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온쓸개관을 묶은 집토끼 위날문점막의 미세구조 연구. : Ⅰ. 날문부 표면점액세포 Ⅰ. Pyloric Surface Mucous Cell

        박경호,오승종,고정식,안의태,박대균,정은주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normal pylorus mucos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of the rabbit. Common bile duct ligation probably causes the dysfunction of the pyloric surface mucous cells that results in delayed mucous formation and secretion, but recovered mucous secretory activity is recovered on the late stages.

      • 악성 혼합종의 임상적 고찰

        오경균(Kyung Kyoon Oh),이국행(Guk Haeng Lee),이종호(Jong Ho Lee),심윤상(Yoon Sang Sh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9 No.2

        For malignant neoplasms of salivary tissues. two of the better determinants of progosis are histologic classification and size of the neoplasm. Proper management of these tumors requires an accurate diagnosis by the pathologist and correct interpretation by the surgeon. Malignant mixed tumors account for between 3 and 13 precent of all cancers of the salivary glands and 2 percent of all tumors in these locations. The typical history of these tumors is that of slowly growing mass demonstrating a sudden increase in growth. The duration of onset of the tumor mass and the diagnosis of malignancy has been demonstrated to be 10 to 18 years. The risk of malignat transformation of a benign mixed tumor increases with the duration of the tumor. We analyzed retrospectively 13 cases of malignant mixed tumor who visited from Jan. 1985 to Dec. 1992.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5 years. The origin of tumors were parotid gland 7 cases, submandibular gland 2 cases, and minor salivary gland 4 cases(palate 3 cases, tonsil pillar 1 cas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JCC on staging, stage I was 1 case, stage II 1 case, stage III 2 cases, and stage IV 9 cases. Histopathologically, carcinma ex pleomorphic adenoma were 12 cases and the true malignant mixed tumor was 1 case. The major treatment modalities were curative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llowed. In conclusion, aggressive therapy of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s required for these lesions, and patients with known or suspected benign tumor should be encouraged to undergo surgery early on in their disease to avoid malignant degeneration at a later dete.

      • 유리공장을 이용한 인두 및 경부식도 재건술

        오경균(Kyung Kyoon Oh),심윤상(Youn Sang Shim),이용식(Yong Sik Lee),박혁동(Hyuk Dong Park),김기환(Gi Hwan Kim),심영목(Young Mog Shim),조재일(Jae Ill Zo)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7 No.2

        Reconstruction of the 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presents a tremendous surgical challenge to the Head and Neck Surgeon. Because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is limited, treatment must be aimed at palliation. A variety of techiques have been proposed over the years with none proving entirely satisfactory. These techiques include prosthesis; skin graft; cervical flaps; tubed cutaneous and myocutaneous chest flaps; visceral reconstruction with stomach, colon. and jejunum; and jejunal free autografts. Many factors dictate the best method of reconstruction in any given clinical situation. The goal of the surgery is a one-stage reconstruction of swallowing function with minimal morbidity to allow as short a hospital stay as posible. Nine patients underwent the free jejunal autograft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us after the ablative surgery for the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one perioperative death, two abdominal wound dehiscences, two neck hematomas, one carotid rupture, one funtional dysphagia, one late strictures. There were no graft failure, no immediate stenosis and no fistula. An oral diet was started between days 8 and 16, with an average of 9 days and median of 8 days. Patients left the hospital between days 9 and days 38, with an average of 23.4 days and median of 23 days. This method of reconstruction is advocated as reliable palliative procedure with short-term follow-up. In conclusion, we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re of the opinion that the free jejunal autograft offers an excellent, safe and relative easy method of the pharyngeal and cervical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significant advantages over other techiques.

      • 두경부 종양환자에서 경부 림프절의 예기치 않은 병리적 소견

        오경균(Kyung Kyoon Oh),이국행(Guk Haeng Lee),임상무(Sang Moo Lim),심윤상(Yoon Sang Sh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4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0 No.1

        Neck dissection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head and neck tumors. This paper reports a series of head and neck patients who had pathological findings in their neck dissection specimens, which were unrelated to their primary tumors. In 7 cases, there was unexpected pathology in the cervical lymph nodes which was not related to the primary tumor. Four cas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3 were thyroid carcinomas. In 3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there were no evidence of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in neck dissection specimen; however, the lymph nodes were found to be involved by metastatic papillary carcinoma in one larynx cancer, metastatic adenocarcinoma in the other larynx cancer, tuberculosis in one nasopharynx cancer. In three of neck dissection specimen of carcinoma(two thyroid carcinomas, one laryngeal carcinoma), dual nodal pathology was found: Each of these specimen contained carcinoma with tuberculosis of the lymph nodes in three cases. In one thyroid carcinoma, there was no evidence of metastasis; however, the lymph nodes were found to be involved by tuberculosis. Preoperative assessment did not reveal any findings to alert us to the possibility of a synchronous pathological process in the cervical nodes of this group of 7 patients. In particular, there was no evidence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in the 5 patients with active lymph node disease.

      • KCI등재

        충남 오서산과 봉수산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오현경 ( Hyun Kyung Oh ),김동필 ( Dong Pil Kim ),오구균 ( Koo Kyoon Oh ),강기래 ( Kee Rae Kang ),배중남 ( Jung Nam Ba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3

        The vascular plants in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were listed 439 taxa (9.0%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95 families, 268 genera, 339 species, 5 subspecies, 75 varieties and 20 forms. Furthermore, the Ohseosan were listed 339 taxa and the Bongsusan were listed 306 taxa. So, Hemicryptophytes (H) were 107 taxa (24.4%), Therophytes (Th), Geophytes (G) same as were 82 taxa (18.7%)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4 taxa;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Scutellaria insignis (LC) and Scrophularia koraiensis (DD) and endemic plants, 8 taxa; Aconitum pseudolaeve, Ajuga spectab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35 taxa;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in class Ⅳ, 5 taxa (Scutellaria insignis, Scrophularia koraiensis, etc.) in class Ⅲ, 5 taxa (Acer triflorum, Cymopterus melanotilingia, etc.) in class Ⅱ, 24 taxa (Pyrus ussuriensis var. ussuriensis, Campanula punctata, etc.) in class Ⅰ.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9 families, 20 genera, 24 taxa (Persicaria orientalis, Carduus crispus, etc.) and ecosystem disturbing plants were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Naturalization rate was 5.5% of all 43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was 7.5%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particular, for rare plants, in and ex-situ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must surely be done, by preserving present natural habitats, discovering additional natural habitats and securing seeds. Moreover, ecosystem disturbing plants require long-term monitoring and consistent management, since not only do they disturb the ecosystem in competition with Korean native species, but damage humans, too.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낙남정맥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오현경 ( Hyun Kyung Oh ),박경욱 ( Kyung Uk Park ),김동필 ( Dong Pil Kim ),오구균 ( Kyoon Koo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본 연구는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을 조사하여 식물상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중 희귀식물의 보전방안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관리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낙남정맥의 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 하였다.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은 110과 355속 523종 4아종 115변종 27품종으로 총 669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중점조사지역별 식물상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94과 438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90과 372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90과 359분류군, 무량산 지역에서 85과 319분류군, 길마재 지역에서 80과 268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78과 268분류군 순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중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이 확인되었으며, 길마재에서 790.4봉 중간지점의 마루금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구간의 희귀식물은 왕벚나무(식재), 거문도닥나무, 세뿔투구꽃, 산닥나무, 시호, 왜박주가리, 측백나무(식재),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희귀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5분류군, 길마재와 천주산 지역에서 각각 3분류군, 무량산과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개족도리풀, 은사시나무(식재),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고광나무, 해변싸리, 민땅비싸리, 노각나무, 개나리(식재), 오동나무,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벌개미취, 분취, 지리대사초, 좀비비추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특산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천주산 지역에서 11분류군, 무학산 지역에서 9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및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에 세뿔투구꽃, 왕벚나무(식재) 등 2분류군, Ⅳ등급에 측백나무(식재), 등, 가는쇠고사리 등 3분류군, Ⅲ등급에 노각나무, 갈퀴아재비, 금족제비고사리, 거제수나무, 좀조팝나무, 낭아초(식재), 꽝꽝나무, 단풍나무, 차나무(식재), 팔손이, 산앵도나무, 왕쥐똥나무, 둥근배암차즈기, 호자덩굴, 산기장 등 15분류군, Ⅱ등급에 털괭이눈, 돌양지꽃,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층꽃나무, 곽향, 붉은병꽃나무 등 9분류군, Ⅰ등급에 개족도리풀, 좀비비추, 산닥나무, 왜박주가리, 이팝나무, 쇠고사리, 참쇠고비, 홍지네고사리, 참꿩의다리, 잣나무(식재), 홀아비꽃대,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푸조나무, 돌뽕나무, 천선과나무, 나도물통이, 범꼬리, 큰꽃으아리, 투구꽃, 피나물, 아구장나무, 황매화(식재), 산돌배, 실거리나무, 큰여우콩, 회양목, 개산초, 백선,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거지덩굴, 피나무, 동백나무, 돌외, 오갈피나무, 개구릿대, 정금나무, 자금우, 광나무, 애기골무꽃, 빗살서덜취, 왕미꾸리광이, 민바랭이새, 큰천남성, 흰여로, 일월비비추, 진황정, 퉁둥굴레, 금난초 등 55분류군으로 도합 8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3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31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28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지역에서 각각 25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털갈퀴덩굴, 붉은토끼풀,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미국실새삼, 땅꽈리, 뚱딴지, 돼지풀, 큰도꼬마리,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붉은서나물, 개쑥갓,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울산도깨비바늘, 별꽃아재비, 큰금계국, 코스모스, 서양민들레, 방가지똥, 큰이삭풀, 오리새, 큰김의털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조사된 전체 669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귀화율(NR)은 4.8%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21분류군(이유미 등, 2011)의 10.0%에 해당된다. 이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여항산과 천주산지역에서 가장 많은 18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량산과 무학산 및 신어산에서 각각 14분류군, 길마재에서 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유형 중 약관심종 이하를 제외한 희귀식물의 보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멸종위기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무학산 산줄기인 대곡산 마루금에서 수십~수백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거문도에서 처음 확인되어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Broussonetia spp.) 종류가 아닌 팥꽃나무과 산닥나무 종류임으로 이름을 정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거문도산닥나무 내지 거문산닥나무가 적절한 이름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알려진 후 자생지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으며, 추가 자생지 확인 및 기존 자생지의 보존이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세뿔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의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길마재 지역의 마루금 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경북 구미 금오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금오오돌또기 내지 꽃색이 노란빛이 도는 보라색으로 미색바꽃이라고 불러졌다. 길마재를 제외한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에서 발견되었다면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낙남정맥 분기점인 지리산 영신봉에서 삼신봉의 산줄기에서 남하한 길마재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큰 가치는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법정보호종임으로 추가적인 정밀조사와 장기적인 모니터링은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이 식물은 독성이 강하나 약초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법정보호종이면서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임으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인근 주민들이 참여하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의 체계를 구축한다면 이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자생지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나 생채 채집 등의 후속 조치가 필요한 식물이다.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 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나 강화도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신어산 지역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신어산 자락에 있는 은하사, 영구암 등의 사찰에서 과거에 심었던 것이 야생상태로 번진 후세개체로 보여진다. 이 식물은 경남 남해 화방사 주변에 천연기념물(제152호)로 지정된 자생지가 있으며, 강화도 전등사 주변에도 자생하는 개체가 많이 있다. 내륙쪽으로도 월출산에 있는 사찰 인근산지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개체나 면적은 풍부한 편이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호(Bupleurum falcatum)는 산형과(Umbelliferae) 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오곡재에서 여항산 방향의 마루금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지만 개체나 자생지가 많지 않으며, 특히 분포한다고 해도 개체수가 현저하게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식물과 유사한 개시호(B. longeradiatum)는 직립하여 자라지만 시호는 뿌리의 활착에 비해 지상부의 줄기와 잎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옆으로 처지는 경향을 보인다.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생체와 종자 채집을 통한 현지외 보전이 요구되는 식물이다.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는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산지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여항산과 천주산에서 여러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여항산에서는 마루금을 따라 여러개체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천주산에서는 2개체만이 확인됨 주로 탐방로를 따라 빛이 들어오는 입지환경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자생지 보전과 더불어 후세개체 증식 등의 보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식물이다. 또한 귀화식물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미국 쑥부쟁이의 관리방안은 백두대간 논문에서 언급하였다.

      • KCI등재
      • SCISCIESCOPUS

        Palladium‐Catalyzed Direct Arylations of 1,2‐Azolo[1,5‐<i>a</i>]pyridines using Copper(I) Chloride as a Lewis Acid Activator and the Synthesis of 2,6‐Disubstituted Pyridines

        Oh, Kyung Hwan,Kim, Seong Min,Lee, Mi Jung,Park, Jin Kyoon WILEY-VCH 2015 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Vol.357 No.18

        <P><B>Abstract</B></P><P>A direct method for the arylation of 1,2‐azolo[1,5‐<I>a</I>]pyridines has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the fused pyridines react with aryl halides in the presence of the palladium complex Pd(OAc)<SUB>2</SUB>(Phen) as a catalyst and copper(I) chloride (CuCl) as a Lewis acid to form arylated derivatives. While pyrazolo[1,5‐<I>a</I>]pyridines and [1,2,4]triazolo[1,5‐<I>a</I>]pyridines are arylated at <I>ortho</I>‐positions of their pyridine rings using this method, <I>in situ</I> ring‐opening of the formed C‐7 arylated [1,5‐<I>a</I>]pyridine takes place to generate the 2,6‐disubstituted pyridine. Also, upon treatment with lithium diisopropylamide (LDA), C‐7 arylated pyrazolo[1,5‐<I>a</I>]pyridine‐3‐carboxylates react to produce diversely substituted 2,6‐disubstituted pyridines. Finally, a sequential C‐3 aryl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a two‐step sequence involving hydrolysis of pyrazolo[1,5‐<I>a</I>]pyridine‐3‐carboxylates followed by the bimetallic Pd/Cu‐catalyzed decarboxylative coupling reaction with aryl bromid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