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관광서비스종사자의 자아탄력과 열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기동 경기대학교 부설 관광종합연구소 2014 여가관광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ssion, self-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situational activities attending service employees.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or obsessive passion and self-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nalyzed. by the dualistic approach.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500 employees working in a five-star hotel in Gangwon Province and 458 samp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self-identity positively inf1uenced both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revealed tha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negative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Lastly,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impacts 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relation to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ítment. 본 연구에서는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연구하였다. 조화열정은 관광서비스 종사자에게 긍정적 영향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이끌 수 있지만,개인의 자아탄력성이 통제된 강박열정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가 참여하는 서비스 활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열정과 자아정체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즉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Vallerand etal,2003) 에 따라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이 자아정체성과 직무만족,조직몰입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열정의 이론적 접근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선행변수로서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아탄력성과 열정과의 관계이다. 자아탄력성이 조화열정,강박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그 정도는 조화열정,강박열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이다. 조화열정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강박열정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이다. 직무만족은 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규법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며,규범적 몰입,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으나,직무만족이 조직몰입의 유형 즉,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규범적 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는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업,계속적 몰입,규범적 몰입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