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췌장 가성낭포의 경피적 도관 배액술

        유진종 대한영상의학회 199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9 No.6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CD) of pancreatic pseudocyst has been reported to have good therapeutic results. low complications, and short hospital course. To fi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which can predict the treatment period for PCD, we retrospectively correlated the clinical data (presence of invection, initial and 1 week follow-up seruma and aspirate amylase level, daily drainage amount) and radiological findings (evidence of fistula, PCD route, inital size of pseudocyst) with the treatment period in each case, The age ranged from 20 to 64 years (mean :39.8 years)and male to female ratio was nine to one. When the cavity was obliterated after PCD and did not recur after tube removal without a surgical treatment, we regarded the patient to be cured. Mean treatment period was 20.2 days and nine patients (90%) were cured. We think that the factors shortening treatment period are the presence of superimposed infection and the abrupt decrease of the amount of daily drainage for the first week. But the presence of fistula to the pancreatic duct may prolong the treatment period. In conclusion, PCD is safe and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pancreatic pseudocyst, and the clinicla and radiological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edict the treatment period of PCD.

      • KCI등재

        중증 근무력증 환자에서 발생한 다발성 흉선종: 증례 보고

        유진종,강덕식,Yu, Jin-Jong,Gang, Deok-Sik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1

        중증 근무력증 환자에서 흉선종은 종종 볼 수 있으나 다발성은 아주 드물게 보고 되었다.저자들은 중증 근무력증을 가진 59세 남자에서 전종격동 종괴로 보인 다발성 침습성 흉선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방사선학적,병리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thymoma often occurs in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but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hymoma is very rare. The authors report the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multiple invasive thymoma in a 59-year-old male with myasthenia gravis.

      • KCI등재

        흡입 병력이 애매한 소아에서 폐 CT의 유용성

        최명범,우향옥,김점수,서지현,임재영,박찬후,유진종*,윤희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iral computed tomography (CT) using contiguous slices with partially thin sections around the hilar level in the bronchial foreign bodies of children with a vague history of aspiration. Methods:Fourteen children were identified to be examined with spiral CT due to obscure histories of aspiration episode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cal records provided information concerning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Results:Of the 14 patients examined with spiral C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inical and initial radiological findings with the exception of gender distribution. However, the spiral CT scans allowed accurate discrimination among patients with a vague history of aspiration episodes, in which seven were identified with 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seven with bronchiolitis, asthma, tracheobronchitis and/or pneumonia. Conclusion:We found that spiral CT using contiguous slices with partially thin sections around the hilar level are a useful non-invasive method in the early diagnosis of bronchi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with a vague history of aspiration. 흡입 병력이 애매한 소아에서폐 CT의 유용성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교실*최명범·우향옥·김점수·서지현·임재영박찬후·유진종*·윤희상목 적 : 소아 응급 질환인 기관지 내 이물 흡인의 진단을 위해서는 정확한 병력과 이학적 소견이 중요하다. 그러나 불확실한 병력과 이학적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사선과적 검사들이 이용된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내 이물 흡인의 진단에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CT) 기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경상대학교병원에서 1993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불명확한 기왕력을 가지면서 기관지 내 이물 흡인이 의심되었던 1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방사선 소견과 CT 소견을 병록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3.14(±2.78)세로 1세에서 3세 사이 연령에 10례(71%)가 해당되었고 성별분포는 남아가 9례, 여아가 5례였다. 기침, 천명, 호흡곤란 등의 임상 증상이 시작된 날부터 내원일까지의 평균 기간은 8.57(±15.63)일이었으며, 이들은 불확실한 병력과 임상 양상, 이학적 소견을 가지며 단순 흉부촬영과 X선 투시 검사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도 비특이적 소견을 보였으나, CT 소견으로 기관지 내 이물 흡인 7례와 세기관지염과 폐렴 7례로 감별 진단되어 의미있는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풍선 괄약근확장술과 수압을 이용한 경피적 담석 제거술

        김재수,유진종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2 No.3

        Purpose: We wanted to report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percutaneous biliary stone removal technique using hydraulic pressure after balloon sphincteroplasty through the PTBD tract for patients with bile duct ston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patients (46 men and 39 women) with bile duct stones who came to hospital over a period of the previous 4 years. All subjects had undergone attempts for with the biliary tree through PTBD. First, an 8-9F sheath was inserted into the biliary tree through the PTBD route by using a balloon catheter prior to sphincteroplasty, and 50cc of hydraulic pressure with contrast-mixed saline solution was then injected via the sheath. Follow-up cholangiogram was performed 1-3 days later to evaluate the results of stone removal. For residual stones, we attempted second, third, and fourth trials to completely remove the stones. The size and number of ston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complications, after classifying the cases as“ success”,“ partial removal”or“ failure”according to the number of remaining stones. Results: Out of 85 patients, 71 (83%) cases had successful results, and 43 (51%) cases resulted in success with the first attemp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trials were conducted on 16, 10 and 2 cases, respectively. Out of 14 failure cases, 10 patients had too many intrahepatic duct stones. The complications were abdominal pain (n=21), fever (n=9), and pancreatitis (n=2), and portal vein thrombosis, biloma and sepsis were also found in 1 case each. Conclusion: We report that this percutaneus biliary stone removal technique using hydraulic pressure after balloon sphincteroplasty through the PTBD is safe and effective, and particularly, it achieves good results as the primary therapy for treating only choledocholiths. 목적: 담석 환자에서 PTBD 경로를 통하여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장술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압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최근 4년 동안 담석으로 내원한 85명(남: 여= 46:39, 평균연령:6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PTBD 경로를 통하여 시술하였다. 시술은 먼저 PTBD 경로를 통하여 피포를 삽입한 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괄약근확장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피포를 통해 조영제가 혼합된 식염수를 50 cc주사기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주입하였다. 담석제거 후 1-3일후 추적 담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잔류 담석이 있으면 2-4차까지 반복하였다. 담석의 크기 및 위치를 분류하였으며, 잔류담석의 유무에 따라 완전제거, 부분제거, 실패로 분류 후 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85명의 대상자중 71명(83%)에 대해서 담석을 완전제거 하였다. 1차 시술에서 담석을 완전제거한 경우는 43명(51%)이였으며, 나머지는 2-4차(n=16, 10, 2)에 걸쳐 제거하였다. 실패의 대부분은 다발성 간내담관 담석환자였다(10/14). 합병증으로는 복부통증(n=21), 발열(n=9), 췌장염(n=2)이 있었고, 간문맥 혈전증, 담종, 패혈증이 각각 1예 있었다. 결론: PTBD 경로를 통하여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장술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압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은 안전하고 유용하며, 특히 총담관 담석만 있는 경우는 일차적 치료법으로 선택하여 좋은 치료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확장되지 않는 협착을 동반한 혈액투석용 동정맥루에 대한 평행철선을 이용한 혈관성형술

        신태범,유진종,조재민,최대섭,유재욱,전경녀,나재범,배경수,고은숙,정성훈,최진수,김용주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6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ue of the parallel wire balloon angioplasty technique for treating dysfunctional hemdialysis fistula with rigid stenosis, and this type of lesion was resistant to conventional angi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2 and August 2003, we included 6 patients (mean age: 59, males: 2, females: 4) who were treated via parallel the wire balloon angioplasty technique and their hemodialysis fistula has stenoses that were resistant to conventional angioplasty. We performed conventional angioplasty in all patients, but we failed to achieve sufficient dilatation. In the cases of highly resistant stenosis, an additional 0.016 inch wire was inserted into the 7 F vascular sheath. During angioplasty, a 0.016 inch guide wire was inserted between the balloon and the stenosis and then it was pushed to and fro until the balloon indentation disappeared. After the procedure, we performed angiography to identify the residual stenosis and the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Results: The undilatable stenoses in 5 patients were successfully resolved without complications via the parallel wire angioplasty technique. In one patient, indentation of balloon was not resolved, but the residual stenosis was both minimal and hemodynam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The parallel wire angioplasty technique seems to be a feasible and cost-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a dysfunctional hemodialysis fistula with undilatable and rigid stenosis. 목적: 일반적 풍선혈관성형술에 확장되지 않는 협착을 동반한 혈액투석용 동정맥루에 대하여 평행철선을 이용한 혈관성형술의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3월에서 2003년 8월까지 혈액투석경로의 혈관성형술을 시행한 120예 중, 일반적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에 저항하는 협착을 동반한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 59세, 남자 2명, 여자 4명). 시술은 일반적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에 저항하는 협착부에 대하여 7F 혈관초 내에 0.035 인치 유도철선 외에 0.016 인치 철선을 추가로 삽입하였다. 이후 풍선을 확장하여 철선을 병변부에 밀착시켜 철선을 전후로 움직여 풍선의 허리가 소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술 후에 동맥에 카테터를 위치시켜 조영술을 시행하여 협착의 소실 및 시술과 연관된 합병증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5명의 환자에서 풍선의 허리가 소실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술 후 혈관조영술에 협착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1예에서는 풍선 허리가 소실되지 않았으나 시술 후 혈관조영술에서 잔여협착이 미미하고 투석경로의 떨림이 회복되어 시술을 종료하였다. 시술 후 혈관 파열 등의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일반적 풍선혈관성형술에 확장되지 않는 혈액투석경로의 협착에 대하여 이중 철선을 이용한 혈관성형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또한 경제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담도 결석에 의한 기관지담도 누공의 경피적 치료: 증례 보고

        김재수,유진종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1 No.4

        Bronchobiliary fistulae are rare disorders, with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liver, trauma, previous surgery and biliary obstruction being frequent causative factors. Endoscopic or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avoid surgical treatment. We describe a case of a bronchobiliary fistula in a 78-year-old man with biliary obstruction caused by impacted calculi. Without surgical or endoscopic intervention, fistulae were treated by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removal of calculi, in conjunction with balloon sphincteroplasty. 기관지담도 누공은 염증성 간 질환, 담도 폐쇄, 수술 및 외상 등에서 기인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이에 대한 치료에 있어 수술적 방법을 피하기 위해 비수술적인 내시경적 혹은 경피경간 담배액술이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78세 남자에서 총담관 결석에 의한 폐쇄로 생긴 기관지담도 누공의 치료방법으로, 경피경간 담배액 경로를 통한 풍선 괄약근 성형술을 이용하여 총담관 결석을 제거함으로써 기관지담도 누공을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흉, 기종격증, 심막기종: 임상화보

        전경녀,배경수,유진종,정성훈,강덕식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4

        기흉, 기종격증, 심막기종은 대개 응급상황에서 발생하며 궁극적으로 심폐기능의 부전을 초 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단에 있어 흉부 단순 촬영은 일차적 검사가 되며 CT는 좀 더 조기에 병변을 발견하거나 동반된 다른 이상 소견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준다. 저자들은 이 임상화보를 통하여 기흉, 기종격증, 심막기종의 병태생리 를 설명하고 CT 소견과 견주어 흉부 단순촬영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징후 및 함정을 보여주 어 방사선학적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Pneumothorax, pneumomediastinum and pneumopericardium usually develop during emergency situations and these conditions may result in cardiopulmonary compromise, so an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is seen as crucial for proper treatment. For diagnosis of pneumothorax, pneumomediastinum and pneumopericardium, chest radiography is a primary modality and CT can help for diagnosing them earlier and detecting associated abnormalities. The purpose of this pictorial essay is to describe the pathophysiology, various radiographic signs and diagnostic pitfalls of pneumothorax, pneumomediastinum and peumopericardium on chest radiographs that are correlated with CTs, and to aid the physician in the radiographic diagnosis.

      • KCI등재

        부신의 해면상 혈관종: 증례 보고

        박의동,조재민,유진종,최대섭,유재욱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2 No.4

        Hemangiomas are rare benign tumors of the adrenal gland. We report here on the CT findings of a cavernous hemangioma of the right adrenal gland. The CT revealed a well-delineated adrenal mass having an internal necrotic portion and tiny peripheral calcification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ntrast media, the tumor showed peripheral enhancement on the arterial phase, and this was followed by progressive centripetal fill-in. 부신 혈관종은 매우 드문 부신의 양성 종양이다. 저자들은 우측 부신에서 발생한 해면상 혈관종 1예를 전산화단층촬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부신 혈관종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은 경계가 좋은 종괴로 내부에 괴사부위를 동반하고 있었으며 종괴의 변연부에 미세한 석회화가 있었다. 조영증강 후 동맥기 영상에서 종괴의 변연부에 조영증강을 보였고 문맥기 및 지연기 영상에서는 조영증강 부위가 내부로 확산되는 구심성 조영증강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