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연안의 바다뱀 출현 현황 및 연구 동향

        Il-Hun Kim,Jaejin Park,Jonathan J. Fong,Tein-Shun Tsai,Mamoru Toda,Ho Young Suk,Han-Gyu Bae,Mi-Sook Min,Young Se Hyun,Il-Seon Hwang,Hye Suck An,Woo-Jin Choi,Kyo-Soung Koo,Robert H. Kaplan,Jong-Nam Lee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7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7

        본 연구를 시작한 때(2012년)까지 한국 연안에는 진정바다뱀아과 내에 먹대가리바 다뱀(Slender necked sea snake, Hydrophis melanocephalus Gray, 1849), 얼룩바다뱀 (Annulated sea snake, Hydrophis cyanocinctus Daudin, 1803), 바다뱀(Yellow bellied sea snake, Pelamis platura (Linnaeus) 1766) 의 3종이 보고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도 감상의 출현기록에 그쳤을 뿐 국내 어디에서 표본 및 자료가 없는 실정이었다. 지속 적인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 등으로 한국 연안에 바다뱀의 출현가 능성이 높아지고, 연 중 서식 가능성도 추정되나 인적, 물적 한계로 인하여 관련연구 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우리는 바다뱀의 국내 연안에 실제적인 관찰 유무 및 개략적인 분포에 대한 정보 를 얻기 위하여, 바다뱀과 관련된 국내의 주요 기관 조사, 포털 사이트 검색 그리고 어민을 대상으로 전화 및 현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화설문 대상 자 145명의 19.3%인 28명, 인터뷰 대상자 153명의 34.6%인 53명이 직접 혹은 청문으 로 바다뱀을 관찰하였으며, 관찰한 지역은 주로 남해안과 제주도 인근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연구과정 에서 1종의 바다뱀(P. platurus)과 2종의 미 기록종의 사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종의 미 기록종은 사진 속 바다뱀들의 원통형 몸과 배비늘을 가지는 특 징에 근거 하여 우리나라에 보고된 사례가 없는 큰바다뱀아과 (Laticaudinae)내 큰바 다뱀속(Laticauda)에 속하는 종들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정바다뱀 아과와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 다 많은 종수의 바다뱀이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제주도 근해에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또한 자료 수집과정에서 1995년 8월 22일 부산 수영구에서 출현하여 보고된 먹대가리바다뱀의 사진자료를 확보하여 검토한 결과, 진정바다뱀이 아닌 큰 바다뱀아과(Laticaudiinae)의 특성인 넓은 배비늘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보한 13건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형태적인 분류를 수행한 결과, 비간판(internasal scales) 의 존재, 연푸른 체색, 가로로 나누어진 주둥이끝판(Rostral), "V"자 형태의 줄무늬 등 의 특성에 따라 넓은띠큰바다뱀(Chinese sea snake L. semifasciata Reinwardt in Schlegel, 1837)을 오동정 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직까지 한국 내에 보고 기 록이 없었던 큰바다뱀아과의 종이 30년 전에 최초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청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연안의 바다에서 바다뱀 분포에 대한 정보 및 샘플을 시민의 활동을 통해 확보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해안지역과 제주도에 제보 를 권하는 바다뱀 포스터와 현수막을 게시하고 제보를 접수하였다. 연구수행결과 2013년 3월부터 2017년 6월 사이 46건의 신뢰성 있는 제보가 접수되었다. 바다뱀(sea snake) 제보는 19건으로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접수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8-11 월 사이가 많았다. 총 3종 19건의 바다뱀 분포정보와 3종 14개체의 포획이 가능하였 다. 바다뱀의 오제보는 27건 이었는데, 육지뱀이 7건, 어류가 18건, 무척추동물과 사 물이 각 1건이었다.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을 활용한 효율적 바다뱀 조사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확보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한국 연안에서 공식적인 기록이 없었던 넓은 띠큰바다뱀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11월까지 확보된 3개체를 바탕으로 미기록종 보고 를 수행한 바 있다(Park et al. 2016). 이후 2016년 9월까지 제주도와 부산, 여수시 등 에서 12개체를 확보하였다. 연구 수행 중 어민을 통해 한국에 기록된 바 었던 좁은 띠큰바다뱀(Blue-banded Sea Krait Laticauda laticaudata Linneus, 1758)을 최초로 포 획하였다. 해당 개체는 2016년 10월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마라도리에서 어민에 의 해 확보되었다. 옆쪽으로 향한 콧구멍, 인근 비늘보다 넓은 배비늘, 수평으로 나누어 지지 않은 주둥이끝판, 두개의 앞이마판(prefrontals), 규칙적인 검은 줄무늬 등의 형 태적 특성에 따라 해당 종을 좁은띠큰바다뱀으로 분류하였고, mitochondrial cytochrome b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개체가 잘 알려진 좁은띠큰바다뱀의 Haplotype과 유전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7년 6월 22일 제주도 성산읍 에서 바다뱀(H. platurus) 1개체를 확보하였다. 형태적으로 주둥이 끝이 납작하고 새 의 부리를 닯았으며, 등면이 검고 배면이 노란색을 띄는 체색, 흰색바탕에 검은색 점 무늬를 가지는 꼬리 등의 특성에 따라 동정하였다. 바다뱀은 1956년 부산 초량 근해 에서 발견되어 보고된 후 공식기록은 전무한 실정이며, 다만 본 연구를 통해 2012년 7월 9일 제주도와 거문도 사이의 224-7해구에서 발견된 개체의 사진이 확보된 바 있 다. 이번 보고를 통하여 한국에는 5종의 바다뱀(바다뱀, 얼룩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온도의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바다뱀의 분포 확 산이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바다뱀의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서식범위를 밝 힐 계획이다. 특히 한국 연안은 열대성의 바다뱀의 서식범위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서식범위의 확인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 상위 분류군인 코브라과에서 큰바다뱀아과의 종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 기 위하여 한국, 일본, 필리핀, 대만에서 확보한 3종의 큰바다뱀아과(yellow-lipped sea kraits L. colubrina, 좁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중 4개의 코딩유전자(12S rRNA, 16S rRNA, ND4, Cytb)를 분석하였다. 확보 한 3종의 큰바다뱀아과 유전자를 GeneBank에서 획득한 아시아와 Australo- Melanesian 지역의 코브라과 55종의 유전자와 비교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3종의 큰 바다뱀아과 종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밝혔고, 큰바다뱀아과 3종의 계통분류 학적 관계와 분화시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 중 13개 코딩유전자 부위를 NCBI Genebank에서 확보한 육상 코브라과 5종, 살모사과(Family Viperidae) 1종의 유전자 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큰바다뱀속은 육상의 코브라에서 분화하였고, 아마 아 시안 대륙의 코브라에서 약 16.23 Mya 전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큰바다뱀속 3종의 mitogenome을 분석한 결과 3종 모두 13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protein coding genes), 22개의 tRNAs, 12s rRNAs, 16s rRNAs 와 2개의 control region을 가 졌으며, 염기서열 크기는 17,170에서 17,450 사이로 밝혀졌다. mitogenome 분석결과 L. colubrina 는 넓은띠큰바다뱀보다 좁은띠큰바다뱀과 유전적으로 최근에 분화되었으 며, 3종의 큰바다뱀은 8 ~ 10 Mya 전 사이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는 향후 큰바다뱀속 종들의 집단분석을 위하여 454 sequencing 기법을 이용하 여 얻어진 65,680개의 microsatellite 서열로부터 21개의 다형성 microsatellite marker 를 개발하였다. 21개 다형성 마커를 이용하여 넓은띠큰바다뱀(한국, 일본, 대만 등에 서 채집된) 36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좌위당 대립유전자의 종류는 평 균 7.38개였고, 예측 이형접합도와 관측 이형접합되는 각각 0.73과 0.76 이었으며, 마 커의 다양성 정보 함량 (PIC)는 평균 0.7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넓은띠큰바다뱀에 서 개발된 21마커를 이용하여 큰바다뱀아과의 2종(L. colubrina, 넓은띠큰바다뱀)에 대 한 교차적용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78.6%의 높은 교차적용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 해 넓은띠큰바다뱀를 비롯한 큰바다뱀아과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유전학적 분석 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뱀의 종 및 분포를 확인하고, 출현한 개체를 대상으로 유전적 분화과정을 규명하며, 향후 연구를 위한 다형성 microsatellite marker를 개발하였다. 지속적인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열대 혹은 아열대성 바다뱀이 지속적으로 북상하고, 한국 연안에 정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우리는 지속적으로 바다뱀 출현을 모 니터링하고, 관리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개발된 마커를 이용하여 한국과 인접 국(대만, 일본, 중국, 필리핀 등)의 개체군관 집단분석을 통해 바다뱀의 유입에 대한 실체적인 규명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 (No. 2014R1A14A01005302)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사업 (2017M01200, 2017M0200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 Reversible and Irreversible Responses of Defect-Engineered Graphene-Based Electrolyte-Gated pH Sensors

        Kwon, Sun Sang,Yi, Jaeseok,Lee, Won Woo,Shin, Jae Hyeok,Kim, Su Han,Cho, Seunghee H.,Nam, SungWoo,Park, Won Il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6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8 No.1

        <P>We have studied the role of defects in electrolyte-gated graphene mesh (GM)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by introducing engineered edge defects in graphene (Gr) channels. Compared with Gr-FETs, GM-FETs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large increments of Dirac point shift (similar to 30-100 mV/pH) that even sometimes exceeded the Nernst limit (59 mV/pH) by means of electrostatic gating of H+ ions. This feature was attributed to the defect-mediated chemisorptions of H+ ions to the graphene edge, as supported by Raman measurements and observed cycling characteristics of the GM FETs. Although the H+ ion binding to the defects increased the device response to pH change, this binding was found to be irreversible. However, the irreversible component showed relatively fast decay, almost disappearing after 5 cycles of exposure to solutions of decreasing pH value from 8.25 to 6.55. Similar behavior could be found in the Gr-FET, but the irreversible component of the response was much smaller. Finally, after complete passivation of the defects, both Gr-FETs and GM-FETs exhibited only reversible response to pH change, with similar magnitude in the range of 68 mV/pH.</P>

      • KCI등재

        셀레콕시브 및 그 합성유도체들의 항암활성 스크리닝

        박정란,강진형,구효정,노지영,류형철,박상욱,고동현,조일환,이주영,황다니엘,김인경 한국약제학회 2003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3 No.2

        Selective COX (cyclooxygenase)-2 inhibitors including celecoxib have been shown to induce apoptosis and cell cycle changes in various tumor cells. New inhibitors are recently being developed as chemomodulating agents. We evaluated celecoxib and screened 150 synthetic compounds for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vitro. Effects of celecoxib on COX activity, cell growth, cell cycle distribution, and apoptosis induction were determined in A549 COX-2 overexpressing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ells. The COX inhibition of celecoxib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up to 82% at 1μM after 24 hr exposure. Forty μM and 50μM of celecoxib induce G_1 arrest, and TUNEL-positive apoptotic cells, respectively. Among 150 compounds, several compounds were selected for having greater COX-2 inhibitory activity and higher selectivity than celecoxib with growth inhibitory activity. Celecoxib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COX inhibitory activity, and ability to induc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NSCLC cells in vitro. Among synthetic analogues screened, several compounds showed promising in vitro activity as COX-2 inhibitory anticancer agents, which warrant further evaluation in vitro and in vivo.

      • SCISCIESCOPUS

        Novel amine-functionalized iron trimesates with enhanced peroxidase-like activity and their applications for the fluorescent assay of choline and acetylcholine

        Valekar, Anil H.,Batule, Bhagwan S.,Kim, Moon Il,Cho, Kyung-Ho,Hong, Do-Young,Lee, U-Hwang,Chang, Jong-San,Park, Hyun Gyu,Hwang, Young Kyu Elsevier 2018 Biosensors & Bioelectronics Vol.100 No.-

        <P><B>Abstract</B></P> <P>We herein describe novel amine-grafted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natural peroxidase enzyme and their applications for a fluorescent assay of choline (Cho) and acetylcholine (ACh). Among diverse amine-functionalized MOFs, <I>N</I>,<I>N</I>,<I>N</I>′,<I>N</I>′-tetramethyl-1,4-butanediamine (TMBDA)-functionalized MIL-100(Fe) (TMBDA-MIL-100(Fe)) exhibited the highest peroxidase activity by developing intense fluorescence from Amplex UltraRed (AUR) in the presence of H<SUB>2</SUB>O<SUB>2</SUB>, which was presumably due to the synergetic effect of the enhanced negative potential and precisely controlled molecular size of the grafted diamine. Based on the excellent peroxidase-like activity of TMBDA-MIL-100(Fe), choline and ACh were reliably determined down to 0.027 and 0.036µM, respectively. Furthermor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is strategy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by detecting choline and ACh in spiked samples of milk and serum, respectively. This work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amine-grafted MOFs for the preparation of biomimetic catalysts, extending their scope to biosensor applications.</P> <P><B>Highlights</B></P> <P> <UL> <LI> Various aliphatic diamines were grafted on coordinatively unsaturated metals sites of MIL-100(Fe) and subjected for peroxidase-like activity. </LI> <LI> Based on the excellent peroxidase-like activity of AFM, a simple and sensitive fluorescent detection of choline and acetylcholine was successfully performed. </LI> <LI> Effectively determined choline and acetylcholine levels in real samples of milk and serum, respectively. </LI> </UL> </P>

      • 알쯔하이머병의 단일 광전자 방출 뇌전산화 촬영에서 전형적인 유형과 관계를 보이는 요인

        곽용태,한일우,방오영,박찬희,구민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최근 기능적 영상진단의 발전은 치매 환자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중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SPECT ;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은 알쯔하이머 병의 특징적인 양측 두정측두엽의 혈류 감소를 보이므로 알쯔하이머 병의 진단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알쯔하이머병의 SPECT 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에 있어서 SPECT 검사의 유용성 및 알쯔하이머병에서 전형적인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방 법 : NINCDS-ADRDA진단 기준에 의거한 probable AD환자 26명을 대상으로 SPECT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14명은 전형적인 SPECT 소견을 보였으며 나머지 12명은 비전형적인 SPECT소견을 보였다. 치매의 정도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에 의하여 결정하였고 SPECT소견은 2명의 핵의학과 전문의의 합의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판독하여 분석하였다. SPECT의 전형적인 소견과 연관이 있는 요소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판별함수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알쯔하이머 환자에서 SPECT의 민감도는 53.8%이며, 조기 발병군의 경우에는 민감도가 76.9%이었다. 알쯔하이머의 전형적인 형태인 양측성 두정측두엽에 혈류량이 감소한 경우는 조기 발병군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이외에 이환기간, 교육정도, 성,병의 진행정도, 아포지단백E등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 : SPECT검사의 민감도는 높지 않으나 이를 조기 발병군에서만 적용하였을 경우 그 임상적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조기 발병군에서 SPECT검사의 민감도가 만기 발병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아 알쯔하이머병이 단일하지 않고 이질적인 집단의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SPECT검사가 알쯔하이머병의 진단뿐 아니라 병태생리적 기전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정량화와 많은 중례를 확보하여 이에 대하여 좀더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During the past few year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rain imaging techniques has allowed to describe brain impairment in cognitive disorders. Among them, based on the observation of bilateral parietotemporal hypoperfusion in Alzheimer's disease(A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is advocated by some as powerful diagnostic tool in the evaluation of demented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PECT in the diagnosis of AD and to clarify the associated factors of parietotemporal hypoperfusion, the typical SPECT pattern of Alzheimer's disease(AD). Methods : We reviewed the SPECT scans of 26 patients fulfilling NINCDS-ADRDA criteria for probable AD, 14 with typical pattern of SPECT and 12 with atypical pattern of SPECT. Dementia severity was assessed by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age interpretation was done visually by the consensus opinion of 2 experienced nuclear medicine physicians who were blind to clinical information. To estimate the association of typical pattern of SPECT with other variables of interes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Though the overall diagnostic sensitivity of SPECT in AD was 53.8%, it was 76.9%, in early-onset AD patients. Typical pattern of SPECT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early onset on the symptoms. Duration of symptoms, duration of education, se, severity of disease was not associated with this SPECT pattern. Conclusion : These findings may be useful in the clinical setting and point to heterogeneity of AD according to age at onset.

      •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Mechanical Allodynia in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Hwang, Byung-Gil,Min, Byung-Il,Kim, J.H.,Na, H.S.,Park, D.S. 경희대학교 2001 INTERNATIONAL SYMPOSIUM ON EAST-WEST MEDICINE Vol.2001 No.1

        The analgesic effects of acupuncture on mechanical allodynia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first, to determine if electroacupuncture(EA) effects to the mechanical allodynia using the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and secondly, to examine if these effects may be mediated by endogenous opioid . To produce neuropathic pain, under sodium pentobarbital anesthesia, the right superior caudal trunk was resected between the S3 and S4 spinal nerves. After the surgery, the mechanical allodynia was assessed by stimulating the tail with von Frey hair (2.0g) for 21 days. Twenty one to 35 days after the surgery, low frequency stimulation (2Hz, 0.3ms, 0.07mA) was delivered for 30 minutes, to Houxi (SI3), which is located on the forelimb of a rat. Houxi electroacupuncture(H£≠EA) relieved the behavioral signs of mechanical allodynia. These relieving effects were prevented by pretreatment with naloxone(2mg/kg, i.p.). The results suggest that low frequency (2Hz) EA can control the mechanical allodynia of neuropathic pain through the activation of endogenous opioid systems.

      • SCIE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 : Comparison of the Eradication Rate between 1- and 2-Week Bismuth-Containing Quadruple Rescue Therapies fo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 Jai Hoon Yoon ),( Gwang Ho Baik ),( Yeon Soo Kim ),( Ki Tae Suk ),( Woon Geon Shin ),( Kyung Ho Kim ),( Kyoung Oh Kim ),( Cheol Hee Park ),( Il Hyun Baik ),( Hyun Joo Jang ),( Jin Bong Kim ),( Sea H The Editorial Office of Gut and Liver 2012 Gut and Liver Vol.6 No.4

        Background/Aims: First-line therapie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cluding proton pump inhibitors (PPIs) plus two antibiotics, may fail in up to 20% of patients. ``Rescue`` therapy is usually needed for patients who failed the first-line treatment. This study evaluated the eradication rate of bismuth-containing quadruple rescue therapy over a 1- or 2-week period.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69 patients with a persistent H. pylori infection after the first-line triple therapy, which was administered from October 2008 to March 2010.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a 1- or 2-week quadruple rescue therapy (pantoprazole 40 mg b.i.d., tripotassium dicitrate bismuthate 300 mg q.i.d., metronidazole 500 mg t.i.d., and tetracycline 500 mg q.i.d.). After the ``rescue`` therapy, the eradication rate, compliance, and adverse eve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1-week group achieved 83.5% (71/85) and 87.7% (71/81) eradication rates in the intention to treat (ITT) and per-protocol (PP) analyses, respectively. The 2-week group obtained 87.7% (72/84) and 88.9% (72/81) eradication rate in the ITT and PP analyse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 patient compliance or rate of adverse event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One-week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can be as effective as a 2-week therapy after the failure of the first-line eradication therapy. (Gut Liver 2012;6:434-43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