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김용주(Kim Yong Jo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부과문제를 검토하였다. 우선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에 의한 특허침해의 경우에도 특허법상 금지권과 손해배상청구를 통해 특허권자가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을지 살펴본다. 다른 법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허법은 행위의 주체가 사람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법상 침해행위가 이루어짐을 가정한다고 하더라도 침해구제수단으로서의 가처분이나 손해배상책임을 직접적으로 인공지능 그 자체에 지우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책임을 인공지능 소유자에게 묻는 것 또한 입법적으로 완벽한 해답은 될 수 없다. 다음으로 민법상 제조물 책임과 하자담보 책임 성립이 가능할지 검토하였다. 우선 민법 750조상 불법행위 책임과 관련하여 인공지능은 현행 민법 제750조에서 논하는 ‘자’의 개념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고의 내지 과실 판단과 관련하여서도 인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을 살펴본다. 민법상 제조물 책임과 관련하여서는 제조물책임법상 인공지능 로봇 역시 제조물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인공지능의 작동에 따른 책임을 제조자가 질 수 있음을 검토하고 있다. 민법상 하자담보책임과 관련하여서는 인공지능 로봇이 특허침해에 관여하게 되는 상황이고, 인공지능 로봇 또한 거래의 대상이 되는 매매의 목적물의 일종으로 파악한다면 하자담보책임상 하자 개념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공지능의 특허침해에 대하여 형법상 업무상 배임죄 성립이 가능할지 검토하였다.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이다. 우선 주체 면에서 인공지능이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하여야 하는데 인공지능의 역할을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존재로 이해한다면 사무를 처리할 신임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타인의 임무를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위배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인간의 노동과 유사한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고도화 된 프로그램인 만큼 이에 대하서는 타인의 임무를 부여받은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른 판단을 하는 정도에 그치므로 현재의 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스스로의 작동에 대한 인식과 의사가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This paper covers the liability due to patent infringement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ase of a patent infringement by non-human beings, it is examined whether a patentee can be relieved through patent right and claims for damages. The Patent Act supposes that the subject of an act is a person. Therefore, even if it is assumed that the infringing act is performed under the current law, it is difficult to directly hold the injunction or damage liability as the infringement remedy directly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tself. However, asking this responsibility to AI owners is also not legitimate. Next, the Civil Law is considering whether product and defects liability c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liability of illegal acts of the Civil Code of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belong to the concept category of "a person" as discussed in Article 750 of the law. It is difficult to be recognized with regard to intentional or negative judgment. In relation to product liability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product, and the manufacturer coul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gard to defects lia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ould be involved in patent infringement ac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efects. In addition, the paper considers whether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breach crime of trust in the Criminal Law against artificial intelligence patent infringement. A felony punishment is a punishment for a person who deals with the affairs of another person in violation of the duty. First, in terms of subject,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correspond to "someone who handles the affairs of others", but if you understand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ubstitute for human labor force, you can think that there is a trust relationship to handle affairs.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should be able to correspond to "an act that is contrary to others" even though it is given the duty of others.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s an advanced program to produce similar results to human labor.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is similar to that granted. At pres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re is a consciousness and doctors of self-conduct on the present artificial intelligence because it is only enough to judge according to a certain program.

      • KCI등재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태령(Kim, Tae-Ryeong),한선관(Han, Sun-Gwa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AI교육이 한층 더 중요해짐에 따라 교육의 주체인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알아보고 이 인식을 통해 AI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교육연수에 참여한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AI교육에 대한 10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결과는 첫째, AI교육은 ‘인공지능을 삶에 활용’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인공지능 개념 자체를 배우는 것과 산업에 융합하는 것 역시 AI교육이라고 답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을 타교과에 활용하거나 문제해결 과정에 융합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교사교육과 학생교육에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의 개념·원리와 활용·융합간의 관계 그리고 AI교육과 소프트웨어교육 간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AI교육 도입 시기에 관해서는 초등학교에는 다소 긍정적이고, 중고등학교에서 매우 긍정적이었다. 특히 초등학교 도입에 관해서는 중등교사보다 초등교사가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넷째,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으로는 ‘인간과 같은 지능’, ‘학습하는 기계’, ‘보조도구(편리한 도구)’, ‘빅데이터’, ‘새로운 과학기술’의 순서로 범주를 만들 수 있었다. 다섯째, AI교육의 현장 적용 사례에 대해서 ‘개인교수 보조도구’, ‘실생활 융합교육’, ‘인공지능 개념학습’, ‘언어활용교육’, ‘프로그래밍교육’의 순서로 답변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내용으로는 ‘알고리즘의 판단과 책임’, ‘인간의 존엄성’, ‘나쁜 인공지능’, ‘인공지능사회의 사회적 갈등’, ‘개인정보와 사생활’ 문제를 들 수 있었다. 본 연구 자료가 향후 AI 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도움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which is an issue that has recently gained traction. Because AI edu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are the primary focus of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AI education. We developed a set of 10 questions focusing on AI education and survey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the AI education training.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AI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fe.” Moreover, AI education answered in the order of learning AI concept and education converging to industry. Teachers perceived it as the primary goal of AI education to learn to use AI in other subjects, or integrate it into a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teachers note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I and softwar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cepts, principles, utilization, and convergence of AI. Third, the introduction of AI education was somewhat posi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y positiv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ared with second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increasingly positive attitudes toward elementary school introduction. Fourth, teachers recognized AI in the order of “human-like intelligence,” “learning machine,” “auxiliary tool (convenient tool),” “big data,” and “new science and technology.” Fifth, teachers responded to the applications of AI education in the order of “individual teaching assistant tools,” “real life convergence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learning,” “language utilization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Sixth, teachers selected “Algorithm Judgment and Responsibility,” “Human Dignity,” “Good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Conflict,”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as the contents of AI ethics education. We anticipate that the current study results will help to set the direction for AI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at AI will be used effectivel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의 귀속

        박광민,백민제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0 No.4

        In the midst of the advancement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has come to the front, there are new types of crime that have not been seen before. It is predicted that Cyber crime in the form of hacking especially will further develope, concretely various illegal transactions particularly which are traded on the so-called ‘dark web’, including legal infringement caused by mal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he advent of such a dangerous society also results in changes i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riminal Law, so the change and the modification of the preexisting criminal theories are called for. This paper also focuses on this point. Especially, the main focus is regarding whether to recognize the criminal identit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the measure to impute criminal responsibility to it which can be called as the leader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first, regarding whether or not to recognize the criminal identit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 examined whether it was acceptable or no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views that affirm the criminal ability of a corpor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I could confirm that this frame of thought that only the natural person can have the ability of acting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brok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become recognized as criminal identity later. Next, I point out the there is no legislation in Korea yet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which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malfunctions, although these occur frequently. So, I suggested desirable legislative direction. In addition,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mpute the responsibility to the manufacturer and owner related to the penal code interpretation theory, in order to cope with the emergence of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uture, At presen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moving forward faster than any other in the past. Als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further accelerate. Thus, with the change and amendment of the criminal law, fundamental changes will be required beyond the level of simple reconstruction. I expect new legislation to be devised quickly in the near future, with the support of new theories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punishment related to accident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malfunctions. 현재 인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했다. 제4차산업 혁명의 선두주자는 인간의 지능이 가지는 학습, 추리, 논증 등의 기능과 시스템을 가진 인공지능 또는 인공지능 로봇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인공지능 로봇의 오작동으로 예측하지 못한 법익침해의 결과가 발생하였을 경우, 인간행위중심으로 형성된 전통적인 형사법체계와 책임주의는 어떻게 재편성되어야 하는가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인공지능 로봇에게 독자적인 형사책임을 부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 마련을 위하여 인공지능로봇의 범죄주체성 인정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 인공지능로봇의 제작자, 소유자 등에게 형사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로봇의 범죄주체성 인정여부에 관하여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긍정하는 견해를 이론적 밑바탕으로 그 인정가능성을 긍정하는 개방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물론 현재는 해결해야 할 이론적 과제가 산적해 있지만, 훗날 인공지능 로봇의 범죄주체성을 인정하게 된다면 범죄능력은 물론이고 이에 행위능력과 책임능력은 자연인만이 지닐 수 있다는 틀은 깨져야 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공지능 로봇 오작동에 의한 사고들이 빈발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비하는 우리나라 입법의 불비를 지적하고, 바람직한 입법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강한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에 대비한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 형법해석론상 이에 관련된 제작자의 과실 책임을 인정하기 위하여 객관적주의의무의 근거와 범위를 도출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소유자에게 부작위감독책임을 인정하기 위하여 보증인적 지위 내지 보증의무를 도출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로봇에게 형사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 가능성의 여부를 현 시점에서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일지도 모르지만, 현재 제4차산업 혁명 물결은 과거 어느 산업혁명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의 발전 역시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비한 형사법 이론의 변화와 수정은 단순 재구성하는 수준을 넘어서 근본적 변화가 요청된다.

      • KCI등재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

        양선진(Yang, Sun-ji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본 논문은 기존의 과학기술시대가 인간을 위한 시대였다면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시대는 인간의 위상을 위협하고 인간의 본질이 정말로 호모사피엔스인지를 재질문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에 인간과 로봇의 사회에 적합한 과학기술의 윤리가 요청되며 그리고 인공지능이 현재의 대부분의 인간들의 일자리를 차지할 경우에 일자리가 있는 일부의 인간과 일자리를 로봇에게 빼앗긴 인간들 사이의 공존을 위한 윤리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시대의 과학기술윤리를 검토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적합한 윤리가 무엇인지 미래의 과학기술의 윤리적 차원에서 고찰해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제 4차 산업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획기적이며 혁명적 대안이 요청된다. 크라우스 슈밥은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자신의 책에서 기존의 전문화되고 분업화된 닫힌 사고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생태계를 포용 통합하고 협력적이고 유연한 열린 사고가 필요하며 다양한 분야가 만나 접하는 공동의 담론의 사회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사회에 요청되는 덕목으로는 관용, 존중,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덕목을 배양시켜나가기 위해서 인간과 인간, 국가와 국가 간의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이 중요해지는 사회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에서는 인간들의 자아 중심적 사고에서 공동체적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공동체적 책임의식이 절실해질 것이라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사회의 도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간들은 연대하여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에 집중해야할 것이며 인공지능 사회에 대비한 인공지능사회에 적합한 윤리를 개발하고 자본 축적에 대한 무한한 욕망을 가진 인간들에게 적합한 윤리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는 사회가 될 것이다. 인간의 개인적 욕망을 제거하고 인간의 본래적 모습을 획득할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일부 인공지능 개발자를 위한 과학기술윤리도 필요하겠지만 인공지능시대를 통해서 자본 축적을 욕망하는 인간들이 극대화되지 않도록 교육적 패러다임을 바꿔야한다. 미래 사회의 교육은 로봇이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교육해야할 것이며 로봇이 인간의 일을 대체할 때 실직하는 인간들과 로봇 산업을 통해 혜택을 받게 될 일부의 자본가들에 공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윤리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If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a time for humans,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threaten to the human statu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suitable for robot society are requested. Most humans will lose their jobs to robots. For this age, we must prepare ethic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Therefore, we will review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thic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It is required to a revolutionary alternative to live in the 4th industrial society. The virtues required of these societies will be the tolerance, respect, and consider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ch a society,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self-centered thinking of humans to community thinking, and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responsibility will be urg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which can remove the human desire of human and acquire the original figure of human being.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can be an important thought for this age.

      •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작곡한 음악저작물의 저작권 보호

        김혜성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8 Law & technology Vol.14 No.2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공지능의 적용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창작 분야에까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고 있고, 이는 음악 분야에도 예외가 아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작곡은 크게 ① 이용자가 곡의 길이, 연주에 사용할 악기의 종류 등 기본적인 사항만 결정해 입력하는 것 이상의 개입은 하지 않는 자동화된 유형과 ②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용한 작곡 전 과정에 지속적으로 개입하며 인공지능과 상호작용하는 유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해 작곡한 결과물도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표현’에 해당하므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작곡한 결과물이 음악저작물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가는 결국 ‘창작성’이 인정되는가의 문제이다. 이용된 인공지능이 상호작용 유형이든 자동화 유형이든, 인공지능을 이용해 작곡한 결과물인 음악은 ‘창작성 있는 표현’이므로, 음악저작물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공지능을 이용한 작곡 방식이 다양해지고 보다 자동화됨에 따라 인공지능을 이용해 작곡한 또는 인공지능이 작곡한 음악을 저작권법이 보호해야 하는지, 또 인공지능 제작자, 이용자, 인공지능 중 누가 그 저작자이고 저작권자인지의 문제가 더욱 복잡해질 수 있는데, 저작자, 저작권자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인공지능 제작⋅공급자와 이용자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develops and the field where AI is used broadens, now AI technology is used even in the creative field. And the field of music is no exception. The way of composition with AI is divided into two types- automated type and interactive type. As musical works composed by AI is not just an idea but ‘expression’, musical works composed by AI can be protected by copyright law only when there exists the originality. As composing types using AI diversify and get more autom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 issue about the copyrightability, authorship and ownership of the musical works composed by or with AI could become more complicated.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authorship and ownership would be settled by contractual agreements between the AI programmer and user.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영향성 분석

        최지현,황서이,이유미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re not simply a fu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ities. It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that seeks to interpret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and to analyze socie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embers of the Chung-Ang Universi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who started and studied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search impact on the relationship with papers citing these achievements. As a result of extracting high-frequency vocabulary from a total of six research areas by adding the field of ‘pedagogy’ to the five research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which are ‘relational communication, technology criticism, data analysis, socio-cultural studies, and ethical norms’. ‘Metaverse, AI, education, virtual, public language, and Korean’ were extracted in ‘relational communication studies’. In ‘technology criticism’ area, ‘AI, posthuman, digital, education, technology, and robot’, and in ‘data analysis’ area, ‘AI, machine learning, education, text mining, big data, and language network’ were identifi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In ‘socio-cultural studies’, there are ‘AI,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history, and digital humanities’, in ‘ethical norms’, ‘AI, ethics, robots, morality, technology, and education’ were, and in ‘pedagogy’, ‘AI, education, literacy, and liberal arts education’ were respectively extract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lthough six years is not a long time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 academic discipline, it is meaningful because it confirms the position of a new academic discipline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umanities can no longer be understood as separate from technology; at this point in time,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being asked about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fforts are needed to more actively understand technology and convergence methods to protect human dignity and explore ways to build a healthy society. Thus,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research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thinking and plan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인문학’의 연구 동 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인공지능인문학은 단순히 인공지능과 인문학의 융합이 아니 다. 인문학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시대를 해석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를 분석하고자 하는 융합적 학문 분야이다. 인공지능인문학을 시작하고 연구해 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구성원의 연구 성과 중심으로 그 성과들을 인용한 논 문과의 관계 속에서 연구 영향성을 파악하고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인문학의 5개 연구영역인 관계소통학, 기술비평학, 데이터해석학, 사회문화 학, 윤리규범학에 교육학 분야를 추가하여 총 6개 연구영역에서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관계소통학에서는 ‘메타버스, AI, 교육, 가상, 공공언어, 한국어’가, 기술 비평학에서는 ‘AI, 포스트휴먼, 디지털, 교육, 기술, 로봇’이, 데이터해석학에서는 ‘AI, machine learning, 교육,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언어 네트워크’가 상위빈도 어휘 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학에서는 ‘AI, 디지털, 인문학, 교육, 역사, 디지털인문학’이, 윤리규범학에서는 ‘AI, 윤리, 로봇, 도덕, 기술, 교육’이, 교육학에서는 ‘AI, 교육, 리 터러시, 교양교육, literacy, education’이 상위빈도 어휘로 추출되었다.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인문학의 현재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였다. 6년이라는 기 간이 학문의 정착과 발전에 긴 시간은 아니지만 신생 학문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인문학은 더이상 기술 과동떨어진상태로이해될수없고, 인간과기계의경계에대한근원적물음을 던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서 기술, 그리고 융합의 방법을 더욱 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현재는 미래를 고민하고 계 획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발명에 대한 고찰” - AI 발명자 인정의 전제 요건을 중심으로 -

        황인복,신혜은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2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causing a lot of issues throughout society. It was the case with AlphaGo, and the case of inven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lled DABUS is also the same. A distinction must be made between inventions made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vention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vention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sufficiently treated as ordinary inventions in the current patent law system if only a few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he problem is inventions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ven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change the existing system of ideas about the creative subject of the invention. Since creation by machines rather than humans must be acknowledged, philosophical issues that transcend legal issues are contemplated. Just as Alan Turing contemplated, it is only by answering the question of whether machines can think that an invention made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recognized. However, we still haven't found the answer to whether machines can think.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al mutual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possible, and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an invention has been substantially contribu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not indicated even if it is an inven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but only a human inventor is applied for a patent this will increase. If a human inventor and a human-artificial intelligence co-inventor are treated at the same level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ability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 invention bias can occur. Although it is not clear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think, the number of situations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collaborates with humans to produce results will increase. In order to prepare for such a futur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relative judgment method for the recognition of the invent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cognition of an AI inventor,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fic discussion that can distinguish the roles of AI into simple tools, simple assistants, co-inventors, and sole inventors by determining explainability, autonomy, and contribution. This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problems throughout the patent system, such as inventor's right, inventor's mark, attribution of right to obtain a patent, joint application, method of writing detailed description, shared patent, and attribution of patent right.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많은 이슈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알파고 사건도 그러했고, DABUS라는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 사건도 그러하다.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과 인공지능에 관한 발명은 구별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에 관한 발명은 몇 가지 특성만 고려하면 현재의 특허법 제도에서도 통상의 발명으로 충분히 취급할 수 있다. 문제는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이다.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은 발명의 창작 주체에 대한 기존의 관념 체계를 바꾸어야 한다. 인간이 아닌 기계에 의한 창작을 인정해야 하기에 법률적 문제를 초월하는 철학적 문제까지 고민하게 된다. 앨런 튜링이 고민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계가 생각할 수 있을까에 대한 대답을 해야만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아직도 기계가 생각할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였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여 인간과 인공지능의 실질적 상호 협력이 가능해지고, 인공지능에 의해 실질적 기여가 이루어진 발명임에도 이를 판정하지 못하면,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임에도 이를 표기하지 않고 인간 발명자만을 표기한 특허출원이 늘어날 것이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능력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순수 인간 발명자와 인간-인공지능 공동 발명자를 같은 수준으로 취급하면 향후에는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이 증가하는 발명의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생각할 수 있을지 명확히 밝혀낼 수 없음에도 인공지능이 인간과 협업하여 결과물을 산출하는 상황은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향후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발명자 인정을 위한 상대적 판단 방법에 대한 고민은 필요하다. 인공지능 발명자 인정을 위해서 설명가능성, 자율성 및 기여도를 판단하여 단순 도구, 단순 보조자, 공동 발명자, 단독 발명자로 인공지능의 역할을 구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는 발명자권, 발명자 표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귀속, 공동 출원, 상세한 설명의 기재 방식, 공유 특허, 특허권 귀속 등 특허 제도 전반에 걸쳐 있는 문제의 시작점이 된다.

      • KCI등재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한국지식재산학회 2017 産業財産權 Vol.- No.5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발명의 과정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 등 머신러닝을 활용한 프로그램들은 특허성 있는 발명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이미 상당수의 특허가 그러한 프로그램의 프로세스에 부여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프로그램들은 이제 발명과정의 부분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스스로 데이터에 접근하고 자동화된 시행착오 테스트를 통해 진화하며, 자체적으로 신규한 발명을 만들어 낼 능력을 갖추어가고 있다. 기하급수적인 양의 발명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강력한 “특허 기계”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신기술의 등장에 따라 점차 확장되어왔던 특허대상의 범위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이 요구되는 시점이며, 인공지능 프로세스의 특허적격성은 재검토 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프로세스의 특허적격성 판단을 위한 미국의 법 해석 방향을 소개하고, 사례의 적용가능성 검토를 통해 무분별한 인공지능 특허 허여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AI) has been changing the process of invention. The system utilizing machine learning such as genetic algorithm has proven it has the ability to perform central role of invention process and several of them were already patented. However, because of the developing AI technique, the future machine will access big data itself and evolve through performing automated trial and error test, so finally could create a new invention itself. It will be a strong “Patent Machine”. It is time to begin to reexamine whether AI meets patent eligibility requirement. We need to critically consider the expanding range of patentable subject matter. This paper introduces the analysis method on the law of patentable subject matter and warns the risk of indiscriminate patenting on AI through illustrating related cases.

      • KCI등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이용한 의사표시의 주체

        이충훈 ( Lee Choonghoo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硏究 Vol.30 No.1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공지능을 탑재한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일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다. 인공지능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의 체결은 인간이 직접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미리 입력한 프로그램에 따라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컴퓨터시스템이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한걸음 더 나아가 강한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의 경우 컴퓨터시스템의 학습능력을 바탕으로 인간이 미리 프로그래밍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고 한다.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존의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의 규정만으로는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체결에 따른 법률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규칙의 제정이 법리적으로 타당한지 의문이 든다. 기존처럼 컴퓨터시스템을 인간이 인간의 편리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파악하는 것이 인공지능 컴퓨터시스템을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이라고 생각된다.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은 인간이 미리 프로그래밍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인간의 프로그램이 없으면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는 점이 간과된 채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할 수도 있다는 현상만을 부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을 통해 의사를 표시하는 경우, 그 의사표시의 주체는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이 아니라 배후의 컴퓨터시스템 운영자라고 해야 할 것이고, 그 의사표시의 효력도 인공지능 컴퓨터시스템은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에 불과하므로 배후의 컴퓨터시스템 운영자에게 귀속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인공지능에 법인격을 부여하자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으나, 법인격을 부여하여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는 법률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이 의사표시를 형성하는 과정이 기존의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과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도 기존의 컴퓨터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미리 프로그래밍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간이 관여하고 있다고 한다면 기존의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즉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로 파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의 이용이 기존의 법리를 대체할 정도로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할 것은 아니다. 다만 기존의 법규정 중 인공지능형 컴퓨터시스템의 도입으로 조금 더 명확하게 규정할 내용이 있다면, 이에 대한 보강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has actually happened to enter into a contract by using a computer system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tract made by using AI computer system is not for human to write electronic documents with computer system, but for computer system to make them according to the process input by human and to transfer them to the other party without human intervention. In addition, strong AI computer systems may create electronic documents independent to the human-programmed contents based on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With the introduction of AI computer system, it has been argu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can not solve the legal problems caused by the contract made by AI computer system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new rules for AI computer systems is legally justified. It is thought that understanding computer system as a tool that a human uses for human convenience is the right view to the AI computer system as before. I think that many arguments emphasize only the phenomenon that can be decided by AI without human intervention by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AI computer system can operate only on the basis of human’s pre-programmed process, and it cannot be operated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intention through the AI computer system, the subject to express the intention is not the AI computer system, but the computer system operator behind it and it is also logically reasonable the effect of the expression of intention should be attributed to a computer operator (human) because AI computer system is only a tool for human. I think the arguments that apply agent theory of a civil law to an AI computer system or consider AI a legal person are just to find legal reasoning for assigning the validity of the agreement to the underlying computer system operator when a contract is finally made by using an AI computer system. The process of contracts that an AI computer system make may be a little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using an existing computer system. However, in essence, AI computer system is similar to existing computer system if human is involved based on pre-programmed process like using existing computer system as human tools. I believe that although the use of AI computer systems does not require radical changes to existing legal theories, it is considered that scholars and Congress should prepare the change if the existing statutes have some provisions to be defined more clearly by the introduction of AI computer system,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수학과 인공지능 융합 수업 모형 개발

        고보경,임철일,신병철 한국교육공학회 2024 교육공학연구 Vol.40 No.1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넘어 미래인재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교과-인공지능 융합 수업의 사례와 전략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수업 모형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개발연구 방법론에 따라서 문헌 고찰 및 교사 인터뷰를 통해 초기모형을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반 수학교육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2회의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업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이에 따른 최종 수업 모형의 외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수원의 S 고등학교 1학년 8개 반 총 204명을 대상으로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고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수준과 수학적 문제해결력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학습자의 긍정적 반응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과 인공지능 융합 수업의 특징, 생성형 인공지능의 AI 융합 교육 활용 가능성 및 한계, 교원의 인공지능 융합 교육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for enhanc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young learners is increasing, in addition to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However, studies examin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strategie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remain scarce.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AI convergence education, particularly utilizing generative AI, within mathematics subjects. The study seek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is purpose. An initial model was formulated through a review of pertinent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practicing teachers follow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Subsequently, the model underwent two rounds of expert validation involving four experts specializing in AI-based mathematics education. To assess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204 students across 8 first-grade classes at S High School in Suwon participated in tests, surveys, and interview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earners’ AI literacy level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accompanied by positive feedback from the students. Through this study,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the potential and constraints of employing generative AI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educators’ capabilities in AI convergence education were eluc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