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 -서울시를 대상으로-

        채진해,김원주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4

        This stud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s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health promotion in urban parks by indicators that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overseas cases and previous studies. To evenly distribute the areas to be evaluated by region, Seodaemun Independence Park, Hongneung Park, Gocheok Park, Sillim Park, Cheongdam Park, Gaepo Park, and Sungin Park were selected among the old neighborhood parks already established in Seoul.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 of quantitative indicators (12 factors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ark characteristics, and the park facilities) and qualitative indicators (14 facto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ve categories of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activities, and amenities). These indicators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advisory meetings with experts in the field. The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factors were evaluated by experts and investigators by field inspections and were rated on a three-point scale (high, medium, l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not only were exercise facilities and trails, but also various factors which support health activities, such as rest areas, leisure spots, and cultural facilities, as well as accessibility, cleanliness, and drinking water facilities are important indicators for health promotion. Second, even if the requirements are met for quantitative factors, several inconveniences hinder the actual implementation or use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u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must be simultaneously performed for the proper judging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park. Third, upon conducting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core differences depended on the evaluated categories in each park. These differences show that indirect indicators, such as accessibility, safety, and facility convenience are insufficiently equipped compared to direct indicators, such as activity, which includes exercise facilities and fitness centers for health promotion. As the utilization rate of parks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park services in the post-corona era. To promote such services,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evaluate parks based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and to contemplate services not only through direct factors but also indirect factors and security measures.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 평가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요소를 해외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서울시에 조성된 근린공원을 지역적 분배를 고려하여 서대문독립공원, 홍릉근린공원, 고척근린공원, 신림근린공원, 청담근린공원, 개포근린공원, 숭인근린공원 7개이다. 평가 지표는 정량적 지표 (공원의 배후지역 환경, 공원 특성, 공원 시설물 3가지 분류에 따른 12가지 요소), 정성적 지표(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활동성, 어메니티 5가지 분류에 따른 14가지 요소)를 선정하였다. 지표 선정방법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환경 인식 요소의 평가방법은 전문가와 조사원이 현장관찰을 통해 3점 척도(상․중․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증진을 위한 지표는 운동시설이나 산책로 뿐 아니라, 휴식공간, 여가 및 문화시설, 접근성, 청결, 식수대 등 건강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주요한 지표임을 알았다. 둘째, 정량적인 지표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할지라도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실제 구현시키거나,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아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정성적 평가 결과 유형별, 공원별 점수차가 나타났는데,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시설, 체력단련시설 등 활동성보다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과 같은 간접적 지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COVID-19 등으로 공원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공원의 서비스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평가하여 공원의 서비스를 증진시키고, 직접적 요인 뿐 아니라 간접적․보안적인 지표들에 대한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채진해,조경진,김승주,허윤경,황주영,Chae, Jin-Hae,Zoh, Kyung-Jin,Kim, Seung-Ju,Hoh, Yun Kyeong,Hwang, Ju-Young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Recent trends in urban policies show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urban parks. Moreover the park policy and planning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good urban park system. Comparative studies in the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s of the major cities would be timely and meaningful.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in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t urban scale. Sites include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and Seoul. Analyses are focused on the master plans and strategy reports of each city. Frameworks for analysis are divided into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s as an open space planning linked to related resources would contribute to both integrated resources management and practice of the fairness. Second, evolution from quantity to quality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 enhances revitalization and regeneration. Third, shift from the 'supply oriented plan' to 'need based plan' model provides flexible planning model to meet the demographic change, trend change, preference and use. Fourth, planning agents, enlarge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within each phase, diversified of the participants lead the changes from the passive participation to active on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bility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 flexible planning strategy including social awareness changes and park governance is required.

      • KCI등재

        근린공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이용객 수요 및 인식 분석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채진해,김원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객들의 수요와 인식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3월 21일∼2017년 3월 27일 총 7일이었다.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운동이 가장 높았으며, 도보 20분 이내, 체재시간 2시간 이내, 오후나 시간대 및 요일 무관한 이용이 높았다. 65세 이상과 이하의 연령별 주요 이용 목적, 시간, 요일에 차이가 나타나 연령별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근린공원의 환경에 대한 인식 은 근린공원의 방문 편리성과 시설 편리성은 좋았으나 공원 운영 및 관리, 특히 안전성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근린공원의 시설 편리성이 가장 높았으며, 편의시설과 산책로나 체육시설이 매우 주요한 요인이었다. 향후 근린공원 내 운 동시설 추가설치와 치안을 위한 순찰확대 등의 서비스가 개선된다면, 이용 횟수를 증가할 것이 라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해 이용객의 시설 확충 뿐 아니라 안전성, 프로그램 운영 등과 같은 공원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emands and perceptions of neighborhood park users for health promotion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0 Seoul citizen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21, 2017 to March 27, 2017, for a total of 7 days. The main purpose of use of the neighborhood park was exercise, and within 20 minutes on foot, within 2 hours of staying time, and in the afternoon, regardless of the time of day and day of the week were hig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se groups aged 65 or older and younger. Neighborhood park demand for health promotion has high interest in health, but the use of neighborhood parks is relatively low, and it is found that they are mainly used alone or for walking purposes. They said they were willing to pay less than 500,000 won for the park program.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park showed that the convenience of visiting and facility convenience was good, but the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especially safety, was relatively low. Convenience of facilities in neighborhood parks was the most influential in overall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trails, and sports facilities were the main factors. In the future, if services such as additional installation of sports facilities in the neighborhood park and expansion of patrols for security are improved, the number of uses will increase to more than five times a week, indicating the expectation. In order to promote health, this study should be complemented in terms of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such as safety and program operation, as well as expansion of facilities for users.

      • KCI등재

        거리정비사업의 주민참여방식 비교를 통한 지역활성화 효과 연구

        채진해,김성학,양병이,Chae, Jin-Hae,Kim, Seong-Hak,Yang, Byoung-E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2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거리정비사업에 참여한 주민 특성에 따른 지역의 거리정비사업 활성화 효과를 알아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원주시와 시흥시에서 시행된 주민참여형 거리정비사업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조사 결과, 원주시는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주민주도형으로 분류되고, 시흥시는 주민의 의견이 제한적인 주민참가형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조사는 상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성화 항목 21가지를 5점 리커트척도로 질문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회귀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에서 더 세분화된 물리적 경제적 파트너쉽 커뮤니티 4가지 지표로 나뉘어졌다. 주민참여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주도형이 주민참가형보다 모든 지표에서 활성화가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 경제적 활성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물리적 활성화 지표가 사업추진방식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활성화 지표도 두 사례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물리적 성과만큼 소통도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업추진 방식에 있어 주민주도형과 주민참여형은 파트너쉽활성화에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살펴볼 때 사업의 성과를 물리적 개선에만 본다면 굳이 주민참여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더라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도시재생의 목적에서 거리정비사업을 지역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쉽과 커뮤니티와 같은 사회적 지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s in particular regions are carefully scrutinized, classified, and compared based on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ose projects which are offered as one of several urban regeneration methods. The Wonju and Siheung Street Improvement Projects were selected for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a survey are conducted in both region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the Wonju project is the community initiative type in which the community has responsibilities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Siheung is the community participative type in which the opinions of the community have been limited The survey targeted more than 100 local merchants,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21 items with a 5-point Likert scale. The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through a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verage analysis on each group, and a T-test by SPSS 18.0.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four factors: physical, partnership, community, and economical revitalization.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social factor can be sub-divided into a community factor and partnership factor. As a result of revitalization factors by citizen participation type, the resident initiative type is more revitalized than the resident participative type in all four factors, and shows positive responses in physical and economical revitalization factors. In particular, the 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 has a big impact on resident satisfaction regardless of type.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factor also has an impact on two types. It reveals that the communication is as important as physical improvement. However, it shows that no type of project affects partnership revitaliz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f we considered only physical improvement as project achievement, you can achieve the desired outcome without considera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ypes. Furthermore, if regional revitalization is the goal of a street improvement project, we must consider other factors such as a partnership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 KCI등재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ountain Village Revitalization Polic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ocused on Forestry and Agriculture Policy in 8 Regional Governments

        채진해,김성학,강병훈 인간식물환경학회 202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Due to the recent demographic crisis driving the extinction of certain local communities, it isnecessary to promote core projects to revitalize mountain village and rural area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443 policy projects based on major policies and major business plans in the forestryand agricultural sectors of the eight regional governments in 2021. The collected 443 policy projects related to revitalizingthe mountain villages were classified by 3 experts into 5 domains in the forestry sector, which further broke down into 27types, 3 domai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which further broke down into 23 types, for a total of 8 domains and 50types, and an online survey of 42 policy stakeholders was then conducted.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d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forestry andagricultural sectors. Results: The analysis produced several findings. first, it was positive that many projects in the sustainability field appearedin both forestry and agricultural sectors, but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projects needed to be reviewed due to the lack oftypes corresponding to projects in the intensive promotion area. Intensive core efforts included "discovering forest culturalassets" and "creating fores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orestry policysector, as the forestry policy sector were generally lower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an the agricultural policy sector. Third, the domains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o mountain village revitalization were "forest welfare services","improving settlement environment", and "increasing incomes" while the domain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were mountain villages and forest culture areas. Conclusion: In summary, to revitalize mountain villages in response to the issue of the pending extinction of local communities,forest welfare service projects should continuously be promoted and strategic responses are required for "discovering forestcultural assets" and "creating fores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ch are suggested as key strategic project types.

      • KCI등재

        PCSI모형에 기반한 방문객의 서비스 품질 만족 영향 요인 분석 - 자연휴양림 및 치유의 숲 비교를 중심으로 -

        채진해,이정희,김성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객 만족도 조사 실태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 산림복지시설·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조사는 2021년 9~11월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을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대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자연휴양림 824명(63%), 치유의 숲 483명(37%) 총 1,307명이었다. 조사항목은 PCSI 모형에 기반한 서비스 품질 3개 유형(서비스 상품, 서비스 과정, 서비스 환경) 11개 척도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SPSS 24.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과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모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 시설 간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서비스 품질 유형별로는 서비스 과정이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환경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연휴양림은 서비스 환경이 통계적 유의수준(p<0.01)에서 높았으며,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비스 환경 > 서비스 상품 > 서비스 과정 순이었다. 그리고 서비스 환경 중 ‘심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연휴양림은 ‘심미성’, 치유의 숲은 ‘안전성’이 각각 시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보면 산림복지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 환경의 질을 높이고, 시설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 조성에 보다 집중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모자이크 거버넌스 관점에서 그린인프라의 액티브 시티즌쉽 연구 : 서울로7017을 사례로

        채진해,김우주 한국도시부동산학회 2023 도시부동산연구 Vol.14 No.4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role of green infrastructure in urban resilience has gained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mosaic governance approach to operating green infrastructure through active citizenship,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 'Seoullo Green-Walking Citizens(=SGWC)' in Seoullo7017 from 2017 to 2018 over two years. The formation of active citizenship through the 'SGWC’ occurred in three stages. Initially, it was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as a member with NGO, followed by the promotion of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panies and communities. In the third stage, active citizens participated in operations with various entities through the Seoullo School,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volunteer activities among local citizens. From a mosaic governance perspective, the SGWC exhibited diversity, dynamics, and continuity of participation, becoming more active and interconnected as the process progressed. The contribution of green infrastructure to urban resilience through active citizenship involves environmental resilience through 'Place-keeping' to maintain the meaning and value of Seoullo7017.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ng entity transitioned from NGOtype to CSR-type to PPP-type, fostering social connection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subject' and contributing to institutional resilience through governance. It effectively conveys the key finding that active citizenship in the oper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has the potential to spread its goals throughout the c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