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러티브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주제어 분석: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전호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3

        본 연구에서는 KCI 등재 논문 중 내러티브 관련 논문 521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사전 주제어 정련 과정을 통해서 474개의 주제어에 대한 기초 자료 분석을 하고 주제어간 비교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학회지별 내러티브 관련 연구 동향과 주제어 동향을 확인하였다. 시각화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주제어간 연결 강도와 연결중앙성이 높은 주제어를 제시하였다. 또한 주제어간 군집성 확인을 통하여 주제어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by research papers related to ‘narrative’. To attain this purpose, I analyze ‘Narrative’ papers and the keyword of these papers by basic analysis, comparison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521 ‘Narrative’ papers that was registered in KCI and 474 keywords that were refined by the cleansing process were analyzed. In the basic analysis, analyzing the ‘Narrative’ papers are done per year, journal and researcher. And review of ‘Narrative’ papers in education field are done. As a result of basic analysis, it was noticed that not only ‘Narrative’ papers but also ‘Narrative’ papers in education field are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The percentage of the ‘Narrative’ papers in education field is 46.44%. The journal that has the most ‘Narrative’ papers i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The researcher who has the most ‘Narrative’ papers is ‘Kang Hyeon-suk’. In the comparison analysis, the analysis handles the 474 keywords of ‘Narrative’ paper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the top 3 keywords are ‘narrative’, ‘narrative inquiry’ and ‘teacher’. If analyzed by year, there are ‘narrative’, ‘narrative inquiry’, ‘teacher’ and ‘experience’ as major keywords. It has the semblance of the result of the whole keyword analysis. But if analyzed by journal, each major journal has various keyword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each journal. In the network analysis, 474 keywords and 2490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keywords are studied. By using the Gephi, 474 keywords and 2490 connection relations are visualized. The keywords that have the high degree of centrality are ‘narrative’, ‘narrative inquiry’, ‘story’, ‘narrative thinking’ and ‘teacher’. Compared to the list of keywords per a frequency of appearance and the list of keywords per degree of centrality, ‘narrative curriculum’ and ‘fictional narrative’ are new keywords that have the high degree of centrality.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keywords have 25 clusters that are 6 isolated clusters and 19 linked clusters.

      • KCI등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탐구 방법의 가능성

        전호재,김필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is study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narrative-based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human experience. The Narrative is closely related to human experience. The narrative has the contextuality, relativity, and cyclability of the human experience, and thus has potential as a new method of researching human experiences. Contextu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through narratives, and relativity allows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experiences. Circulation explains the hermeneutical cycle of life in which experience is made endlessly repetitively. Thus narrative has potential as a method of inquiry dealing with a new human experience. First, the narrative-based research method can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method based on post-positivism perspective. Second, effectiv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human change is possible. Third,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various aspects of humanity as a who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arrative inquiry as one of the narrative-based research methods. Narrative inquiry is a research method with a cyclical structure of living, telling, retelling, and reliving. 본 연구에서는 인간 경험을 탐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내러티브를 활용한 탐구 방법을 가능성을 소개한다. 내러티브는 인간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이 가진 맥락성, 상대성, 순환성을 가지고 있다. 맥락성은 내러티브를 통해 사실을 이해하도록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대성은 개인의 경험에 대한 해석을 가능토록 한다. 순환성은 경험이 끝없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삶의 해석학적 순환을 설명한다. 이에 따라 내러티브는 새로운 인간 경험을 다루는 탐구 방법으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내러티브를 활용한 탐구 방법은 후기 실증주의 관점에 입각한 기존 탐구 방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둘째, 인간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맥락적 이해가 가능하다. 셋째, 인간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총체적인 탐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탐구 방법 중에 내러티브 탐구를 사례로 제시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살아내기, 이야기하기, 다시 이야기하기, 다시 살아내기의 순환적 구조를 가진 탐구 방식이다.

      • KCI등재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Ⅱ) - 교양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전호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ample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C University and to explore the proper direction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organization. The following major issue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organization were review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rst,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is not clear. Second, university members have little interest or misunderstanding in general education. Third, the university does not have the proper organization to work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research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focused on comparative research. Since then,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roblems that emerged from C University and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rived from the practical process to solve them. First, the purpose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be spec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expertise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organization. Third, systematicity is necessary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the subject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ifth,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academic diversity of general education and to alleviate large deviations between subjects. Six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mbers' awarenes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venth, the policy of cyber lectures needs to be revised. Eighth, stable manpower was needed to improve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Ninth, a supervisory system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needed. Efforts taken to solve and overcome the problems C university has shown will help to reorganize the general curriculum of other universities. 본 연구는 교양 교육과정의 개편에서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고자 C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양 교육과정 개편과 관련된 주요한 이슈를 분석하였다. 첫째, 교양 교육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 둘째, 교양 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 또는 잘못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셋째, 교양 교육과정을 운영할 적절한 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비교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이후 본 연구는 앞서 도출된 교양 교육과정의 이슈를 비추어 C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과정 속에서 나타난 문제들과 이를 해결하는 실제적 과정에서 도출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C대학 사례에서 나타난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교육과정의 목적을 구체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양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인 교양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교과목의 학문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교과목 간 큰 편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일곱째, 사이버 교양 교과목의 운영 정책을 개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인적 자원 확보가 필요하였다. 아홉째,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관리감독 시스템이 필요하다. C대학이 이들 문제들을 마주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실천했던 노력들이 향후 타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이론과 실제의 문제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의 가능성

        전호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oday,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has emerged as a major problem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hinders proper functioning of theory and practice. In fact,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is a subject that has been discussed by various scholars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still remains, and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explores approache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First, we review the approaches of Aristoteles, O'connor, Schwab, and Hirst, the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 then extended the scope to analyze various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Through analysis, I have divided into logistic, operational, inquiry, and dialectic approach to explore how these approaches define theory and practice, how to solve problems between the two concepts, what features are there, and what are the pros and cons. And finally, among the four approaches, I hav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the dialectic approach in order to propose an approach that is likely to solve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오늘날 이론과 실제의 문제는 인문사회과학의 주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이론과 실제의 문제는 이론과 실제가 적절하게 기능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다. 사실 이론과 실제의 문제는 오랜 기간 다양한 학자들이 논의를 한 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실제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으며 오히려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오늘날 심화된 이론과 실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접근법을 탐색하였다. 먼저 이론과 실제의 문제를 다룬 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들인 Aristoteles, O’connor, Schwab, Hirst의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이후 범위를 확장하여 이론과 실제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들 접근 방식에서 이론과 실제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두 개념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이들 접근 방식은 어떤 특징과 장단점이 있는지 논리적, 작동적, 탐구적, 변증법적 접근 방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네 가지 접근 방식 중에서 오늘날 이론과 실제의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높은 접근법을 제안하기 위해 변증법적 접근 방식의 특징과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전체 수준 교육과정 개편의 쟁점과 대안 : C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1

        Recently, The university curriculum is rapidly reorganizing with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niversity.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reorganization has man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and Resolutions of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level of the university-wide based on the case of C university. Literature and the major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analyzed that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centrated on reorganization at major curriculum level and there were many comparativ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influence from national university assessments is increasing, institutional isomorphism is deepening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still working in a closed 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focusing on the C university case. Considering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at the level of the entire university curriculum is the following resolution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proposed by the university-wide Curriculum Level is as follows. First, Specify and align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ased on professionalism Third, Restructur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th,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y systematic procedure Fifth, Student-centered curriculum. Sixth,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operation organization 최근 대학을 둘러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과정도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교육과정 개편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교육과정 개편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탐구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최근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요한 이슈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대학 교육과정 연구가 교양 교육과정에 집중된 점, 특정 학과 및 전공 단위의 교육과정 개편에 집중된 점, 비교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식별되었다. 또한 국가・사회적 환경으로는 국가수준 대학평가에 대한 민감성 증가, 대학의 제도적 동형화, 교육과정 개편의 폐쇄성이 제시되었다. 이후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C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적절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지기 위해 살펴본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육목적의 구체화 및 정렬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관리체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 절차에 입각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생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육과정 운영 조직의 재편성이 필요하다.

      •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호재 ( Jeon Ho-j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7 인성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내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개선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인성교육은 초·중등교육의 연계성 및 고등교육의 특수성에 관련되어 고등교육에서 내재적 측면과 외재적 측면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어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은 크게 다섯가지 부분에서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그리고 그 문제점에 따라 본 연구에는 크게 목표적, 내용적,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had intrinsic value and external value in higher education related to the continu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 specificity of higher education. Then,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were derived.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identified five problems. Based on the problem,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 in terms of purpose, contents, and operation.

      • KCI등재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와 내러티브의 대안적 가능성 탐구

        전호재(Ho-jae Jeon),강현석(Hyeon-suk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실제적 교육과정은 대체로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적 측면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슈왑의 실제성은 이론에 편중된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과정 문제가 인식되고 해결되는 실천 현장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실제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의 한계를 탐색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은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현장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 실제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 있어 몇 가지 한계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현장의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모형 제시에 소극적인 점 둘째,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점 셋째, 이론과 실제를 구분하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다소간의 문제가 존 재한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내러티브’ 관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나타내주며, 인간의 경험을 해석하고 인간의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러티 브의 성격은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이론들이 실제성에 더 가까운 실체를 구성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숙의에 비추어 본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 탐구

        전호재(Ho-Jae, Jeo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내러티브가 오늘날 여러 학문에서 주요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은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교육이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 기반한 활동이라는 점에서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속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Schwab의 숙의 개념을 통해 개념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와 숙의의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이후 내러티브와 Practical, 내러티브와 숙의의 개념을 비교 분석하여 개념의 유사성을 통해 내러티브가 가진 의사소통의 속성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내러티브와 외적 내러티브의 의사소통을 통해 내러티브가 숙의를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arrative has emerged as a major concept in many studies today, but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the Narrative has not been studied much. Especially,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is an important topic to be addressed in that education is an activity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To do this, concept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chwab s concept of deliberation, widely known a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arratives and deliberation was reviewed. And narratives-Practical and narratives-delib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was explored through the similarity of concepts. In this study, by the character, function, and interaction of internal narratives and external narratives, it was confirmed that narratives can be used as useful concepts to explain deliberation-based on communication.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 탐구 : 내러티브 접근

        전호재(Ho-Jae Jeon),김수영(Su-Yeong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민주시민교육은 현재 다양한 개념이 공존하고 있으며 접근방법의 혼란 또한 존재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함께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접근 방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밝혔다. 그리고 내러티브를 인식론, 방법, 경험의 생성 도구의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과 연계되는 사례를 초점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내러티브 접근을 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w wa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various concepts and confusion of approach. It explores new alternativ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urriculum articulation,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analyzing various concepts and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w alternatives were revealed through the linkage of curriculum and narrative approach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recognition, method, and tool of creation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 approach can be used as a new inquiry method for effective sett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narratives in a new approach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