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씨 앞방각측정법의 임상적 유용성

        강신희,박기호,홍철,김동명,Shin Hee Kang,M,D,Ki Ho Park,M,D,Chul Hong,M,D,Dong Myoung Kim,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3

        Purpose: To compare the Hong`s grading method, utilized for slit-lamp grading of the mid-peripheral angle, with other conventional grading methods. Actual angle was measured by ultrasound biomicroscopy (UBM) for comparison. Methods: Fifteen eyes with narrow angles and eighteen eyes with wide angles were studied. The average age of thirty-three subjects was 46.8±19.2,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3.7. The mid-peripheral angle was graded by Hong`s, van Herick`s and Spaeth`s grading system. The actual anterior chamber angle was evaluated by UB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grading system and actual angle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Hong`s grading (r=0.802, R2=0.643, p<0.01), Spaeth`s grading (r=0.728, R2=0.530, p<0.01) and van Herick`s grading (r=0.618, R2=0.382, p<0.01) method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actual angles. Conclusions: The Hong`s grading method was an easy and effective tool to evaluate anterior chamber ang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Hong`s grading method were closer to the actual angle than the other methods.

      • Investigation of the April 2000 forest fire damage in Kang-won Province, Korea, using RADARSAT data

        Kang, Sung Chul,Seo, Jin Won,Lee, Tae Hee,Park, Sang Eun,Hong, Suk Young,Moon, Wooil M. 대한원격탐사학회 2000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Vol.16 No.1

        The series of forest Fires in Kangwon Province in April, 2000, were one of the mast serious ones in the Kang-won Province in recent years. The fire damaged areas are extensive a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tility of the satellite image data, particularly the RADARSAT SAR data.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d evaluation of potential usefulness of the C-band RADARSAT data in the detection of forest fires in mountainous areas. Among several fire damaged sites, the area near Samchuk (city) was selected as the main study area and mufti-temporal RADARSAT(raw) data were acquired and the processed result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with the IRS-1c data acquired shortly after the fire. To identify the burnt area from the undamaged background in the optical imagery,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NDVI processing were carried out and tested with the IRS-1C data. For this experiment, several sets of raw RADARSAT standard and Fine mode (S4, F3, ascending orbit) data were processed and the final image was formed. In addition to the final image, sigma nought (σ°) was catnputed and compared for the burnt area against the undamaged areas. Because of the steep slopes in the study area and subsequent deviation from the flat surface scattering models, the fire scars in the sigma nought (σ°) image were not apparent. However, fire scars are slightly detected in the difference and ratio images obtained from the signal intensity data acquired at different dates (bath before and after fire). Texture analysis of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burnt areas were carried out using the Multiplicative Markov Random-Field (MMRF) algorithm. The detection of the fire damaged area from both standard mode and fine mode RADARSAT was not as straightforward as in optical data. However, Previous studies with ERS-1 S_AR and RADARSAT data in Indonesia and in the North American Plains indicate that C-band SAR data provide us with an effective tool for studying the forest fire damages. However, the application of C-band SAR data to the analysis of the forest fire areas requires careful processing of the data with realistic scattering models.

      • KCI등재

        야쿠트어 폐쇄자음 연구-러시아어 차용어휘 분석-

        강덕수 ( Duck Soo Kang ),김지선 ( Jee Sun Kim ),홍준희 ( Jun Hee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7 언어와 언어학 Vol.0 No.39

        Duck-soo Kang.Jee-sun Kim.Jun-hee Hong. 2007. A Study of Obstruents in Yakut through Analysis of Borrowed Words from Russian. Language and Linguistics 39, 1-16.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raints in Yakut is connected with syllabic structure. Its syllabic structure is based on CV. So the constraint of "NoGeminates" is strictly applied. And the harmony between feature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Yakut has the strict constraint on the phonotactical relations. In Yakut a feature [constricted glottis] works more vigorously than [voiced]. This feature is combined with a feature [+back] or [+lab], making new constraints on the initial place: *#[+back, -CG], *# [+lab,+CG]. Finally, consonantal assimilation in obstruents of Yakut is dominated by 2 lows of constraints. VowelHarmony >> Ident-CV[pl] >> NCP >> *[+palatal]# >> Ident-IO; *#[+back, -cont][+back,-high] >> *#[+back,-CG], *# [+lab,+CG] >> [+cont] >> NoGem >> Ident-IO >> *[+voiced]#

      • SCOPUSKCI등재

        연부조직육종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결과

        김연실(Yeon Shil Kim),장홍석(Hong Seok Jang),윤세철(Sei Chul Yoon),유미령(Mi Ryeong Ryu),강기문(Ki Moon Kang),정수미(Su Mi Chung),김훈교(Hoon Kyo Kim),강용구(Yong Koo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 적 : 최근들어 연부 조직 육종의 치료방법이 광범위 구획절제에서 사지기능을 보존하는 제한적 수술과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다병용치료로 변환되고 있으며 광범위 수술과 유사한 치료성적을 거두고 있다. 저자들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연부 조직 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 및 실패 양상을 알아보고 관련된 예후 인자를 분석하여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1983년부터 1994년까지 치료한 60명이었고 모두 추적관찰이 가능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50개월이었다. 원발병소는 상·하지가 35례(58%)로 가장 많았고 체간 12례(20%), 두경부 7례(12%)였으며 병리학적 유형에 따른 구분은 악성섬유구종 14례(23%),지방육종이 10례(17%), 악성신경섬유종 7례(12%) 등 이었다. 전체환자중 6례를 제외하고는 조직학적등급의 분석이 가능했고 grade I, II, III가 각각 27례(45%), 3례(5%), 24례(40%)였다. 수술적 절제는 19례(32%)에서 광범위절제, 36례(60%)에서 변연절제, 5례(8%)에서 국소절제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28.8- 80Gy였고 25례에서 방사선치료와 함께 항암화학 요법을 병용하였다. 결 과 : 최종분석 시 실패 양상은 국소재발이 20례(25%), 원격전이 7례(12%), 국소재발과 원격전이를 동반한 경우가 14례(23%)였다. 원격전이한 환자는 구제치료와 상관 없이 모두 사망하였고 국소재발한 환자중 5명이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전체환자의 2년 및 5년 국소제어률은 68.0%와 48.7%로 비교적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국소제어율에 영향을 미친 예후인자는 조직학적 유형, AJCC 병기, 조직학적 등급, 수술의 범위, 수술절연 침범 유무 및 잔존종양 정도, 림프절 전이 유무(p <0.05)였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률과 5년 무병생존률은 각각 60.4%, 36.6%였고 평균 생존기간은 89개월이었다. 단변량 분석에 의한 생존률에 영향을 미친 예후인자로는 조직학적 유형, AJCC 병기, 림프절 전이 유무, 조직학적 등급, 수술절연 침범 유무와 잔존 종양 정도 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연부 조직 육종에서 제한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로 비록 저조한 국소제어률을 보였으나 사지 절단 혹은 광범위 구획절제와 비교시 유사한 생존률을 얻었다. Purpose : The major goal of the therapy in the soft tissue sarcoma is to control both local and distant tumor. However, the technique of obtaining local control ha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few decades from more aggressive surgery to combined therapy including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soft tissue sarcoma and its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1983 and June 1994, 60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omplete follow up was possible for all patints with median follow up duration 50 months (range 6 - 162 months). There were 28 male and 32 female patients. Their age ranged from 6 to 83 with a median of 44 years. Extremity (58%) was the most frequent site of occurrence followed by trunk (20%) and head and neck (12%). Histologicall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23%), liposarcoma (17%), malignant schwannoma (12%) constitute 52% of the patients. Daily radiation therapy designed to treat all areas at a risk for tumor spread upto dose of 4500-5000 cGy. A shrinking field technique was then used and total 55-65 Gy was delivered to tumor bed. Twenty-five patients (42%) received chemotherapy with various regimen in the postoperative period. Results : Total 4 1 patients failed either with local recurrence or with distant metastasis. There were 29 patients(48%) of local recurrence. Four patients (7%) developed simultaneou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nd 8 patients (13%) developed only distant metastasis. Local recurrence rate was rather higher than of other reported serie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of gross residual, recurrent cases after previous operation, trunk and head and neck prima ry. This feature is like ly explanation for the decreased loca l control rate . Five of 29 patients who fa iled only loca lly were salvaged by re- excis ion and/or re- irradiation and rema ined free of disease . Factors affecting loca l control include histologic type , grade, stage , extent of operation and surgica l ma rgin involvement, lymph node metastas is (p <0.05). All 21 patients who fa iled distantly are dead with progress ive disease at the time of this report. Our overall survival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larger series . Actuarial 5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survival were 60.4 %, 36.6% respectively. Grade, stage (being close association with grade), residual disease (negative ma rgin, microscopic, gross) were significant as a predictor of survival in our series (p <0.05). Conclusion :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btained 5 year survival rate comparable to that of radical surgery.

      • KCI등재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두 가지 수술적 치료군 간의 결과 비교: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 비교

        허성식 ( Sung Sik Ha ),심재천 ( Jae Chun Sim ),홍기도 ( Ki Do Hong ),김재영 ( Jae Young Kim ),강정호 ( Jung Ho Kang ),박광희 ( Kwang Hee Park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총 68예의 쇄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금속판을 이용한 33예, Steinmann pin을 이용한 35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결과 판정은 강 등의 기준에 의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기간으로 하였고, 수술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의 예가 금속판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3예 중 29예로 88%, Steinmann pin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5예 중 32예로 91%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골유합 시기는 각각 평균 8.9주와 9.1주였고, 수술 시간은 금속판 군에서 평균 72분, Steinmann pin 군에서 평균 18분이었다. 결론: 성인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금속판을 이용한 수술 군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에서 수술 시간 및 회복기간의 감소로 인하여 경제적인 면과 수술반흔의 감소에 따른 미용적인 면에서 더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the plate and percutaneous reduction by towel clip and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 for clavicle shaft fractures in adult.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tudied the results in 33 cases with the plate. 35 cases with the Steinmann pin among total 68 cases of clavicle shaft fractur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over a period of at least 12 months. The final postoperative outcome was analyzed with the clinical outcomes using Kang`s criteria. radiological union time and operation time. Results: The clinical outcome that was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Kang`s criteria showed a distribution of 88%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ith 29 cases out of total 33 cases. 91% in the group using the Steinmann pin with 32 cases out of total 35 cases. The mean radiological union time was 8.9 week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9.1 week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The mean operation time was 72 minute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hereas was 18 minute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adult clavicle shaft fracture. two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However, the operation tim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recovery was significantly shorter and faster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Additionally economic and cosmetic aspect was more satisfactory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정남식,홍기도,하성식,박성준,강정호,심재천,Chung, Nam-Sik,Hong, Ki-Do,Ha, Sung-Sik,Park, Sung-Joon,Kang, Jung-Ho,Sim, Jae-Che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5 No.1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정복술 후 LCP를 사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L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금속내 고정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최종 평가는 방사선 결과와 fang s criteria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9.3주에 모든 예에서 지연유합 없이 골유합 되었으며 임상적으로 Kangs criteria에 따라 구분한 결과, 우수 이 상이 22례로 나타났다. 특히, 견관절 운동은 상완골 골절이 동반된 두 경우를 제외한 24례에서 2.9주내에 정상 범위로 빠른 회복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견관절 운동 장애 2례, 수술 절개 부위의 켈로이드 형성 1례였으며 그 이외에 다른 주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금속내 고정술은 기존의 금속판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골유합과 조기 견관절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라고 사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 after open reduc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displaced clavicular shaft fractu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 of the patients who were managed with the LCP for internal fixation after open reduction has been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6 cases with a displaced clavicular shaft fracture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after open reduction between May 2003 and November 2004.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six months period, and final postoperative outcome was evaluated using clinical results based on Kang's criteria, radiologic signs of fusion. Results: All fractures united by an average of 9.3 weeks without delayed union and showed fast recovery of motion fraction and shoulder function. In addition,24 cases without the fractures of proximal humerus recovered to normal range of shoulder notion within 2.9 weeks. Clinically, according to Kang's criteria, the outcome was good or better in 22 patients. The complications included shoulder joint dysfunction in two cases and keloid formation in one case, and no other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internal fixation using LCP for the treatment of displaced clavicular shaft fracture is a safe, reliable method of treatment, with few complications, and offers rapid recovery of shoulder joint function and bone union.

      • 장애인 고용인식개선을 위한 EDI 행동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강용주,박자경,진홍섭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8 연구개발 Vol.-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wareness program for employers, HR managers an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suitable in a working environment. The EDI Hang-do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merican Windmills Program and remodified through test pilots and advisory meetings to be appropriate for Korean culture.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DI Hang-dong Program, two pilot tests were conducted.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employers, HR managers, and vocational counselors. 14 people participated in the first pilot test and 1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econd. The pre- and post- effects of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Siller's(1969) Disability Factor Scale using the seven attitudinal factor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five grade level was used for measuring the satisfactory level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program. As a result, the EDI Hang-do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6 factors. In addition, the overall satisfactory level of the program was 4.23, satisfactory for operations was 4.64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program measured 4.50. 개정된「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2008년부터 사업주는 장애인의 채용 확대와 안정적인 근무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는 채용과정이나 직장생활 중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차별을 예방하여 장애인에 대한 새로운 고용과 고용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는 최근 지역사회 내 재활기관과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을 소개하여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높이거나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원활한 통합교육을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는 만큼 고용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고용현장에서의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은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뿐 아니라 작업현장과 직무특성, 개별장애인의 직업능력을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장애 인식개선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주, 인사담당자, 비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현장에 적합한 장애 인식개선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EDI 행동프로그램'은 사업주,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장애 인식개선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는 미국 Windmills 프로그램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EDI 행동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Windmills 프로그램을 국내에 적용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치고 직업재활전문가를 대상으로 시범적용을 하였다. 그리고 자문회의와 시범적용 결과를 토대로 Windmills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과 운영방식을 수정하여 'EDI 행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요 수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도록 프로그램의 명칭과 세부 과정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둘째,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매뉴얼을 진행자 카드 형태로 변경하고 각 과정별 필요한 자료들을 시각자료로 제시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세부 과정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제1과정 '공감'에서는 장애가 있는 카드 수를 추가하였고 제2과정 '경험 나누기'에서는 우리나라 장애 출현율 등 장애에 대한 기본 자료를 포함시켰다. 제4과정에서는 장애와 직업선택, 직무기술서 작성, 장애정보제공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했다. 제9과정에서는 장애인 근로자 사례를 추가했다. 이와 같은 수정을 거친 'EDI 행동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과정 '공감'은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뽑고 카드의 지시대로 자기소개를 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감정이입을 하도록 한 후 토론을 통해 장애가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장애에 대한 직업적 편견을 해소하도록 구성되었다. 제2과정 '경험 나누기'는 참여자가 자기소개를 하면서 장애와 관련된 경험을 나누고 토론함으로써 장애 문제가 타인의 문제가 아닌 '나', 또는 '우리'의 문제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제3과정 '소문'은 다섯 명의 참여자가 장애인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 다른 참여자는 장애인에 대한 이야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한다. 그 후 참여자들의 집단토론을 통하여 장애에 대한 왜곡과 과장, 부정적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인식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제4과정 '장애와 직업'은 직업유형과 장애유형을 제시하고 참여자들이 적합한 직업과 장애를 매칭해 봄으로써 참여자가 개인의 직무능력을 고려해 직업을 선택하지 않았음을 깨닫게 하고 장애 자체보다는 직무수행능력을 고려해야 함을 인식하게 한다. 제5과정 '퀴즈'는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인과의 첫 만남, 면접과정에서의 에티켓, 평소 장애에 대해 가지는 편견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고 이를 토론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편견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제6과정 '장애 선택하기'는 참여자가 장애를 가지게 된다면 어떤 장애를 선택할 것인지 응답하고 그 이유를 토론해 봄으로써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장애에 대한 무지나 단순한 감정적 반응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제7과정 '솔직한 질문'은 평소 궁금했지만 직접 질문하기 어려웠던 장애에 대한 의문을 카드에 적어 제출하고 올바른 답변에 대한 집단토론을 실시하여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정보부족을 해소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제8과정 '만남'은 실제 장애인이 패널로 참여해 참여자들과 질의응답, 상호토론 실시하는 것으로 장애인의 현실적인 불편함을 이해하고 장애인에 대한 막연한 공포, 잘못된 인식을 해소하는 과정이다. 제9과정 '누구의 잘못'은 가상의 사업체에서 장애인근로자가 사업장 동료, 상사와 갈등을 겪는 상황을 제시하고 참여자간 토론을 통해 책임여부와 해결방법을 논의하게 한다. 이는 실제 장애인 고용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제10과정 '편의제공'은 특정 장애유형에 대한 편의제공을 위하여 사업장 부서별(인사, 생산, 교육, 시설)로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그룹토론 실시하게 하여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정당한 편의제공이 장애유형, 사업체 부서에 따라 다양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편의제공 방법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EDI 행동프로그램'의 적합성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문가 자문회의와 2회에 걸친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시범사업은 사업주, 인사담당자, 그리고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1차에 14명, 2차에 16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1차는 'EDI 행동프로그램'의 '공감', '소문', '퀴즈', '장애 선택하기', '누구의 잘못'으로 구성하였으며, 2차는 '경험나누기', '장애와 직업', '솔직한 질문', '편의제공'으로 구성하였다. 장애 인식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iller(1967) 등이 개발하고 신희선(2006)이 사용한 장애태도요인(Disability Factor Scale, DFS)을 사용하여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였다. DFS는 7개 요인을 지닌 척도로 장애에 대해 '무조건 거부', '장애발생 두려움', '추론된 정서장애', '타 기능 제한', '적응 제한', '친밀관계 거부', '접촉 시 긴장'을 측정하여 참여자들의 장애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오해 그리고 공포를 알아보는 데 적합하다. 시범사업 결과 'EDI 행동프로그램'은 장애에 대한 무조건 거부(p<.01), 장애 발생 두려움(p<.05), 추론된 정서장애(p<.001), 타 기능 제한(p<.001), 친밀관계 거부(p<.05), 접촉 시 긴장(p<.01)에서 유의미한 인식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 만족도, 운영 만족도 그리고 타인 추천의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만족도와 추천의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 만족도 4.23, 운영 만족도 4.64, 추천의도 4.50으로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EDI 행동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진행자 선발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관해 기술하였다. 진행자 선발과 교육에 있어서 'EDI 행동프로그램'은 진행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장애와 직업에 대한 지식과 실무경험이 요구된다. 따라서 'EDI 행동프로그램' 진행자는 직업재활 관련학과(사회복지학과, 직업재활학과, 심리학과 등)를 졸업하고 직업재활 실무경력이 최소 3년 이상의 실무자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행자 교육과정은 장애 및 직업에 대한 이해,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이해, 정당한 편의제공에 대한 이해과정과 자기표현 및 집단상담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장애 인식개선 진행자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의 전문요원으로 인정하여 자격증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EDI 행동프로그램' 운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진행자가 소속된 기관 내에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사업체를 방문하여 교육을 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 과정에서는 프로그램 실시기관에서 교육기간 및 내용을 정하고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정은 사업체를 방문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교육 사업체와 충분한 협의가 사전에 필요하다. 또한 지역 사회 내 'EDI 행동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기관이 여럿 일 때는 기관간 협조를 통하여 교육기간과 과정을 조정함으로써 많은 사업체에서 원하는 날짜에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EDI 행동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과 진행자 능력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프로그램 보조 진행자는 실시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향후 진행자 간담회를 통하여 전체 진행자의 능력과 프로그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정신병동에 입원한 중학생환자의 임상적 고찰

        홍강의,최형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2 신경정신의학 Vol.21 No.4

        저자들은 사춘기에 시작되는 초기 청소년기의 정신장애가 어떠한 특징을 가졌는지를 알기위해 1979년 7월1일부터 1981년 12월 31일까지 2년 6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에 처음 입원하였던 중학생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사회환경적 요인을 조사했고 이들중 추적 가능한 20명의 퇴원후의 경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단분포에서는 정신분열병 29.4%, 정신분열병양장애 17.6%, 주요정동장애 8.8%로 정신병에 해당하는 환자는 55.8%였으며 그외에 신체형장애 23.5%, 성격장애 8.8%, 적응장애 8.8%, Tourette장애 2.9%였다. 2. 증상의 유형은 행동증상이 50%에서 나타나 제일 높은 빈도를 보였고 불안, 우울등의 정서증상, 대인관계장애, 신체증상, 수면장애등의 순위였다. 3. 형제출생 순위는 맏이와 외동이 61.8%였으며 부모와의 관계는 반수 정도에서 원만치 못하였는데 아버지에게는 주로 무관심하거나 피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반면 어머니에게는 반항적이거나 피하는 태도를 나타내었다. 이들 부모의 관계는 79.4%에서 원만치 못하였고 4촌이내의 친척에서 정신병력이 있는 경우는 20.6%였다. 4. 대상의 70%에서 발병전 1년이내에 주요 생활변화가 있었는데 부모와 별거 26.5%, 가족내에 큰 질병 20.6%, 경제적 파탄 11.8%, 전학 11.8%였다. 5. 퇴원후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경우는 20명이었고 추적 불가능한 14명은 주소불명 10명, 해외거주 3명, 뇌종양을 신체형장애로 오진받았다 퇴원후 사망한 1명이었다. 6. 추적 조사결과 정신분열병, Tourette장애, 성격장애(경계선성격장애)등에서는 결과가 좋지 않았던 반면 정신분열병양장애, 정동장애, 신체형장애에서는 비교적 경과가 좋았다. 퇴원후 학업을 중단한 경우는 7명으로 정신분열병 3명, 정신분열병장애 1명, 정동장애 1명, 성격장애 1명, 적응장애 1명이었다. 이들중 정신분열병장애 1명은 재입원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았고 적응장애 1명도 2번의 재입원이 있었던 점으로 정신병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퇴원후 가족과의 관계는 반수에서 개선되었다. 7. 결론적으로 사춘기와 초기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시기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학적인 급격한 변화와 관련되어 주요 정신장애가 호발되는 시기로 임상가의 관심을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clinical feature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34 early adolescents, who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ward for the first time from July 1979 to December 1981. Inpatient charts of the subjects were reviewed in detail. A follow-up study was carried out and it was possible to locate 20 subjects who were visited or telephon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post-discharge adjus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agnostic distributions were the schizophrenics(29.4%), somatoform disorders(23.5%), schizophreniform disorder(17.6%), affective disorder(8.8%), Tourette disorder(2.9%). 2. The most frequent presenting symptom was behavioral symptoms and the nexts were emotional symptom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omatic complaints, sleep problems in order of frequency. 3. 61.8% of the subjects was the first or only child. Nearly a half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fathers were indifferent or avoidant, in contrast, they were indifferent or resistant and rebellious to their mother. Almost 80% of the subjects parent had some form of marital problems. A family history of psychosis was found in 20% of the subjects. 4. 70%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major life change within 1 year prior to admission. They were separation from parents(26.5%), illness in family member(20.6%), economic bankruptcy (11.8%), change of school(11.8%). 5. 20 subjects were able to be located for the follow-up study and 14 subjects couldn't be interviewed because of unknown address (10), imigration (3) and one subject died from brain tumor who were misdiagnosed as hysterical conversion. 6. The follow-up assessment revealed that schizophrenics, Tourette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id not do well at all after discharge while schizophreniform disorder, affective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showed satisfactory adjustment 7 subjects (3 schizophrenics. 1 schizophreniform disorder, 1 affective disorder, 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 adjustment disorder) were not attending to school at the time of follow-up study.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mproved in the half of the cases. One subject originally diagnosed as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the other as adjustment disorder during admission appeared to be schizophrenics at the time of follow-up study. 7. In conclusion, junior high school period, corresponding to puberty and early adolescence, is the period in which major psychiatric disorders can occur frequently in association with sudde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changes.

      • KCI등재

        18개월 여아에서의 아동 학대

        홍강의,장경준,문형로,안동현,손세정,박순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8 신경정신의학 Vol.27 No.2

        A child abuse case of an 18 month-old baby girl with multiple fractures is reported. A comprehensive psychiatric and pediatric diagnostic work-up was carried out, and psychodynamic and family dynamic issues were presented in detail. A therapeutic intervention by pediatric-psychiatric team was attempted, but thwarted by the lack of father's cooperation. It is suggested that child abuse should be considered a major medical social problem in Korea too.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의 귀신 및 도깨비에 관한 개념

        홍강의,김선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3 신경정신의학 Vol.22 No.1

        학령전기 아동들의 귀신과 도깨비에 관한 개념을 알아볼 목적으로 1982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만 5세에 해당되는 男·女 원아 각 10명과 4세에 해당되는 男·女 원아 각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들에게는 단답식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과 그림 그리기, 그 부모에게는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1. 아동들의 귀신에 대한 생각은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귀신화에서 얼굴을 이루는 눈, 코, 입의 일부가 결여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전체적인 형상은 인물화와 유사했다. 아동들은 응답중 귀신의 형상의 특징으로 긴머리(54%), 뾰족한 손톱(16%), 피(23%), 치마(13%)를 들었으며 이동수단에 대해서는 85%가 '걸어다닌다'고 했고 성별은 62.5%가 여자, 27.5%가 남자, 나머지는 남·여 모두라고 응답했다. 귀신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36%가 사람이 죽어서 된것이라고 했으며 성격에 대해서는 75%가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라고 답했고 52%에서 두려운 이유로 '잡아먹힌다'는 것을 들었다. 귀신의 이야기를 들은 출저는 53%가 가족으로 부터였고 47%가 매스콤으로 부터었다. 2. 아동들의 도깨비에 대한 생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강한 근육, 뿔등 전체적인 형상의 과장이 있었지만, 도깨비 그림 역시 인물화와 유사했다. 아동의 응답중 도깨비 형상의 특징으로 많이 나타난 것으로 뿔(64%), 방망이(42%), 큰 귀(13%)가 있었다. 도깨비의 성별에 대해서는 76%가 남자라고 했고 성격에 대해서는 91%가 인간을 괴롭히고 해친다고 했으며 그 내용에서는 심술궂고 파괴적인 면을 들었다. 도깨비의 이동수단에 대해서는 94%가 걸어다닌다고 했고 도깨비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귀신과 달리 응답수가 적고 특별한 특징이 없어 개념의 미발달을 시사했다. 3, 아동들은 귀신과 도깨비의 차이점을 여성적 특성과 남성적 특성을 각각 강조한 양자의 외형과 '잡아먹힌다'는 engulfment fear에 대비되는 '때린다' '부순다'는 남성적 공격성에 대한 두려움에 두었다. 4. 아동과 부모의 귀신 및 도깨비에 관한 생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귀신의 경우 전반적인 형상은 양群에서 모두 사람을 닮았으나 어머니의 경우 신체일부가 결여되기 보다는 과장되게 표현된 경우가 많으며 표현에서는 恨이 맺혔다는 성인기의 분화된 감정이 투사되였고 성별에서는 과반수가 여자라고 한 아동에 비해 성별이 없거나 남, 녀 모두일 수 있다고 답한 경우가 많아 민간의 귀신관에 영향받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도깨비의 경유 형상이나 성격면에서는 양群이 공통점을 보이거나 성별에서는 76%가 남자라고 한 아동에 비해 40%만이 남자라고 답한 어머니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성격에서는 아동이 공격적 요소를 강조한데 비해 어머니는 신통력을 강조 했다. 5. 결론적으로 귀신은 발달단계에서 아동이 경험하는 어머니상의 분리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공포와 무서움이 투사된 것이며 도깨비는 Oedipal Stage에 경험하는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투사된 대상이라는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위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는 본 연구 결과만으로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귀신의 경우 어머니상의 분리를 보이기 시작하는 격리-개별화기(생후 1∼3세)이며 도깨비의 경우 Oedipal Stage일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는 귀신 및 도깨비의 개념에 대한 아동과 성인의 차이는 연령에 따른 각기 다른 관심과 갈등이 투사된데서 비롯되는 것같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4-and 5-year-old children's perception of Kui Shin(ghost) and Dokkaebi (devil) and how the concepts evolved. Forty kindergarten children(20boys, 20girls) were interview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aire and asked to draw a person, a Kui Shin and a Dokkaebi and to make stories about them. Mothers of these children ware requested to fill out a questionaire consisting of 17 questions regarding their children's background and their own perception of Kui Shin and Dokkab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ough children tend to omit eye, mouth, nose in Kui Shin drawing, Kui Shin was strikingly similar to human figure draw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ui Shin were long hairs, sharp nails and long skirts. The subjects described that the method of locomotion of Kui Shin was “walks” in 85%. A majority(62.5%) of the subjects felt Kui Shin was exclusively female. Seventy five felt Kui Shin was unfriendly or scary and 54% of the subjects stated that they were afraid of Kui Shin because of fear of being eaten. 2.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human figure drawing and Dokkaebi drawing. but the subjects tended to exaggerate male characteristics in Dokkaebi. In their drawing, most Dokkaebis had two horns or large ears and a big club. The majority of children (76%) stated that Dokkaebis were exclusively male and 91% felt Dokkaebi as unfriendly and destructive. Ninety four of the subjects stated that Dokkaebi “walks”. In general,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seemed to lack a clear conception of Dokkaebi compared to Kui Shin. 3.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conception of Kui Shin and Dokkaebi existed mainly in sex, external featur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both of them were quite similar to the human figure. 4. The difference in children's and parent's conception of Kui Shin and Dokkaebi existed mainly in gender assignment and characteristics. 5. It is speculated that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Kui Shin result from projection of fear of engulfment and “bad mother” image. experienced during early separation-individuation phase and that of Dokkaebi result from projection of anxiety and fear of father experienced in Oedipal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