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희 정승 납거미 유언’ 설화 고찰

        황인덕 ( In-deok Hw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1

        알려져 있듯 황희는 정승을 지낸 조선 초기 명인의 한 사람이다. 다수일반인들에게 그는 주로 ‘황희 황정승’으로 이름과 직위가 병칭되어 불리어오곤 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오래 전에 이미 애칭화되어 후대까지 널리 불려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역대 정승을 거친 수많은 훌륭한 인물가운데, 그 직위에 요구되는 역할을 가장 충실하게 실현함으로써 그 존재가 거의 ‘정승’의 대명사처럼 기억되어온 결과라 하겠다. 황정승이 조선조전 시대를 대표하는 명 정승으로 알려져온 것에 부합하여, 그에 대하여 구전되어온 설화 또한 그 폭과 깊이가 넓고 깊게 실현되고 있다. 한 인물이 남긴 설화가 대략 주인공이 지닌 인품, 생애, 시대, 업적 등의 조건에 비례한다면, 황정승이 남긴 설화의 다양성도 대략 그러한 조건들이 예사인물과는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위 인물에 대하여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하나의 유형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 설화의 유형은 크게는 하나, 작게는 세개의 유형으로 나뉘고 있다. 둘째, 위 설화가 형성된 화소의 원천은 ‘고려장 설화’와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전래 속담이며, 이 두 가지 요소가 하필 황정승을 대상 인물로 하여 새로운 설화를 이룬 것은 나말여초 중국과 조선의 국제관계와 그 속에서 황정승이 수행한 역할과 위상이 반영된 결과이다. 셋째, 설화를 통한 인물 형상의 특징은 청렴상을 통한 민담성의 강화에 있으며, 특히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청렴을 실천하는 인물상의 구현은 황정승의 투철한 애민정신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황정승 설화는 여말 선초를 지나 조선 초기 국운 상승기의 인물담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며, 그로 인하여 설화 속의 인물상이 한결같이 긍정적인 모습으로만 나타난다. As we all know, Hwang Hee was a renowned ministe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act that he has been mainly called both by name and position as ‘the minister Hwang’ means he was already given a nickname a long time ago. He has been remembered as a representative of ministers existed in the history as he carried out his duties the most faithfully among the numbers of past outstanding ministers in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his reputation as a devoted minister throughout the whole dynasty of Joseon, his fictional image was embodied with great wide and depth. If the tales Hwang Hee left behind depended on the conditions such as his personality, his life, the period and his achievement, a variety of his tales would seem to approximately result from those different conditions from those of others. This paper concentrates on his tale < Apeacocklivesonflatspiders > only. The contents are as below. First, the above-mentioned tale might be broadly divided into a type, or into three types in detail. Second, a subject matter of this tale is derived from folk tales about ‘Goryeojang’ and ‘A peacock lives on flat spiders’. A new tale about Hwang Hee which has been invented reflect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Joseon with China, and the role and position he played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ird, a characteristic of the hero in the tale depends on the strengthening his integrity, which displays Hwang Hee’s strong love for the people by showing his exceptional ability to perform for them. Fourth, the tale of Hwang Hee represents a tale of the great man in the history when the country was in the ascenda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rom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Therefore, he was displayed as a positive character in the tales.

      • KCI등재

        〈범보다 무서운 곶감〉 설화의 비교적 고찰

        황인덕(Hwang In-Duk)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이 논문은 기본적으로 불전에서 유래한 설화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이다. 한국의 광포 민담의 하나인 ‘범보다 무서운 곶감’ 설화가 인도의 고대 설화집인 『판차탄트라』에서 유래했음을 전제로 하여 인도 중국 한국 사이에 비교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종전에 이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이 글에서는 상호간의 동이점을 좀더 유기적이고 자세하게 관찰해보고자 노력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판차탄트라 소재 인도 설화를 소개하고 그것이 지니는 민담으로서의 성격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중국과의 비교를 통하여 기본형에서 상호 유사함을 밝히고자 했다. 나아가 중국과 한국의 전승유형들을 구분하고, 유형의 성격 및 그에 따른 변이의 양상을 살펴 인도와 중국, 중국과 인도 사이의 전승과정에 따른 주요 요소의 변이양상을 좀더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변이에는 지역의 생태적, 문화적 차이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임을 유의하여 이해하고자 했다. 특히 ‘屋漏’ 화소가 중심인 중국 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우는 아이와 범’으로 변이를 이룬 것을 발견, 이것이 한국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영향을 준 시대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의 전승을 통하여서는 범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되었다는 점과, ‘곶감’ 화소가 새로 생성되어 한국설화로서의 특징을 더욱 잘 실현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언급하고자 했다.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tale “More Frightening Dried Persimmon than a Tiger”, which is one of the famous Korean folk tales has originated from Panchatantra, a collection of Indian folktales. 'The paper also compares three stories from India, China, and Korea. Judging from the story of Panchatantra, the tales of China and Korea are similar to the Indian tale. This proves that two tales of China and Korea originated from Panchatantra. As for the concrete examples of Korea and China, there are many “basic types” in China while there are many “simplified types” in Korea. 'The simplified story could keep certain types of reader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persimmon”, the ecological, cultural importance of tigers and female-centered oral tradition contributed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stories. A drastic decline of fantasy folktales could be another reason. The research of stories in three countries shows that the basic types did not change. However, uniformity and variation coexist in the stories of three countries. Because there are basic types, there is uniformity. However, stories of China and Korea are variations which were adapted into their natural and cultural backgrounds even though characters and basic storylines are unchanged. The unique setting of the royal palace court changed into common people of the country. In Chinese tales, monkeys still exist, but bears appear in many stories. In Korean tales, there are no stories of monkeys. The bears appear in many Korean stories while they appear partly in Chinese tales. This results from ecological differences of animals. While Chinese tales have the regional quality of subtropical or tropical settings, Korean tales reflect the ecological and cultural quality of plants. Due to the similarity of storie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Korean Persimmon tale is assumed to be transmitted orally from Sichuan Province(四川省), China. The unique quality of Korean tales in the long oral tradition is the emphasis of tigers and persimmons as the theme of stories. In particular, the persimmon in the folklore highlights dramatic effect and increases the hearer’s interests. This can be called “a uniquely Korean quality.” The emphasis of the tiger and the variation as a result of using persimmon in the story are meaningful in the sense of Korean adaptation and localization.

      • KCI등재후보

        흰쥐 콩팥에서 탈수로 유도된 Osteopontin의 발현 증가

        황인아(In-A Hwang),김진(Jin Kim),한기환(Ki-Hwan Han)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3

        Osteopontin (OPN)은 정상적으로 콩팥세관에서 분비되는 인단백질로, 그 역할 및 조절기전이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콩팥에서 탈수와 관련된 OPN의 발현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계의 흰쥐를 대상으로 3일간 물을 제한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OPN에 대한 항체와 riboprobe를 이용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면역세포화학법과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탈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중 Na+ 농도와 소변의 오스몰농도가 증가하였다. 대조군에서 OPN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은 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 (descending thin limb)과 콩팥유두상피 (renal papillary surface epithelium)에만 국한되어 발현되었으나, 3일간의 탈수군에서는 내림가는부분과 유두상피 외에 헨레고리의 굵은 오름부분 (thick ascending limb)에서도 강하게 발현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굵은오름부분에서 유도된 OPN의 발현은 세포 내에서 골지복합체와 세포막자유면(apical plasma membrane)쪽의 분비소포에 위치하였으며, 핵하부세포질 또는 기저외측세포막에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3일간의 탈수는 콩팥세관에서 OPN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소변으로 OPN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steopontin (OPN), is a secreted phosphoprotein that is expressed in the normal kidne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OPN in the kidn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effect of dehydration on renal OPN expression. Dehydrated rats had free access to normal rat chow, but were deprived of water for 3 days. Kidney tissues were preserved by in vivo perfusion with paraformaldehyde-lysine-periodate (PLP) and processed for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urine osmolality were increased in dehydrated rats. Both OPN mRNA and protein were expressed restrictively in the descending thin limb (DTL) and papillary surface epithelium (PSE) in control kidneys. In dehydrated kidneys, there was an increase in OP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the thick ascending limb (TAL) as well as DTL and PSE.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OPN immunoreactivity in the DTL and TAL cells was located in the Golgi apparatus and in small cytoplasmic vesicl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ehydration status increases the expression of OPN in renal tubules and stimulates the secretion into the urine.

      • KCI등재

        청주 ‘압각수(鴨脚樹)’ 전설의 전승력과 ‘홍수’화소의 지역성

        황인덕(In-deok, Hwang)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8 No.-

        There is an old ginkoo thee called 'Apgaksu'(鴨脚樹) in Jungang Park in Cheongju city in Chungbuk Province. This tree is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during tumultuous period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re is a legend about times . This papwe aims at examining periodical difference in literature on the Apgak-tree legend, specifically noting the localization of this legend. The Apgak-tree legend is a historical legend in terms of its historical importance, a character legen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s, a historical relic legen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he object, and a tree legen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he tree itsel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is tree show that the documents of the legends on this tree are related to history, culture and nature although they are hidden. Although documents on this legend tell a single story, there is much grave evidence behind it. At the same time, this legend started as a local legend. Local specific historical events were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for recoding, and a single charcter story emerged. Finally it became of historical interest. However, its root is based in a historical event that happened in a specific local area to a specific objec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event and character, this legend expanded. But it is originally based on a local legend about a tree. This paper focuses on the influential power of this legend and specifically, its endemism as a local legend. Also, a 'flooding' motif is important as a root of the Apgaksu legend. Since geographically Cheongju City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a river, it experienced a lot of major flooding damage. The legend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repetitive flooding experiences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is legend as powerful folklore. Therefore, this legend indicates that natural conditions, flooding and events of the Mushim-river(無心川) in Cheongju city formed an inevitable chain of events. It is the main goal of this paper to examine the local natural conditions through legend by demonstrating the originality of this legend as specifically local legend. I hope this paper will help bring understanding to legends that emphasize local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UMNO 파벌주의와 마하티르 정치리더십의 권위주의화 경향에 관한 연구

        황인원(Hwang In-Won)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3

        1997년의 경제위기에서 1998년의 정치위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난 마하티르와 안와르의 정치적 분열은 말레이시아에서의 ‘정치위기와 체제변동’의 동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1981년 집권 이래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구가하던 마하티르는 어떤 제반 요건에 의해 집권 말기에 정치적 위기를 맞게 되었는가? 안와르의 제거과정에서 나타난 마하티르의 배타적이고 억압적인 정치행태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을 본 연구는 1981년 집권 이후 마하티르 정치 리더십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마하티르의 정치 리더십이 1980년대 집권 초기에 비교적 온건한 형태의 견제와 균형에서 직접적인 통제로,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 견제와 균형을 가미한 정치행태에서 최근 배타적이고 억압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간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하티르 정치 행태의 일련의 변화에는 집권정당인 UMNO내 정치 엘리트를 중심으로 한 파벌간의 경쟁, 갈등과 이에 대한 마하티르의 정치적 대응이라는 역학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UMNO내의 파벌 갈등과 마하티르 정치 리더십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 본 논문은 두 가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 마하티르 집권 기간 동안 1987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났던 UMNO내 엘리트간의 정치적 분열은 당내 파벌 갈등을 둘러싼 ‘이율배반적인’(controversial) 마하티르의 정치 스타일의 실패가 낳은 필연적인 산물이다. 둘째, 권위주의적 체제에서 민주화로의 이행 과정에서 집권 엘리트 내부의 분열이 제공하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UMNO내 파벌 갈등과 분열은 오히려 집권당 내부의 정치뿐만이 아니라 말레이시아 정치과정 전반에 걸쳐 마하티르 개인을 중심으로 한 권위주의적 통치를 더욱 공고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Regime change in authoritarian or semi-authoritarian states has often been attributed to divisions within the ruling group,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a strong tradition of single party dominance. In Malaysia, therefore, a more responsive political system should be expected from the factional split in Malaysia's dominant political party, UMNO. There was, however, little evidence that the UMNO factionalism has promoted political liberalization in Mahathir's Malaysia after the severe factional conflict in 1987. The year 1998 appears to be another landmark in Malaysian political history. After several years of rumors of leadership conflict within UMNO, Anwar Ibrahim was dismissed from office, expelled from the party and eventually imprisoned under the ISA (Internal Security Act). Interestingly, the recent factional dispute within UMNO since Anwar's downfall in 1998 offers another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political landscape of Malaysia.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relations of the UMNO factionalism and Mahathir's leadership style, focusing on Mahathir's strategies towards regime maintenance within UMNO during the 1981-98 period. Overall, it seems that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ntration of political power in the hands of Mahathir since he came to power in 1981.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re have been meaningful changes in Mahathir's style in consolidating his political grip over the ruling party from moderate checks-and-balances(1981-87), direct control(1987-90), to indirect, but unambiguous. intervention(1990-98). By focusing on changes within the overall continuity in Mahathir's leadership style in UMNO politic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meaningful background analysis of the recent UMNO leadership crisis, particularly the fall of Anwar.

      • KCI등재

        쪽방거주자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세인(Hwang Se 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되어 형성된 쪽방에 거주하는 이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분산형 쪽방지역으로 알려진 부산광역시의 쪽방거주자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제공자들은 생계유지를 위한 ‘절약’과 ‘시간 때우기’가 가능한 장소를 찾아 전전하고 있다. 무위(無爲)한 일상을 “시간을 때우며” 보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저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것이 아닌, 목적이 있는, 나름의 생활전략을 가지고 필요한 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둘째, 이들은 자신들의 거주지를 쪽방 밀집지역과 같은 쪽방촌, 쪽방지역이라는 인식보다는 쪽방, 여인숙과 같이 살고 있는 건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며, 때문에 쪽방지역과 그 바깥 지역이라는 구분없이 생활에 필요한 곳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장소 사이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이런 생활권은 마치 보이지 않는 개별적인 쪽방 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다. 셋째, 이들은 ‘일하는 것’과 제도 및 복지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내·외부의 엄격한 시선 속에 놓여있다. 즉, 근로능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비난을 받기도 하며, 혹여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보여질까, 그래서 기초생활보장수급에서 탈락되지는 않을까하는 불안 속에 살아가고 있다. 넷째, 이들은 쪽방으로 오는 과정에서 가족, 주거, 고용 및 사회로부터 배제되어 왔으며, 점차 스스로 누군가를 멀리하며 배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혼자 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정보제공자들은 앞으로도 여전히 혼자인 삶을 걱정하고 있으며, 나름의 방법으로 그 삶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및 실천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residents who are living in Zzock-bang that are developed throughout scattered spots. In order to do so,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Zzock-bang resi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ich is known as the typical Zzock-bang area with dispersal patter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triving to find a 「place」where they can ‘save money’ and ‘fill in time’. Although they are ‘filling in time’ in their meaningless routine, they don’t waste time just recklessly but spend time in a place they need with their own living strategies having certain goals. Second, they tend to regard their residence not as a ‘Jjok-bang village or Jjok-bang area’ where Jjok-bang households are densely located but as a ‘Jjok-bang or inn’, that is the ‘building to live in’; thus, they are moving to the place they need for living with no distinction between the Jjok-bang area and the outside area. Among the places, however, relatively regular spheres of living are formed, and each of these spheres seems to form an individual Jjok-bang area that is almost invisible. Third, they get a strict ey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working’ or utilizing ‘institutional or welfare resource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y are not equipped with working capabilities, they are often criticized as ‘a person unwilling to work’, and they are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y might seem a person who is capable of working’ and it deprives them of their subsidies for basic living. Fourth, in the process they enter Jjok-bang, they become excluded from their family, residence, employment, or society, and gradually, they, too, exclude themselves from somebody else. La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living alone are still worried about their lonesome life in the future and preparing for it somehow in their own wa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 KCI등재

        논문 :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미적 기능에 관한 연구

        황인주 ( In Joo Hwa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7 No.-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무용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적 특성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와 관련하여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이 무엇이며, 무용수의 창의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안무가-무용수-관객이라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무용공연의 미적 의사전달체계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공연행위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안무가의 안무메시지가 메시지전달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되고 전달된 무용표현에 대해 관객이 미적으로 반응하게 된다는 무용공연의 미적 전달체계는 비공연예술과는 달리 무용수라는 독특한 전달매개체의 존재로 인해 전달과정에서 안무가-무용수 간의 비평적 이해, 그리고 무용수-관객 간의 미적 상호작용이라는 두 가지 관계성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적 관계성에 따라 무용공연에서 무용수는 미적 가치의 전달, 미적 가치의 창조, 그리고 미적 표현의 구현이라는 상호 연계된 미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들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따라 무용공연의 예술적 성공이 결정된다.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세 가지 기능은 무용수의 창조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역량 개발에 대한 교육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무용수의 창조성 개발을 위해서는 무용규칙 및 관례 등 무용테크닉 습득, 그리고 미적 소양 제고를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 특히 미적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이러한 개념과 특성을 무용연습을 통해 무용표현으로 구현 함으로써 개발되고 증진된다는 점에서 미적 소양을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무용미학 교육은 그 자체가 독립적 분리되어 실시되기보다는 미적 표현을 위한 무용연습과 상호 결합되어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re exists the creative realm of the dancer in danc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esthetic functions of the dancer in dance performance and relevant elem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ancer`s creativeness,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aesthetic properties and values in dance wor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mmunication model and it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choreographer, the dancer and the audience. Based on the aesthetic communication system, this paper also analyzes aesthetic functions performed by the dancer in dance performance. There are two relationships among elements in the aesthetic communication system, crit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choreographer and the dancer, and aesthetic interaction between the dancer and the audience. Through these relationships, aesthetic properties are created beyond the choreographic content presented by the choreographer. Additionally, the dancer performs three interrelated functions such as delivering aesthetic values, creating aesthetic values, and embodying aesthetic expression, in the aesthetic communication system. Because these functions performed by the dance demand the dancer`s creativity,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dancer in order to develop the dancer`s creativity.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educate not only the dancer in terms of dance technique including dance rules and conventions, but also aesthetic knowledge. Because understanding aesthetic concepts and properties is enhanced through embodying dance expression in dance practices, the education in dance aesthetics may be needed to combine with dance practices for aesthetic expression.

      • KCI등재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CT Serverity Index의 의의

        ,안인옥,김영미,나재범,전세준,정성훈,유진종,송익훈,Hwang, Ho,Ahn, In-Oak,Kim, Young-Mi,Na, Jae-Boem,Jun, Se-June,Chung, Sung-Hoon,You, Jin-Jong,Song, Ik-Hoon 대한영상의학회 199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6 No.2

        Purpose : To assess the usefulness of a CT severity index(CTSI) for the evaluation of acute pancreatitis and correlate it with clin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pectively evaluated contrast enhanced CT in 34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They were categorized into low-score(0-2), middle-score(3-6), and high-score(7-10) groups according to CTSI points, and those groups were correlated with duration of fasting period, days in hospital morbidity and mortality.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CTSI between pancreatitis caused by alcohol and by biliary tract disease.Results : Of 34 patients, 11 were placed in the low-score group, 19 in the middle-score group, and 4 in the high-score group. The patients in the middle-score group experienced longer fasting period and stayed longer in hospital than those in the low-score group(p<.05 and p=.08, respectively). Morbidity was 0% in the low-score group, 37% in the middle-score group and 50% in the high-score group. Mortality occurred in two patients in high-score group, only. Alcohol-induced pancreatitis generally showed a higher CTSI and more severe clinical course than pancreatitis caused by biliary tract disease. Conclusion : In the evaluation of acute pancreatitis, CTSI can be a useful predictor of its prognosis.

      • KCI등재

        흰쥐 콩팥 세관 상피 세포에서 E-cadherin의 발현

        황인아(In-A Hwang),하헌주(Hunjoo Ha),한기환(Ki-Hwan Han)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E-cadherin은 상피세포의 이음복합체에 존재하는 주요접합분자이며, 상피세포의 극성을 유지하고 세포간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E-cadherin은 콩팥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세관에 따른 정확한 발현양상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콩팥세관에 따른 E-cadherin의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계 흰쥐의 콩팥을 분리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세관에 따른 E-cadherin의 분포를 관찰하기 위해 세관 상피세포의 지표인 bumetanide-sensitive Na+/K+/2Clcotransporter(BSC1), thiazide-sensitive Na+/Cl- cotranstporter(TSC), calbindinD28k, H+-ATPase과 함께 이중염색을 실시하였다. 흰쥐 콩팥에서 E-cadherin은 상피세포의 기저외측막에서 발현되었다. 집합관과 콩팥유두상피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근위곱슬세관, 헨레고리, 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원위곱슬세관과 헨레고리의 굵은오름부분에서 중간 정도의 발현을 보였으며, 핵하부세포질에 퍼져있는 양상으로 발현되었다. 토리상피세포와 근위곧은세관에서 E-cadherin이 발현되지 않았다. E-cadherin의 단백정량결과 겉질과 바깥속질에 비해 속속질에서 E-cadherin이 많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E-cadherin은 콩팥세관 상피세포에 따라 다른 발현양상을 보이며, 집합관과 콩팥유두상피세포에서 주요 접합분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E-cadherin is a cell adhesion molecule that is expressed abundantly in the kidney. However, the expression pattern in various renal epithelial cells is not well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ellular localization along the nephron segments in the rat kidney. Kidneys from adult Sprague Dawley rats were fixed in 4% paraformaldehyde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Bumetanide-sensitive Na+/K+/2Cl- cotransporter (BSC1), thiazide-sensitive Na+/Cl- cotransporter (TSC), calbindin D28k, and H+-ATPase were used to identify the thick ascending, distal convoluted stubule, connecting tubule, and collecting duct, respectively. In the rat kidney, Ecadherin was expressed mainly in the basolateral domain of the collecting duct and papillary surface epithelial cells. The expression level of E-cadherin changed gradually in the connecting tubule and became moderate in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thick ascending limb, and loop of Henle. The S1 and S2 segment of the proximal tubule showed weak immunoreactivity. However, E-cadherin was not expressed in the S3 segment of the proximal tubule in the rat kidne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adherin is a major adhesion molecule in the collecting duct and papillary surface epithelium, and that E-cadherin may play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the epithelial polarity of these nephron segments.

      • ‘참을 인자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 설화 고찰

        황인덕(Hwang, In-dou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0 충청문화연구 Vol.23 No.-

        한국에는 ‘참을 인(忍)자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는 속담이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설화도 아주 널리 전승되고 있다. 이 설화의 줄거리는 며칠간 출타했다가 귀가한 남편이 아내가 외간 남자와 동침하는 것으로 오인하여 살인을 하려는 위기에서 ‘참을 인’자를 세 번 떠올리면서 화를 참아내 마침내 살인을 면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중국에서도 이와 흡사한 설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위 설화의 한국설화로서의 특징을 살피면서, 중국과의 비교적인 관점으로 연장해 보려는 것이다. 남편이 외출했다가 귀가했을 때, 집안에 있던 아내가 외간남자와 동침한 것으로 의심받을만한 상황은, 세계 어디에서나 일반적으로 실제이야기(real tale)로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한국에서는 이 실담이 하나의 고정된 구전 설화 유형(traditional tale type)으로 정착되어 있고, 더불어 그것을 기반으로 한 ‘속담’도 널리 전승되고 있다. 이 설화는 중국에도 유사한 각편(version)이 전승되고 있음이 발견되는데, 그러나 이제까지 중국에서는 단 하나의 각편 자료만이 확인되고 있다 (이 글에서 인용한 자료는 22편인데 그러나 여기에 더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위 설화는 과거 ‘야담’이라 불리던 조선시대 문헌설화(또는 기록설화)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에서 전승되기 시작한 역사는 짧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오랜 전승을 거치면서 위 설화는 독자적인 유형성이 다듬어지고, 동시에 한국설화다운 특징을 잘 갖추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국설화다운 특징은 사회 ‧ 문화 ‧ 이념, 그리고 근현대의 역사적 경험 등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설화는 두 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발생한 것일까? 아니면 한국에서 발생하여 중국으로 전파된 것일까? 그러나 이 문제는 좀 더 나중에 판단을 해야 할 것으로 본다. In Korea, there is a proverb, "One moment of patience may ward off great disaster" And stories about this are also very widely handed down. The storyline tells us that after a few days of going out, a returning husband was able to endure anger and finally could avoid committing murder by thinking three times of "bearing" in a crisis of misunderstanding that his wife was guilty of sleeping with an outside man. Similar stories also can be found in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tales and extends them to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Chinese tale. When a husband returns home from outing, a situation in which his wife in the house might be suspected of sleeping with an outside man can generally be a real tale anywhere in the world. In Korea, this real story is settled as a fixed traditional tale type, and the "proverb" based on it is widely transmitted. Similar versions of narratives are found in China, but only one piece has been identified in China. (I used 22 pieces in this article, but I think there is a possibility to add more) This narrative tale is not found in the Chosun Dynasty literary narrative (or documentary narrative), which was formerly called Yadam. However, the history of this transmission in Korea is unlikely to be short. And through these long traditions of transmission, the tale has been refined its own typolog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o have the features of Korean tale. Her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rrative tales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various factors such as society, culture, ideolog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experiences. So was this narrative tale generated in those two countries? Or did it originate in Korea and spread to China? However, I think this question could have an answer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