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뷰티 서비스 프로그램의 네이밍 효과 : 명시적 네이밍 vs. 암시적 네이밍

        김미성 ( Miseong Kim ),윤남희 ( Namhee Yoon ) 한국미용학회 2017 한국미용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naming effect of program in beauty service area. It verifies an influence of service program`s explicit naming and implicit naming on interest, trust, and acceptance intention in service program, and a moderation effect of beauty service store`s reputation on naming effect. Based on th experiment desig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rvice program`s explicit naming and implicit naming,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An online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twenties to forties women who have experience of using skin care service in less than a year the latest, and a total of 299 responses i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rust is significantly high in explicit naming, and interest in implicit naming. And there i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gram naming and store reputation on interest. The result beauty service program`s implicit naming attract consumers` interest, and induces their positive response. Its use is more effective in high-renowned store, and it is suggested that low-renowned store should try to communicate precisely information of service program`s naming, which could induce consumers` positive feeling. The effects of trust and interest on program acceptance intention are significant. And in case of using explicit program nam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tore repu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intention and between interest and intention. it is verified that whereas low-renowned shop gets to have a higher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interest, high-renowned shop gets to have a higher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trust.

      • KCI등재

        '고유명(proper Names)에 관한 러셀과 프레게 이론의 비교

        남순예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1 No.-

        이 논문은 고유명에 관한 러셀과 프레게 철학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언어로 세계를 기술하고 사태들을 설명한다. 이때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 사태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고유명을 사용한다. 오랜동안 많은 철학자들은 고유명을 언어와 대상세계의 연결 통로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사실 고유명에 대해 정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고유명'(proper names)은 명제 속에서 오직 주어로만 역할 할 수 있는 명사들이라 정의해야 한다. 즉, 그것들은 개별자를 가리키는데, 개별자란 진술에 관여하거나, 또는 진술속에서 주장된 술어나 관계가 주장되는 주체이다. 예를 들어 '스코트', '엘리자베스 윈저', '버트란드 러셀' 등은 모두 단순 기호이고 따라서 이름이다. 또한 개별자처럼 보이는 어떤 사물들은 실제로는 그 이상으로 분석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러셀은 개별자같이 보이는 사물은 진정하게 개별자로, 그리고 고유명같이 보이는 약간의 것들을 진정하게 고유명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제2장은 일반적인 고유명에 관한 고찰이다. 이 장에서는 고유명이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지시대상만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입장을 다루고 있다. 전자는 고유명의 의미를 확정기술들과 밀접하게 관련시키고 있고, 후자는 고유명과 확정기술을 엄격히 구분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고유명이 순수하게 지시하는 이름이라는 견해와 그것이 기술로 동화된 이름이라는 견해를 고찰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크��키와 �, 그리고 버그와 데이비슨의 이론을 다룬다. 이 논문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제4장에서는 러셀과 프레게의 이론을 다룬다. 프레게와 러셀의 이론은 고유명에 관한 수수께끼들을 다루는 방법이 표면적으로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에 종종 동일시되지만, 그러나 실제로 그들의 견해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본문은 그들의 차이점에 관해 상술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Russell's and Frege's philosophies. We describe the world and explain facts by languages. At this time we use proper names in order to present a person, a thing, or a fact. For a long time, many philosophers think a proper name as a passageway between a language and the object world. However, in fact it is not easy work to define proper names. 'Proper names' must be defined as nouns which is only able to play roles as subjects in propositions. That is, they indicate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re subjects involved in statements or subjects asserting subjects or relations asserted in statements. For example, 'Scott', 'Elizabeth Windsor', 'Bertrand Russell' are simple labels, that is, names. Moreover, certain objects looking as individuals can be actually analyzed further. Because of this fact, Russell intend to define things looking as individuals as truly individual, and to define something looking as proper names as truly proper names. I consider general proper names in chapter II. This chapter treats two different positions, one holding that propel names have meanings and the other holding that proper names only have denotations. The former closely concerns the sense of a proper name with a definite description, and the tatter strictly devides proper names and definite descriptions. I consider other two views on propel names in chapter III, one is a view that a proper name is a purely denotative name, and the other is that it is a name assimilated to a description. This chapter treats Kripke's, Ziff's, Burge's, and Davidson's theories. Chapter IV,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treats Russell's and Frege's theories. Because of certain superficial similarities in how they handle certain famous puzzles about propel names, Russell's and Frege's views are often assimilated, but actually the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is chapter.

      • KCI등재

        부안 주산면의 형성과 마을 지명의 변화 검토

        김병남 ( Kim Byung-nam ) 호남사학회 2024 역사학연구 Vol.93 No.-

        본 글은 부안 지역의 기초 마을 지명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통 마을 지명은 『호구총수』(1789), 「1872년 지방지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과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1917)을 연결하여 파악한다. 그러나 부안 지역은 『호구총수』와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의 내용을 연결하여 지명 연원을 파악하는 실정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부안의 「1872년 지방지도」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마을의 유래와 연원에 부정확한 추측과 오류가 일부 발생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홍재일기』(1866~1911)가 발견됨으로써 많은 지명 기록을 확보함으로서 그 동안의 오류나 오해를 바로잡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 중의 주산면 관련 지명 기록을 살펴서 지역사의 복원에 일조를 하고자 한다. 지명의 변화는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에 명명되거나 개명된 지명이라는 일방적인 비판과 오해를 불식시키고, 부안 지명의 고유한 전통성을 재발견하는 방향으로 시각을 확대해야 한다. 비록 여타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부안군의 역사·문화적 지향도 郡誌 편찬 단계를 벗어나 面誌 발간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럴 경우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 면의 기초 마을에 대한 연원과 유래를 파악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ames of basic villages in the Buan region. Typically, the name of a traditional village is identified by linking the 『hoguchongsu』(1789), 「the 1872 Local Map」,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1912) and 『Catalogue of New and Ancient Villag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1917). However, in the Buan area,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is identified by linking the contents of the 『hoguchongsu』 and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1872 local map」 of Buan. As a result, some inaccurate guesses and errors occurred regarding the origin and origin of the village. However, the recent discovery of 『HongjaeIlgi』(1866-1911)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rrect previous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by securing many records of place names. Among them,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local history by examining the records of place names related to Jusan-myeon. Changes in place names continued even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we must dispel the one-sided criticism and misunderstanding that the place names were named or rena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pand our perspective to rediscover the unique tradition of Buan place names. Although it is a bit late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Buan-gun’s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lso appears to be moving away from the stage of publishing county history and shifting to publishing history of towns and villages. 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rigin of each town’s basic village.

      • 영문명과 한글명의 데이터 정제 과정에 관한 연구

        남승오 ( Seung Oh Nam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금융 거래의 특성상 대용량 자료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품질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거래 주체 정보인 한글 및 영문 성명에 대한 데이터 정제 과정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제 규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데이터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존칭에 대한 부분을 제거하였다. 둘째, 영문이름과 한글이름을 모두 한글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시켜 이름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언어에 무관하게 동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였다. 기본적으로 이름은 "음운(音韻) 대 음운(character-by-character)"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하였다. 셋째, 한글 이름이 영문 이름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 성과 이름의 순서를 변환시켜서 성과 이름의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인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름 중 성을 나타내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내용을 활용하여 "음절(音節) 대 음절(word-by-word)" 방식으로 변환하였다. 영문이름과 한글이름은 성과 이름의 순서에 차이가 있으므로, 만약 영문이름의 뒷부분에 성으로 사용되는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이를 앞으로 위치변환을 시킨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름에 특수문자 및 괄호 안의 문자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data quality which is natually resulted from huge datawarehouse is investigated and following data cleansing process rule is found for identifying subject name. First, English honorifics are eliminated for consistency of data. Second, English and Hangul names are converted write-in the form of unpack regardless of the language to recognize same person. Basically, the name are converted under the rule of character-by-character. Third, it is converted regardless of the first and last name order when Hangul name is written in English name to recognize same person. To find the portion of the last name among the full characters the database about the ratio of Korean last name are used and the last name is converted in a way of word-by-word. Finally, the names including special characters are converted to the names removed the special ones.

      • KCI등재후보

        해원으로 본 강증산 전승의 <남조선국>과 『홍길동전』의 <율도국>

        고남식 ( Ko Nam-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이글은 남조선국(南朝鮮國)과 율도국(聿島國)에 대해 그 상관성을 해원의 대상과 해원의 방법이라는 두 가지 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로 해원 대상과 관련해서 남조선국은 단주(丹朱) 해원과, 율도국은 길동(吉童)의 해원과 관련된다. 남조선국이 제위(帝位)를 받지 못한 단주의 해원과 관련된다면 율도국은 서자(庶子)로 태어나 호부호형도 하지 못하는 길동의 해원에 관한 것이다. 단주의 해원은 단주가 명(命)을 받는 것으로 해소되고 길동의 해원은 병조판서의 제수(除授)와 율도국 왕이 되는 것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단주의 해원에서 단주가 명을 받는 것은 단주가 국가의 제위에 오르는 것이고 이점에서 남조선국이 설정된다. 남조선국이 초월성(超越性)을 띤 세계를 구축하며 조선의 문제를 포함 세계에 내재된 원한을 타파하여 이상세계를 만들고자 했다면, 율도국은 서얼 출신의 길동에 대한 해원을 위해 당대 조선이라는 국가체제와는 다른 현실의 세계로 율도국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정벌이라는 전쟁담의 성격을 짙게 깔며 통치과정 속에서 이상적인 국가를 만들어 해원이 되는 면을 강조한 것이다. 둘째로 해원의 방법으로 보아 단주와 길동의 해원은 종국적으로 이상국가가 상정되며 풀리게 된다. 단주의 해원에 제시된 이상국가인 남조선국의 설정은 초월적 세계와 연관된다. 남조선국은 현실계와는 다른 층위인 초월계의 단주만이 아니라 역시 역사적 인물로서 초월계에 있는 전봉준, 오랜 세월동안 여러 사람들의 추앙을 받아 온 도덕군자 신(神) 등이 남조선국과 관련된 주요 존재로 등장한다. 이는『홍길동전』에서 현실의 조선과 일련의 상관성을 갖는 율도국을 정벌해서 이상적인 정치를 펴고자했던 공간과는 다른 초월적 세계와의 교감(交感)으로 만들어진 유토피아로 남조선국이 등장하는 것이 다르다. 이에 따라 남조선국은 기존 세계와는 달리 새로 창출된 후천(後天)이라는 공간을 향해 마치 배를 타고 이 세상을 건너가 피안(彼岸)의 세계를 이어 만들어지는 이상국가가 된다. 다른 한편 해원의 방법으로 단주의 해원에서는 땅과 연관된 오선위기(五仙圍碁)혈이 과거 단주가 부친인 요로부터 받았던 바둑판과의 상관성을 갖고, 오선위기 서사가 현실의 대세와 관련되어 해원에 사용된다. 반면 길동의 해원에는 풍수나 지기의 영향 같은 면은 없고 국가체제나 사회제도에 의해 원한이 생겨 이를 해결하기위해 길동이 영웅적으로 활동하여 해원이 된다. 다음으로 존재하던 육지에서 벗어나 두 나라 모두 배를 타고 새로운 나라로 가지만 남조선국은 배를 타고 가는 과정이 율도국에 비해서 상세히 그려져 특히 남조선 뱃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반면 『홍길동전』에는 율도국을 정벌하는 전쟁담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남조선 뱃길」은 육로(陸路),해로(海路),상륙(上陸)이라는 과정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강증산 전승의 하층의 일반 대중들과 교감하는 서사는『홍길동전』에서 길동이 하층민의 아픔과 한을 인식하고 공유해 제도권에서 이탈하여 도적이 된 무리들과 함께 하며 그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제시하고자 했던 면에서 통하는 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Nam-Chosunguk(남조선국) of Kang Jeung-San Story and Yuldoguk of Hong-Gil Dong Jeon is to search for utopia. First, Nam-ChosunGuk of Kang Jeung-San Story is concerned with Danju Haewon(단주해원) and Hong-Gil Dong Jeon, Gil Dong Haewon. Danju Haewon is achieved with DanjuSumyung(단주수명). DanjuSumyung is connected on Oseonwigihyul(오선위기혈) in Hoimun-mountain and There is Oseonwigi story in Oseonwigihyeol. Oseonwigi story is composed of five wizard playing a game of baduk. At last, If playing a game of baduk will finish, only one wizard have a baduk board and baduk piece. This story i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civilized age of Chosun in the first of the 20th and symbolizes actuality in Chosun. Second, Danju Haewon and Gil Dong Haew is achived with a way of presenting Utopia. Nam Chosun is concerned with the superiority world that is Hucheon, boating on the ship. On the other hand Hong-Gil Dong Jeon is composed of a warfare story conquering Yuldoguk The ship is operated by Cheonbongjun(전봉준) as the chief and HyeolsikCheonchuDodeokKyunja(혈식천추도덕군자) as the mate. A Nam Chosun waterway advent in Nam Chosun nation. A Nam Chosun waterway story is opened of a land route, a seaway, landing. NamChosun and Yuldoguk story are going through transforming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into the common people living better.

      • 명칭성 실어증( Anomia ) 환자에서 보이는 단어 산출 과정의 단원적 구조

        편성범,문영선,정재범,이홍재,남기춘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2 No.1

        본 연구는 명칭 실어증 환자의 단어 산출 과정을 통해 단어 산출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 개념 정보 처리 구조와 어휘 정보 처리 구조가 분리되어 있는가? (2) 개념 구조는 단원적인가? (3) 외국어인 영어 어휘 구조는 한글의 어휘 구조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실험은 좌측 뇌경색으로 명칭 실어증이 발생한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은 그림 명명 과제(picture naming task), 단어 명명 과제(word naming task), 의미범주 판단과제(semantic categorization task), 어휘 판단 과제(lexical decision task)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한글로 검사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 영어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림 명명 과제에 사용된 그림은 모두 98개였는데, 환자는 이 중 30개(30.6%)를 명명할 수 있었다. 명명에 실패한 68개의 그림 중에서 그림과 관련된 단어의 정의, 유의어 및 반의어, 단어의 첫 음절을 단서로 제공한 후 검사하였는데 다른 단서를 제공한 경우에는 그림 명명에 도움이 되지 않았고 첫 음절을 단서로 제공했을 경우에 ???????? 실수를 보여 의미 정보처리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어 명명 과제에서도 모두 정확한 반응을 보여 소리내어 읽기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 판단 과제에서도 11개 단어에서만 실수를 보여 어휘 시스템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명칭 실어증 환자 SDK에서 나타나는 그림 명명의 어려움이 의미 시스템, 어휘 시스템, 단어 음운 부호 생성 및 발성 등의 문제보다는 의미 시스템과 어휘 시스템간의 연결과정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미 범주에 따라 개념구조가 단원적(modular structure)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조사한 실험에서는 실수 비율 분석과 의미 범주화 판단 시간에서 인공물과 자연물이 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어인 한국어의 어휘 시스템과 외국어인 영어 어휘 시스템간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실수의 형태로 보아서 두 언어 시스템이 일부는 중첩되고 나머지는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한다는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word production in an anomic aphasic. The questions were as follows: 1) Are the structure of the semantic information system separated from the lexical system? 2) Does the semantic system have a modular structure? 3) What's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word production process? We examined a right-handed male patient who had been diagnosed as an anomic aphasia by Western Aphasia Battery (WAB) after cerebral infarction on the left hemisphere. Four tasks, such as picture naming, word naming, semantic categorization, and lexical decision task were performed. We used ninety eight pictures which were consisted of forty eight natural things and fifty artificials. After completion of four tasks with Korean, same tasks excluding the semantic categorization were performed through English.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languages. In picture naming task, the patient named correctly in thirty (30.6%) out of the ninety eight pictures. After given verbal cues, the patient answered correctly in forty five more pictures (45.9%). Most effective cue was initial phonemes or syllables of the target name. In word naming task, the patient read all the names correctly. In case of semantic categorization and lexical decision task, the error rate was only 5.1% and 11.2%, respectively. And picture naming performance differed in the natural and artificial category members. Furthermore, some naming errors in English were overlapped with the naming errors in Korean, but the other naming errors in English occurred only in English namin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suggestive of the possibility of disruption at the connection between lexical and semantic systems in anomic aphasia. And the semantic system may have modular structure, such as artificial versus natural things as shown in this study. The test results performed by English revealed that the word production system of the two languages had both the common and independent areas.

      • KCI등재후보

        「남령전(南靈傳)」연구

        김향남 ( Hyang Nam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南靈傳」은 담배를 의인화한 假傳으로 소품문에 경도되었던 李鈺문학의 실상과 심리적 지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옥이 「남령전」을 지은 동기는 애연가로서의 일차적 관심과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유희의 수단, 혹은 문장 수련의 한 방편에서였다고 볼 수 있지만 새로운 문체, 즉 假傳에 대한 관심도 한 몫을 차지한다고 본다. 가전은 답답하고 울적한나날을 보내던 과거 준비생 이옥에게 자신의 내면을 투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문체로 주목되는 한편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데도 용이하게 판단되었을 것이다.「남령전」은 담배의 의인체인 남령이 秋心(근심)을 몰아내고 권세를 획득한 영웅담의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남령이 몰아낸 추심의 정체는 무엇인가. 추심의 실체를 파악한다는 것은 사실상 여의치 않다. 그러나 남령의 이야기가 이옥 자신의 이야기이고 또 이옥 자신의 근심과 욕망을 이야기한 것이라면 근심의 정체는 보다 분명해진다. 근심은 욕망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며 이옥의 욕망은 다름 아닌 입신출세에 있었기 때문이다. 「남령전」에서 추심의 정체에 대한 언급은 ‘도적’이라는 단어가 전부일 뿐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쓴 「蟬告」는 당시 이옥의 고민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글로써 근심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옥은 자신이 세상에 쓰이지 못할 것임을 자탄하고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부르짖는다. 이러한 탄식은 오랫동안 과거 준비를 해 온 이옥에겐 더없이 참혹한 절망이요 근심이었다. 「祭文神文」은 「남령전」과 같은 시기의 것은 아니지만 이옥의 문장에 대한 고민을 보다 실감할 수 있는 글이다. 과거에 뜻을 둔 지 16년, 수많은 글을 지었지만 ‘唐의 詩도 아니고 明의 文도 아니요, 杜甫의 詩도 아니고 蘇東坡의 文章도 아닌’ 문장을 씀으로써 현실의 요구에 따르지 못하는 자신을 힐책한다. 출사의 길은 오직 과시를 치르는 것밖에 없는데 자신의 글쓰기는 자꾸 어긋나는 데다 눈에 보이는 현실 또한 만만치가 않다. 고민은 끝이 없다. 이옥은 탈주를 꿈꾼다. 이옥이 행하는 탈주의 노력은 상상의 글쓰기이다. 「남령전」은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남령이 반란을 진압하는 장면과 천군의 책문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 책문은 전체적인 사건의 진행에서 꼭 필요한 것보다 훨씬 확대되어 있으며 책문의 내용 역시 남령에 대한 치하와 포상품에 대한 묘사로 가득하다. 이는 욕망충족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행복한 상태를 최대한으로 즐기려는 작가의 의도를 반영한 결과이다. 동일구문의 반복적 나열 및 묘사의 핍진함 등은 그러한 효과를 적극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이옥은 표현의 묘미를 통해 욕망이 실현된 순간의 기쁨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근심으로부터의 탈주를 도모한다. 문제는 이 모든 것이 상상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이다. 상상의 글쓰기는 이옥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근심에 찬 현실로부터 벗어나 기쁨과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는 한편 자신의 내면에 잠재한 욕망의 표출이며 동시에 탈주의 언어가 된다. Namryeongjeon is a Gajeon work that personifies tobacco and noteworthy in that it offers a peek 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iterature of Lee Ok devoted to Sopummun and at his psychological orientation. Lee wrote Namryeongjeon as a pastime to express his interest, to kill time as a habitual smoker, or a means of writing training.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ever, his interest in Gajeon. A fictional genre of literature that personified an object, Gajeon must have been the most appropriate literary style for Lee, who was spending suffocating and gloomy days in preparation of the state examination, to project his inner self. His experi- mental spirit for literary styles cannot be ignored, either. Namryeongjeon is in the structure of heroic epic about Namryeong, the personification of tobacco, and his adventure of driving away Chushim (apprehension) and seizing authority. Then what is the identity of Chushim driven away by him? It is not easy to delve into its identity, but it becomes clearer considering that his story is Lee Ok``s story about his apprehension and desire. Apprehension derives from desire, and Lee``s desire was oriented toward success in life. There is no specific content about the identity of Chushim in Namryeongjeon only with the word "thief." Written in the same period as Namryeongjeon, Seongo clearly shows where Lee``s worries were situated and offers some clues to check the specific patterns of his apprehension. He grieves over the possibility that he would not be utilized in the world and cries out his return to his home. His lamentation is the ultimate form of despair and apprehension to him, who had long prepared himself for the state exami- nation. Jemunshinmun offers a more solid sense about his worries over his sentences even though it was not written in the same period as Namryeongjeon. He reprimands himself in not being able to follow the needs of the times by writing sentences "that are not the poetry of Ting, the composition of Ming, the poetry of Du Fu, or the sentences of Su Dongpo" even though he composed a lot of writings for the 16 years he prepared himself for the state examination. The only way to go into governmentservice was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but his writings kept deviating from it and the reality before his eyes was far from soft. There was no end to his worries. Lee dreams of escape. He makes efforts to escape in the form of imaginary writing. The content of Namryeongjeon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parts: they are Namryeong``s suppression of the revolt and Cheongun``s criticism,which is much more expanded than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event and filled with descriptions about the praises and rewards for Namryeong. It reflects the author``s intention of actively expanding desire fulfillment and enjoying a state of happiness as much as possible. Repetitive enumeration of the same phrases and truthful depictions all support such effects actively. Lee attempts to escape from his apprehension by maximizing the happiness of the moment when his desire is realized through the beauty of expressions. The problem is that it all happens in his imagination. Imaginary writing is repeatedly used in Lee``s literature and helps him escape from the reality full of worries and experience another world filled with joy and satisfaction. It is the expression of his desire latent in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language of escape.

      • KCI등재

        Name-Based Autoconfiguration for Mobile Ad hoc Networks

        Namhoon Kim,강세훈,이영희,벤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 ETRI Journal Vol.28 No.2

        In a mobile ad hoc network, difficulties exist in supporting address autoconfiguration and naming resolution due to the lack of centralized servers. This letter presents a novel approach, called name-based autoconfiguration (NBA), which uses host names to determine IP addresses and provides address autoconfiguration and name resolution as a single protocol.

      • KCI등재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

        김남이(Nam-Yi, Kim)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8 No.-

        Yeonam Ji-Won Park is widely remembered as a practical scientist and as a author of social criticism. Until now, 'Yeonam' along with other Practical scientists, represented modern way of thinking and also hallmarked the existence of the 'novelist', which entails an independent literature. This work seeks to examine the mechanism in the context and circumstance in which 'Yeonam' had developed into a classic. Yeonam's contemporaries of the 18th century who had interchanged with him and experienced his writings and thoughts all agree that he "opened a new frontier". The impact that his creative style and thinking had seems to be much more significant than could be imagined now. His works had been Heavily cited and referenced not only because of its fresh ingenuity, but also due to the great amount of knowledge they held. In the year 1900, almost 100 years after Yeonam's death, Chang-gang Taek-Young Kim published Yeonamjip twice, branding himself as a writer and ancient writing scholar superior to Yeonam. Maechon Hwang Hyun, who composed his own works to coincide with the publication of Yeonamjip showed a breakthrough in understanding through the example of Yeonam that there is not an orthodox way to literary absolution. Around 1910, Nam-Seon Cheo started a movement to excavate, preserve, and distribute Chosun's classics and to him, Yeonam's classics represented the very essence of civilized Chosun, Nam-Seon Cheo started a movement to excavate, preserve, and distribute Chosun's classics of 1910 and to him. Yeonam's classics represented the very essence of civilized Chosun. course, this was based on a nationalistic ideology and served a practical purpose. The question of what it is of Yeonam's works constitute the value of classics, had not been addressed. During the period leading to the 1920's. the works of Yeonam, oft limited by its era and complex language, had been closely analyzed, proofread, punctuated and amended to a form easy to the public In the 1930's Korean literature scholar Ki-Moon Hong, through 7 papers commenting on Park Ji won's art and thoughts, cited Park as the best literary artist of the Chosun and the Chinese cultural area. Hong, elevated Yeonam from a "classicist" to "The Polaris of Chosun literature". Other of the 1930's In-Bo Jeong, Tae-Jun Kim definitely cited and expressed "Yeonam" the way Ki-Moon Hong did. Hong showed Yeonam as the greatest man of east asia emphasizing his harsh criticism and satire of society, and his folklore of Chosun. Tae-Jun Kim showed Yeonam as Chosun's literary master and as a modern literaty genious and novelist. This is when the idea of 'Yeonam', who we recognize as a nocelist and practical scientist, had been born.

      • KCI등재

        최남선의 “조선 민족”과 단군

        차남희 ( Nam Heev Cha ),이지은 ( Ji Eun Yi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4

        이 논문은 식민시기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의 민족 개념과 그 원형으로서의 “조선 민족”을 살펴본다. 특히 최남선은 민족을 어떻게 규정했는지, 그리고이 과정에서 단군 신화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최남선은 식민지상황에서 독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한다고생각하였다. 각 자가 한국인임을 자각하고 알게 될 때야 독립에 대한 의지가 확고해진다는 것이다. 최남선은 이를 “시간적 광복”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 최남선은”조선 민족”의 원형과 그 연원을 입증하려 하였다. 최남선은 민족을 종족성과 문화, 특히 종교와 언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최남선은 고대로부터의 민족을 상정하고, 이들이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단군 신화를 통해 “조선 민족”이 이주하여 고조선을 건국한 역사를증명하고자 했다. 단군은 조선의 민족성 중심에 있었고, 시조로서 “조선 민족”을실체화하는 구심점이었다. 최남선은 단군으로 말미암아 조선의 민중에게 잠재되어있는 “불함신앙”을 일깨우고, 개개인 모두가 자기 각성을 통해 “조선 민족”으로부활할 것을 기대하였다. 이것이 곧 “민족 완성”이며 조선의 독립을 가능하게 하는선결 조건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Choe Nam-Seon”s concept of the “Chosun nation” asthe archetype of Korean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w ChoeNam-Seon defines the nation and how he interprets the myth of “Dangun”-themythical figure who is believed to have founded the ancient Chosun,”Gochosun”. He argues that the first step to becoming independent from theJapanese rule is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because a strong desire forindependence results from a strong national identity as “the Chosun nation”. Byusing the myth of “Dangun,” he asserts that the “Chosun nation” has existed sincethe ancient period, “Dangun” has established “Gochosun”, and the nationalidentity has been succeeded to the presence. Therefore, Choe believed that thenational identity can be established through “Dangun” as the center of the”Chosun nation.” And he expected to make the people of Chosun aware of”Bulham faith” that was latent in them by “Dangun,” for he regarded it as theperfection of nation and a postulation for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