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기에 창립된 세계 유일 민속학회, 조선민속학회의 의의와 지속

        강정원 한국민속학회 2022 韓國民俗學 Vol.76 No.-

        조선민속학회가 세계의 여타 민속학회들과 구분되고 세계 민속학사에서 특기해야 할 점은 식민지라는 시공간에서 식민모국 출신이 아닌 식민지 출신 민속학자에 의해서 유일하게 창립되었다는 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민지를 비교해 보면, 그 사정이 조선보다 열악한 경우는 찾기가 어렵다. 학술의 자유가 극도로 제한된 조선에서 민속학회가 출발한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민속학회와 함께 식민지기에 건립된 학회로는 조선어학회와 진단학회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민속학회에 관련해서 두 가지를 논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조선민속학회가 전 세계에서 유일무이하게 식민지 상태에서 창립되었다는 사실을 아일랜드나 핀란드 등의 사례와 비교를 통해서 검토하고 그 의의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이다. 두 번째로 조선민속학회의 낭만주의적이면서도 계몽주의적인 민속자료 수집관이 한국민속학회나 한국문화인류학회를 통해서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본고에서 조선민속학회의 활동을 송석하나 손진태의 연구범위나 연구이론 등을 두고서만 실증적으로 논하고자 하지 않는다. 푸코 등이 제기하는 지배담론이나 지배체제와 관계 속에서 조선민속학회를 거시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학회라는 체계와 제도의 성립과 행위의 결과인 학회지에 주목하며, 이를 다른 국가 민속학회와의 비교 속에서 살피고자 한다. 왜 조선이라는 식민지에서만 민속학회가 창립되었나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내적 조건과 식민 모국과의 관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조선 내에서 싹튼 다양한 조선민족주의적 활동과 실학이나 조선학의 지적 전통도 조선민속학회가 식민지라는 척박한 환경에서 출발하게 만든 자양분이었다. 조선학은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조선 식민지 지식인들이 조선 문화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며, 조선인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한 학술운동 과정이자 지식체계인데, 이러한 운동의 주축이 된 학자로 최남선 등을 꼽는다. 최남선은 조선 민속 문화의 기원과 분포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조선 고대 민속 문화의 지속성과 영향력을 설명하고 주장한 학자였다. 최남선과 이능화 등의 조선 민속 문화에 대한 지속적 연구는 조선이라는 억압받는 식민지에서 조선민속학회를 출발시킨 중요한 기반이었다. 나는 자료학과 민속지학의 전통이 조선민속학회에서 한국민속학회, 한국문화인류학회로 이어짐을 학회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제시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체계를 부여하는 자료학과 민속지학으로서 민속학을 정립시키고자 송석하는 노력하였고, 이는 조선민속학회에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민속학보』나 『한국민속학』을 통해서 전승되었고, 1950년대부터 활동한 민속학자들이 계승하였다. 하지만 그 계승은 강하지 않아서, 현재까지 약하게 이어지고 있다. 조선민속학회의 민속지학 전통이 국립민족박물관으로 이어졌지만, 국립민족박물관이 중앙박물관에 흡수된 것은 그 전통의 힘을 약하게 만들었다. 1960년대에 이러한 전통은 새롭게 만들어져야 했고, 다시 국립민속박물관을 통해서 강해져야만 했다. 조선민속학회의 전통은 한국민속학회로만 이어지지 않았다. 한국문화인류학회를 만든 민속학자들을 통해서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한 민속지학적 전통은 한국문화인류학회를 통해서도 계승되었고, 현재까지 오...

      • KCI등재
      • KCI등재

        남도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

        서해숙(Seo Hae-sug)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이 글에서는 남도민속학회가 설립된 이래 학회 구성원들의 연구 활동과 연구 성과 그리고 지역민속학으로서의 위상을 점검해보고, 향후 남도민속학회가 지향할 바와 그들에게 주어진 과제를 성찰한 것이다. 한국민속학의 발전은 지역민속학의 발전과 비례한다. 각 지역에서 철저한 현장조사와 함께 치밀한 연구를 시도하는 이들에 의해, 민속학은 학문적 체계와 연구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다. 현재 남도민속을 학술적으로 연구하고 정립하는 연구자들의 중추적인 모임인 ‘남도민속학회’의 역할과 위상은 각별하다. 1991년 설립된 이래 오늘까지 꾸준한 연구 활동을 통해 남도민속, 남도문화의 연구 열기를 의미 있게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남도민속학회는 개인 연구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주제를 수행하고 있고, 새로운 방향의 논의를 이끌어 지역민속학회로서의 지역문화에 창조적인 논의에 기여하고 있다. 민속학은 민속문화가 연행되는 현장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가 전제되는 학문이다. 따라서 현장조사가 배제된 민속학 연구는 모래 위에 탑을 쌓듯이 학문적 토대를 굳건히 할 수 없다. 한국민속학회가 그렇듯이 남도민속학에서도 민속조사를 통한 학문적 안목과 훈련을 거치면서 연구자들이 육성되었고 그것이 학회 결성의 힘으로 작용하였다. 현재 남도민속학회는 남도라는 문화적 영역을 대상으로 그 영역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문화 즉 민속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지역민속학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는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민속조사 활동과 지역 및 중앙 학계에서의 활발한 연구 활동의 결과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도지역의 관련 연구자들이 결집하여 연구 역량을 극대화하고 그 전망을 모색하고 있으므로 잠재적 기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민속은 역사성, 전통성, 지역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언젠가 사라질 문화가 아닌 현재를 있게 하고 미래를 담보하는 문화의 원동력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토대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남도민속학의 지속적인 연구 축적을 위해서는 독자적인 학과로서의 민속학 설립이 절실히 요구되는데, 이는 남도민속학회가 지향하는 학문적 독창성과 경향성이 학문적 기반과 전통 위에서만 기능하기 때문이다. The development of Korean Folk Studies is proportionat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Folk Studies. Researchers that closely work with regional folk activities for in-depth studies establish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Folk Studies. 'Namdo Folk Society,' the central gathering of researchers that study and create Namdo folk, is playing critical roles at a distinct position. Since it was established in 1991, it has constantly supported various research activities to succeed the studies of Namdo folk and Namdo culture. Namdo Folk Society is active as the center of Namdo Folk Studies that research Namdo folk and the lifestyles and mentality of Namdo people. It is particularly conducting large-scale studies that are difficult to handle for individuals and contributes to creating regional culture by leading new perspectives and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of the members of Namdo Folk Society since its establishment, and contribution to Regional Folk Studies, and the future responsibilities to be pursued by Namdo Folk Society.

      • KCI등재

        『朝鮮民俗』과 ‘鄕土舞踊民謠大會’로 본 조선민속학회 -조선민속학회 창립 90년에 식민지혼종론을 생각한다-

        전경수 한국민속학회 2022 韓國民俗學 Vol.76 No.-

        조선민속학회는 1932년 4월 창립되었다. 송석하를 비롯한 조선인들에 의해서 창립된 후, 일본인 연구자들이 참여하였다. 민속학을 포함하는 세계 인류학사상 조선민속학회가 유일한 사례이다. 식민지의 토배기들이 창립한 학회에 식민지 지배세력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조선민속학회의 특수성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929년 창립하였던 동경의 ‘민속학회’가 선행 모델이었음도 감안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며, 그 ‘민속학회’의 내용은 민족학이었음에 대해서도 이해를 요한다. 학회의 기관지로서 3회 발행되었던 『조선민속』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식민지적 혼종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경의 일본청년관이 주도하였던 ‘향토무용민요대회’를 모방하여 조선민속학회가 주최하였던 경성의 ‘향토무용민요대회’는 단 1회, 그것도 봉산탈춤의 공연만 있었다. 이후 유사한 대회들이 몇 차례 실시되었던 것들은 모두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중일전쟁 이후의 전시라는 맥락하에서 생산독려에 필요하였던 오락동원의 의미를 간과할 수 없다. 식민지 조선의 오락이라는 문제는 제국일본의 오락 정책이라는 맥락 속에서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중오락이라는 문제를 정책적인 방편으로 재단하였던 제국 차원의 시도들이 식민지 조선에서 ‘향토오락’이라는 장르로 거론되었던 점을 명백하게 인식하여야 한다. 일각에서 송석하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민속학회의 ‘문화민족주의’적인 성격을 거론하는 것은 감시와 탄압을 수단으로 하였던 식민지 정책에 대해서 안일한 관점을 적용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식민지에 더해서 전쟁 수행 중의 제국일본의 사찰당국이 ‘문화’라는 형용사가 붙었다고 해서 민족주의의 연행과 포폄을 묵인하였을까? 21세기의 대한민국이라는 공간에서 식민지시기의 문제를 조명하기 전에 당시의 맥락부터 먼저 생각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제국의 속지인 식민지 조선의 문제를 고찰하는 안이한 사고방식들을 배척하기 바란다.

      • KCI등재

        조선민속학회 창립의 산파 송석하와 한국 민속학의 길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식민치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속학회는 민족 내부의 자주적 학문운동과 국제적 식민체제극복운동의 두 갈래 상황 속에서 인식되어야 그 의미가 제대로 포착된다. 조선민속학회는 국내 학문운동을 중심으로 보면, 모국어 회복 운동을 한 ‘조선어학회’ 활동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민족문화 운동이고, 국제적 민족운동과 관련하여 보면, 식민지배를 받은 제3세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민속학회를 결성한 선구적 학문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외민족운동의 맥락 속에서 주목해야 조선민속학회의 민족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민족운동 의의가 제대로 드러난다. 조선민속학회의 성립과 활동 과정을 이해하려면 학회 창립의 산파 역할을 한 송석하의 활동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송석하는 학회를 발의하고 주도하는 가운데 사재를 털어 학회지 『조선민속』을 간행했다. 학회지의 체제와 연간 4회 간행하려는 의욕은 요즘 학회와 견주어 보아도 탁월하다. 그럼에도 송석하는 일본학자들과 어울렸다는 것이 빌미가 되어 식민주의 공범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식민주의 시각에 따라, 학회지 『조선민속』 3호발행인이 송석하 대신 아끼바로 바뀐 데 관한 해석이 ‘일본화’와 ‘일제화’로 엇갈린다. 일본학계의 ‘일본화’ 주장에 대하여 전경수가 ‘일제화’로 맞서자, 남근우는 일제화를 비판하며 오히려 일본화에 동조했다. 그 근거는 조선어 사용 금지 시기와, 조선민속학회가 유명무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어 사용 전면 금지 이전부터 일제화가 시작되었다는 사실과, 발행인 교체가 사승관계에 있는 일본인 두 사람에게는 매우 유의미하게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일본화를 주장하는 식민주의 옹호 논리를 재비판했다. 그리고 송석하의 학회활동 중단 원인에 대한 전경수의 질병원인론과 인류학 선호론을 극복하며, 식민체제에 따른 민속탄압론에 이어서 인류학 통섭론을 제기했다. 문제는 한국민속학의 길이다. ‘송석하가 우리시대의 민속학자였다면 어떤 수준의 활동을 했을까?’ 반문할 필요가 있다. 일제치하의 민속학회와 송석하의 활동을 제대로 본받으려면 민속학자로서 민속지 작업과 학술저서 작업을 병행하고 인접학문을 통섭함으로써 자기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송석하의 학회창립, 사재출연, 학회지 발행, 민속조사, 논저집필, 인류학 통섭, 박물관 설립 등 그의 활동을 본받아 실천할 필요가 있다. Joseon Folklore Society which was founded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can have its meaning clarified only if it is recognized in the two paths of situations, the independent study academic movement within th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overcome colonialism. Joseon Folklore Society is an ethnic culture move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s like ‘Joseon Language Society based on mother language restoration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aforementioned domestic academic movement and pioneer academic movement constitutes the only folklore society among the 3rd world country who received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pioneer academic movement. As such, the ethnic history meaning and world ethnic movement meaning of Joseon Folklore Society may be identified properly only if domestic and overseas ethnic movements are taken note of. For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process of Joseon Folklore Society,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who played the role as the midwif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cannot but be paid attention. Seok-Ha Song published 『Joseon Folklore』 the academic journal of the society by paying private money while initiating and leading the society. The system of the society’s journal and his passion to publish as many as 4 times a year are outstanding even in comparison with these day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lso regarded as an accomplice of colonialism due to the excuse that he hung around with Japanese scholars. In such colonialism related view, the interpretation that the publisher of the 3rd edition of 『Joseon Folklore』 the society’s academic journal was divided into ‘Japa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zation’. As Gyeong-Su Jeon hits back as ‘Japanese imperialization’ about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claim as ‘Japanization’, Geun-Woo Nam rather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zation and synthesized with ‘Japanization’, and his ground to that was the coincidence of the period of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titularity of Joseon Folklore Society. However, he criticized again the logic of advocating colonialism which claims Japanization on the ground that Japanese imperialization began even before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replacement of publisher was very significantly utilized to the two Japanese persons who were teacher and pupil. And he propose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anthropology after ethnic suppression theory by colonial system by overcoming the Gyeong-Su Jeon’s preference of disease causation theory and preference theory for the Seok-Ha Song’s cause of pause of the society activities. The problem is the path of Korean folklore study. If Seok-Ha Song was a folklore scholar of these days, what level of activities would he do? It is worth questioning. Following the Folklore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properly would be to carry out the work of folklore journal and the work of academic writing simultaneously as folklore scholar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one’s own study by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integrated manner.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take his activities as example and practice them by establishing the society of Seok-Ha Song, investing private fund, issuing academic journal, surveying folklore, writing papers,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y of anthropology and establishing museum etc.

      • KCI등재

        경인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

        정형호(Jung Hyung-ho)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경인민속학회는 5년의 역사를 지닌 신설학회로서 서울 경기ㆍ인천 지역의 민속을 조사연구하는 지역민속학회이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도시민속학을 연구하는 학회의 성격을 아울러 지닌다. 26회의 월례발표회, 3회의 규모 있는 학술발표회, 3번의 현지조시를 실시했으며, 46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1권의 총서를 발간했다. 발표 내용을 보면, 주로 민속신앙이 가장 많고, 총체적 접근으로 도시민속 연구사, 민속방법론, 공동체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기타 비교민속, 생업, 세시풍속 등도 몇 편씩 다루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이 가장 많고 이어 경기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분야별, 지역별로 다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점차 지역을 넓히고 분야별 분화하고 도시와 현대민속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서울을 중심축으로 공간의 확대와 개항지로서의 인천과 연관성율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기도는 서울 확대와 관련지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역민속학회로서 지역 공간의 변화와 거주자의 생업 및 변화 과정을 면밀히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민속학회로서 인접 도시사회학, 도시문화학, 도시역사학, 현대민속학과 밀집한 관련을 지닌다. 그리고 도시는 역사적사건이나 외세 침략, 정치적 영향 등의 외무적 충격에 민감하고, 개인에 따라 민속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민속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일상생활사, 개인생애사까지 범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접근 방법은 대략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 민속의 확대된 갈래 및 주제로 접근하는 방법, 개인의 생업적 특성에 의한 접근 방법, 역사적 사건에 따른 접근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런 접근 방법은 모두 개인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추출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학회의 당면 과제는 지역과 도시민속의 접점을 어떻게 오색하고, 연구 분야와 지역의 편중 현상을 극복하며, 개인생애사를 어떻게 적절히 활용하느냐, 그리고 전문연구자의 육성 등이라 할 수 있다. Kyungin Folklore society is the newborn institute which has been for 5 years and investigates folklore around Seoul, Incheon, Kyungki area. In addition, it has a character as the society which studies urban folklore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Nowadays, monthly meeting has been conducted 26 times, systematic lectures presentation has been conducted 3 times, field survey had been done 3 times. 46 articles were published and one collection book came out. If we see the issues in presentation, folk religion had the highest number and then city folklore methodology, city community issue were dealt with. In addition to these issues, a comparative folklore, an occupation and seasonal customs were presented a little. Research area had the highest number of Seoul and then Kyungki province. Research area was biased according to local places. Therefore,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area and detail by the issue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e approach might be divided into specific-place, folklore theme, private occupational character, historical event. This kind of approach has the mutual organic relatedness with the center of personal oral life history. The present issues of the society are to grope contact points between country and urban folklore, to overcome the concentrated phenomenon of research area and range and to foster lots of exclusive researcher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민속학회 기관지 『조선민속』을 통해 본 1세대 연구자들의 민속학 인식

        유현주 한국민속학회 2022 韓國民俗學 Vol.76 No.-

        한국 민속학의 탄생은 조선민속학회라고 하는 학술적 마당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고의 목적은 조선민속학회 기관지인 『조선민속』 분석을 통해 한국 민속학 1세대 연구자들의 학적 관심과 민속학 인식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조선민속학회는 창립 이듬해인 1933년 1월 18일 기관지 『朝鮮民俗』을 발행하였다. 『조선민속』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속학 전문 학술지이다. 근대학문이자 독립학문으로서 조선민속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과를 열었던 조선민속학회는 그들의 민속학 제안을 『조선민속』을 통해 구축하고자 하였다. 조선민속학회는 창립 단계부터 민속학 자료의 수집과 정리, 민속학 지식의 보급, 연구자의 학적 교류 및 국내외 학술 네트워크 구축이라고 하는 연구지향점을 선명하게 밝히고 있는데, 이러한 방향성은 『조선민속』의 구성과 내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조선민속』에서는 민속학 자료의 가치를 강조하며 현지조사 기록의 양식을 제시하였으며, 채보․채록, 사진촬영 등의 다양한 민속학 주제에 대한 기록화 방식을 소개하고 『조선민속』을 통해 자료들을 아카이빙 하고자 했다. 또한 민속학의 연구 주제(연구 영역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국내외 민속관련 학회와의 교류도 추진하였다. 현지조사에 대한 강조만큼이나 실증적 성격의 문헌연구도 심화하고자 했으며 언어와 분야를 넘나드는 광범위한 접근을 통해 『조선민속』을 통해 자료들을 축적하고 공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 식민지정책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관변 민속 조사연구의 경향과는 달리 학술적 독립성에 중점을 두고 조사 연구를 지향하였으며, 사학․언어학․문헌학 등 인접학문과의 융합 연구를 중시하였다. 『조선민속』의 이 같은 특징들은 신생 독립학문인 민속학에 대한 1세대 연구자들의 지향점과 학적 모색이 반영된 것이다.

      • KCI등재

        시ㆍ도 입장에서 모색한 한국민속예술축제 보완

        박미현(Park Mi-Hyun)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글은 한국민속예술축제 점검과 전망을 시ㆍ도 입장에 두고 출발하였다. 전국 16개 시ㆍ도와 이북 5도 등 지역은 반세기 넘는 세월동안 축제와 함께 호흡하여왔다. 1958년 창설된 후 줄곧 서울서 열리던 축제가 1967년부터 지역을 순회하고, 1976년부터는 도청 소재지가 아닌 곳에서도 열리면서 더 가까워졌다.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한국민속예술축제로 개칭된 1999년 이후 외형은 ‘축제’, 내용은 ‘경연’이라는 이중 구조로 인한 또 다른 한계에 부딪쳐 새로운 모색을 해야 되는 시점이어서 시ㆍ도 입장에서 성과와 문제점, 방향성을 찾아보았다. 전국 시ㆍ도 입장은 두 가지로 축약될 수 있다. 하나는 경연 방식으로 치러지는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 선수’입장으로 참여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매년 순회하는 축제 개최지로서 측면이 있다. 시ㆍ도는 급격히 사라지는 지역 민속예술 발굴ㆍ보존ㆍ계승이라는 축제 취지에 따라 의무적으로 경연에 참가하고 있는데, 시ㆍ도 민속예술대표단은 민속예술 전승 주체이면서 심사 평가를 받는 대상으로서 객체가 되는 모순된 입장에 처해있다. 축제를 존재케 하는 민속예술 전승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주인공 자리와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관 주도로 짜놓은 행사에 초청된 손님으로서 주변적 위치로 동시에 호명되고 있는 것이다.‘축제’의 외피로 바뀐 뒤에도 여전히 시ㆍ도는 ‘참가선수’ 로 대상화됨으로써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위치를 갖지 못한 것은 한국민속예술축제 역사의 어두운 면이기도하다. 중앙정부와 공동 주최하는 개최지로서의 시ㆍ도와 시군 입장에서 살펴본 결과 민속예술 보존과 전승이라는 고유 목적 이외에 개최지 문화의 자긍심 제고와 참가단과 관람객 유치를 통한 특산물 판매와 지역 경제 수익 제고, 관광객 유인 등의 효과를 점점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축제와 연계하고 부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며 자매결연도시 인원 동원 등의 행정 변화는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이 같은 시ㆍ도 입장에서 무형문화재 인정과 보존, 민속예술 전승자로서 자긍심 계발, 마을 구심체 역할, 실생활에 도움 주는 관광문화 자산 확보 등을 축제 성과로 꼽을 수 있었다, 문제점으로 전승 주체자의 객체화와 단절화, 텅 빈 관중석과 운동장 경연환경, 빈약한 일회적 지원과 제도를 지적하였다. 보완점으로 민중 곧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생산하고 매개하며 전승할 수 있는 민속예술 본질 회복과 비일상적인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삶의 일상이 되는 전승여건, 연행될 때 객석 관중과 부담 없이 어우러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방향성을 두고 민속예술 일상성 회복과 현장 심사제, 도농교류나 마을축제 연계, 심사위원 전문가 풀제, 긴장감과 활력 제공하는 시상제 유지, 중앙정부 제도적 장치와 지원 제도를 제안하였다. 한국민속예술축제는 중앙정부의 행정력을 발휘하여 민속예술을 지키고 가꿔가는 관 주도 사업으로 단순히 볼거리 제공 축제나 이벤트 형태와 달라야 하며 지역민속 보존과 전승 동력을 촉진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한다는 측면에서 시ㆍ도 입장과 지역적 욕구 수렴에 우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축제 폐지론 이유 중 하나인 소재 고갈 논란에 대해서는 강원지역 사례를 집중분석한 결과 제한된 전문 인력과 고증에서 오는 문제점으로 파악하였다. 시ㆍ도 입장에서는 예선 성격으로 치러지는 시ㆍ도민속예술축제가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기도 하므로 두 축제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동반 개선 방안 마련이 중요함을 피력하였다. This writing focuses on the standpoint of city and province concerning examination and prospect of Korea Folk Art Festival. 16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s well as 5 provinces in the North celebrated the festival together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fter its establishment in 1958, the festival, held mostly in Seoul mostly, began its nationwide tour in 1967. From 1976, the festival became closer by opening itself in places that are not necessarily capital cities. After it changed its name from National Folk Art Competition to Korea Folk Art Festival in 1999, it reached another breaking point due to the dual structure of “festival” on the outside, and “competition” on the inside. Therefore, it is time to seek for a new solution. The results, weaknesses, and future direction from the standpoint of cities and provinces are examined. The position of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can be summarized into two standpoints. First, cities and provinces can participate as “competitors” at Korea Folk Festival, which will be held in competition format. Second, cities and provinces can be viewed as sites of annual tour of the festival. Cities and provinces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mandatorily in order to discover, conserve and inherit regional folk art, which is rapidly disappearing. City-province Folk Art delegation is the principle agent transmitting Folk Art as well as subject of evaluation at the same time. The paradox is that on the one hand, they play the principle role of transmitting the Folk Art and organizing the festival, and on the other hand, they are also invited as guests at the festival. The fact that city-province didn’t get active position by remaining as “competitors” even after the competition became a “festival” is the dark side of the Korea Folk Art Festival’s history. After exami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as the site sponsoring jointly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of city-district, various effects including raising the pride about the culture of the site, raising economic profit by selling special products of region, attracting tourists, and more seem to be considered increasingly important apart from traditional purpose, such as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Folk art. The administrative changes like liaison with local festivals, activation of troop programs, and mobilization of people in sister-city affiliation reflects this type of trend. The fruitful outcomes of the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include certification and con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development of pride as folk art successor, playing crucial role in the area, securing touristic and cultural property benefiting the real life, and more. In contrast, the drawbacks of the festival are objectification and separation of principle agent of transmission, empty seats and stadium environment, as well as poor one-time support and policy. In order to supplement for the shortcomings, it’s been suggested that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principle agent. Restoring the essence of Folk art, transmission condition in everyday life, promoting environment in which all people get joined together should be focused. Also, restoration of ordinaries of Folk art, field screening policy, liaison of local festival or agricultural exchange, inviting professional judges, maintaining award policy to provide vitality, institutional measure and support of central government have been suggested. It’s been argued that Korea Folk Art Festival must be different from simple festival or event and central government should display its administrative power to protect Folk art. Moreover, it’s been emphasized that the priority should be on responding to the desire of the region and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in order to facilitate regional folk conservation and transmitting power. On the other side, a focused analysis of Gang-Won area case in response to one of the reasons in

      • KCI등재

        2000년 이후 민속연구의 양상과 향후 민속연구의 보완 과제 모색

        강등학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1 No.-

        What is Korean folklore? The question of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folklore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1970s. These discussions have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sharing of the perception that Korean folklore is an independent study characterized by a lot of adjacent studies, and that it is a study dealing with issues of the day as well as the past. Following this trend, Korean Folklore’s research activities since 2000 have fostered fundamental interest in urban folklore, and are also showing signs of revitalizing the current problem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folklore. So, we believe that modern folklore, which arose after modern times, is no longer classly culture of the ruling class, and its spatial background is also central to the city. In addition, as the mechanism of cultural flow today proceeds from the city to the village, the current cultural development engine of folklore exists in the city.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mall citizens along with the common people of the city as the realist of the present times. Our folklore academic edition is gradually weakening with the peak of 2009, and the same trend has intensified especially over the last three years. Even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activities of folklore since 2000 have formed a new trend. Discussions on social and academic issues related to folklore have been carried out considerably. Most of these folktales discuss contemporary issues. Since 2000, the alternative trend of Korean folklore has been the present science of dealing with contemporary issues, showing its orientation in line with the thesis as a branch of science that pursues an independent sense of problem.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that need to be complemented. Such tasks include spreading a sense of problems about contemporary issues and unique problems of folklore evenly across various folk fields, accumulating more lively academic work in modern folklore including urban folklore, producing differentiated logic as a branch science literature, enhancing academic activities on folk-related aspects of mainstream culture, including broadcasting, and accumulating cases. 한국민속학은 어떤 학문인가? 한국민속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1970년대 이후 여러 논의가 있었고, 이러한 논의는 한국민속학이 인접학문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학문이며, 과거는 물론 당대의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라는 인식을 널리 공유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 민속학술판은 2009년을 정점으로 점차 연구활동이 약화되는 추세에 있고, 특히 최 근 3개년에 걸쳐 같은 추세가 더욱 심화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2000년 이후 민속의 연구활동은 흐름을 새롭게 형성하는 면이 있다. 민속을 두고 관련된 사회적 문제, 학술적 문 제 등에 대한 논의가 상당히 수행되었다. 이러한 민속 관련 담론은 대부분 당대의 문제를 논 의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전통민속 연구에 당대에 관한 문제의식이 상당한 비중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반적으로 2000년 이후 민속학술판이 연구활동은 약화되는 상황에 놓이면서도 당대의 문제의식이 활성화되는 국면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한국민속학의 대체적 흐름은 당대문제를 다루는 현재학으로서, 독자적 문 제의식을 추구하는 분과학문으로서의 명제에 부합되는 지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세부적 으로는 보완되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한다. 당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민속학의 고유한 문제의 식을 여러 민속분야에 고르게 확산하는 일, 도시민속을 포함한 현대민속의 학술작업을 보다 활기 있게 축적하며, 분과학문으로서 차별화된 논리를 생산하는 일, 방송을 비롯한 주류문 화의 민속관련 국면에 대한 학술활동을 제고하며 사례를 축적하는 일 등이 그러한 과제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