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보험사고(claim)의 개수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7다294202 판결 -

        황현영 (사)한국보험법학회 2022 보험법연구 Vol.16 No.1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은 피보험자인 회계사가 회계업무를 수행하던 중 과실로 인하여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함으로써 입게 되는 손해를 보상하는 전문직 배상책임보험이다. 전문직 서비스의 증가와 더불어 의뢰인의 권리의식은 향상되면서 전문직업인들의 업무 중 과실로 인해 의뢰인과 분쟁이 발생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고, 이로 인해 배상책임보험의 수요도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의 대부분이 영문약관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어, 약관의 해석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의미있는 대법원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이 선고되어, 본 논문에서는 이를 살펴보았다. 대상판결은 회계법인인 원고와 보험회사인 피고 사이의 분쟁으로,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보험사고(이하 ‘클레임’이라 한다)의 개수를 몇 개로 보아 자기부담금을 몇 회 공제할 것인지가 쟁점이었다. 이 사건 보험의 ‘클레임’이 회계법인인 원고의 회계감사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이라는 점은 명확하나, 보상한도와 자기부담금 공제를 위한 ‘클레임의 개수’를 어떻게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 되었다. 이에 대해 1심, 항소심, 상고심은 모두 2개 사업연도에 행해진 원고의 회계감사행위의 과실을 기준으로 2개의 클레임으로 본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를 살펴보고,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클레임’과 ‘자기부담금’의 의의에 대해 살펴본 후, 이 사건 보험의 ‘클레임 개수’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 KCI등재

        Soil Labile Organic Carbon Fractions and Carbon Management Index in Response to Different Fertilization under Organic Maize Farming System

        황현영,이초롱,안난희,이상민,강다인,정정아 한국토양비료학회 202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5 No.4

        Organic farming has been known to improve soil quality by enhancing soil organic carbon (SOC) contents. The labile organic carbon (LOC) pools and carbon management index (CMI) are commonly used as very sensitive indicators of changes in SOC and assessment of soil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farming practices on soil quality by LOC fractions and CMI analysis in a 6-year field experiment. Four treatments were included: compost (COM), green manure (GM), inorganic fertilizer (NPK), and no fertilization (N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changes in SOC concentrations, soil labile organic C fractions (microbial biomass C (MBC), water and hot water-extractable C (WEC, HWEC), particulate organic C (POC), light fraction organic C (LFOC) and ermanganate oxidizable C (POXC)) and CMI within the bulk soil under organic corn cultivation condition. Organic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C concentrationsand stocks by 10 - 55% compared to NPK and NF, especially, compost treatment. All labile carbon fractions were higher in COM and GM compared to NPK and NP, except MBC content. Among the LOC fractions, POC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32 - 87%) on total SOC. The CMI varied from 0.87 to 2.77, organic fertilized treatments increased by 1.7 - 3.2 times over NPK. These results showed that POC and POXC could be used as a rapid and informative indicator to assess soil quality and SOC changes. Hence, organic farmingmanagement could therefore contribute to improved nutrient cycling services and higher soil quality.

      • KCI등재

        개정상법상 자기주식 관련 해석상ㆍ실무상 쟁점 검토

        황현영 법무부 2012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0

        The revised commercial law enacted since April 2012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relating to a finance structure of a corporation. From those changes, the new regulations on corporation's own stock, have been gain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With the current commercial law, they basically banned the corporations from acquir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unless the purposes of the acquisition would be specific ones as merger and stock retirement. However, now, the law has announced that they will accept the corporation's own stock, of a business because they have learned that the corporation’s acquisition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will make the financial management greatly reflexible which could be also used to protect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concerned corporation. Meanwhile, the revised law has been still controling a source of revenue and ways of acquisition. Not only did the new law relax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but it also brought changes to other rules related to disposal and retirement. For that reason, various issues are now being proposed in terms of how the changes w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the field. There are already so many advanced researche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nd, in this thesis, other theoretical issues which have been never discussed before were analyzed while as many as questions which have been asked several times by people us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policy were proposed. To begin with, regarding the acquisition,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commercial law. When the acquisition is gained in purpose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resource of revenue (Article 341). When the corporation acquires the corporation's own stock, in purpose of capital transaction not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purpose of the acquisition (Article 341, Section 1). First of all, regarding the former matter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thesis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on a source of acquired revenue, decision-making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board of directors, acquisition by shareholder's equality principle, expecting results and prices of the acquisition and procedures and a range of acquisit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latter matter, the thesis discussed specific purposes enumerated by the law including issues relating to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gained under disguised ownership or by intentions of the corporation. For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red by the corporation, a legal status whether the corporation could take public interest rights and private interest rights was discussed. The thesis also explained how the concerned stock could be utilized by the commercial law in terms of security, dividends and substitution for new shares issue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e revised commercial law brought huge changes concerning the acquisition of corporation's own stock, but they still have not been clear enough on disposal. Regarding the problem, the thesis proposed what the commercial law would need to work on relating to the disposal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at the corporation has acquired for a special purpose while it still secured the fairness of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Last but not least, the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regulations by the revised commercial law were discussed while ways to improve regulations on no-value stock disposal were proposed. 2012년 4월 시행된 개정상법은 회사의 재무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도 실무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자기주식 관련 규제의 변화이다. 구 상법에서는 회사의 자기주식 취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합병, 주식소각 등 특정한 목적에 의한 취득만을 예외적으로 허용하였다. 그러나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였을 뿐 아니라 처분․소각과 관련한 규제도 대폭 수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해석상․실무상 여러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껏 논의된 이론적 쟁점들을 정리하는 동시에 실무에서 자기주식제도를 활용하며 궁금해 하고 있는 쟁점을 최대한 모두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취득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법상 자기주식취득에 관한 규제는 2가지로 나뉜다.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하는 경우에는 재원규제를 하고(341조), 배당가능이익이 아닌 회사의 자본거래로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목적규제를 하고 있다(341조의2). 먼저 전자의 경우 배당가능이익이라는 취득 재원,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라는 의사결정 방법, 주주평등원칙에 의한 취득 방법, 취득의 대가 및 가격, 구체적인 취득 절차와 범위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 법이 열거하고 있는 특정목적을 설명하고, 그 외 위법한 자기주식의 취득, 타인명의․회사계산에 의한 자기주식 취득과 같은 쟁점들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회사가 취득한 자기 주식은 공익권과 자익권을 가질 수 있는지 법적 지위에 대해 논하였고, 해당 주식을 상법상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기주식의 담보, 배당, 신주발행의 대용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대하여 큰 변화를 가져왔으면서도, 처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자기주식처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특정목적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의 처분과 관련하여 입법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상법상 자기주식의 소각 규정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과 이익배당청구권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63574 판결 -

        황현영 한국경제법학회 2023 경제법연구 Vol.22 No.1

        Shareholders right to receive dividends is an important right enjoyed in the position of shareholders, but shareholders right to claim dividends is nothing more than an abstract right to mean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dividends in the future. That is because the Korean Supreme Court’s firm legal principle is that shareholders will not be recognized the right to claim specific and definitive dividends until the profit dividend is approved by the Financial Statements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other words, if i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or in the board of directors it is decided not to pay dividends, shareholders have no right to claim for dividends. Howeve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ere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in 2011, and legal principles on how to view the right to claim dividends fo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ere not established. Abou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revised Commercial Act took effect, and an important legal principle on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as laid down in the Supreme Court ruling sentenced on August 19, 2022. In the first and second trials, adhering to the existing Supreme Court law it was judged that shareholders could not claim dividends unless the company made a decision on dividends. However,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in the case of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there is a specific right to claim profit dividends as prescrib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without the company's decision on dividen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Supreme Court ruling was reviewed by issue along with the facts of the case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onverting common shares into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and reviews the basis for recognizing the specific right to claim profit dividends fo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주주의 배당권은 주주의 지위에서 누리는 중요한 권리이지만, 주주의 이익배당청구권은 장차 이익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의 추상적 권리에 지나지 않는다. 배당결정기관인 주주총회나 이사회에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가 승인됨으로써 이익배당이 확정될 때까지는 주주에게 구체적이고 확정적인 배당금지급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는 것이 우리 대법원의 확고한 법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배당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주주 입장에서 배당을 요구할 권리는 없다. 그런데 2011년 개정상법으로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이 도입되었고, 종류주식에 대한 이익배당청구권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법리가 확립되지 않았다. 개정 상법이 시행된지 약 10년의 시간이 지났고, 2022년 8월 19일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에서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에 대한 중요한 법리가 설시되었다. 1심과 2심에서는 기존의 대법원 법리를 고수하며, 회사가 배당에 대한 결정을 하지 않으면 주주들은 배당을 요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대법원에서는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의 경우 회사의 배당 결의 없이도 정관에서 정한 내용대로 구체적 이익배당청구권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건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쟁점별로 검토하였다. 먼저 보통주식을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으로 변경한 행위의 효력을 살펴보고 종류주식에 구체적 이익배당청구권이 인정된 근거를 검토한다.

      • KCI등재

        상법 제542조의9 제1항을 위반한 신용공여행위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7다261943 판결 -

        황현영 한국상사법학회 2021 商事法硏究 Vol.40 No.1

        In the Commercial Act Article 542-9 (1) provides for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to major shareholders of listed companies. Furthermore, it sought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redit prohibition (Article 624-2, Article 634-3), by setting Criminal Punishment for when it is violated. Laws have not been established on how the private effect of the act would be viewed if major shareholders, etc. violated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rules. However,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he distribution of dividends sentenced on 29 April 2021 established an important law relat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made four important decis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of violating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legislative purposes and content of Article 542-9 (1) of the Act, and the fact that criminal punishment is made for violations, credit granting made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s above is unacceptable and it is invalid, as it constitutes a mandatory provision. In addition, the act of credit granting is prohibited with or without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so it cannot be valid even with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approval. Anyone can claim the nullification of such a breach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However, even if a credit granting violates Article 542-9 (1) of the Commercial Act, a third party cannot claim invalidity unless there is a gross negligence in which a third party does not know about it and does not know it.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he judicial effectiveness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along with the facts of the case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was reviewed by issue. 우리 상법은 제542조의9 제1항에서는 상장회사의 주요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이를 위반할 경우 형사처벌도 두어서, 신용공여금지의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제624조의2, 제634조의3). 만약 주요주주 등이 이러한 신용공여금지 규정을 위반한 경우, 해당 행위의 사법적 효력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법리가 확립되지 않았다. 그런데 2021년 4월 29일에 선고된 배당이의에 대한 대법원 판례에서 신용공여금지 위반행위의 효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법리가 설시되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신용공여금지를 위반한 행위의 효력과 관련하여 4가지 중요한 판단을 내렸다. 먼저 법 제542조의9 제1항의 입법 목적과 내용, 위반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이 이루어지는 점 등을 살펴보면, 위 조항은 강행규정에 해당하므로 위 조항에 위반하여 이루어진 신용공여는 허용될 수 없는 것으로서 무효이다. 또한 신용공여행위는 이사회의 승인 유무와 관계없이 금지되는 것이므로, 이사회의 승인이 있어도 유효로 될 수 없다. 이러한 신용공여금지를 위반한 행위의 무효는 누구나 주장할 수 있다. 다만 상법 제542조의9 제1항을 위반한 신용공여라고 하더라도 제3자가 그에 대해 알지 못하였고 알지 못한 데에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그 제3자에 대하여는 무효를 주장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건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신용공여금지위반의 사법적 효력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쟁점별로 검토하였다.

      • KCI등재

        Soil Organic Carbon Fractions and Stocks as Affected by Organic Fertilizers in Rice Paddy Soil

        황현영,김성현,김명숙,이동원,임재은,심재홍,박성진 한국토양비료학회 201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2 No.4

        This research evaluated the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ation (OF) on soil organic carbon (SOC) stockand fractions in rice paddy soil.The OF system consisted with NPK, NPK+Rice straw (NPK+RS), NPK+Cow compost (NPK+CC), NPK+Swine compost (NPK+SC) and no-fertilization (Control). Labile organic C fractions and humification rates were characterized and SOC stock was determined with bulk density and SOC content. Application of OF significantly SOC content by 7-12% and 23-33% over the NPK and control, while it decreased bulk density by 2-6% and 11-14%. The lowest bulk density was found in RS, which indicated the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The highest SOC stock (38-39 kg C ha -1 ) was observed in SC and CC treatments. The SOC stock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ulk density (p < 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ification rate, grain yield (p < 0.01) and HWEC and straw yield (p < 0.05), indicating key roles of SOC on soil qual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F application largely increased SOC stocks, rice yield, and concentration of labile C and stable C. Therefore, application of OF is recommendable for suitable soil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increase crop yield in rice paddy field.

      • KCI등재

        실질적인 주주권 강화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황현영 한국증권법학회 2019 증권법연구 Vol.20 No.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Korea’s corporate governance is in conflict. The World Bank, which evaluates corporate governance focused on objective indexes such as legal system, ranked South Korea’s small investor protection 13th among 190 countries. On the other hand, World Economic Forum where additionally reflects subjective indexes such as survey on interested parties in addition to objective indicators, ranked South Korea’s small investor protection 97th out of 137 countries. Analysts from ACGA, an institutional investor group in Asia and CLSA, based in Hong Kong, both ranked South Korea’s corporate governance as the lowest among all Asian countries.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 results, South Korea’s legal system in relation to corporate governance is assessed to be relatively good, but in reality, it seems that the legal system is not operating effectively. Therefore, proposing alternative by finding out the parts regarding stockholder’s right that are guaranteed in the actual law but do not function in reality, is a necessary assignment to strengthen the substantive stockholder’s right. In the name of policy and legal assignment to enhance substantive stockholder’s right, this dissertation examined 3 issues regarding stockholders’ right. Firstly, This dissertation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Commercial Law protects stockholder’s right restricting the assignment of new shares to the third party in order to guarantee proportional position of stockholders, but in reality, the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s has the same effect as a third party allocation of new shares without informing existing shareholders of the allocation of new shares to third parties. Also,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removing the mandatory disclosure exceptions from the Capital Markets Act and preparing a plan to secure fairness in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 are proposed. Secondly, the Commercial Law allowed dividends from shareholders and prescribed the dividend to be made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shareholders. However, in reality, Dividend related shareholder proposals are becoming ineffective, and dividend in the holding company is paid differently because of the brand royal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to encourage the dividend – related shareholder proposals and preparing ways to regulate the difference dividends of holding companies are suggested. Finally, with respect to shareholder voting rights, the Commercial Law prescribed various methods for exercising voting rights, but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attend physical meetings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shareholders general meetings. Also, only a few companies adopted written and electronic voting system. This restricts the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To solve this issue, this dissertation proposed some ways to disperse shareholders’ meeting concentration and suggested more alternatives to complement shareholders’ method of exercising shareholder voting rights.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국제적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법 제도 등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세계은행은 우리나라의 소액투자자 보호 순위를 190개국 중 13위로 높이 평가한 반면, 객관적 지표 외에도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문조사 등 주관적 지표를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액투자자 보호 순위를 137개국 중 97위로 낮게 평가하고 있다. 아시아에 투자하는 기관투자자들의 모임인 ACGA와 홍콩계 증권회사인 CLSA의 애널리스트들은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 순위를 아시아 국가들 중 최하위로 평가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법․제도는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 해당 제도들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주권과 관련하여 실제 법에서는 보장하고 있으나 현실에서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실질적인 주주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주권과 관련하여 3가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상법에서는 주주의 비례적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 신주의 제3자 배정을 제한하여 주주권을 보호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신주 제3자 배정 사실을 사전에 주주들에게 알리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있고 자기주식의 처분을 통해 신주의 제3자 배정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행위가 제한없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자본시장법상 공고 예외의무 규정을 삭제하고, 자기주식 처분시 신주의 제3자 배정과 유사한 규제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상법에서는 주주의 배당권을 인정하고 주주평등원칙에 의한 이익배당이 이루어지도록 정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배당 관련 주주제안이 무력화되고 있고 지주회사에서는 브랜드 로열티 등 수수료라는 이름으로 차등배당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당 관련 주주제안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하고, 지주회사의 차등배당에 대한 규제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주의 의결권과 관련하여 상법에서는 다양한 의결권 행사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주주총회 개최일이 집중되어 있어 주주들이 주주총회 현장에 참석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힘들고 서면투표·전자투표를 채택한 회사가 저조하여 주주의 편리한 의결권 행사가 제한받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주총회 집중도를 분산하기 위한 방안과 주주의 의결권 행사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감사제도의 전면 개정 필요성에 관한 소고

        황현영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2

        Various studies have long been conducted by many scholars on what is the desirable constitutes and role of audit body in corporate governance.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so far, and it was intended to proceed with th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udit system by focusing on the change in economic environment. for that, the necessity of complete revision of the audit system under the commercial law after examining recent trends i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companies' reality and audit is proposed. Firstly, this paper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audit system.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so that independent auditors can be appointed from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it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strengthens the function of internal audits, but the latest economic situation has to be considered together. Next, the problems in the audit system of unlisted companies were pointed out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were proposed. Under Commercial Law, small unlisted companies whose capital is less than 1 billion are exempt from obligation to appoint audit. It means 93.8 percent of all unlisted companies are exempt from obligation to appoint audi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audit appointment obligation should be revived in the case of unlisted companies, but exceptions to be made in the case of start-up companies or one-person corporations. Also, it proposed that the 3% limit on voting rights be applied to secure independence in the appointment of auditors even when unlisted companies form an audit committee. Lastly, the problems in the audit system of listed companies and proposed measures for improvement were pointed out. Under commercial law, the audit committee system Focused on outside directors is not only difficult to say that it fits to our companies' reality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 but the audit committee system also conflicts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selection of the audit committee memb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mandatory regulations for audit and audit committees by asset size, making it voluntary to select, install full-time audit if audit is selected, and make separate selection if audit committee is selected to ensure independence of audit. Also, it proposed that all listed companies should appoint members of the audit committee at a general meeting to enhance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and that simply 3% voting rights to be applied to all shareholders. In addition, proposals on the authority to appoint external auditors be granted to the Audit or Audit Committee, that the internal audit departments be arranged directly under the Audit Committee, that the personnel of the internal audit departments be expanded and the audit functions be strengthened are made. 기업지배구조에서 바람직한 감사기구의 구성과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오랜 기간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되, 경제환경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감사제도의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기업 현실과 감사 관련 특별법의 제·개정 동향을 살펴본 다음 상법상 감사제도의 전면적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감사제도 개정의 기본방향으로 2가지를 제안하였는데, 지배주주로부터 독립한 감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제도가 설계되어야 하며, 내부감사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되 최근 경제현실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회사와 상장회사의 감사제도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상장회사의 경우 감사선임의무를 부활하되, 창업회사나 1인 주식회사 등의 경우 예외를 둘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상장회사가 감사위원회를 구성할 경우에도 감사 선임의 독립성 확보를 위해 3% 의결권 제한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상장회사의 경우 감사․감사위원회에 대한 자산규모별 의무 규정을 삭제하고 자발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되, 감사를 선택할 경우 상근감사를 설치하도록 하고 감사위원회를 선택할 경우 분리선임을 하도록 하여 감사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모든 상장회사는 감사위원회 위원을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도록 하여 감사위원의 독립성을 제고하고, 모든 주주에게 단순 3% 의결권을 적용받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외부감사의 선임권한을 감사나 감사위원회에 부여하도록 하고, 내부감사부서를 감사위원회 직속으로 편제하고 내부감사부서의 인력을 확충하고 감사 기능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입법 정책적 관점에서 본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 등 금지에 대한 연구

        황현영 한국경제법학회 2016 경제법연구 Vol.15 No.2

        The revision of law was made after the issues arose about how the large companies take profit earned from unfair transaction among subsidiaries by business practices of supporting subsidiaries and the head family of Chaebol take control over the corporation. First, the amendment of Commercial Law made in 2011 banned abuse of corporate opportunity and assets (Article 397-2), and strengthened regulation on director’s transaction for oneself. Also, the amendment of inheritance and gift tax made at the end of 2011 imposed gift tax on profits from transaction between related people(Article 45-3).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mended in 2013 introduced new regulations on unfair offer for related person in restricted companies and strengthened the regulations on unfair transaction. (Article 23, Article 23-2) Analysis results show that after the enforcement of regulations on business practice of supporting subsidiaries, insider trading has declined in large corporations. Especially, insider trading in restricted companies where Chaebol family’s private interest is regulated were significantly declined in both importance and amount. However, there has also been criticism and need of system improvement since evasions of regulation are being done by merge, share sale, and reduction of transaction volume. These evasions are possible because requirements of regulation are confined to share ratio, dealing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The related bills were introduced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but abrogated by the end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new bills about the regulations on business practice of supporting subsidiaries are being introduced from the start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However, establishment of stable systematic foundation to activate private enforcement by related person would be desirable.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the bill and current state, regulation on unfair insider trading would be just a temporary expedient even the regulation is done under the public enforcement of Fair Trade Commission. This article indicated problems of system and proposed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through disclosure index, director’s liability index, and shareholder’s representative suit index included in conflict of interest index, which is one of the indexes of minority investors protection index in Ease of doing business index.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를 통해 과도한 이익을 취하고 그 이익을 바탕으로 총수 일가의 지배력이 강화되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최근 몇년간 대규모 기업집단의 총수가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과 부당한 거래로 사익을 편취하는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법률의 개정이 있었다. 먼저 2011년 상법 개정에서는 회사의 기회 및 자산의 유용을 금지하는 조문을 신설하였고(제397조의2), 이사의 자기거래 제한 규정을 강화하였다(제398조). 또한 2011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에서는 특수관계인 간 거래에 따른 이익에 대하여 증여세를 과세하는 규정을 도입하였고(제45조의3), 2013년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개정에서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의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을 금지하도록 하는 규제를 도입하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를 강화하였다(제23조, 제23조의2). 일감 몰아주기 관련 규제가 입법화된 이후 계열회사 간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규모 기업집단의 내부거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규제를 받는 기업의 경우 내부 거래 비중 및 금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지분율, 거래가격, 거래 규모라는 요건이 명확히 정해져 있으므로, 합병, 지분매각, 거래규모 축소 등의 방법으로 규제를 회피하는 사례가 상당수 존재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동 규제는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고 제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대 국회에서도 관련 법안들이 제출되었으나 임기 만료로 폐기되었고, 20대 국회 시작과 동시에 일감 몰아주기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들이 제출되고 있다. 그러나 입법 배경 및 현황에 비추어 볼 때 부당내부거래의 규제는 단기적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적 집행에 의존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효과에 불과하므로, 장기적으로 이해관계자에 의한 사적 집행이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법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환경평가에서 소액투자자보호 지표 중 이해상충규제지수의 세부평가항목인 공시지수, 이사책임지수, 주주소송지수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법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