호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고혈압, 당뇨, 관절염, 중풍, 심질환 등이 관리를 필요로 하는 주요 질환이었고, 이들 질환자에 대한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지역사회 보건기관의 적절한 교육, 처치 등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evaluate visiting nursing care for rural population of a health cent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home nursing care, an analysis of family health records and visiting nursing care activity records for 567 patients who received home nursing care from March 1995 to February 1996 among 6,806 residents above 30 years old at rur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visiting nursing care during the study period was 567, which constitutes 10.8% of total 6,806 population. 2. The distribution by sex showed male 256 persons(45.2%) and female 311 persons(54.8%). Age distribution showed peak at 50-59 years old group as 161 persons(28.4%). The commonest educational level was primary school, (232 persons, 40.9%). While 84.4% for the male lived with their wife, 61.7% of the female lived with their husband and 37.3% lost their husbands. 3. The analysis of family environment of the patients showed that 69.8%(396 persons) had nucleus family and 89.6% had their own house. 42.9% used water flushed type of toilet while 57.1% used traditional type of toilet. 74.3% had piped drinking water and 25.7% used well of others as source of drinking water. 4. The commonest causal disease for home nursing care was hypertension, which was followed by diabetes mellitus, arthritis, stroke and heart disease in descending order of prevalence. The prevalence of the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and the prevalence increased as age got older. 5. Major sources of treatment of five major diseases were medical clinics and health center. Main methods of treatment were drug therapy and nutrition control. 6. Home care nurse recommended health center for hypertension and arthritis and medical clinic for diabetes mellitus. stroke and heart disease as major source of treatment. Home care nurse was performing health education including nutrition counselling, exercise, drug therapy and etc. by the kind of disease. In summary rural residents need more home nursing care as age gets older, especially for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rthritis, stroke and heart disease and the appropriat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and follow-up are required for the effective disease control.

      • KCI등재후보

        17~18世紀 承政院 注書職의 人事實態

        강성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This writing utilizes Juseojik DB that is constructed by date and examines 17~18th century Seungjeongwon(承政院) Juseojik(注書職)'s actual personnel management conditions. Seungjeongwon(承政院) Juseo(注書) is Chamhagwanjik(參下官職) of Jeong(正) 7 Pums(品), but it was government office recognized as Cheongjik(淸職) at that time. Had been taking responsibility that Seungjeongwon Juseo that establish status of government office through Jucheonje(注薦制)'s establishment was administered in grade of rank in Sang(上)(Ha(下))Juseo(注書) and Sang(上)(Ha(下))Gajuseo(假注書), Sabyeongajuseo(事變假注書)'s government office, and Sangjuseo(上注書) operates Juseojik whole as high position government official in Juseojik. Specially, Juseojik was Chulyuk(出六)'s step and was closely related to Hanrimjik(翰林職) for the nature of business. Some characteristic items were confirmed in 17~18th century Seungjeongwon Juseojik's personnel management observed through DB that is constructed on the assumption Juseojik operation aspect such as latitude. Firs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Juseojik personnel management, Gajuseo(假注書) had 5 times and Sabyeongajuseo had 2 times more personal management than Juseo. Based on this, we can find out that Gajuseo and Sabyeongajuseo personnel management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Juseo. In addition, the number of personnels in the office of Juseo was varied by Jikgwa.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number of Gajuseo than juseo tells us that Gajuseo connects with etc.. frequent government office transfer of juseo and Gajuseo's Juseojik evasion, Gajuseo's Chejik(遞職) usage as government official appointed specially when advise of Juseo. Also, when seeing in difference of holding office number of persons of juseo and Gajuseo, selection of juseo and an elevation were expected to be pedigree and partisan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Juseojik officer's incumbency was shorter than Chamhagwan government office regulation. The reasons were internal movement in Juseojik, transfer to the office related to Sagwan(史官) Chulyuk. Also, because of Juseojik job achievement, difficult point can see that brought tendency which neglects and evades duty. On the other hand, was showing result Seungmunwon(承文院) and Yemungwan(藝文館), Seonggyungwan(成均館), government officials from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etc., tendency which move to Juseojik that analyze Juseojik's previous government office(來職) and subsequent government office(去職) job for housewives and Geojik, and Juseojik Yeokimjas was confirmed example that move by Yemungwan's Hanim(翰林) and Sejasigangwon's Seolseojik(說書職) mainly. This is grasped in Juseojik's personality and that was involved of Sagwan business. Also, example that do Chulyuk among number of persons that flow Juseojik majority confirm. This point may be segment that can confirm phase of Seungjeongwon Juseojik's bureaucracy finally. 이 글은 일자별로 구축된 주서직 DB를 활용하여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승정원 주서는 정7품의 참하관직이지만 당대 청직으로 인식되었던 관직이었다. 주천제의 확립을 통해 관직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간 승정원 주서는 상(하)주서와 상(하)가주서, 사변가주서의 관직 내 위계속에서 운영되었으며, 상주서는 주서 내 상위 관원으로 주서직 전반을 운영하는 책임을 지고 있었다. 특히, 주서직은 출육의 계제가 되었으며, 업무의 성격 상 한림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위와 같은 주서직 운영양상을 전제로 구축된 DB를 통해 살펴 본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에서는 몇 가지 특징적인 사항이 확인되었다. 먼저 주서직 인사횟수는 가주서는 주서에 비해 5배 이상, 사변가주서는 주서에 비해 2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서에 비해 가주서, 사변가주서의 人事가 빈번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서직의 재직인원은 직과별로 차이가 두드러졌다. 주서 역임자에 비해 가주서 역임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것은, 가주서는 주서의 有故시 임시로 임명된 관원으로, 주서의 빈번한 관직이동과 가주서의 주서직 厭避, 가주서의 遞職 관례 등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주서와 가주서의 재직인원의 차이에서 볼 때 주서의 선발과 승진에는 가문과 당파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주서직 역임자의 재직기간은 참하관 관직 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우선 주서직 내 이동, 사관과 관련된 관직으로의 이동, 出六하는 경우 등이 빈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서직 직무 수행 상 난점이 직무를 소홀히 하고 기피하는 경향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주서직의 래직과 거직을 분석한 결과 승문원과 예문관, 성균관, 세자시강원 출신의 관원들이 주서직으로 이동하는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주서직 역임자들은 주로 예문관의 한림과 세자시강원의 설서직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는 주서직이 가지는 사관 업무의 성격과 연관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함께 주서직을 거쳐 간 인원들 중 출육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 점은 결국 승정원 주서직이 갖는 관료제 상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