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환자에서 혈청 Cytokine에 관한 연구

        김병주,마재숙,황태주,Kim, Byung-Ju,Ma, Jae-Sook,Hwang, Tai-Ju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 No.1

        목 적: 혈청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이 양성인 만성 보유자 35명에서 혈청 Th1계 싸이토카인(IL-2, TNF-${\alpha}$ 및 IFN-${\gamma}$)과 Th2계 싸이토카인(IL-4와 IL-10)을 측정하여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병태에 따른 싸이토카인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조군은 항 HBs 항체 양성인 정상 소아 7명이었고 환자군 35례중 HBeAg 양성군은 20례, 항 HBe 항체 양성군은 15례이었으며 간 조직검사를 시행한 19례중 만성 지속성 간염은 10례, 만성활동성 간염은 9례이었다. 말초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aminotransferase, B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및 ELISA로 싸이토카인(IL-2, TNF-${\alpha}$, IFN-${\gamma}$, IL-4 및 IL-10)을 측정하였다. 결 과: 1) HBe 항원 양성인 환자에서 항 HBe 항체 양성인 환자에 비해 그리고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에서 지속성 간염 환자에 비해 의의 있게 혈청 AST와 ALT치가 높았다. 2) HBe 항원 양성인 환자에서 항 HBe 항체 양성인 환자에 비해 IL-10이 의의 있게 높았다. 3)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에서 지속성 환자에 비해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으나 측정한 모든 싸이토카인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혈청 아미노전이 효소치가 100 U/L 이상인 환자에서 IL-2, TNF-${\alpha}$, IFN-${\gamma}$ 및 IL-10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혈청 아미노전이 효소치가 정상인 환자에서 효소치가 높은 환자에 비해 IL-4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 론: Th2계 싸이토카인인 IL-10의 증가는 간염의 활성도보다는 HBe 항원의 지속성과 관련이 있고 Th1계의 싸이토카인인 IL-2, TNF-${\alpha}$ 및 IFN-${\gamma}$는 간염의 활성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erum cytokine pattern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in terms of their clinical state. Methods: Intra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35 patients who were seropositive for HBsAg for at least 6 months and 7 healthy controls. Samples were initially tested for serum aminotransferases and serologic markers for hepatitis B virus by EIA. Serum levels of interleukin(IL)-2,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feron-gamma (IFN-${\gamma}$), IL-4, and IL-10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Among 35 patients, seropositive for HBeAg was 20 and for anti-HBe was 15. The histologic diagnosis of 19 patients underwent liver biopsy were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CPH) in 10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CAH) in 9. Serum IL-10 level in patients seropositive for HBeA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seropositive for anti-HBe (p<0.05). All measured cytokine levels in patients with CAH were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 CPH. High values of all measured cytokines except IL-4 were seen in patients with AST and ALT > 100 U/L. High level of IL-4 was seen in patients with normal aminotransferase levels.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thought to indicate that anti-inflammatory Th2-like cytokine (IL-10) production in chronic HBV infection is related to circulating HBeAg rather than activity of hepatitis and that Th1 cytokine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activity of hepatitis.

      • SCOPUSKCI등재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G-CSF를 포함한 고용량 화학요법 후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의 효과

        김병수,국훈,황태주,최철원,김준석,Kim, Byung Soo,Kook, Hoon,Hwang, Tai Ju,Choi, Chul Won,Kim, Jun Suk 대한면역학회 2002 Immune Network Vol.2 No.1

        Background: The possibility that G-CSF recruits leukemic cells from the G0 to S phase, which may lead to a greater susceptibility to cytotoxic drugs, such as ara-C, has been presented in Harada's study. Methods: In this study, we referred to the protocol of Harada et al 1 to try G-CSF combined marrow-ablativ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BSCT, for the treatment of AML patients in CR1 status. Between January 1997 and March 1998, six AML patients (3: children, 3: adults) in CR1 status were autografted and followed up to 3 years. Results: The major regimen related toxicity was composed of mucositis and diarrhea without death. The time of ANC recovery to 500/L and 1,000/L was 11~48 and 16~81 days, respectively. The mean time of platelet recovery to 20,000/L and 50,000/L was 21~233 and 35~370 days, respectively. The platelet recovery time to 50,000/L was markedly prolonged for more than 100 days in four patients (66.7%). Moreover, four patients (66.7%) experienced a relapse of leukemia after transplantation, with a mean interval of 147.5 days after PBSCT. Two patients were in CR status for 53 and 51 months after PBSCT, respectively. Conclusion: The G-CSF combined marrow-ablativ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BSCT resulted in a markedly delayed platelet recovery and no advantages for decreasing the relapse rate of AML. But, further studies will be warranted.

      • SCOPUSKCI등재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신생아에서 혈소판 수혈 횟수와 예후

        임석환,국진화,조창이,최영륜,황태주,Lim, Suk-Hwan,Kook, Jin-Hwa,Cho, Chang-Yee,Choi, Young-Youn,Hwang, Tai-J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8

        목 적: 최근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환자 중 여러차례 수혈을 받았던 환아에서 괴사성 장염, 간질환, 신장기능 부전 등이 더 많았으며 특히 4회 이상 수혈을 받았던 환아에서는 사망률도 의미있게 높았다는 보고들이 있어,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혈소판 수혈 횟수에 따른 기저 또는 동반 질환 및 사망률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3,955명 중 혈소판 수혈을 받았던 환아 72명(1.8%)을 대상으로 하여 1회 수혈을 받은 군(I군)과 그 이상 수혈을 받은 군(II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간 신생아 패혈증/파종성 혈관내 응고병증, 호흡 곤란증, 뇌실내 출혈, 동맥관 개존, 만성 폐 질환, 괴사성 장염, 간 신 질환, 폐출혈,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빈도 및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 과 : 1회 수혈을 받았던 I군은 29명(40.2%), 2회 이상 수혈을 받았던 II군은 43명(59.7%)이었으며 16명(22.2%)은 4회 이상 수혈을 받았다. I군관 II군 사이에 재태 주령, 출생 체중, 성별 및 산모 병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제왕 절개술 빈도만 II군에서 많았다. 혈소판 수혈을 필요로 했던 환아 72명 중 패혈증이 66명(91.7%)으로 가장 많았다. 1회 수혈군과 2-3회 수혈군, 그리고 4회 이상 수혈군 사이에 기저 또는 동반 질환의 빈도는 서로 비슷하였고, 사망률은 오히려 II군에서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었다. 결 론 : 신생아 패혈증/파종성 혈관내 응고병증, 호흡 곤란증, 뇌실내 출혈, 동맥관 개존, 만성 폐 질환, 괴사성 장염, 간 신 질환, 폐출혈 등이 있는 경우 혈소판 수혈이 필요하였지만 수혈 횟수와 기저 또는 동반 질환 빈도 및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어, 본 연구 결과로는 다량의 혈소판 수혈이 필요할 환자를 예측할 수 없었으며 향후 더 많은 대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compared the underlying or associated diseas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latelet transfusions in neonates with thrombocytopenia to know the factors predicting which patients will require multiple platelet transfusions. We also compared mortality.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72 neonates who received the platelet transfus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between August 1996 and July 2001. Group I received one platelet transfusion and group II received two or more.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underlying or assodiated diseases such as sepsis/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D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intraventricular hemorrhage(IVH),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necrotizing enterocolitis(NEC), liver or renal disease, and mortality between two groups. Results : Of the 72 patients, 29(40.2%) received one and 43(59.7%) received two or more transfusions; 16(22.2%) received four or mor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sex, and maternal history between two groups. C-section rate was higher in group II(20.7% vs. 55.8%, P<0.05) and the incidence of PDA was higher in group I (55.2% vs. 30.2%, P<0.05). Otherwis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sepsis/DIC, RDS, IVH, RDS, CLD, NEC, liver or renal disease, pulmonary hemorrhage and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and mortality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Conclus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morbidity and mortal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latelet transfusion in neonates with thrombocytopenia. Further study is needed to know the predicting factor for multiple platelet transfusions in neonates with thrombocytopenia.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추이와 위험 인자

        최익선,임석환,조창이,최영륜,황태주,Choi, Ic Sun,Lim, Suk Hwan,Cho, Chang Yee,Choi, Young Youn,Hwang, Tai J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신생아 캔디다 패혈증은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지 않을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특히 집중 치료가 필요한 저출생 체중아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캔디다 패혈증 발생 빈도와 추이, 임상 형태와 특징 및 위험 인자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방 법: 1995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만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아 4,587명 중 캔디다 패혈증으로 확진된 환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률, 임상 양상, 선행된 항생제 치료, 검사 소견, 장기 침범 유무, 위험 인자 및 사망 여부 등을 환아의 의무 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출생 시기, 출생 체중 및 재태 주령이 비슷하면서 캔디다 패혈증이 없었던 환아 29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위험 인자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6년간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전체 입원 환아의 0.61%, 극소 저출생 체중 환아의 3.68%였으며,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대조군에 비해 기도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경피 중심 정맥 도관술(PCVC, percutaneous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제대 정맥 도관술, 총정맥 영양 사용, 지방유제 사용 및 dopamine 사용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다(모두 P<0.01). 또한 기도내 삽관 유지 기간, PCVC 또는 제대 동 정맥 도관의 유지 기간, 금식 기간, 입원 기간이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의의 있게 길었다(모두 P<0.01). 3) 캔디다 패혈증 발병 전 사용했던 항생제는 ampicillin/ sulbactam, ceftazidime, amikacin, netilmicin, teicoplanin, imipenem/cilastatin이 대조군에 비해 많았고(P<0.05), 이 중 ampicillin/sulbactam, ceftazidime, netilmicin, imipenem/cilastatin의 사용 기간이 길었다(P<0.01). 결 론 : 최근 6년 동안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의의 있게 밝혀진 이들 캔디다 패혈증 위험군에 대한 조기 감시 및 치료가 저출생 체중아를 중심으로 한 신생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With the development of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he increased use of systemic antibiotics, candida sepsi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its associated risk facto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28 cases with candida sepsis who were admit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of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5 to June 2001. Twenty-nine patients without candida sepsis were enrolled for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risk factors. Results : The overall incidence of candida sepsis was 0.61% for all NICU admissions and 3.68% for all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the gradual increase of the annual prevalance rate over time. The endotracheal intubation, percutaneous central vein catheter(PCVC), umbilical vein catheter,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tralipid and dopamine were more applied than the control group (P<0.01 for all). The durations of mechanical ventilator care, central catheter appliance, nothing per os, and admission were also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control group(P<0.01 for all). Ampicillin/ sulbactam, ceftazidime, amikacin, netilmicin, teicoplanin and imipenem/cilastatin were significantly more used than the control group(P<0.05). The durations of ampicillin/sulbactam, ceftazidime, netilmicin and imipenem/cilastatin administration were also proved to be significant as the risk factors(P<0.01). Conclusion : The average annual prevalence rate of candida sepsis in NICU for six years was 0.61% with gradual increasing tendency over time. The elimination of the above risk factors is important in decreas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candida sepsis.

      • SCOPUSKCI등재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이탈 요법 후 인터페론 병용 투여의 치료 효과

        류나은,김병주,마재숙,황태주,Ryu, Na-Eun,Kim, Byung-Ju,Ma, Jae-Sook,Hwang, Tai-Ju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2

        목 적: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에서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 효과는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30~40%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성 지속성 B형 간염, 혈청 ALT치가 낮은 경우나 혈청 HBV DNA치가 높은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알파 인터페론 단독 투여 시 그 치료 효과는 더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알파 인터페론 단독 투여 시 치료 효과가 낮다고 알려진 소아 만성 B형간염 환자에 prednisolone 이탈 요법 후 인터페론 병용 투여 시 그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 중 간 조직 검사 상 만성 활동성 간염을 보이고 혈청 ALT치가 100 IU/L 이상이고 혈청 HBV-DNA치가 100 pg/$300\;{\mu}L$ 미만인 14명(group 1)은 알파 인터페론을 체표면적($m^2$) 당 5백만 단위를 6개월 동안 주 3회 단독 투여하였다. 조직 검사 상 만성 지속성 간염인 경우와 만성 활동성 간염이면서 혈청ALT치가 100 IU/L 미만 또는 혈청 HBV DNA치가 100 pg/$300\;{\mu}L$ 초과한 14명(group 2)은 prednisolone을 60 mg/$m^2$, 40 mg/$m^2$, 20 mg/$m^2$으로 각각 2주씩 6주간 경구 투여하고 2주간 휴약 기간을 가진 후 알파 인터페론을 group 1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인터페론 투여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완전반응(항 HBe 항체의 양전화, 혈청 ALT 정상화 및 혈청 HBV-DNA 음성), 부분반응(혈청 ALT 정상화 또는 혈청 HBV-DNA 음성) 및 무반응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30.6개월(21~192개월)이었고, 남아는 22례, 여아는 6례이었다. 만성 지속성 간염은 11례, 만성 활동성 간염은 17례이었고, 15명의 환아에서 모친이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보유자이었다. 2) Group 1에서 평균 연령은 144.1개월(97~169개월), 남아 9명, 여아 5명, 혈청 ALT $299.9{\pm}215.3$ IU/L, HBV-DNA $49.3{\pm}33.1\;pg/300\;{\mu}L$이었고, group 2에서 평균 연령은 112.1개월(21~192개월), 남아 13명, 여아 1명, 만성 지속성 간염 11명, 만성 활동성 간염 3명, 혈청 ALT $85.6{\pm}71.0$ IU/L, HBVDNA $524.3{\pm}1064\;pg/300\;{\mu}L$이었다. 3) Group 1에서 항 HBe 항체 양전은 10례(71.4%) 에서, 혈청 ALT는 9례(64.3%)에서 정상화되었고, HBV-DNA는 11례(78.6%)에서 음성화되었다. Group 2에서 항 HBe 항체 양전은 7례(50.0%)에서, 비정상 수치를 보인 9명의 환아 중 5명(55.6%)이 ALT 의 정상화를 보였고, HBV-DNA는 9례(64.3%)에서 음성화되었다. 두 군간의 항 HBe 항체의 양전율, ALT치의 정상화율, HBV DNA치의 음성화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Group 1에서 완전반응은 8례(57.1%), 부분반응은 3례(21.4%), 무반응은 3례(21.4%)이었고, group 2 에서는 완전반응 7례(50.0%), 부분반응 2례(14.3%), 무반응 5례(35.7%)으로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소아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치료로 인터페론 단독 요법으로 반응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군에 스테로이드 이탈 요법 후 인터페론 병합 투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향후 치료 효과의 지속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terferon alpha therapy with or without prednisolone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Methods: Twenty-eight children (22 boys, 6 girls, mean age 130 months) had seropositive results for HBsAg, HBeAg and HBV DNA; 11 had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and 17 had chronic active hepatiti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upon their inflammatory activity on liver biopsy, pretreatment serum ALT levels and HBV DNA levels. Fourteen children (group 1: chronic active hepatitis, ALT ${\geq}$ 100 IU/L and HBV DNA ${\leq}$ 100 pg/$300\;{\mu}L$) received interferon alpha 2a 5 $MU/m^2$ of body surface three times weekly for 6 months. Fourteen children (group 2: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or chronic active hepatitis with ALT < 100 IU/L or HBV DNA > 100 pg/$300\;{\mu}L$) received prednisolone in decreasing daily doses of 60 mg/$m^2$, 40 mg/$m^2$, and 20 mg/$m^2$, each for 2 weeks, followed after 2 weeks by interferon alpha 2a on the same schedule. At the end of therapy, 3 end points were analyzed: HBeAg seroconversion, serum ALT normalization rate and clearance of serum HBV DNA. Results: At the end of treatment, HBe antigen-to antibody seroconversion was higher but not more significant in group 1 than group 2 (71.4% vs. 50.0%). Only one patient in group 2 who lost HBeAg, also cleared HBsAg. ALT normalization was similar in both groups (64.3% in group 1 vs. 55.6% in group 2). Clearance of serum HBV DNA was observed in 78.6% of patients in group 1 and 64.3% in group 2,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lete response was similarly achieved in both groups (57.1% in group 1 vs. 50.0% in group 2). Interferon alpha therapy with prednisolone priming was well tolerated and all children finished therapy. Conclusion: The combined therapy with prednisolone followed by interferon alpha may be safe and effective in inducing a serological and biochemical remission of the disease in approximately 50%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with a high level of viral replication and less active disease. However, a controlled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

        소아 백혈병 환자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처치로서 전신방사선 조사 포함군과 비포함군의 비교

        김상정,한동균,백희조,김동연,남택근,황태주,국훈,Kim, Sang-Jeong,Han, Dong-Kyun,Baek, Hee-Jo,Kim, Dong-Yeon,Nam, Taek-Keun,Hwang, Tai-Ju,Kook, H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백혈병 환자에서 이식 전처치로서 전신방사선조사(total body irradiation, TBI)군과 비방사선조사(non-TBI)군과의 이식 성적 및 예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에서 2007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소아백혈병 환자 77명을 TBI군(n=40)과 non-TBI군(n=37)으로 나누어 각 군 간의 이식 유형, 이식 시 질병상태, 전처치 방법, 이식 세포 수, 생착 속도, 이식편대숙주반응(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의 발생빈도, 이식 합병증, 사망원인,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과 무사건생존율(event free survival, EFS) 및 후기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환자의 82.4% (28/34)는 TBI를 받았고, 골수계열 백혈병 환자의 72.7% (24/33)는 non-TBI 군이었다.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TBI 여부에 따른 5년 EFS은 두 군간 차이는 없었으나 (62% vs. 63%), ALL 환자에서는 TBI군이 non-TBI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5년 EFS을 보였다(65% vs. 17%; $P$=0.005).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환자에서는 non-TBI군이 TBI군보다 더 높은 5년 EFS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73% vs. 38 %; $P$=0.089). GVHD 발생률, 생착, 사망원인과 후기 합병증은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전처치로서 TBI군과 non-TBI군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ALL환자에서는 TBI군이 non-TBI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우수한 5년 EFS을 보였다. 두 군간 후기 합병증의 발생 및 사회경제적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하여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outcome of total body irradiation (TBI)- or non-TBI-containing conditioning regimens for leukemia in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77 children conditioned with TBI (n=40) or non-TBI (n=37) regimens, transplant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7. The type of transplantation, disease status at the time of transplant, conditioning regimen, engraftment kinetics, development of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complications, cause of deaths, overall survival (OS), and event-free survival (EF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 Among 34 pati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28 (82.4%) were in the TBI group, while 72.7% (24/33) of patients with myeloid leukemia were in the non-TBI group. Although the 5-year EFS of the 2 groups was similar for all patients (62% vs 63%), the TBI group showed a better 5-year EFS than the non-TBI group when only ALL patients were analyzed (65% vs 17%; $P$=0.005).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patients, the non-TBI group had better survival tendency (73% vs 38%; $P$=0.089). The incidence of GVHD, engraftment, survival, cause of death, and late complication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 The TBI and non-TBI groups showed comparable results, but the TBI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5-year EFS than the non-TBI group in ALL patients.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involving larger number of patients are needed to assess the late-onset complications and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quality of life.

      • SCOPUSKCI등재

        범저감마 글로불린혈증 환아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직 감염에 의해 발생한 간세포 암종 1례

        오종곤,김병주,국훈,우영종,최영륜,마재숙,황태주,서종진,Oh, Jong-Gon,Kim, Byung-Ju,Kook, Hoon,Woo, Young-Jong,Choi, Young-Youn,Ma, Jae-Sook,Hwang, Tai-Ju,Seo, Jong-Ji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1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수직 감염된 13세 된 XLA 환아에서 발생한 간세포 암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간세포 암종의 발생은 XLA 환아에서 수직 감염된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해 발생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X-linked agammaglobulinemia (XLA) is a primary inherited B-cell immunodeficiency. The prevalence of neoplastic disease in patients with XLA is approximatedly 0.7%. The most frequent tumor is lymphoreticular malignancy. We report a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a 13-year-old boy with XLA, after probable matern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The authors consider that the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CC in a child with XLA who could not eliminate hepatitis B virus effectively.

      • SCOPUSKCI등재

        반성 열성 범저감마글로불린혈증 1가계 3환자의 Bruton's Tyrosine Kinase 유전자 변이 및 임상 양상

        조은경,송창화,박정규,백영종,유혜영,이재호,황태주,국훈,Jo, Eun-Kyeong,Song, Chang-Hwa,Park, Jeong-Kyu,Baek, Young-Jong,Rhu, Hye-Young,Lee, Jae-Ho,Hwang, Tai-Ju,Kook, H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XLA로 진단받고 현재 치료 중인 한가족 3명 환아의 가계를 대상으로 말초혈액 단핵구의 Btk 단백질 발현과 Btk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환아 말초혈액 단핵구의 Btk 발현도를 항 Btk 항체를 이용한 유세포계측을 통해 분석하고 PCR-SSCP 및 직접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tk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유세포 계측 및 PCR-SSCP에 의하여 가계내의 환자 3명 및 보인자 4명을 확인하였으며 환아들의 단핵구의 Btk 발현도를 조사한 결과 2.7% 미만으로 건강인에 비해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유전자 변이 분석 결과 Btk 유전자 exon 3에서 점돌연변이($T{\rightarrow}C$)가 발견되어 61번째 아미노산의 치환이 일어난 과오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유전형을 지닌 3명의 환아들은 임상적으로 매우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특히 환아들의 혈청 IgG level이 낮을수록 임상 양상은 심한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적으로 XLA로 진단된 환아와 가족에 대한 항 Btk 항체를 이용한 유세포계측 및 PCR-SSCP 방법은 XLA 환아 및 보인자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며 신속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법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자유전학 기법을 이용하여 환아의 유전자 변이를 검색한 결과 Btk의 PH 도메인 내 한개의 과오돌연변이를 검색하여 XLA를 최종 확진할 수 있었다. Purpose : X-linked agammaglobulinemia(XLA) is an immunodeficiency caused by abnormalities in Bruton's tyrosine kinase(Btk), and is characterized by a deficiency of peripheral blood B cells. We studied the cytoplasmic expression of Btk protein and analyzed the Btk gene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two siblings and one cousin with XLA, as well as additional family members. Methods : Btk protein expressio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Isolation of the coding sequence of the Btk gene was performed by amplification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echnique. Sequence alterations were screened by the 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SSCP) method and characterized by standard sequencing protocols. Results : Cytoplasmic expression of Btk protein in monocytes was not detected in three patients with XLA. In addition, Btk protein analysis clearly showed cellular mosaicism in monocytes from four obligate carriers, findings further supported by SSCP. A single base pair mutation(T to C) in Btk-exon three, which encodes the PH domain, was identified in four XLA patients. A diagnostic sequencing analysis was established to detect heterozygotic pattern in 4 carrier females. Furthermore, we found significant clinical heterogeneity in individuals with the same gene mutation. Conclusion : The implicating genetic alteration provided valuable clues to the pathogenesis of XLA in Korea and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suggested as a useful tool for rapid detection of XLA patients and carriers. The present study has identified a genetic mutation in the Btk coding region and demonstrated heterogeneity in clinical manifestations among patients with the same mutation. A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found to be informative in establishing a deficiency of Btk protein in both patients and carriers and is recommended as a frontline procedure in the molecular diagnosis and work-up of XLA.

      • SCOPUSKCI등재

        위혈관종증에 의해 초래된 위-십이지장 중첩증 1례

        박아람,김병주,국훈,우영종,최영륜,마재숙,황태주,Park, A-Ram,Kim, Byung-Ju,Kook, Hoon,Woo, Young-Jong,Choi, Young-Youn,Ma, Jae-Sook,Hwang, Tai-Ju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2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is an invagination of part of the stomach through the pylorus and into the duodenum for a varying distance. The lead point of the intussusception is usually a benign gastric tumor such as gastric adenoma. We report a case of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in a 33-month-old boy presented with nonbilious vomiting and abdominal pain. Laparotomy revealed a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After reduction and gastrostomy, a mass measuring $15{\times}5\;cm$ in size, was found at the leading point of the intussusceptum. The mass was resected, and pathological diagnosis showed a gastric hemangiomat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